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32B1 -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632B1
KR101609632B1 KR1020140150829A KR20140150829A KR101609632B1 KR 101609632 B1 KR101609632 B1 KR 101609632B1 KR 1020140150829 A KR1020140150829 A KR 1020140150829A KR 20140150829 A KR20140150829 A KR 20140150829A KR 101609632 B1 KR101609632 B1 KR 10160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valve stem
holder
valv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일
Original Assignee
캠프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프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캠프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스유입구 및 가스배출구와 각각 통하는 가스통로가 형성되고, 가스통로 상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하부에 가스통로와 통하는 홀더구멍이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밸브 케이싱의 가스통로 상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부에 밸브 시트에 밀착되는 밸브 헤드가 형성되고, 하부에 칼라가 형성된 밸브 스템과, 밸브 스템의 하부에 장착되어 밸브 스템을 상승시키는 제1스프링과,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밸브 케이싱이 직립 상태에서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가스배출구로 이동하도록 밸브 스템을 자중으로 누르는 작동볼과, 밸브 케이싱의 홀더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되, 상부 내측에 밸브 스템이 승강하도록 안내하고 칼라가 결합되는 밸브 가이드가 형성되고, 밸브 가이드의 하측에 제1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장착홈이 형성된 홀더 및 밸브 케이싱에 일측이 핀 이음으로 부착되고 중심부가 홀더를 받쳐주도록 결합되되, 밸브 스템이 상승하여 밸브 헤드가 밸브 시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홀더를 밸브 스템과 동시에 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AUTOMATIC UPSIDEDOWNNES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자동 전도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너, 스토브, 히터 따위의 각종 휴대용 연소기기가 전도(넘어지거나 기울어짐) 시 자동으로 가스연료의 공급을 차단 및 중단하여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연소기기가 전도된 후에도 똑바로 세울 경우 정상적으로 가스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스연료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나 낚시 등 야외활동 시 불을 밝히거나 취사를 하거나 가열을 하기 위해서 프로판가스나 부탄가스 등의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하는 버너, 스토브, 히터, 랜턴 따위의 각종 프로판 혹은 부탄가스 장비(이하,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로 총칭한다)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는 갑작스런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자칫 전도(넘어지거나 기울어지게)될 경우 화재나 화상 등의 안전사고 또는 위험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개 자동으로 가스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이른바 전도소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소화장치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010127호에 '가스를 연료로 하는 난방 히타('히터'가 올바른 표기이므로 이하에서 히터로 표기함)의 전도 시 가스차단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구(18)가 가스변(11)의 경사면(19)에 의하여 정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일정하게 위치되어 있다가 난방 히터가 전도될 경우에는 경사면(19)을 따라 굴러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이때 강구(18)의 하중에 의해 눌러져 진입구(13)를 열고 있던 배출밸브(4)가 스프링(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그 밸브패킹(7)으로 진입구(13)를 기밀하게 막아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스차단안전장치는 난방 히터가 한번 전도되어 배출밸브(4)의 밸브패킹(7)이 진입구(13)를 막은 상태가 되면, 이후 난방 히터를 똑바로 세우더라도 배출밸브(4)가 제대로 하강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스변(11) 내의 통로에는 일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항상 차있는 물리·구조적 특성상 내부압력이 상당히 높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강구(18)의 자중만으로 배출밸브(4)를 하강시켜 진입구(13)를 열기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더욱이 종래의 가스차단안전장치는 강구(18) 및 배출밸브(4)의 자중을 고려하여 적당한 탄성계수(스프링상수)를 갖는 스프링(25)을 적용해야 하는데, 스프링(25)의 탄성계수가 너무 낮으면 난방 히터의 전도 시 배출밸브(4)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없고, 너무 높으면 정상 상태에서 강구(18) 및 배출밸브(4)의 자중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반된 특성을 동시에 충족하면서 가스변(11)의 내부압력까지 고려한 설계가 매우 어려워 단순 구조만으로는 사용성 및 실용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010127호(1998.04.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41772호(2000.03.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42869호(2000.03.0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기존의 전도소화장치(가스차단안전장치)가 갖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연소기기가 전도 시 자동으로 가스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면서 연소기기가 전도된 후 똑바로 세울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가스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사용이 한층 더 안전하고 편리한 전도소화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한 연구를 해오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전도된 후에도 직립 상태로 세울 경우 정상적인 작동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측면에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상기 가스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구 및 상기 가스배출구와 각각 통하는 가스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통로 상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가스통로와 통하는 홀더구멍이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통로 상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부에 상기 밸브 시트에 밀착되는 밸브 헤드가 형성되고, 하부에 칼라가 형성된 밸브 스템과, 상기 밸브 스템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 