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94B1 -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 Google Patents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94B1
KR101728394B1 KR1020150149226A KR20150149226A KR101728394B1 KR 101728394 B1 KR101728394 B1 KR 101728394B1 KR 1020150149226 A KR1020150149226 A KR 1020150149226A KR 20150149226 A KR20150149226 A KR 20150149226A KR 101728394 B1 KR101728394 B1 KR 10172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flow path
butane
valv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도
김영구
최슬기
최정득
박종곤
이종국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5014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압 시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용기가 이탈되지 않더라도 부탄가스용기의 폭발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가스압력 조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입구 및 유로 내의 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500kPa)을 초과하면 1차적으로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밸브 스템과, 주입구 내의 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2차적으로 가스를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제2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GOVERNOR FOR PORTABLE GAS RANGE}
본 발명은 부탄가스용기의 과압을 방지하는 용기 이탈식 안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대 불판의 사용 등으로 인한 복사열이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온도 상승과 압력 상승을 일으켜 조정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상승할 경우 1차로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작동하여 화구(점화구)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이때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부탄가스용기가 이탈되지 않고 계속해서 가스공급이 이루어지면 2차로 화구(점화구)로의 가스공급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부탄가스용기의 폭발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가스압력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부탄연소기는 금속캔 형태의 일회용 소형 봄베(이하 '부탄가스용기'라 총칭한다)에 충전된 액화부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버너로, 휴대가 간편하고 화력조절 등의 조작이 용이하여 찌개나 불판 구이 등과 같은 음식문화가 보편화된 국내에서 캠핑이나 낚시 등 야외활동 시에 취사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부탄연소기는 부탄가스용기를 체결하는 상태 및 방식에 따라 이른바 카세트식과 직결식 및 분리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세트식은 부탄가스용기를 별도로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어 연소부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조정기(governor)를 거쳐서 낮은 압력상태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직결식은 연소부에 부탄가스용기를 직접 연결하여 고압상태로 사용하는 방식이며, 분리식은 연소부에 부탄가스용기를 호스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중에서 카세트식 이동식부탄연소기의 조정기에는 부탄가스용기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500kPa) 이상일 경우 작동을 강제로 중지시키기 위한 안전장치가 적용되어 있다. 즉, 과대 불판의 사용 등으로 인한 복사열이 부탄가스용기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내부의 온도 상승과 압력 상승을 일으켜 조정기로 부탄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부탄가스용기를 이동식부탄연소기에서 강제로 이탈시키는 용기 이탈식 안전장치 또는 이동식부탄연소기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로를 차단하는 유로 차단식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용기 이탈식 안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부탄연소기는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이를 이동식부탄연소기에서 강제 이탈시킴으로써 조정기 내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과압을 방지하지만, 부탄가스용기에는 가스가 남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폭발사고의 근원인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상승은 막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탄가스용기의 내부 압력이 1차적으로 기준압력(500kPa)보다 높아지면 용기를 이탈시키기 위한 제1밸브 및 레버가 작동해서 조정기 내로 가스 공급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기준압력(1300kPa)보다 높아지면 제2밸브가 작동해서 부탄가스용기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부탄가스용기의 압력을 낮추는 원리의 이중 안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500kPa) 이상일 때 부탄가스용기의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밸브의 물리적 힘과 에너지에 따른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스프링을 채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코일스프링의 탄성 저하가 일어나는 데다 부탄가스용기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는 레버가 녹이 슬어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이로 인해 종종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500kPa) 이상일 때에는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므로, 이 상태에서 강제로 부탄연소기를 재점화할 경우 화재 및 가스 폭발은 물론 자칫 부탄가스 흡입으로 인한 흡입 화상(inhalation)이나 호흡 곤란(respiratory difficulty), 환각 장애 등의 가스중독 사고의 위험성도 큰 문제점이 있다.
