KR100627930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930B1
KR100627930B1 KR1020040032140A KR20040032140A KR100627930B1 KR 100627930 B1 KR100627930 B1 KR 100627930B1 KR 1020040032140 A KR1020040032140 A KR 1020040032140A KR 20040032140 A KR20040032140 A KR 20040032140A KR 100627930 B1 KR100627930 B1 KR 10062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heating chamber
state
microwave oven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27A (ko
Inventor
기타다유키히로
하야미카쯔아키
쿠보쿠니야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식품의 각각에 대해서, 적합한 가열조리를 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가열실의 하방에는, 해당 가열실 내에 마이크로파를 전파하기 위해서, 방사안테나 1 3 과 그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테나 1 1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내의 식품이 피자 등과 같이 표면적이 평평하게 큰 식품인 경우에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의 날개부 1 3 A ∼ 1 3 D 의 각각이 리브 1 1 A ∼ 1 1 D 의 어느 것에 대향하고, 이들의 최단거리가 3 m m ∼ 5 m m로 되도록,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된다. ( ( A ) 참조). 또, 가열실내의 식품이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인 경우에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은, 이들의 최단거리가 1 0 m m 이상으로 되도록, 마이크로파적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 ( B ) 참조).

Description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전자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자렌지의 I I - I I 선을 따른 사시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자렌지의, 방사안테나, 외측안테나, 및, 기어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 V - I V 선을 따른 사시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외측안테나의 하면도이다.
도 6 은, 도 3에서, 방사안테나와 외측 안테나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V I I - V I I 선을 따른 부분적인 사시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1 의 전자렌지의 본체틀의 저판상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8 의 버튼과 스위치만의 평면도이다.
도 1 0 은, 도 9 의 버튼과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1 1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부착대의 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2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의 전기적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3 은, 도 1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의 스위치 및 릴레이스위치의 각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4 는, 도 1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의 스위치 및 릴레이스위치의 각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 6 은, 도 1 5 의 전자레인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7 은, 도 1 5 의 전자레인지의 방사안테나와 외측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1 8 은, 도 1 5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의 가열실 1 0 으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9 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 0 은, 도 1 9 의 전자레인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 1 은 , 도 1 9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관내 안테나상태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2 는,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 3 에서, ( A ) 는, 도 2 2 의 전자레인지의 반사판의 정면도이고, ( B ) 는, 해당 반사판의 측면도이다.
도 2 4 는, 도 2 2 의 전자레인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 5 는, 도 1 9 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반사판의 상태의 한 예를 설명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자레인지 3 도어
5 본체 틀 6 조작패널
7 적외선 센서 1 0 가열실
10 X 안테나 수납부 1 1 외측안테나
1 1 A ∼ 1 1 C 리브 1 3 , 1 5 방사안테나
1 3 A ∼ 1 3 C 날개부 1 5 A , 4 6 축
1 6 안테나모터 1 6 A 지지부재
1 9 , 7 9 도파관 3 6 다리
4 4 기어 4 5 기어모터
7 0 관내안테나 7 1 모터
8 0 반사판 1 0 0 제어부
1 1 0 , 1 3 0 안테나 부착대.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실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 로서 해당 가열실 내의 식품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마이크로파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식품에 따른 가열을 행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 가지 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식품의 전기적 부하량의 입력을 받아서, 해당 식품의 전기적 부하량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동작패턴을 제어하는 전자레인지나, 온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식품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의 한 쪽을 회전시키고 다른 쪽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가열실의 측면에, 상하 두 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구와, 해당 두 개의 공급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판을 구비한 전자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레인지에서는 상방의 공급구로부터 가열실에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때에는, 가열실의 저면중앙에 재치된 식품이 주로 가열되고, 하방의 공급구로부터 가열실에 마이크로파가 공급될 때에는, 가열실의 주위부에 재치된 식품이 주로 가열된다. 그리고, 해당 전자레인지에서는, 조리물이 평면적인 형상의 것 또는 분산배치된 것이라 해도 가열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 두 개의 개폐판을 서로 개폐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7 - 1 9 4 9 0 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 0 0 2 - 1 7 0 6 6 0 공보
그러나, 종래부터,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식품의 각각에 대해서, 적합한 가열조리를 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비추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식품 각각에 대해서, 적합한 가열조리를 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전자레인지는,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과 상기 가열실을 동축 결합시키는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안테나의 외주에 설치된 제 2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상태를 조정하는 안테나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지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한 제 1 의 상태와,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기 제 2 의 상태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제 1 의 안테나 만을 통해서, 가열실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도 있고, 제 1 의 안테나와 제 2 의 안테나를 통해서, 즉, 제 1 의 안테나만의 경우보다도 가열실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에 관여하는 안테나의 외형이 커진 상태로, 가열실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레인지는, 가열실의 비교적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상태, 및, 가열실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상 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확실하게 식품의 형상에 맞춘 가열 조리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상기 제 1 의 상태는,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최단거리가 3 m m ∼ 5 m m로 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의 상태는,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최단거리가 1 0 m m 이상으로 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1 의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균일하게,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 1 의 