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798B1 -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798B1
KR100627798B1 KR1020040058151A KR20040058151A KR100627798B1 KR 100627798 B1 KR100627798 B1 KR 100627798B1 KR 1020040058151 A KR1020040058151 A KR 1020040058151A KR 20040058151 A KR20040058151 A KR 20040058151A KR 100627798 B1 KR100627798 B1 KR 10062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safety
containe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693A (ko
Inventor
공상식
Original Assignee
공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상식 filed Critical 공상식
Publication of KR2005001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용기 사용도중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내에 이상이 발생하여 가스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인 위험압력까지 상승하기 전에 안전조치를 행하여, 가스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용기의 가스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 , 위험압력 P1까지 상승하기 직전의 압력 P0에 도달하였을때, 사전안전조치로서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전작동부(11)를 먼저 작동시켜, 가스를 별도로 연설한 보조가스배출관(26)을 통하여 버너측으로 소정량 배출시켜 연소시킴으로써 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 저압상태가 계속 유지될 경우에는 원래의 연소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상기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에 의하여 가스렌지의 열효율을 증대시키며, 근본적으로 안전봉(13)의 자동이탈 작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보조가스배출관(26)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가스압력 P0보다 급상승한 경우에, 후속안전조치로서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전봉(13)에 의해 가스용기를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시켜 가스공급을 완전히 차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가스렌지, 안전장치, 안전봉, 폭발, 연소, 착탈식, 유로차단식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Safty System for Portable Gas Rang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도1은,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렌지의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도1에서의 레귤레이터의 안전봉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3(a) 및 도3(b)는,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4는,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종단면도.
도6은, 도5에서의 안전장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6(a)는 안전작동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6(b)는 안전봉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나탠 개략도.
도9는, 도8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안전작동부 13 : 안전봉
25 : 가스배출로 26 : 보조가스배출관
27 : 노즐(Nozzle) 50 : 버너(Burner)
51 : 착탈장치 52 : 레귤레이터(Regulator)
58 : 작용 링크(Link) 61 : 해제 레버(Lever)
62, 96 : 안전봉 71 : 챔버(Chamber)
73 : 가스차단수단 83 : 노즐공(Nozzle Opening)
88 : 니들밸브(Needle Valve) 90 : 가스배출수단
93 : 배출공 100 : 가스유로
100a : 통공 100b : 통로
101 : 하우징(Housing) 103 : 공기혼합관
104 : 주가스배출관
200 : 가이드 봉 201 : 가이드
203 : 안전오링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용기 사용도중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의 내압이 이상고압상태(異常高壓)로 급상승하기 전에 안전조치를 행하여, 가스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렌지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스점화 장치가 구비된 버너(50)와, 가스용기(55)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장치(51)와, 가스용기(55)를 연결하기 위한 가스주입구를 갖고, 상기 가스주입구를 통하여 버너(50)쪽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터(52)를 수납설치한 가스용기장착부(53), 및 이들 부품을 고정하는 케이스(54)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50)와 상기 레귤레이터(52)는 공기혼합관(도7의 '103')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가스렌지는, 경량화 및 휴대성의 편리함으로 인해 야외나 실내에서 음식물을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는 기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가스용기는 통상압력인, 2kg/㎠∼3kg/㎠(일본의 경우는 2kg/㎠) 의 가스압으로 충진된 부탄가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적인 열원(예를들면, 복사열)에 의해 폭발이나 화재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항시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의 내압이 이상고압상태로 급상승할 때, 위험압력인 5kg/㎠∼7kg/㎠ 의 압력범위내에서 가스공급을 조기에 자동차단토록 하여 소화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의무적으로 구비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대표적인 안전장치로서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압력으로 정의되는 위험압력, 5kg/㎠∼7kg/㎠ 범위(일본의 경우에는 4kg/㎠∼6kg/㎠ 의 압력범위)내로 상승하면, 그 상승된 압력에 의해 가스용기가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되도록 하여 가스공급을 중지시키는 착탈식 안전장치와, 마찬가지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위험압력인, 5kg/㎠∼7kg/㎠ 범위내로 상승하면, 그 상승된 압력에 의해 레귤레이터(Regulator)내에 형성된 가스유로가 자동차단되도록 하여 가스공급을 중지시키는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중, 상기 착탈식 안전장치는, 가스렌지의 가스용기장착부내에 설치된 착탈장치와 레귤레이터 하측의 하우징내에 수납설치된 안전봉의 연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착탈식 안전장치에 있어서, 착탈장치(51)는, 가스용기(55)를 상기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가스용기(55)가 안착되는 가스용기장착부(53)와, 버너(50) 사이의 격벽(56)에 힌지축(Hinge Axis, 57)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부(58a)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가스용기장착부(53)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에 가이드홈(Guide Groove, 58b)이 형성된 작용링크(Operating Link, 58)와, 상기 가이드홈(58b)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 안착대(59a)가 형성되어 슬라이드(Slide)방식으로 좌우이동되는 슬라이드링크(Slide Link, 5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작용링크(58)에는, 상기 격벽(56)을 지지점으로 하는 압축스프링 (6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용기장착부(53)에 가스용기(55)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58a)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압축스프링(60)이 인장되면서 가스용기(55)가 상기 슬라이드링크(59)에 의해 상기 작용링크(58)쪽으로 이동되어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작용링크(58)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링크(59)와 함께 안착대(59a)가 후퇴되면서, 가스용기(55)가 상기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작용링크(58)의 하단위치인 격벽(56)에는 해제레버(Releasing Lever, 61)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레귤레이터(52) 하측의 하우징(52a)내에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전봉(62)은, 상기 해제레버(61)와 연동하여 가스용기(55)의 내압이 이상고압상태로 상승하였을때 가스용기(55)를 자동이탈시키도록 작용한다.