스템을 상승시키는 작동력이 발생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밸브 케이싱이 직립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상기 가스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스템을 자중으로 누르는 작동볼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홀더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되, 상부 내측에 상기 밸브 스템이 일정 범위 내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칼라가 결합되는 밸브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가이드의 하측에 상기 제1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장착홈이 형성된 홀더 및 상기 밸브 케이싱에 일측이 핀 이음으로 부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홀더를 받쳐주도록 결합되되, 상기 밸브 스템이 상승하여 상기 밸브 헤드가 상기 밸브 시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홀더를 상기 밸브 스템과 동시에 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넘어지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자동으로 가스연료의 공급이 차단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짐으로 인해 가스연료의 공급이 차단된 후에도 직립 상태로 세울 경우 다시 정상적으로 가스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부가 상기 밸브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가스용기의 노즐에 연결 장착되되, 상기 가스유입구와 통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주입구 상에 장착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용기에서 상기 가스유입구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레버와 상기 어댑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력이 발생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조작 및 작동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와 상기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홀더구멍과 상기 홀더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패킹이 장착됨으로써 더욱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가스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 측면에 연소기기의 화구에 장착되는 가스분출구와 연결되도록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분출구와 상기 배출구멍은 배출관에 의해 통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연소기기의 화구에 더욱 안정적으로 가스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의 직립 상태에서는 작동볼이 자중에 의해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스템을 가압하여 가스연료가 흐르도록 개방하고,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의 전도 상태에서는 작동볼이 굴러서 위치 이동하고 밸브 스템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 시트와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가스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폐쇄하는 전도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이 상기 밸브 시트와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밸브 스템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 및 상기 밸브 케이싱의 하부에 일측이 핀 이음으로 부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홀더를 받쳐주도록 결합되되, 상기 밸브 스템이 상기 밸브 시트와 밀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홀더를 상기 밸브 스템과 동시에 하강시켜 가스연료가 흐르도록 개방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넘어지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밸브 스템에 작용하고 있는 작동볼의 하중이 제거되고, 이렇게 되면 제1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 스템이 상승되면서 그 밸브 헤드가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와 기밀하게 밀착되어 가스통로를 폐쇄하기 때문에 가스연료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사용 중 넘어지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짐으로 인해 가스연료 공급이 차단된 후 사용을 위해 직립 상태로 세우고 레버를 눌러서 밸브 스템을 하강시키면 작동볼의 하중이 밸브 스템에 작용하여 그 밸브 스템이 하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와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 간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면서 틈새 및 가스 유로가 확보되어 가스통로를 통한 가스연료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의 구성요소 중 국부를 나타낸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갖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정상적으로 가스연료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도 5와 중심선이 다른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가스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도 5와 중심선이 다른 종단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는 크게 밸브 케이싱(100), 밸브 스템(110), 제1스프링(120), 작동볼(130), 홀더(140), 레버(150), 제1 및 제2패킹(160)(1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
밸브 케이싱(100)은 상하로 중공을 갖는 마치 통형으로 이루어져 한쪽 측면에는 가스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가스배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스배출구(102)는 밸브 케이싱(100)이 직립 상태일 경우 작동볼(130)이 항시 그 중심부 하방에 위치(정상 위치)될 수 있도록 안쪽 면 둘레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케이싱(100)의 중공 내부에는 가스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가스배출구(102)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스유입구(101) 및 가스배출구(102)와 각각 통하는 가스통로(103)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가스통로(103) 상에는 밸브 시트(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면에서 가스통로(103)와 통하는 홀더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배출구(102) 측면에는 연소기기의 화구(B)에 장착되는 가스분출구(180)와 연결되도록 배출구멍(106)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스분출구(180)와 배출구멍(106)은 배출관(181)에 의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연료용기(C)에서 가스유입구(101) 및 가스통로(103)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02)로 배출되는 가스연료는 배출구멍(106)과 배출관(181)을 통해 가스분출구(180)로 공급된다.