안테나와 제 2 의 안테나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되기 위해, 제 1 의 상태 또는 제 2 의 상태가 되었을 때, 해당 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1 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 1 의 안테나와 제 2 의 안테나가 제 1 의 상태 또는 제 2 의 상태가 되었을 때, 해당 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식품을 수용하고, 제 1 의 벽면과 해당 제 1 의 벽면과는 다른 제 2 의 벽면을 구비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의 제 1 의 벽면에 형성된 제 1 의 개구와, 상기 가열실의 제 2 의 벽면에 형성된 제 2 의 개구와,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제 1 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제 1 의 벽면에 관통하고, 상기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가열실을 동축 결합시키는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제 2 의 벽면의 상기 제 2 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을 접속하는 제 2 의 도파관과, 상기 제 2 의 도파관 내에 설치된 제 2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상태를, 상기 제 2 의 도파관 내에만 존재하는 제 1 의 상태와, 상기 제 1 의 도파관 내와 상기 제 2 의 도파관 내에 존재하고 이것들을 동축결합시키는 제 2 의 상태로 조정가능한 안테나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 조정수단이 제 2 의 안테나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서, 제 1 의 도파관 및 제 2 의 도파관 내의 마이크로파의 전파상태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 확실하게,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가열실에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확실하게, 식품의 형상에 맞춘 가열조리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의 상태와 상기 제 2 의 상태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제 1 의 벽면은 상기 가열실의 저면이고, 상기 제 2 의 벽면은 상기 가열실의 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의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레인지 1 은, 주로, 본체 2 와, 도어 3 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2 는, 그 외곽이, 외장부 4 로 덮여있다. 또, 본체 2 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전자레인지 1 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패널 6 이 구비되어 있다. 또, 본체 2 는, 여러 개의 다리 8 이 지지되어 있다. 도어 3 은, 하단을 축으로 해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3 의 상부에는 손잡이 3 A 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I I - I I 선을 따른 사시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 2 의 내부에는, 본체틀 5 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 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은, 도어 3 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부 4 는, 저판 4 X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 에서는, 다리 8 은 생략되어 있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의 우하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 2 가 구비되어 있다. 또,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 2 와 본체 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내에는, 재치대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에서는, 마이크로파 투과성의 재치대 9 위에 가열 대상이 되는 식품이 재치된다. 또, 가열실 1 0 의, 재치대 9 보다도 하방의 영역인 안테나 수납부 1 0 X 에는, 방사안테나 1 3 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 틀 5 의 저면에는, 저판 5 A 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 5 A 에는, 구멍 5 B 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 안테나 1 3 은, 구멍 5 B를 관통하도록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에 존재하는, 금속제 축 1 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축 1 5 A 를 구비하는 방사안테나 1 3 에 의해,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은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축 1 5 A 상방에는, 마이크로파를 통과하는 재질로 구성된 안테나 부착대 1 3 0 이 부착되어, 해당 안테나 부착대 1 3 0 의 위에, 방사안테나 1 3 이 붙어있다.
도파관 1 9 의 하면에는, 부착대 2 6 이 설치되고, 해당 부착대 2 6 의 하면에 안테나 모터 1 6 이 부착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지지부재 1 6 A 로, 화살표 R 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 1 5 A 가 회전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마그네트론 1 2 가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을 통하여, 방사안테나 1 3 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가열실 1 0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재치대 9 위의 식품이 가열된다.
방사안테나 1 3 의 외주에는, 외측 안테나 1 1 이 재치되어 있다. 외측 안테나 1 1 은, 3 개의 다리 3 6을 구비한 안테나 부착대 1 1 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외측 안테나 1 1 의 일방측에는, 기어 4 4 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4 4 는, 축 4 6을 통해서, 기어모터 4 5 에 접속되어 있다. 기어 4 4 의 외주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또, 안테나의 부착대 1 1 0 의 외주에는, 기어 4 4 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어모터 4 5 가 구동됨으로서 기어 4 4 가 화살표 R 2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톱니를 통해서 해당 기어 4 4 의 회전이 안테나 부착대 1 1 0 에 전해져, 안테나 부착대 1 1 0 가 회전한다.
부착대 2 6 안에는, 지지부재 1 6 A 에 부착된 캠 2 5 가 설치되어 있다. 캠 2 5 는, 방사안테나 1 3 의 회전 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 후술하는 스위치 9 6 ) 의 O N - O F F를 전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방사 안테나 1 3 의 회전위치의 검출방법에 대해서는 도 1 1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도 3 에, 방사 안테나 1 3, 외측 안테나 1 1 , 및 기어 4 4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4 에 , 도 3 의 , I V - I V 선을 따른 사시단면도를 나타낸다.
기어 4 4 의 상부에는, 기어 4 4를 지지부재 4 6 에 고정하기 위해서, 부재 4 6 A 가 부착되어 있다.
방사 안테나 1 3 은,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3 장의 날개부 1 3 A ∼ 1 3 C를 구비하고 있다. 날개부 1 3 A ∼ 1 3 C 는, 서로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방사안테나 1 3 의 중앙부에서, 서로 1 2 0˚의 각도로, 방사상으로 늘어 나고 있다.
외측 안테나 1 1 은, 방사 안테나 1 3 의 외주에, 방사안테나 1 3 과 동심의 도너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외측 안테나 1 1 은, 방사안테나 1 3 으로 향하게 해서 늘어나고,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는 리브 1 1 A ∼ 1 1 C를 가지고 있다.
안테나 부착대 1 3 0 에는, 3 개의 팔 3 7 이 구비되어 있고, 해당 팔 3 7 이 사이에 들어감으로서, 안테나 부착대 1 3 0 은, 안테나 부착대 1 1 0 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사안테나 1 3 은, 외측 안테나 1 1 에 대해서 일정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 에, 외측 안테나 1 1 의 하면도를 나타낸다.
외측 안테나 1 1 의 하측에는, 안테나 부착대 1 1 0 가 부착되어, 등외 안테나 부착대 1 1 0 에는, 아래 방향으로, 저판 5 A 로 늘어나는 3 개의 다리 3 6 이 부착되어 있다. 3 개의 다리 3 6 은, 각각 리브 1 1 A ∼ 1 1 C 의 이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방사 안테나 1 3, 및, 외측 안테나 1 1 은, 각각 독립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6 에, 도 3부터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 1 1 A ∼ 1 1 C 와 날개부 1 3 A ∼ 1 3 C 는 같은 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브 1 1 A ∼ 1 1 C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 1 3 A ∼ 1 3 C 가 각각 리브 1 1 A ∼ 1 1 C 와 거의 일직선형상이 되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으면, 도 3 에 나 타낸 바와 같이, 그것이 일직선 형상이 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상태를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된 상태' 라고 하고, 도 3 에 나타낸 상태를 '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 라고 한다.