즉, 가스용기(55)를 상기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가스용기(55)가 과열되어 가스압이 위험압력, 5kg/㎠∼7kg/㎠의 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안전봉(62)은 그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52a)의 하부로부터 자동 돌출되어 그 아래에 있는 해제레버(61)의 일단을 밀게 된다. 이때, 해제레버(61)의 타단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올라가면서 작용링크(58)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 결과, 슬라이드링크(59)는 압축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되면서 가스용기(55)가 상기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됨으로 써, 상기 버너(50)로의 가스 공급이 중단되어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착탈식 안전장치는, 가스용기가 과열된 상태에서 가스주입구를 통하여 레귤레이터내에 유입된 가스의 압력이 위험압력, 5kg/㎠∼7kg/㎠의 압력까지 도달할 경우에만 안전봉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용기가 폭발직전 까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는 미흡하고, 폭발이나 화재 등의 근본적인 사고 위험성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3은 종래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52)에는, 가스용기(55)가 착탈되는 가스주입구(70)와,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챔버(Chamber, 71) 및 버너쪽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레버(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주입구(70) 및 상기 챔버(71)에 형성된 가스유로상에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가스유로를 차단하는 가스차단수단(7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71)에는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조절수단(7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차단수단(73)은, 가스유로상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홀(Tapered Hole, 75)과, 상기 테이퍼홀(75)과 직선으로 연통되는 실린더홀(Cylinder Hole, 76) 및 상기 테이퍼홀(75)과 실린더홀(76)에 설치되어 가스의 압력에 의해 후퇴되는 차단밸브(Breaking Valve, 77)와, 상기 차단밸브(77) 후방을 탄지하는 판스프링(Leaf Spring, 7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판스프링(78)은 일단이 외부로 노출된 리턴밸브(Return Valve, 79)에 연접되고, 상기 리턴밸브(79)의 외측단 상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리턴밸브(79)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리턴레버(Return Lever, 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밸브(77)는, 테이퍼홀(75) 전방에 위치되는 차단부(81)와 실린더홀(76)에 위치되는 작동부(82)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81) 외주면에는 후퇴시 테이퍼홀(75)을 밀폐시켜주는 O링(O-Ring)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부(82)의 외주면에는 가스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O링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작동부(82) 전방의 실린더홀(76) 일측면에는 챔버(71)로 통하는 노즐공(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절수단(74)은, 챔버(71) 상부에 밀폐되도록 설치된 고무판(83)과, 상기 고무판(84)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5)과, 상기 고무판(84)과 연결된 니들홀더(Needle Holder, 86)와, 중앙부가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은 니들홀더(86)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노즐공(83)을 개폐하는 스톱퍼(Stopper, 87)가 구비된 니들밸브(Needle Valve, 88)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89'는, 가스용기장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표시한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가스렌지를 점화하게 되면, 챔버(71)에 채워진 가스가 버너쪽으로 공급되어 챔버(71)의 가스압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부의 고무판(84)이 스프링(85)에 의해 눌려지면서 레귤레이터(52)에 힌지결합된 니들밸브(88)를 노즐공(8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가스용기의 가스가 챔버(71)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챔버(71)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고무판(84)이 스프링(85)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부로 들려지면서 니들밸브(88)를 회동시켜 노즐공(83)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가스용기(55)가 과열되어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가스유로에 설치된 차단밸브(77)가 가스압에 의해 판스프링(78)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되면서 테이퍼홀(75)을 막게 되므로, 가스공급이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그러나, 상기 도3에 도시한 종래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는, 가스유로를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하여는 관련부품들을 정밀하게 가공할 필요가 있고, 만일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관련부품들을 정밀하게 가공하더라도, 차단된 가스유로에는 가스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되므로, 가스용기가 과열될 경우 가스용기가 폭발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08025호에는, 가스용기가 과열되어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 증가되면 가스용기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가스용기가 폭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4는 그러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배출수단(90)은, 실린더홀(91)과, 실린더홀(91)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유로와 연통되는 통공(92)과, 통공(92)쪽으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통공(92) 원주벽면에 형성된 배출공(93)을 갖는 하우징 (94)과, 상기 통공(92)에 밀착되도록 스프링(95)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안전봉(9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94)의 일단부에는 원판형 캡(97)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배출공(93)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노즐(98)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스가 챔버(71)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채워지면,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조절수단(74)의 니들밸브(88)가 노즐공(83)을 차단하여 챔버(71)로 공급되는 가스를 일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차단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용기가 과열되어 공급되는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가스차단수단(73)의 작용에 의해 가스공급이 이차적으로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스렌지 주변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가스렌지 및 가스용기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 