여기서, 밸브 케이싱(100)은 가공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덮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밸브 스템>
밸브 스템(110)은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갖는 마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밸브 케이싱 내의 가스통로(103) 상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에는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에 밀착되는 밸브 헤드(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홀더(14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칼라(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스템의 칼라(112) 하부는 제1스프링(120)이 이탈됨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제1스프링(120)의 내경 속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
제1스프링(120)은 밸브 스템(110)의 하부와 후술하는 홀더의 스프링장착홈(142)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밸브 스템(110)에 작용하고 있는 작동볼(130)의 하중이 제거되면,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111)가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와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밸브 스템(110)의 상승 작동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즉, 제1스프링(120)은 밸브 스템(110)과 작동볼(130)이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더라도 탄성 한도를 넘어서 변형되지 않으면서 작동볼(130)의 하중이 제거되면 밸브 스템(110)을 탄력적으로 상승시키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스프링(120)은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작동볼>
작동볼(130)은 일정 무게와 지름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102)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볼(130)은 밸브 케이싱(10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 즉 연소기기가 직립상태에서는 가스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가스통로(103)를 거쳐 가스배출구(102)로 이동하도록 밸브 스템(110)의 상단을 자중으로 누르게 된다.
여기서, 작동볼(130)은 밸브 스템(110)을 가압함과 동시에 제1스프링(120)을 압축할 수 있는 정도로 하중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홀더(140)는 외형이 마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밸브 케이싱 내의 홀더구멍(105)에 상부가 삽입되어 있고, 상부 내측에는 밸브 스템(110)이 일정 범위 내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밸브 스템의 칼라(112) 부분이 걸림 결합되는 밸브 가이드(1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밸브 가이드(141)의 하측 바닥면에는 제1스프링(120)의 하부가 삽입 장착되도록 일정 깊이로 스프링장착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40)의 하부에는 레버(150)와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버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140)는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밸브 스템(110)을 밸브 케이싱(100)의 하방으로 잡아당기듯이 하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스통로(103)가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레버>
레버(150)는 밸브 스템(110)이 상승하여 그 밸브 헤드(111)가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에 밀착된 상태일 경우 지렛대 작용으로 홀더(140)를 밸브 스템(110)과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도록 밸브 케이싱(100)에 일측이 핀(151)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고, 중심부가 홀더(140)를 받쳐주면서 홀더(140)와 연동하도록 홀더(140)의 하부와 결합되어 있다.
즉, 레버(150)는 밸브 스템(110)이 상승하여 가스통로(103)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누름 조작 시 지렛대 원리로 홀더(140)와 밸브 스템(110)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레버(150)는 핀(1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홀더(140)의 승강 작동이 일정 범위 내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아울러 밸브 스템(110)과 홀더(140)가 밸브 케이싱 내의 홀더구멍(105)을 통해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패킹>
제1패킹(160)은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111)와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밸브 헤드(111)의 바깥쪽 면 둘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제2패킹(170)은 밸브 케이싱 내의 홀더구멍(105)과 홀더(140)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홀더구멍(105)의 안쪽 면 둘레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패킹(160) 및 제2패킹(170)은 불소수지제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며, 원활한 밀봉 작용을 위해 오링(o-ring)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패킹(160)에 의해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전도 시 더욱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가스통로(103)가 폐쇄되고, 아울러 제2패킹(160)에 의해 홀더구멍(105)이 기밀하게 폐쇄되어 이를 통한 가스연료의 누출을 방지하므로 사용성은 물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어댑터>
어댑터(200)는 가스용기(C) 내에 충전된 가스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가스용기(C)의 노즐에 연결 장착된다.
이러한 어댑터(200)의 상부가 밸브 케이싱(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는 밸브 케이싱 내의 가스유입구(101)와 통하는 주입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스용기(C) 내의 가스연료는 어댑터의 주입구(201)를 통해 밸브 케이싱 내의 가스유입구(101)로 공급된다.