도 7 에, 도 6 의 V I I - V I I 선을 따른 부분적인 사시단면도를 나타낸다.
날개부 1 3 A 와 리브 1 1 A 는, 각각, 대향하는 부분에, 절립면 S 3, S 1을 구비하고 있다. 또, 날개부 1 3 B , 1 3 C와 리브 1 1 B , 1 1 C 도 동일한 절립면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방사 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과의 최단거리는, 날개부 1 3 A 와 리브 1 1 A 의 최단거리, 날개부 1 3 B 와 리브 1 1 B 의 최단거리, 및, 날개부 1 3 C 와 리브 1 1 C 의 최단거리가 되고, 이들은, 어느 것도 도 7 에 나타낸 절립면 S 3 과 절립면 S 1 의 거리인 거리 M 이 된다. 거리 M 은, 3 m m ∼ 5 m m 이 된다. 이에 의해 방사안테나 1 3 에 전파해 온 마이크로파는, 날개부 1 3 A ∼ 1 3 C 의 각각에서 외측 안테나 1 1 의 리브 1 1 A ∼ 1 1 C 로 전파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 즉 방사 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사안테나 1 3 에 전파해온 마이크로파가, 날개부 1 3 A ∼ 1 3 C에서 리브 1 1 A ∼ 1 1 C 로 전파하기 어렵도록, 방사 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과의 최단거리인 거리 N ( 도 3 참조 ) 는, 적어도 1 0 m m 이상이다.
도 8 에, 저판 5 A 상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8 은, 화살표 D 로 나타내는 방향이 도어측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저판 5 A 상에는, 외측 안테나 1 1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3 개의 다리 3 6 이 그려진 저판 5 A 상의 궤적 C 3 6 을 두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괘적 C 3 6 의 코스 상에는 버튼 9 0 , 9 3 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저판 5 A 의 하방에는, 버튼 9 0 , 9 3 이 압압됨으로서 O N - O F F을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 9 1 , 9 2 , 9 4 , 9 5 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측 안테나 1 1 이 회전되면, 정기적으로 3 개의 다리 3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버튼 9 0 , 9 3 이 압압되어, 이에 의해, 정기적으로 스위치 9 1 , 9 2 , 9 4 , 9 5 의 O N - O F F 가 전환된다.
또, 도 8 에는, 캠 2 5 가 후술하는 스위치 9 6을 O F F 했을 때의 방사 안테나 1 3 의 정지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 버튼 9 0 과 스위치 9 1 , 9 2 만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버튼 9 0 은, 저판 5 A 에 적정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스위치 9 1 , 9 2 와 접촉하고 있으나, 도 9 에서는, 해당 저판 5 A를 생략하고 있다.
스위치 9 1 , 9 2 는, 각각, 상면에 스위치 버튼 9 1 A , 9 2 A를 구비하고, 해당 스위치버튼 9 1 A , 9 2 A를 커버하도록, 버튼 9 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0 에, 도 9 에 나타낸 버튼 9 0 과 스위치 9 1 , 9 2 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 0 ( A ) 는, 버튼 9 0 에 회전하고 있는 다리 3 6 이 가까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 0 ( B )는, 다리 3 6 이 버튼 9 0을 위에서 압압하고 있 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 0 ( A )를 참조하면, 다리 3 6 은, 회전함으로서 화살표 R 3 방향으로 이동해서, 버튼 9 0 으로 근접하고 있다. 버튼 9 0 은, 다리 3 6 이 가까워져 오는 쪽 ( 도 1 0 ( A ) 에서는 왼쪽 ) 이, 다른 쪽 ( 도 1 0 ( A ) 에서는 오른쪽 ) 보다도 낮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튼 9 0 에 대해서 다리 3 6 이 화살표 R 3 방향으로 다가가도, 도 1 0 ( B )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 9 0을, 화살표 R 3 에 엇갈리는 방향인 화살표 R 4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 9 0 이 화살표 R 4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서, 스위치버튼 9 2 A 가 스위치 9 2 의 본체 내에 밀어 넣어져, 이에 의해, 스위치 9 2 의 O N - O F F 가 전환된다. 또, 스위치 9 1 에 대해서도, 스위치 9 2 와 동일하게, 버튼 9 0 의 변위에 의해 그 O N - O F F 가 전환된다. 또, 스위치 9 4 , 9 5 에 대해서도, 버튼 9 3 이, 도 1 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버튼 9 0 과 동일하게 변위함으로서, 그 O N - O F F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 1 ( A ) 및 도 1 1 ( B ) 는, 어느 것도, 부착대 2 6 의 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1 ( A )를 참조하면, 캠 2 5 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 1 6 A 에 부착되고, 지지부재 1 6 A 가 회전함으로서, 동일하게 회전한다. 또, 캠 2 5 는, 요부 2 5 A 가 형성되고 있다. 스위치 9 6 은, 스위치버튼 9 6 A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스위치버튼 9 6 A가 스위치 9 6 의 본체 내에 밀어 넣어짐으로서, 스위치 9 6 의 O N - O F F 가 전환된다. 또, 요부 2 5 A 는, 도 1 1 ( A )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위치버튼 9 6 A 가 들어가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1 1 ( A )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지지부재 1 6 A 가 회전하면, 이것에 따라서 캠 2 5 도 회전한다. 캠 2 5 가 회전함으로서, 예를 들어, 도 1 1 (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 2 5 A 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스위치버튼 9 6 A 는, 캠 2 5 의 외주부에 의해서 압압됨으로서 스위치 9 6 본체 내에 밀어 넣어진다. 이렇게 해서, 지지부재 1 6 A 가 회전함으로서, 정기적으로, 스위치 9 6 의 O N - O F F 가 전환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정기적인 스위치 9 6 O N - O F F 의 전환을 검지함으로서, 또, 스위치 9 6 의 O N - O F F 가 전환되고 나서 지지부재 1 6 A 의 회전이 정지될 때 까지의 시간을 계시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의 회전위치가 검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행한 조작에 근거하여, 가열조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냉동 슬라이스 고기나 피자 등의 표면적이 평평하게 큰 식재를 가열 또는 해동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 진 경우에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을,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시킨 상태로 하면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로는, 도파관 1 9에서 방사 안테나 1 3 으로 해 온 마이크로파는, 해당 방사안테나 1 3 에서 가열실 1 0 으로 공급되나, 방사안테나 1 3 에 전파한 마이크로파의 일부는, 외측 안테나 1 1 에 전파하고, 외측 안테나 1 1 의 외주로부터 가열실 1 0 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가열실 1 0 내의 식품 밑이나 표면의 외주부분 뿐 아니라, 해당 식품의 표면 중앙부분도 마이크로파가 공급되어서 가열된다. 따라서,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고르게, 가열된다. 또, 액체물이 나 여러 작은 고형물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도, 동일한 상태로 가열조리가 이루어진다.