예를 들면 13~15kg/㎠ 이상으로 증가되더라도, 상기 가스배출수단(90)의 안전봉(96)이, 스프링(95)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하면서 통공(92)을 개방하여, 용기내의 가스가 노즐(9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용기가 지속적으로 과열되더라도 폭발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통공(92)이 상기 스프링(95)에 의하여 작동되는 안전봉(96)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봉(96)이 설치되는 하우징(94)을 테이퍼홀(75)로부터 연장하여 레귤레이터(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의 부피가 커지는 등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휴 대용 가스렌지의 내부구조를 크게 변경하여야 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배출공(93)이 레귤레이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즐(98)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가스가 상기 배출공(9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스렌지 근처에 인화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차적인 화재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도3과 관련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가스유로를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하여는 관련부품들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가스용기의 내압이 5kg/㎠∼7kg/㎠의 압력으로 상승하기 전에 사전안전조치로서 가스용기 내부의 가스를 버너측으로 소정량 배출시켜 연소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과열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이차적인 화재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상기 가스의 연소에 의해 가스렌지의 열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며, (2)사전안전조치 이후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버너측으로 배출되는 압력보다 급상승한 경우에, 후속안전조치로서 가스용기를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여,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3)전체적으로 가스렌지의 내부구조를 크게 변경함이 없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점화 장치가 구비된 버너와; 가스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가스주입구와, 가스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버너쪽으로 배출시키는 주가스배출관을 갖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버너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주가스배출관 사이에 연설된 공기혼합관과; 상기 레귤레이터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귤레이터내의 가스유로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통공과 연통되는 내부통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통로에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가스용기의 내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압력 P1으로 상승시 그 압력 P1에 의해 상기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에 의해 회동되어 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해제레버를 갖는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공과 상기 안전봉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 S1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가스용기의 충전압력보다 높고 상기 압력 P1보다 작은 압력 P0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작동부와;
상기 안전작동부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스유로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안전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가스배출로와;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버너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가스배출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혼합관에 설치된 상 기 주가스배출관과 평행하게 상기 공기혼합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혼합관에 연결되는 타단부에 가스분출용 노즐을 갖는 보조가스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는, 상기 통공보다 폭넓은 제1 내부통로와, 상기 제1 내부통로보다 폭넓은 제2 내부통로로 분할되어, 상기 안전작동부는 제1 내부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봉은 제2 내부통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동부는,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제1 밀착부와, 상기 제1 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통로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내부통로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 S0을 끼우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제2 밀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의 각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 및 제2 요홈에 기밀유지를 위해 제1 및 제2 O링이 각각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의 입구는, 상기 제1 밀착부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 O링과 상기 제2 밀착부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2 O링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의 입구 상측에는, 상기 통공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1 내부통로보다 폭이 좁은 환형홈을 갖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밀착부의 상단부가 상기 제1 걸림턱에 의해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전작동부의 제2 밀착부의 하부에 지지된 탄성스프링 S0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내부통로와 상기 제2 내부통로의 경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에 의해 걸려지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는,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가스압력 P0에 도달된 경우, 상기 가스압력 P0에 의해 안전작동부가 하강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력 P0은, 통상압력인 2kg/㎠∼3kg/㎠(일본에서는 2kg/㎠)에서 최고압력인 3kg/㎠ 이상내지, 위험압력인 5kg/㎠∼7kg/㎠(일본에서는 4kg/㎠∼6kg/㎠)에서 최저압력인 5k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P1은 위험압력인 5kg/㎠∼7kg/㎠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점화 장치가 구비된 버너와; 가스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가스주입구와, 가스주입구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버너쪽으로 배출시키는 주가스배출관을 갖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버너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주가스배출관 사이에 연설된 공기혼합관과; 상기 레귤레이터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귤레이터내의 가스유로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통공과 연통되는 내부통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통로에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가스용기의 내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 P1으로 상승시 그 가스압력 P1에 의해 상기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에 의해 회동되어 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해제레버를 갖는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a)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가스용기의 충전압력보다 높고 상기 폭발임계압력이전의 가스압력 P1보다 작은 가스압력 P0에 도달될 때, 상기 통공과 상기 안전봉의 상부 사이에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전작동부가 상기 가스압력 P0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통공이 상기 내부통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단계와;