<조절노브>
조절노브(210)는 가스용기(C)에서 밸브 케이싱 내의 가스유입구(101)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어댑터의 주입구(201) 상에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조절노브(210)는 주입구(201)와 나사결합으로 장착되어 있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주입구(201)의 가스연료 통로를 넓혀서 열거나 좁혀서 닫는 개폐작동을 한다.
<제2스프링>
제2스프링(220)은 레버(150)와 어댑터(200) 사이에 장착되어 레버(150)가 외력에 의해 핀(151)을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더라도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상승 복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제2스프링(220)은 제1스프링(120)과 마찬가지로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지면에 대하여 직립 상태일 경우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102)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경사면을 가지며, 가스통로(103)가 가스배출구(102)의 중심부 하방에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형태적 특성상 작동볼(130)은 가스배출구(102)의 중심부에 위치, 즉 정상 위치에 자리를 잡아 자연스럽게 밸브 스템(110)의 상단을 자중으로 누르게 되고, 이렇게 되면 밸브 스템(110)이 하강하여 그 밸브 헤드(111)가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와 밀봉 접촉된 상태를 해제하므로 가스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가스통로(103)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02)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1스프링(120)은 밸브 스템(110)과, 그 밸브 스템(110)에 작용하고 있는 작동볼(130)의 하중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넘어지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작동볼(130)이 가스배출구(102)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르면서 위치를 이동(정상 위치를 벗어난 상태)하게 되어 밸브 스템(110)에 작용하고 있던 하중이 제거되고, 이렇게 되면 압축된 상태의 제1스프링(120)이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 스템(110)의 하중을 버티고 인장되면서 밸브 스템(110)을 상승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111)가 밸브 케이싱 내의 밸브 시트(104)와 기밀하게 밀착되어 가스통로(103)를 완전히 폐쇄하기 때문에 가스연료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된다.
이때, 밸브 스템의 칼라(112) 부분은 홀더의 밸브 가이드(141)의 안쪽 면 둘레 상단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사용을 위해서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를 지면에 대하여 직립 상태로 세우고 사용자가 레버(150)를 하방으로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레버(150)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홀더(140)가 쉽게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홀더의 밸브 가이드(141)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고 있던 칼라(112)에 의해 밸브 스템(110)이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작동볼(130)이 자연스럽게 가스배출구(102)의 중심부로 굴러내려 밸브 스템(110)의 상단 위에 얹혀서 그 하중이 밸브 스템(110)에 작용하고, 이에 의해 제1스프링(120)이 원래대로 압축됨으로써 밸브 스템(110)은 원래의 정상 위치로 하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150)를 누르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레버(150)를 누를 때 압축된 상태의 제2스프링(220)이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150)가 핀(151)을 중심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로 상승 회전하면서 홀더(140)를 상승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위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111)와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104) 간의 밀착에 의한 폐쇄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틈새 및 가스 유로가 확보되어 가스통로(103)를 통한 가스연료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사용 중 넘어지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가 한번 전도된 후에도 똑바로 세우고 레버(150)를 누르기만 하면 가스연료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손쉽게 변환 및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사용의 편익과 안전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밸브 케이싱 101: 가스유입구
102: 가스배출구 103: 가스통로
104: 밸브 시트 105: 홀더구멍
106: 배출구멍
110: 밸브 스템 111: 밸브 헤드
112: 칼라 120: 제1스프링
130: 작동볼 140: 홀더
141: 밸브 가이드 142: 스프링장착홈
143: 레버걸림턱 150: 레버
151: 핀 160: 제1패킹
170: 제2패킹 180: 가스분출구
181: 배출관
190: 제2스프링 200: 어댑터
201: 주입구 210: 조절노브
220: 제2스프링

Claims (6)

  1. 하부 측면에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상기 가스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구 및 상기 가스배출구와 각각 통하는 가스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통로 상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가스통로와 통하는 홀더구멍이 형성된 밸브 케이싱;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통로 상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부에 상기 밸브 시트에 밀착되는 밸브 헤드가 형성되고, 하부에 칼라가 형성된 밸브 스템;