또, 껍질을 벗기거나 잘게 썰거나 하지 않은 감자와 같이,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을,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적으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하면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열실 1 0 으로는, 방사안테나 1 3 의 외주부터 마이크로파가 공급되기 때문에, 식품의 저부분이나 측면부분뿐 아니라, 상면부분도 가열된다. 따라서,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고르게, 가열된다.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과의 위치관계를 도 3 또는 도 6 에 나타낸 관계로 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 전자레인지 1 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 1 2를 참조하면서, 해당 전자레인지 1 의 전기적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전자레인지 1 은, 외부의 교류전원 2 0 0 에 접속되어, 해당 교류전원 2 0 0에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서, 가열동작 등의 동작을 실행한다.
전자레인지 1 은, 해당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1 0 0 , 마그네트론 1 2 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1 0 1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1 0 0 에는, 트랜스 1 0 2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1 0 1 은, 고압트랜스 1 0 1 A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자레인지 1 은, 도어 3 의 개폐에 따라서 도 1 2 에 나타내는 회로의 개폐를 전환하는 도어스위치 3 X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스위치 3 X 에 의해, 도어 3 이 개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마그네트론 1 2 로부터 가열실 1 0 내에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전자레인지 1 은, 상기한 스위치 9 1 , 9 4 , 9 6 과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릴레이스위치 1 1 1 , 1 1 2 , 1 1 3을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스위치 1 1 1 , 1 1 2 , 1 1 3 에 의한 회로의 개폐는, 제어부 1 0 0 이 릴레이코일 1 2 1 , 1 2 2 , 1 2 3 의 각각으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서 전환된다.
스위치 9 1 , 9 4 및 릴레이스위치 1 1 1 , 1 1 2 는, 외측안테나 1 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비된 기어모터 4 5 와 직렬로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9 1 및 릴레이스위치 1 1 1 이 도 1 2 에 나타낸 회로를 열면, 기어모터 4 5 로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스위치 9 4 및 릴레이스위치 1 1 2 가 해당 회로를 열어도, 기어모터 4 5 로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위치 9 6 및 릴레이스위치 1 1 3 은, 방사 안테나 1 3을 회선시키기 위해서 구비된 안테나 모터 1 6 과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9 6 및 릴레이스위치 1 1 3 이 도 1 2 에 나타낸 회로를 열면, 안테나모터 1 6 으로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전자레인지 1 은, 마그네트론 1 2를 냉각하기 위한 블로워모터 1 0 3 및 가열실 1 0 내의 조명인 고내등 1 0 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1 에는, 캠 2 5 에 의해 스위치 9 6 과 동시에 O N - O F F 로 전환되는 스위치 9 7 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9 7 , 스위치 9 1 과 동시에 O N - O F F 로 전환되어야 하는 스위치 9 2 , 및 스위치 9 4 와 동시에 O N - O F F 로 전환되어야 하는 스위치 9 5 는, 전위 + V ( 이미 정 해진 소정의 전위 ) , 및, 제어부 1 0 0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스위치 9 1 과 스위치 9 2 , 스위치 9 4 와 스위치 9 5 , 및, 스위치 9 6 과 스위치 9 7 은, 각각, O N - O F F 상태가 거꾸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 1 0 0 은, 스위치 9 1 과 스위치 9 2 , 스위치 9 4 와 스위치 9 5 , 및 스위치 9 6 과 스위치 9 7 의 각 스위치의 조합에 있어서, O N - O F F 의 상태가 거꾸로 되어 있는가를 항상 검출함으로서, 이것들 모두의 스위치의 O N - O F F 의 전환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릴레이코일 1 2 4 에 통전함으로서, 도어스위치 3 X 와 직렬로 접속된 릴레이스위치 1 1 4 에 회로를 열어서, 마그네트론 1 2 로의 전력공급을 회피시킨다.