KR 10-1381368 B1(2014.03.28) KR 10-0392794 B1(2003.07.14) KR 10-0431590 B1(2004.05.04) KR 10-0642843 B1(2006.10.3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의 과압방지장치가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과대 불판의 사용 등으로 인한 복사열이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온도 상승과 압력 상승을 일으켜 조정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상승할 경우, 1차로 이동식부탄연소기에서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켜 화구(점화구)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이동식부탄연소기에서 부탄가스용기가 이탈되지 않을 경우, 2차로 부탄가스용기에서 화구(점화구)로의 가스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부탄가스용기의 폭발 및 가스중독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의 과압방지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기 위한 작동이 고장이나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2차로 가스공급을 직접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부탄가스용기를 연결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 부탄가스용기의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직교하면서 통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상기 어댑터와 상기 유로 사이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상측에 상기 유로와 통하는 쳄버가 형성되고, 상기 쳄버에 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조정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압력조정수단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 일정량의 가스를 화구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하측에 상기 유로와 압력유로를 통해 통하는 포트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포트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1스프링의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면 하강하여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밸브 스템; 상기 포트에 내장되어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쳄버로 흐르도록 상기 제1밸브 스템이 상기 압력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탄성에 의해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 상기 주입구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2스프링의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 시트와 밀착되도록 작동하여 상기 유로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제2밸브 스템; 및 상기 주입구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쳄버로 흐르도록 상기 제2밸브 스템이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탄성에 의해 유지시키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를 제시한다.
이로써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이를 이동식부탄연소기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밸브 또는 레버가 고장이나 오작동을 일으키더라도 2차로 가스공급을 직접 차단하여 부탄가스용기의 과압 및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쳄버에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화구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회전에 따라 조절하는 스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1차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1밸브 스템이 그 가스압력에 의해 하강 작동하여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는 별도의 레버를 작동시켜 부탄가스용기가 이탈됨으로써 화구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이때 고장이나 오작동 등으로 인해 부탄가스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2차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밸브 스템이 작동하여 부탄가스용기의 가스가 쳄버와 배출구를 통해 화구로 공급되는 것을 직접 차단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부탄가스용기가 이탈되지 않는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부탄가스용기의 과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부탄가스용기가 폭발하는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의 과압방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는 크게 어댑터(10), 케이싱(20), 제1밸브 스템(30) 및 제2밸브 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댑터(10)는 부탄가스용기 내에 충전된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케이싱(20)의 주입구(21)에 부탄가스용기의 노즐을 연결 장착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여기서, 케이싱(20)의 어댑터(10) 상측에는 부탄가스용기의 장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캔 가이드(60)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20)의 내에는 부탄가스용기의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입구(21)와 직교하면서 통하여 주입구(21)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가 흐르는 유로(22)가 형성되어 있고, 주입구 내의 어댑터(10)와 유로(22) 사이에는 제1밸브 스템(30)의 밀착 시 가스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시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22)의 상측에는 유로(22)와 통하는 쳄버(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쳄버(24)에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조정수단(25)이 내장되어 있고, 그 하부로는 압력조정수단(25)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 일정량의 가스를 화구로 공급하는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조정수단(25)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종래와 동일·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유로(22)의 하측에는 제1밸브 스템(30)이 내장되는 포트(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로(22)와 포트(28)는 압력유로(27)를 통해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유로(27)는 제1밸브 스템(30)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유로(22)의 내경보다 작고, 이 유로(22)와 쳄버(24)를 통하게 하는 구멍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20)의 한쪽 측면에는 쳄버(24)에서 배출구(26)를 통해 화구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회전에 따라 통로를 넓혀서 열거나 좁혀서 닫는 조작으로 조절하기 위한 스핀들(5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스핀들(50)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종래와 동일·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케이싱(20)은 가공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밸브 스템(30)은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가에 따라 하강 작동하여 부탄가스용기 이탈을 위한 별도의 레버를 가압하도록 포트(28) 내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1밸브 스템(3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포트(28)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1스프링(35)의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면 그 압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부탄가스용기 이탈을 위한 별도의 레버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부탄가스용기가 어댑터(10)에서 이탈되어 가스가 주입구(21)로 주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포트(28)의 안쪽 둘레 면과 밀착되는 제1밸브 스템(30)의 바깥쪽 둘레 면에는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제1밸브 스템(30)과 포트(28) 사이의 밀봉 상태 유지하여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제1오링(31)이 끼워져 있다.