    상기 밸브 스템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 스템을 상승시키는 작동력이 발생하는 제1스프링;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밸브 케이싱이 직립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연료가 상기 가스배출구로 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스템을 자중으로 누르는 작동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홀더구멍에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 케이싱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되, 상부 내측에 상기 밸브 스템이 일정 범위 내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칼라가 걸림 결합되는 밸브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가이드의 하측에 상기 제1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장착홈이 형성된 홀더;
    상기 밸브 케이싱의 하부에 일측이 핀 이음으로 부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홀더를 받쳐주도록 결합되되, 상기 밸브 스템이 상승하여 상기 밸브 헤드가 상기 밸브 시트와 밀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홀더를 상기 밸브 스템과 동시에 하강시켜 가스연료가 흐르도록 개방하는 레버;
    상부가 상기 밸브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가스용기의 노즐에 연결 장착되되, 상기 가스유입구와 통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어댑터;
    상기 어댑터의 주입구 상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용기에서 상기 가스유입구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노브; 및
    상기 레버와 상기 어댑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력이 발생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하는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의 밸브 헤드와 상기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홀더구멍과 상기 홀더 간에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패킹이 장착된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싱의 가스배출구 측면에 연소기기의 화구에 장착되는 가스분출구와 연결되도록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분출구와 상기 배출구멍은 배출관에 의해 통하도록 연결된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6. 삭제
KR1020140150829A 2014-11-03 2014-11-03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KR10160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29A KR101609632B1 (ko) 2014-11-03 2014-11-03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29A KR101609632B1 (ko) 2014-11-03 2014-11-03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632B1 true KR101609632B1 (ko) 2016-04-20

Family

ID=5591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29A KR101609632B1 (ko) 2014-11-03 2014-11-03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721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유로 가스안전밸브
WO2022109160A1 (en) * 2020-11-18 2022-05-27 Johnson Outdoors Inc. Backpacking stove having tip valve
KR102484226B1 (ko) * 2022-08-25 2023-01-04 박노수 부탄가스연료통 또는 이소부탄가스연료통에 결합할 수 있게 한 가스토치의 연료통결합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721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유로 가스안전밸브
KR102277194B1 (ko) * 2019-12-02 2021-07-14 주식회사 유로 가스안전밸브
WO2022109160A1 (en) * 2020-11-18 2022-05-27 Johnson Outdoors Inc. Backpacking stove having tip valve
US11873990B2 (en) 2020-11-18 2024-01-16 Johnson Outdoors Inc. Backpacking stove having tip valve
KR102484226B1 (ko) * 2022-08-25 2023-01-04 박노수 부탄가스연료통 또는 이소부탄가스연료통에 결합할 수 있게 한 가스토치의 연료통결합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632B1 (ko) 액화석유가스 연소기기용 전도소화장치
CN203797088U (zh) 一种紧急切断阀
US6408869B1 (en) Safety valve
US7950920B2 (en) Combustion device
US2106176A (en) Quick release valve
US1874356A (en) Quick acting release device for carbon dioxide fire systems
KR200472584Y1 (ko) 휴대용 가스버너
LU92958B1 (en) High pressure valve with telescopic piston
US9494241B2 (en) Safety gas valve capable to attain a blocking condition when subjected to a flow in excess of its nominal working conditions
FR2984448A1 (fr) Detendeur de gaz a securite de surpression integree
IE20080231A1 (en) A stove
JP5635813B2 (ja) 液封防止機構内蔵逆止弁
KR101801598B1 (ko) 유로차단 방식의 가스안전조정기
US2807938A (en) Throw-away container for pressurized, liquefied gases, and discharge means therefor
KR101344241B1 (ko) 가스토치용 어댑터
KR101243778B1 (ko) 이물질에 의한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조정기
EP1298392A1 (en) Device for shutting off the flow of gas in a gas-fed apparatus
US2356326A (en) Gasoline tank fitting
KR100235234B1 (ko) 액화가스용기용 개폐밸브의 안전장치
CN206503984U (zh) 一种液化石油气钢瓶上的低压减压阀
KR2003008815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101728394B1 (ko) 용기 이탈식 이동식부탄연소기용 조정기
KR2003008814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60102229A (ko) 가스밸브 자동폐쇄장치
KR960006907Y1 (ko) 가스레인지의 가스안전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