제어부 1 0 0 은, 조작 패널 6 에 접속되고,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입력된 조작에 기초해서 전자레인지 1 의 제어를 실행하거나, 전자레인지 1 의 상태에 따라서 조작패널 6 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조작패널 6 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제어부 1 0 0 가 실행하는 처리의 한 예를 이하에 열거한다.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적이 평평하게 큰 식재를 가열 또는 냉동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 1 0 0 은, 릴레이코일 1 2 1 로의 통전상태를 제어함으로서, 릴레이스위치 1 1 1 에 회로를 열게한다.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 1 0 0 은, 릴레이코일 1 2 2 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서, 릴레이스위치 1 1 2 에 회로를 열게한다.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적이 평평하게 큰 식재를 가 열 또는 해동하기 위한 조작, 또는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을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중의 어느 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 1 0 0 은, 릴레이코일 1 2 3 으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서, 릴레이 스위치 1 1 3 에 회로를 열게한다.
또, 스위치 9 1 , 9 4 , 9 6 은, 가열조리가 개시되기 전에는 O N 상태 ( 회로를 닫은 상태 ) 가 되고, 대응하는 스위치 버튼 ( 스위치 버튼 9 1 A , 9 4 A , 9 6 A )를 압압됨으로서 O F F 상태 ( 회로를 여는 상태 ) 에 전환된다. 또, 스위치 9 2 , 9 5 , 9 7 은, 가열조리가 개시되기 전에는 O F F 상태가 되고, 대응하는 스위치버튼이 압압됨으로서 O N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제어부 1 0 0 이 이상과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서, 스위치 9 1 , 9 2 , 9 4 ∼ 9 7 및 릴레이스위치 1 1 1 ∼ 1 1 3 의 각 스위치의 O N - O F F 상태는, 도 1 3 및 도 1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된다. 또, 도 1 3 에는,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의 각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 4 에는 조작패널 6 에 대해서 표면적이 평평하게 큰 식재를 가열 또는 해동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의 각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각 스위치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 패널 6 에 대해서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먼저 도 1 3 ( A ) 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 3 ( A )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사안테나 1 3 이 회전함으로서 캠 2 5 가 스위치 9 6을 O F F 하고, 그리고 외측 안테나 1 1 이 회전함으로서 3 개의 다리 3 6 중의 어느 한 개가 스위치 9 4를 O F F 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정지된다. 이것은, 캠 2 5 가 스위치 9 6을 O F F 로 했을 때에는, 방사안테나 1 3 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 1 3 B 가 스위치 9 1 , 9 2 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그리고 다리 3 6 이 리브 1 1 A ∼1 1 C 의 각각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 3 6 이 스위치 9 3 , 9 4를 O F F 하는 경우에는, 리브 1 1 A 가, 스위치 9 3, 9 4 에 대향하는 위치, 즉 리브 1 1 A 가 날개부 1 3 A 와 날개부 1 3 C 의 사이의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때, 스위치 9 5 및 스위치 9 7 이 O N됨으로서 제어부 1 0 0 에 + V 의 전위가 전해되어, 해당 제어부 1 0 0 은,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정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이 때의 각 스위치 O N - O F F 상태는, 도 1 3 ( B ) 에 나타낸 대로 되어있다.
그 후, 제어부 1 0 0 이 릴레이스위치 1 1 2 및 릴레이 스위치 1 1 3을 O N 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인 채로 회전한다. 이 때의 각 스위치 O N - O F F 상태는, 도 1 3 ( C ) 로 나타낸 대로 되어 있다.
한편, 표면적의 평평하게 큰 식재를 가열 또는 해동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각 스위치 O N - O F F 상태는, 먼저, 도 1 4 ( A ) 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 4 ( A )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사안테나 1 3 이 회전함으로 서 캠 2 5 가 스위치 9 6을 O F F 하고, 그리고 외측 안테나 1 1 이 회전함으로서 3 개의 다리 3 6 중의 어느 한 개는 스위치 9 1을 O F F 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된다. 이것은, 캠 2 5 가 스위치 9 6을 O F F 했을 때에는, 방사 안테나 1 3 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 1 3 B 가 스위치 9 1 , 9 2 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다리 3 6 이 리브 1 1 A ∼ 1 1 C 의 각각 하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 3 6 이 스위치 9 1 , 9 2 에 대향하는 위치, 즉, 리브 1 1 B 가 날개부 1 3 B 와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이에 의해,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정지된다. 또, 이 때, 스위치 9 2 및 스위치 9 7 이 O N 됨으로서 제어부 1 0 0 에 + V 의 전위가 전해짐으로서, 해당 제어부 1 0 0 은,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정지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이 때의 각 스위치 O N - O F F 상태는, 도 1 4 ( B ) 에 나타낸 대로 되어 있다.
그 후, 제어부 1 0 0 이, 릴레이 스위치 1 1 1 및 릴레이스위치 1 1 3을 O N 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인 채로, 회전한다. 이 때의 각 스위치 O N - O F F 상태는, 도 1 4 ( C ) 에 나타낸 대로 되어 있다.
< 제 2 의 실시형태>
도 1 5 에,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형태인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다. 또, 도 1 5 는, 제 1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참조한 도 2 에 상당하는 도이다.
제 1 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실 1 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기 위해서, 방사안테나 1 3 과, 해당 방사 안테나 1 3 의 외주에 설치된 외측 안테나 1 1 이 사용되고, 쌍방을 회전이동시킴으로서, 2 개의 안테나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도, 제 1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와 동일하게,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을 구비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에서는, 내측의 방사안테나 1 3 만이 회전됨으로서, 2 개의 안테나의 상대위치가 변경된다. 따라서, 도 1 5 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에서는 제 1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과 비교해서, 외측 안테나 1 1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 ( 기어모터 4 5 등 ) 이 생략되어 있다.