b)상기 안전작동부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작동부에 의해 밀폐된 가스배출로가, 상기 안전작동부의 하강에 따라 개방되는 단계와;
c)상기 가스유로와 상기 통공을 거쳐 상기 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가스압력 P0를 갖는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가스배출로와 상기 공기혼합관에 연설된 보조가스배출관에 의해 버너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됨으로써 가스용기의 내압이 저압상태로 유지되는 단계와;
d)상기 c)단계 이후, 계속되는 복사열에 의해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보조가스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압력 P0보다 큰 가스압력 P1까지 급상승한 경우, 상기 가스압력 P1에 의해 상기 안전작동부가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작동부의 하방에 탄성스프링 S1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기 안전봉이 하강되어, 그 끝단이 상기 하우징 하부의 홀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해제레버를 작동시켜 가스주입구로부터 가스용기를 자동이탈시킴으로써 가스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연소에 의해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저압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하강된 안전작동부가, 압축된 탄성스프링 S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가스배출로가 밀폐되고,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가 상기 주가스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버너측으로 공급되는 정상적인 연소상태로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폭발임계압력이전의 가스압력 P1으로 상승하기 전 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력 P0은, 통상압력범위의 최고압력인 3kg/㎠ 이상과, 위험압력범위의 최저압력인 5kg/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레귤레이터(52)내의 가스유로(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통상압력의 최고압력이상 내지 위험압력의 최저압력미만인 P0에서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스배출을 위하여 마련된 가스배출로(25)와, 상기 가스배출로(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가 버너(50)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가스배출로(2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혼합관(103)에 설치된 주가스배출관(104)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가스분출용 노즐(27)을 갖는 보조가스배출관(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는,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점화 장치가 구비된 버너(50)와, 가스용기(55)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장치(51)와, 조절레버(72)와 연동되어 가스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52)를 구비한 가스용기장착부(53)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52)의 구조는 공기혼합관(103, 도7 참조)을 통하여 상기 버너(50)에 연결된 종래의 휴대용 가스렌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6은 도5에서의 안전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는, 상기 조절레버(72)와 수평상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레귤레이터(52)내에 형성된 가스유로(100)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통공(100a)과 연통되고, 상기 통공(100a)의 폭보다 넓은 제1 내부통로(100b)와 제2 내부통로(100c)를 갖는 하우징(101)과; 상기 제1 내부통로(100b) 상부에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1차 안전장치인 안전작동부(11)와; 상기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상기 안전작동부(11)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내부통로(100c)내에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2차 안전장치인 안전봉(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하부면에는, 원판형 캡(102)이 나사결합되어 있되, 상기 캡(102)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안전봉(13)이 소정의 가스압에 의해 상기 캡(102) 외부로 돌출되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작동부(11)는, 상기 통공(100a)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100a)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제1 밀착부(11a)와, 상기 제1 밀착부(11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 S0이 끼워지도록 수직돌기부(11c)를 갖는 제2 밀착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밀착부(11a)와 상기 제2 밀착부(11b)의 각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 요홈(14, 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요홈(14, 15)에는 각각 기밀유지 를 위해 제1 및 제2 O링(16, 17)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와 연통되는 가스배출로(25)의 입구 상측에는, 상기 통공(100a)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1 내부통로(100b)보다 폭이 좁은 환형홈(18)을 갖는 제1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제1 밀착부(11a)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 O링(16)이 상기 환형홈(18)내에 수납되며,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제2 밀착부(11b)의 상단부는 상기 제1 걸림턱(19)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O링(16)을 상기 환형홈(18)내에 수납한 이유는, 상기 안전작동부(11)가 소정의 가스압에 의해 하강된 후 상기 탄성스프링 S0에 의한 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때, 제2 밀착부(11b)의 상단부가 상기 걸림턱(19)에 걸리면서 제1 밀착부(11a)에 끼워진 제1 O링(16)에 일정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1 O링(16)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안전봉(13)은, 상기 제1 내부통로(100b) 보다 폭이 넓은 제2 내부통로(100c)에 밀착되고 상단부에 홈(13c)이 형성된 헤드부(13a)와, 상기 헤드부(13a)의 하방에 수직으로 돌출된 축(13b)으로 구성된다.상기 홈(13c)에는 상기 안전작동부(11)의 하방에 설치된 상기 탄성스프링 S0의 끝단이 안착된다. 상기 헤드부(13a)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전작동부(11)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 요홈(20, 21)에 기밀방지용의 제3 및 제4 O링(22, 23)이 끼워진다.