제1스프링(35)은 포트(28)에 내장되어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가 쳄버(24)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제1밸브 스템(30)이 압력유로(27)를 폐쇄한 상태를 탄성에 의해 유지시킨다.
즉, 제1스프링(35)은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면 그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 가스압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상승 복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제1스프링(35)은 설정압력(500kPa)의 탄성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1밸브 스템(30)이 압력유로(27)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 작용을 하고, 그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는 한도의 압력하중을 받으면 압축변형되어 제1밸브 스템(30)이 하강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스프링(35)은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제2밸브 스템(40)은 주입구(21)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가에 따라 작동하여 유로(22)를 폐쇄하도록 주입구(21) 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밸브 스템(4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주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2스프링(45)의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그 압력에 의해 밸브 시트(23)와 밀착되도록 위치 이동하여 가스가 유로(22)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밸브 스템(4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중 어댑터(10)와 유로(22) 사이의 밸브 시트(23)와 밀착되는 바깥쪽 둘레 면에는 압력이 가해져 제2밸브 스템(40)이 밸브 시트(23)와 밀착 시에 밀봉 상태 유지를 위한 제2오링(42)이 끼워져 있고, 유로(22)와 제2스프링(45) 사이에는 밸브 시트(23)를 통과한 가스가 유로(22)를 통해 쳄버(24)로 흐르지 않고 주입구(21) 내에서 맴도는 것을 막기 위한 제3오링(43)이 끼워져 있다.
제2스프링(45)은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공급되는 가스가 밸브 시트(23)를 통과하여 유로(22)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제2밸브 스템(4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중 어댑터(10)와 반대쪽 단부에서 탄성 작용을 하도록 주입구(21)에 내장되어 그 탄성력으로 제2밸브 스템(40)이 밸브 시트(23)와 유로(2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밸브 스템(40)이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놓일 경우 정상 상태에서도 유로(22)를 막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제2스프링(45)의 탄성 작용으로 방지한다.
즉, 제2스프링(45)은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그 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이 상태에서 가스압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상승 복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제2스프링(45)은 설정압력(1300kPa)의 탄성 한도를 초과하는 압력을 받으면 압축변형되어 제2밸브 스템(40)이 밸브 시트(2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 작용을 하고, 그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의 압력을 받으면 제2밸브 스템(40)이 밸브 시트(23)와 유로(22)를 개방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스프링(45)은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댑터(10)에 부탄가스용기를 장착할 때 제2밸브 스템(40)은 그 부탄가스용기의 노즐과 접촉에 의해 주입구(21) 쪽으로 약간 이동하지만, 이 상태에서도 제2밸브 스템(40)은 밸브 시트(23)와 밀착되지 않는다.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탄가스용기에서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공급되는 가스압력이 정상범위 내이면, 제1 및 제2스프링(35)(45)은 압축변형되지 않고, 제2밸브 스템(40)이 밸브 시트(23)와 유로(22)를 개방한 상태를 이루도록 위치를 유지시키고, 이렇게 되면 가스는 밸브 시트(23)와 유로(22)를 통해 쳄버(24)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쳄버(24)로 유입된 가스는 압력조정수단(25)에 의해 정압상태를 이룬 후 스핀들(50) 및 배출구(26)를 통해 화구로 일정량씩 공급되어 화구에서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주입구(21)를 통해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1스프링(35)의 탄성계수, 즉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스압력에 의해 제1밸브 스템(30)이 제1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별도의 부탄가스용기 이탈 작동을 위한 레버를 조작하고, 이렇게 되면 부탄가스용기가 어댑터(10)에서 이탈되어 가스가 유로(22)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화구에서 소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만일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부탄가스용기 이탈되지 않고, 가스가 계속해서 공급되면서 복사열이나 외부 열원에 의해 부탄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팽창하여 주입구(21)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스압력에 의해 제2밸브 스템(40)이 제2스프링(45)을 압축하면서 위치 이동하여 밸브 시트(23)에 밀착되고, 이렇게 되면 부탄가스용기의 가스가 유로(22)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직접 막기 때문에 쳄버(24)와 배출구(26)를 통해 화구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부탄가스용기가 이탈되지 않는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2차적으로 가스공급을 확실하게 차단하므로 추가적인 부탄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탄가스용기가 폭발하는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어댑터 20: 케이싱
21: 주입구 22: 유로
23: 밸브 시트 24: 쳄버
25: 압력조정수단 26: 배출구
27: 압력유로 28: 포트
30: 제1밸브 스템 31: 제1오링
35: 제1스프링
40: 제2밸브 스템 42: 제2오링
43: 제3오링 45: 제2스프링
50: 스핀들 60: 캔 가이드

Claims (2)