도 1 5를 참조하면,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본체틀 5 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 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은, 도어 ( 도 1 의 도어 1 3 과 동일한 것 ) 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부 4 는, 저판 4 X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의 우하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 2 가 구비되어 있다. 또,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 2 와 본체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내에는, 재치대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에서는, 재치대 9 상에 가열대상이 되는 식품이 재치된다. 또, 가열실 1 0 의, 재치대 9 보다도 하방의 영역인 안테나 수납부 1 0 X 에 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저면에는, 저판 5 A 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 5 A 에는, 구멍 5 B 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안테나 1 3 은, 구멍 5 B를 관통하도록,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에 존재하는, 금속제의 축 1 5 A를 구비하고 있다. 즉, 축 1 5 A를 구비하는 방사안테나 1 3 에 의해서,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과는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파관 1 9 의 하면에는, 부착대 2 6 이 설치되고, 해당 부착대 2 6 의 하면에 안테나모터 1 6 이 부착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 모터 1 6 에, 지지부재 1 6 A 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 1 5 A 가 회전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3 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마그네트론 1 2 가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를 통해서, 방사안테나 1 5 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가열실 1 0 내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저판 9 상의 식품이 가열된다.
부착대 2 6 의 안에는, 지지부재 1 6 A 에 부착된 캠 2 5 가 설치되어 있다. 캠 2 5 는, 방사안테나 1 3 의 회전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9 6 ( 도 1 5 에서는 도시 생략 ) 의 O N - O F F를 전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1 6 은,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의 제어블록도이다.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1 0 0 은, 조작패널 6 ( 도 1 의 조작패널 6 과 동일한 것 ) 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또, 스위치 9 6 의 O N - O F F 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의 정보에 기초 해서, 제어부 1 0 0 은, 냉각 팬모터 1 0 3, 고내등 1 0 4 ,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1 0 1 , 및, 안테나모터 1 6 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 7 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안테나 1 3 및 외측 안테나 1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방사안테나 1 3 은, 날개부 1 3 A ∼ 1 3 D를 구비하고 있다. 날개부 1 3 A ∼ 1 3 D 는 서로, 9 0 。 의 각도를 이루고 인접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외측 안테나 1 1 은, 날개부 1 3 A ∼ 1 3 D 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리브 1 1 A ∼ 1 1 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은, 날개부 1 3 A ∼ 1 3 D 의 각각이 리브 1 1 A ∼ 1 1 D 중의 어느 한 개에 대향하고,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의 최단거리가 3 m m ∼ 5 m m 로 되도록,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된 상태 ( 도 1 7 ( A ) 참조 ) 와,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의 최단거리가 1 0 m m 이상으로 되도록,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 ( 도 1 7 ( B ) 참조 )를 취할 수 있다.
또, 도 1 7 ( A ) , 도 1 7 ( B )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과의 상대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적당방사 안테나 1 3을 회전시키고, 스위치 9 6 의 O N - O F F 가 전환되고 나서, 또, 적당한 위치까지 방사안테나 1 3 이 회전한다고 생각되어 지는 시간만 방사안테나 1 3을 회전시킨 후, 해당 회전을 정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 8 에,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에 있어서, 가열실 1 0 으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1 8 ( A )를 참조하면,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된 상태 ( 도 1 7 ( A ) 참조 ) 가 되면, 가열실 1 0 으로는, 도파관 1 9에서 방사안테나 1 3 에 전파된 마이크로파는, 해당 방사 안테나 1 3 의 외주부터도 가열실 1 0 내로 공급되나, 해당 방사 안테나 1 3 으로부터 외측 안테나 1 1 에 전파해서, 도 1 8 ( A ) 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외측 안테나 1 1 의 외주로부터도 가열실 1 0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예를 들어, 냉동의 슬라이스 고기나 피자 등의 표면적의 평평하게 큰 식품일 경우에, 각 안테나는 이와 같은 배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의 밑이나 표면의 외주부분뿐 아니라, 해당 식품의 중앙부분도 마이크로파가 공급되어, 식품이 고루 가열된다. 액체물이나 여러 작은 고형물을 가열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도, 동일한 상태로 가열조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 8 ( B )를 참조해서, 방사안테나 1 3 과 외측 안테나 1 1 이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 ( 도 1 7 ( B ) 참조 ) 가 되면, 가열실 1 0 으로는, 도파관 1 9에서 방사안테나 1 3 에 전파된 마이크로파는, 도 1 8 ( B )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사안테나 1 3 의 외주부터 가열실 1 0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껍질을 벗기거나 잘게 썰거나 하지 않은 감자와 같이,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인 경우에, 각 안테나가 이와 같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식품의 저부분이나 측면부분뿐 아니라, 상면부분도 가열된다. 따라서,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골고루, 가열된다.
< 제 3 의 실시형태 >
도 1 9 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 9 는, 제 1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참조한 도 2 에 상당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의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의 측면을 접속시키는 도파관 7 9 와, 도파관 1 9 내의 마이크로파를 도파관 7 9 에 이끌도록 관내 안테나 7 0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도 1 9을 참조하면,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본체틀 5 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은, 도어 ( 도 1 의 도어 3 과 동일한 것 ) 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부 4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의 우하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 2 가 구비되어 있다. 또,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 2 와 본체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 9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내에는, 저판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에서는, 저판 9 상에, 가열대상이 되는 식품이 재치된다. 또, 가열실 1 0 의 , 저판 9 보다도 하방 영역인 안테나 수납부 1 0 X 에는, 방사안테나 1 5 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저면에는, 저면 5 A 가 설치되고, 해당 저판 5 A 에는, 구멍 5 B 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안테나 1 5 는, 구멍 5 B를 관통하도록,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에 존재하는 금속제 축 1 5 A를 구비하고 있다. 즉, 축 1 5 A를 구비하는 방사안테나 1 5 에 의해,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은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고 있다.