특히, 상기 안전봉(13)은, 상기 탄성스프링 S0보다 탄성력이 큰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봉(13)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제2 밀착부(11b)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와 상기 제2 내부통로(100c)의 경계면에 제2 걸림턱(2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전봉(13)의 상단부는 상기 제2 걸림턱(24)에 의해 걸려져 상기 안전작동부(11)의 하단면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 S0은, 상기 가스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 P1인 5kg/㎠∼7kg/㎠(일본의 경우는 4kg/㎠∼6kg/㎠) 까지 상승하기 직전의 가스압력 P0, 즉, 3kg/㎠ 보다 크고 5kg/㎠ 미만의 압력(일본의 경우는 2kg/㎠ 보다 크고 4kg/㎠ 미만의 압력)에 도달되었을 때 그 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 S1보다 약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유로(100)로부터 유입된 가스의 압력이 상기 탄성스프링 S0의 탄성력보다 클때, 1차 안전장치인 상기 안전작동부(11)가 가스용기의 충전압력(2kg/㎠∼3kg/㎠)보다 높고 상기 가스압력 P1보다 작은 상기 가스압력 P0에 의해 하강되며, 2차 안전장치인 상기 안전봉(13)은, 상기 가스압력 P0보다 높고 상기 제1 및 탄성스프링 S1(10, 12)의 탄발력보다 큰 가스압력 P1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안전봉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작동부(11), 특히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제2 밀착부(11b)와 접촉되는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벽에는, 상기 가스유로(100)를 거쳐 상기 통로(100a) 및 상기 제1 내부통로(100b)로 유입된 가스가 버너측으로 배출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가스배출로(25)가 수평으 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가스배출로(25)는, 상기 제1 밀착부(11a)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 O링(16)과 상기 제1 밀착부(11b)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2 O링(17)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배출로(25)는, 가스렌지의 안전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정상적인 연소상태일 때, 즉 상기 탄성스프링 S0의 탄성력이 가스유로(100)내의 가스압보다 클 때, 상기 안전작동부(11)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가스압이 상기 탄성스프링 S0의 탄성력보다 클때, 그 가스압에 의해 안전작동부(11)가 탄성스프링 S0의 압축정도 만큼 하강되면서 개방된다.
상기 가스배출로(25)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혼합관(103)과 연통되도록 보조가스배출관(2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가스배출관(26)은 통상의 동파이프로서, 레귤레이터(52)의 하부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되고, 공기혼합관(103)의 중앙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연소상태를 행하도록 버너측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주가스배출관(104)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가스배출관(26)의 선단에는 가스분출을 위한 노즐(27)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즐(27)은, 구경이 너무 클 경우,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고압가스가 보조가스배출관(26)을 통하여 버너(50)측으로 공급되어 화재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가능한 한 그 구경을 작게 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면, 상기 노즐(27)의 구경은, 0.1∼0.4mm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5∼0.35mm 범위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작동부는, 외부의 열원에 의해 가스용기가 뜨거워지면서 그 내압이 위험압력으로 상승하기 직전에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대기온도가 낮은 추운지방이나, 겨울철에 가스렌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낮은 주위온도로 인하여 가스용기가 뜨거워지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기 안전작동부(11)가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배출로(25)는 상기 안전작동부(11)에 의해 밀폐되므로, 가스용기로부터 레귤레이터내의 가스유로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주가스배출관(104)를 통하여 버너측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25)와 상기 공기혼합관(103) 사이에 연설된 상기 보조가스배출관 (26)은, 상기 안전작동부의 작동시에만 레귤레이터내의 가스를 버너측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도록 하는 역활을 하게 되고, 이 때에는 상기 주가스배출관(104)과 마찬가지로 화력을 조절하는 기능도 수반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8'은, 기밀유지를 위해 상기 가스배출로(25)내에 설치된 보조가스배출관(25)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O링을 표시한 것이며, '99'는 상기 가스유로(100)의 단부를 밀폐하기 위해 체결된 볼트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의 작동관계를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스용기(55)를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70)에 장착하게 되면, 가스용기(55)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주입구(70)를 통해 가스유로(100)로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가스는, 가스유로(100)의 상측에 형성된 노즐공(83)을 개폐시키는 니들밸브(88)를 밀어 올리면서 챔버(71)로 공급된다.