  1. 부탄가스용기를 연결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10);
    상기 어댑터(10)와 마주하는 측면에 부탄가스용기의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21)와 직교하면서 통하는 유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21)의 상기 어댑터(10)와 상기 유로(22) 사이에 밸브 시트(23)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2)의 상측에 상기 유로(22)와 통하는 쳄버(24)가 형성되고, 상기 쳄버(24)에 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조정수단(25)이 내장되고, 상기 압력조정수단(25)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 일정량의 가스를 화구로 공급하는 배출구(26)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2)의 하측에 상기 유로(22)와 압력유로(27)를 통해 통하는 포트(28)가 형성된 케이싱(20);
    상기 포트(28)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21)를 통해 상기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1스프링(35)의 설정압력(500kPa)을 초과하면 하강하여 부탄가스용기를 이탈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밸브 스템(30);
    상기 포트(28)에 내장되어 상기 유로(22)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쳄버(24)로 흐르도록 상기 제1밸브 스템(30)이 상기 압력유로(27)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35);
    상기 주입구(21)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21)로 유입되는 가스압력이 제2스프링(45)의 설정압력(1300kPa)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 시트(23)와 밀착되도록 작동하여 상기 유로(22)로의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제2밸브 스템(40);
    상기 주입구(21)에 내장되어 상기 주입구(21)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유로(22)를 통해 상기 쳄버(24)로 흐르도록 상기 제2밸브 스템(40)이 상기 밸브 시트(23)와 상기 유로(2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스프링(45); 및
    상기 케이싱(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쳄버(24)에서 상기 배출구(26)를 통해 화구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회전에 따라 조절하는 스핀들(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2. 삭제
KR1020150149226A 2015-10-27 2015-10-27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KR10172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26A KR101728394B1 (ko) 2015-10-27 2015-10-27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26A KR101728394B1 (ko) 2015-10-27 2015-10-27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94B1 true KR101728394B1 (ko) 2017-04-19

Family

ID=5870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26A KR101728394B1 (ko) 2015-10-27 2015-10-27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94B1 (ko) * 2000-11-03 2003-07-28 공상식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0431590B1 (ko) 2001-11-24 2004-05-17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200352575Y1 (ko) 2004-03-25 2004-06-05 손재원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94B1 (ko) * 2000-11-03 2003-07-28 공상식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0431590B1 (ko) 2001-11-24 2004-05-17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200352575Y1 (ko) 2004-03-25 2004-06-05 손재원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245A (en) Gaseous fuel burner manifold with integral pressure regulator assembly
CN103697206B (zh) 可调固定泄压组件和包括该组件的调节器
US5711340A (en) Gas pressure reducing regulator
KR101381368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KR20050012693A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KR101728394B1 (ko)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US9939068B2 (en) Fluid control apparatus having flow restrictors
KR101720002B1 (ko) 재사용형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CA2264452C (en) Gas pressure regulator having burn-out protection system
KR101728391B1 (ko) 이중 과압방지장치 일체형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KR100392794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US9151402B2 (en) Cylinder valve having a device for reducing or closing off the flow in the event of a rise in temperature
KR101609632B1 (ko)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KR101947376B1 (ko) 이중 안전장치 일체형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WO2017194429A1 (en) Compressed gas regulator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KR100636840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EP2737251B1 (en) A stove with safety valve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JP3196294U (ja) 着火効率を向上したガス着火具
KR2003362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44343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KR200352164Y1 (ko) 가스렌지의 저압 및 고압 분리형 안전장치
KR101657174B1 (ko) 안전밸브를 구비하는 체크밸브
KR100622009B1 (ko) 가연성 가스배관용 압력조절기
KR200352167Y1 (ko) 가스렌지의 저압 및 고압 일체형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