도파관 1 9 의 하면에는, 안테나모터 1 6 이 부착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지지부재 1 6 A 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 모터 1 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 1 5 A 가 회전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5 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도파관에는 구멍 7 8 이 형성되고, 가열실 1 0 의 측면에는 구멍 1 0 H 가 형성되고, 도파관 1 9 의 구멍 7 8을 포함하는 영역과 가열실 1 0 의 구멍 1 0 H를 포함하는 영역이, 도파관 7 9 에 의해서 접속되고 있다.
도파관 7 9 의 내부에는, 관내 안테나 7 0 이 설치되어 있고, 또, 전자레인지 1 에는, 관내 안테나 7 0 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모터 7 1 과, 캠 7 2 가 구비되어 있다.
마그네트론 1 2 가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를 통하고, 방사안테나 1 5 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가열실 1 0 내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저판 9 상의 식품이 가열된다. 또, 마그네트론 1 2 가 발한 마이크로파 중의 관내 안테나 7 0 의 높이에 따른 양의 마이크로파가, 도파관 7 9를 통해서 구멍 1 0 H에서 마이크로파가 공급된다. 또, 관내 안테나 7 0 의 높이와는, 구체적으로는, 관내 안테나 7 0 이 도파관 1 9 내에 진입하는 높이 방향의 길이 L 이다.
도 2 0 에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1 0 0 은, 조작 패널 6 ( 도 1 의 조작패널 6 과 동일한 것)에 입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입력된 정보에 근거해서,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 1 0 0 은, 냉각 팬모터 1 0 3, 고내등 1 0 4 ,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1 0 1 , 안테나모터 1 6 , 및, 모터 7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사용자는, 가열실 1 0 내에 수용되는 식품에 관하는 정보를 조작패널 6 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 0 0 은, 해당 입력된 정보에 근거해서, 모터 7 1 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한 길이 L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패널 6 에, 술 데우기나 우유 데우기 등, 가열실 1 0 내에 수용되는 가열의 대상이 되는 식품이 액체식품인 요지의 정보가 입력되면, 길이 L을 ' 0 ' 이하로, 즉, 도 2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내 안테나 7 9를 도파관 1 9 내에 진입시키지 않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1 0 으로는, 저판 9 측에서, 식품의 저부를 중심으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된다.
한편, 조작패널 6 에, 껍질을 벗기거나 잘게 썰지 않은 감자와 같이, 가열실 1 0 내에 수용되어 가열의 대상이 되는 식품이 저면적이 작고 비교적 높이가 높은 식품인 요지의 정보가 입력되면, 길이 L 은, 마이크로파의 파장을 λ 로 하면, ' λ / 4 ' 가 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1 0 으로는, 저판 9 측에서 ( 식품의 저부로부터 ) 뿐 아니라, 구멍 1 0 H 측에서 ( 식품의 상부로부터 ) 뿐 아니라,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길이 L을 최대 'λ / 4 ' 라는 조건 중에서 변화시킴으로서, 가열실 1 0 으로 공급하는 마이크로파에 있어서의, 식품의 저부로부터 공급하는 것과 식품의 상부로부터 공급하는 것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 제 4 의 실시형태 >
도 2 2 에,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형태인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다. 또, 도 2 2 는, 제 1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참조한 도 2 의 외장부 4를 생략한 것에 상당하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은, 제 1 의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와 비교하면, 안테나 수납부 1 0 X 에 있어서, 수납되는 안테나는 방사안테나 1 5 만 되고, 그리고 방사 안테나 1 5 에 전파해 온 마이크로파의 가열실 1 0 으로의 전파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금속제의 반사판 8 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2를 참조하면, 본체틀 5 의 내부에는, 가열실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은, 도어 ( 도 1 의 도어 3 과 동일한 것 ) 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가열실 1 0 의 우측에 인접하도록, 마그네트론 1 2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의 하방에는, 마그네트론 1 2 와 본체틀 5 의 하부를 접속시키는 도파관 1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내에는, 저판 9 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실 1 0 에서는, 저판 9 상에 , 가열대상이 되는 식품이 재치된다. 또, 가열실 1 0 내에는, 식품을 재치하기 위한 가열쟁반 8 9 가 수납된다.
가열실 1 0 내의 벽면에는, 가열 쟁반 8 9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 5 1 ∼ 5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쟁반 8 9 가 레일 5 3 , 5 4 의 지지되는 상태를, '가열쟁반 8 9 가 상단에 세트되는' 상태로 부르며, 가열쟁반 8 9 가 레일 5 1 , 5 2 에 지지되는 상태를, '가열쟁반 8 9 가 하단에 세트되는' 상태로 부른다.
또, 가열실 1 0 의, 저판 9 보다도 하방의 영역인 안테나 수납부 1 0 X 에는, 방사안테나 1 5 , 및, 반사판 8 0 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틀 5 의 저면에는, 저판 5 A 가 설치되고, 해당 저판 5 A 에는, 구멍 5 B 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안테나 1 5 는, 구멍 5 B를 관통하도록,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에 존재하는 금속제 축 1 5 A를 구비하고 있다. 즉, 축 1 5 A를 구비하는 방사안테나 1 3 에 의해, 도파관 1 9 와 가열실 1 0 과는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되고 있다.
도파관 1 9 의 하면에는, 안테나모터 1 6 이 부착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지지부재 1 6 A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 1 5 A 는 안테나모터 1 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 1 5 A 가 회전함으로서 방사안테나 1 5 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마그네트론 1 2 가 발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1 9를 통하고, 방사안테나 1 5 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가열실 1 0 내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이 가열된다.
또, 본체틀 5 의 하면에는, 반사판 8 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8 1 이 설치되고, 반사판 8 0 은, 축 8 2 에 의해, 모터 8 1 과 접속되고 있다.
도 2 3 ( A ) 는, 반사판 8 0 의 정면도이고, 도 2 3 ( B ) 는, 반사판의 측면도이다. 반사판 8 0 은, 금속의 판체에 의해 구성된다.