이렇게 챔버(71)로 공급된 가스는, 조절밸브(72)를 통해 하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통해 버너(50)로 공급되면서 점화된다. 이때 버너(50) 위에 놓여진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그 밑바닥으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전달되는데, 그 복사열이 큰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게 될 경우, 레귤레이터(52)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서, 챔버(71)측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공급되어 챔버(71)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니들밸브(88)가 작동되어 노즐공(83)의 개폐를 반복하면서 레귤레이터(52)에서 배출되는 가스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레귤레이터(52)에서 배출되는 일정압력보다 가스용기의 팽창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급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가스용기의 내압이 급상승하면서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압력 P1, 위험압력(5kg/㎠∼7kg/㎠의 압력)까지 상승하기 직전의 압력 P0(3kg/㎠ 이상 5kg/㎠ 미만의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작동부(11)가, 그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 S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된다.
이 때, 상기 안전작동부(11)에 의해 밀폐되었던 가스배출로(25)가 개방되면서, 가스유로(100)에 채워진 가스가 가스배출로(25)에 연결된 보조가스배출관 (26)을 경유하여 공기혼합관(103)으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가스는 버너(50)측으로 공 급되면서 연소된다.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로(25)를 통해 어느정도 배출된 후, 가스용기(55)의 내압이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즉, 저압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하강된 안전작동부(11)는 압축된 탄성스프링 S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지면서 가스배출로(24)가 밀폐되고, 이에 따라 가스는 상기 주가스배출관(104)을 통해서만 상기 버너측으로 공급되는 정상적인 연소상태로 복귀된다.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5kg/㎠∼7kg/㎠의 압력 P1으로 상승하기 전 까지는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에서, 계속되는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55)가 과열되어 그 내압이 급상승하면서 상기 압력 P1까지 도달하게 되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 S0 및 S1이 그 탄성력을 이기지 못하게 됨으로써 상기 안전작동부(11)의 하강에 의해 안전봉(13)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되는 안전봉(13)의 하단부가 하우징(101)의 하부 캡(102)의 홀을 통하여 밖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해, 돌출된 안전봉(13)의 하단부가 해제레버(61, 도2 참조)를 눌러줌으로써 가스용기(55)가 레귤레이터(52)의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되어 가스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나탠 개략도로서, 안전작동부(11)의 하단부에 가이드 봉(200)을 연장하도록 구성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안전봉(13)의 상단부에 가이드(20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안전작동부(11)가 스프링에 의하 여 상하로 작동할때에 더욱 원할하게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이루어 진것이다.
또한, 노즐이 형성된 보조가스배출관(26)이 안전오링(203)의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예상하지 못한 과도한 가스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가스배출관(26)으로 갑자기 과도한 가스량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9는, 도8의 확대도로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전오링(203)은 하우징(101)의 벽면에 완전히 밀착 접촉되지 않도록 이루어 놓은것이다. 이는 상기 안전오링(203)의 외경과 하우징(101)의 측벽사이에 가스누설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과도한 가스압력에 의하여 갑자기 많은 가스량이 상기 보조가스배출관(26)으로 배출되기 전에 가스누설을 위한 공간으로 인한 가스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배출가스량을 감소하도록 하여, 갑자기 외부로 많은 가스량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용기 사용도중 복사열 등에 의해 가스용기내에 이상이 발생하여 5kg/㎠∼7kg/㎠내의 압력까지 상승하기 직전인 압력(3kg/㎠ 초과 5kg/㎠ 미만의 압력)에 도달하였을때, 1차 안전장치인 안전작동부를 먼저 작동시켜 가스를 보조가스배출관을 통하여 버너측으로 소정량 배출시켜 연소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과열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스의 연소에 의해 가스렌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근본적으로 2차 안전장치인 안전봉의 작동을 사전에 방지하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버너측으로 배출되는 압력보다 급상승한 경우에, 후속안전조치로서 상기 안전봉을 작동시켜 가스용기를 가스주입구로부터 자동이탈시킴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레귤레이터(52)내의 가스유로(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통상압력의 최고압력이상 내지 위험압력의 최저압력미만인 P0에서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스배출을 위하여 마련된 가스배출로(25)와, 상기 가스배출로(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가 버너(50)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가스배출로(2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혼합관(103)에 설치된 주가스배출관(104)과 평행하게 연결되어 가스분출용 노즐(27)을 갖는 보조가스배출관(26)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레귤레이터(52)내의 가스유로(100)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통공(100a)과 연통되는 내부통로(100b, 100c)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통로(100, 100c)에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가스용기의 내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인 위험압력범위, P1으로 상승시 상기 가스압력 P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안전봉(13)과; 상기 통공(100a)과 상기 안전봉(13)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 S1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가스용기(55)의 충전압력보다 높고 상기 가스압력 P1보다 작은 