도 2 4 에,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의 제어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1 0 0 은, 조작패널 6 ( 도 1 의 조작패널 6 과 동일한 것 ) 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해당 입력된 정보에 기초해서, 전자레인지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 1 0 0 은, 냉각 팬모터 1 0 3 , 고내등 1 0 4 , 마이크로파 발진회로 1 0 1 , 안테나모터 1 6 , 및, 모터 8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8 1 의 동작을 적정제어함으로서, 반사판 8 0을, 도 2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면을 방사안테나 1 5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와, 도 2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면을 방사안테나 1 5 로부터 빗겨서 도어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판 8 0 의 주면이 도 2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 안테나 1 5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는, 상단 세트된 가열쟁반 8 9 상의 식품 F 의 가열에 적합하도록, 가열실 1 0 에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반사판 8 0 의 주면이 도 2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안테나로부터 빗겨나간 상태가 됨으로서, 하단에 세트된 가열쟁반 8 9 상의 식품 F 의 가열에 적합하도록, 가열실 1 0 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전자레인지 1 에서는, 반사판 8 0을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해당 반사판 8 0 의 정지위치를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실 1 0 내의 식품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가열실 1 0 으로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각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 뿐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내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 각 실시형태는, 가능한 한, 단독에서 실시해도 좋고, 조합시켜서 실 시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식품 각각에 대해서, 적합한 가열조리를 행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식품을 수용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과 상기 가열실을 동축결합시키는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안테나의 외주에 설치된 제 2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 상태를 조정하는 안테나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한 제 1 의 상태와, 마이크로파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기 제 2 의 상태로 조정 가능한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상태는,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최단거리가 3 m m ∼ 5 m m 로 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의 상태는,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의 최단거리가 1 0 m m 이상으로 된 상태인 전자레인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1 의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전자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상기 제 1 의 안테나와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전자레인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 1 의 안테나 및 상기 제 2 의 안테나를 정지시키고 있는 전자레인지.
  6. 식품을 수용하고, 제 1 의 벽면과 해당 제 1 의 벽면과는 다른 제 2 의 벽면을 구비하는 가열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의 제 1 의 벽면에 형성된 제 1 의 개구와,
    상기 가열실의 제 2 의 벽면에 형성된 제 2 의 개구와,
    상기 마그네트론이 발진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제 1 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제 1 의 벽면에 관통하고, 상기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가열실을 동축결합시키는 제 1 의 안테나와,
    상기 제 1 의 도파관과 상기 제 2 의 벽면의 상기 제 2 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을 접속하는 제 2 의 도파관과,
    상기 제 2 의 도파관 내에 설치된 제 2 의 안테나와,
    상기 제 2 의 안테나 상태를, 상기 제 2 의 도파관에만 존재하는 제 1 의 상태와, 상기 제 1 의 도파관 내와 상기 제 2 의 도파관 내에 존재하여 이들을 동축결합시키는 제 2 의 상태로 조정 가능한 안테나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의 상태와 상기 제 2 의 상태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의 안테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벽면은 상기 가열실의 저면이고, 상기 제 2 의 벽면은 상기 가열실의 측면인 전자레인지.
KR1020040032140A 2003-05-16 2004-05-07 전자레인지 KR100627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9154 2003-05-16
JP2003139154A JP2004340513A (ja) 2003-05-16 2003-05-16 電子レ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27A KR20040099127A (ko) 2004-11-26
KR100627930B1 true KR100627930B1 (ko) 2006-09-25

Family

ID=3352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140A KR100627930B1 (ko) 2003-05-16 2004-05-07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40513A (ko)
KR (1) KR100627930B1 (ko)
CN (1) CN12770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075A (ja) * 2007-01-12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加熱装置
WO2011070721A1 (ja) 2009-12-09 2011-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及び高周波加熱方法
KR101932046B1 (ko) * 2012-07-23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
CN104470021B (zh) * 2013-09-18 2016-07-0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平板微波炉的天线和具有其的平板微波炉
CN114698177B (zh) * 2020-12-31 2024-05-1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92A (ja) * 1995-12-28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2002110339A (ja) * 2000-09-28 2002-04-12 Hitachi Hometec Ltd 高周波加熱装置
JP2002170660A (ja) * 2000-11-30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2003059639A (ja) * 2001-08-09 2003-02-28 Hitachi Hometec Ltd 高周波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92A (ja) * 1995-12-28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2002110339A (ja) * 2000-09-28 2002-04-12 Hitachi Hometec Ltd 高周波加熱装置
JP2002170660A (ja) * 2000-11-30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2003059639A (ja) * 2001-08-09 2003-02-28 Hitachi Hometec Ltd 高周波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40513A (ja) 2004-12-02
CN1550720A (zh) 2004-12-01
CN1277073C (zh) 2006-09-27
KR20040099127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0741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US10292212B2 (en) Double-cavity microwave oven
EP1372358A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on function
JP3970115B2 (ja) 電子レンジ
KR100627930B1 (ko) 전자레인지
JPH102562A (ja) 加熱調理器
EP0679045B1 (en) Control apparatus of microwave oven
JP3082597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3609718B2 (ja) 電子レンジ
JP2017003264A (ja) 加熱調理器
KR100315392B1 (ko) 전자렌지
JP2015203542A (ja) 加熱調理器
JPS6330892Y2 (ko)
WO2008084668A1 (en) Microwave oven
JPS63220016A (ja) 加熱調理装置
JP2012154539A (ja) 加熱調理器
JP2001357969A (ja) 電子レンジ
JPH06310270A (ja) 電子レンジ
JP5593710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JP4882427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H0719491A (ja) 電子レンジ
JPH0112085Y2 (ko)
JPH118054A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方法
JPH08153578A (ja) 電子レンジ
JPH03282124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