가스압력 P0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작동부(11);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100b, 100c)는, 상기 통공(100a)보다 폭넓은 제1 내부통로(100b)와, 상기 제1 내부통로(100b)보다 폭넓은 제2 내부통로(100c)로 분할되어, 상기 안전작동부(11)는 제1 내부통로(100b)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봉(13)은 제2 내부통로(100c)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동부(11)는, 상기 통공(100a)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100a)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제1 밀착부(11a)와, 상기 제1 밀착부(11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하부에 상기 탄성스프링 S0을 끼우기 위한 돌기부(11c)가 형성된 제2 밀착부(11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11a)와 제2 밀착부(11b)의 각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 요홈(14, 1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 및 제2 요홈(14, 15)에 기밀유지를 위해 제1 및 제2 O링(O-Ring, 16, 17)이 각각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25)의 입구는, 상기 제1 밀착부(11a)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 O링(16)과 상기 제2 밀착부(11b)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2 O링(17)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101)의 측벽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25)의 입구 상측에는, 상기 통공(100a)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1 내부통로(100b)보다 폭이 좁은 환형홈(18)을 갖는 제1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밀착부(11b)의 상단부가 상기 제1 걸림턱(19)에 의해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전작동부(11)의 제2 밀착부(11b)의 하부에 지지된 탄성스프링 S0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홈(1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13)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내부통로(100b)와 상기 제2 내부통로(100c)의 경계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24)에 의해 걸려지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로(25)는, 상기 가스용기(55)의 내압이 가스압력 P0에 도달된 경우, 상기 가스압력 P0에 의해 안전작동부(11)가 하강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동부(11)의 하단부에 가이드 봉(200)을 연장하도록 구성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안전봉(13)의 상단부에 가이드(201)을 형성하며, 노즐이 형성된 보조가스배출관(26)이 안전오링(203)의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오링(203)은 하우징(101)의 벽면에 완전히 밀착 접촉되지 않고, 상기 안전오링(203)의 외경과 하우징(101)의 측벽사이에 가스누설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12. 가스점화 장치가 구비된 버너(50)와; 가스용기(55)를 연결하기 위한 가스주입구(70)와, 가스주입구(7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버너(50)쪽으로 배출시키는 주가스배출관(104)을 갖는 레귤레이터(52)와; 상기 버너(50)와 상기 레귤레이터(52)의 주가스배출관(104) 사이에 연설된 공기혼합관(103)과; 상기 레귤레이터(52)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귤레이터(52)내의 가스유로(100)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통공(100a)과 연통되는 내부통로(100b, 100c)를 갖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통로(100, 100c)에 탄성스프링 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가스용기의 내압이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가스압력인 위험압력, P1으로 상승시 상기 가스압력 P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1)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안전봉(13)과; 상기 안전봉(13)에 의해 회동되어 가스용기(55)를 이탈시키도록 해제레버(61)를 갖는 착탈장치(51)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a)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가스용기의 충전압력보다 높고 상기 폭발임계압력이전의 가스압력 P1보다 작은 가스압력범위인 통상압력의 최고압력이상 내지 위험압력의 최저압력 미만의 가스압력범위, P0에 도달될 때, 상기 통공과 상기 안전봉의 상부 사이에 탄성스프링 S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전작동부가 상기 가스압력 P0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통공이 상기 내부통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단계와;
    b)상기 안전작동부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작동부에 의해 밀폐된 가스배출로가, 상기 안전작동부의 하강에 따라 개방되는 단계와;
    c)상기 가스유로와 상기 통공을 거쳐 상기 내부통로로 유입된 상기 가스압력 P0를 갖는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가스배출로와 상기 공기혼합관에 연설된 보조가스배출관에 의해 버너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됨으로써 가스용기의 내압이 저압상태로 유지되는 단계와;
    d)상기 c)단계 이후, 계속되는 복사열에 의해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보조가스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압력 P0보다 큰 가스압력 P1까지 급상승한 경우, 상기 가스압력 P1에 의해 상기 안전작동부가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작동부의 하방에 탄성스프링 S1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기 안전봉이 하강되어, 그 끝단이 상기 하우징 하부의 홀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해제레버를 작동시켜 가스주입구로부터 가스용기를 자동이탈시킴으로써 가스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연소에 의해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저압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하강된 안전작동부가, 압축된 탄성스프링 S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가스배출로가 밀폐되고,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가 상기 주가스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버너측으로 공급되는 정상적인 연소상태로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기 폭발임계압력이전의 가스압력 P1으로 상승하기 전 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15. 삭제
KR1020040058151A 2003-07-25 2004-07-26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KR100627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263 2003-07-25
KR1020030051263 2003-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693A KR20050012693A (ko) 2005-02-02
KR100627798B1 true KR100627798B1 (ko) 2006-09-25

Family

ID=3273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151A KR100627798B1 (ko) 2003-07-25 2004-07-26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74886B2 (ko)
JP (1) JP3787704B2 (ko)
KR (1) KR100627798B1 (ko)
CN (1) CN1303362C (ko)
AU (1) AU2004202505A1 (ko)
CA (1) CA2473443C (ko)
DE (1) DE102004033150A1 (ko)
GB (1) GB2404434A (ko)
TW (1) TWI25478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17A (ko) 2014-07-16 2016-01-26 전철복 가스용기
KR102343284B1 (ko) * 2020-10-08 2021-12-23 박재봉 배관 구조물의 이상압력 릴리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75B1 (ko) * 2005-02-28 2007-05-04 주식회사 승일 가스렌지의 용기 과압 안전장치
KR200448440Y1 (ko) 2008-04-01 2010-04-09 표근호 휴대용 버너의 가스 레귤레이터 장치
KR101243778B1 (ko) * 2011-05-23 2013-03-14 공상식 이물질에 의한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조정기
CN102278488A (zh) * 2011-05-25 2011-12-14 脉鲜金属(大连)有限公司 一种便携式燃气灶阀体
GB2518874B (en) * 2013-10-03 2016-06-29 Focal Point Fires Plc A control arrangement for a gas fire assembly
KR101381368B1 (ko) * 2013-12-12 2014-04-04 유상근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KR101542842B1 (ko) 2015-02-05 2015-08-07 주식회사 다복코리아 압력조절실 내부에 폭발방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조정기
US10174950B2 (en) * 2015-06-04 2019-01-08 Johnson Outdoors Inc. Portable stove with accessory port
CN204878909U (zh) * 2015-07-15 2015-12-16 脉鲜金属(大连)有限公司 安全保护装置调节器
USD843156S1 (en) 2017-04-04 2019-03-19 Johnson Outdoors Inc. Portable stove
KR101916027B1 (ko) * 2017-06-20 2018-11-07 주식회사 서이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이탈식 안전장치 밸브
CN108758719A (zh) * 2018-06-15 2018-11-06 中山亿铖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带关阀自动退罐安全装置的卡式炉
KR102475312B1 (ko) * 2021-05-25 2022-12-08 주식회사 부원가스텍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개선된 예비적 동작구조를 갖는 점화레버 회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663B1 (ko) * 1990-08-16 1993-1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연소기의 안전장치
CN2170460Y (zh) * 1993-05-10 1994-06-29 赵沛利 燃气灶安全阀
JP2954528B2 (ja) * 1996-04-23 1999-09-27 株式会社旭テクノス 圧力感知安全装置
CN2429761Y (zh) * 2000-03-02 2001-05-09 关隆股份有限公司 瓦斯炉具的阀门开关
US6202640B1 (en) * 2000-03-22 2001-03-20 James B. Naperola Grill lighting apparatus
KR100392794B1 (ko) 2000-11-03 2003-07-28 공상식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17A (ko) 2014-07-16 2016-01-26 전철복 가스용기
KR102343284B1 (ko) * 2020-10-08 2021-12-23 박재봉 배관 구조물의 이상압력 릴리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28804A1 (en) 2005-02-10
GB0412870D0 (en) 2004-07-14
JP3787704B2 (ja) 2006-06-21
JP2005043037A (ja) 2005-02-17
CN1303362C (zh) 2007-03-07
DE102004033150A1 (de) 2005-02-10
AU2004202505A1 (en) 2005-02-10
GB2404434A (en) 2005-02-02
TWI254782B (en) 2006-05-11
CA2473443C (en) 2009-04-14
CN1576703A (zh) 2005-02-09
US7174886B2 (en) 2007-02-13
KR20050012693A (ko) 2005-02-02
CA2473443A1 (en) 2005-01-25
TW200504316A (en)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98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KR101381368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KR101561825B1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KR2003362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0392794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1796963B1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JP3739359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爆発防止装置
KR100431590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0585213B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200373491Y1 (ko) 휴대용 안전 가스렌지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200391578Y1 (ko) 가스 버너용 가스 차단장치
KR100642290B1 (ko) 점화트리거가 내장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TW593928B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100609021B1 (ko) 스위치 접촉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52166Y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55937Y1 (ko) 스위치 접촉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KR200352167Y1 (ko) 가스렌지의 저압 및 고압 일체형 안전장치
KR200353655Y1 (ko) 점화트리거가 내장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KR2003008815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8151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814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101728394B1 (ko)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KR200352164Y1 (ko) 가스렌지의 저압 및 고압 분리형 안전장치
KR101017293B1 (ko) 가스렌지용 화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