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84Y1 - 휴대용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84Y1
KR200472584Y1 KR2020130010449U KR20130010449U KR200472584Y1 KR 200472584 Y1 KR200472584 Y1 KR 200472584Y1 KR 2020130010449 U KR2020130010449 U KR 2020130010449U KR 20130010449 U KR20130010449 U KR 20130010449U KR 200472584 Y1 KR200472584 Y1 KR 200472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sobutane
block
normal butan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해순
Original Assignee
지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해순 filed Critical 지해순
Priority to KR2020130010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she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17C13/045Automatic change-over switching assembly for bottled gas systems with two (or more) ga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로를 지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가 상측에 구비된 몸체;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유로와 연통되는 노멀부탄 유입유로로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공급하는 노멀부탄 체결블록;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상기 가스공급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이소부탄 유입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와 이소부탄 유입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이용하면,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노멀부탄 가스와 이소부탄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만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므로 가스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버너 {Portable gas burner}
본 고안은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멀부탄용 가스용기와 이소부탄용 가스용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낚시나 캠핑 또는 레포츠 등의 다양한 레저 문화의 확산으로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야외에서 요리하는 기회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조리하는 다양한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장소에 관계없이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가스버너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버너에 많이 사용하는 가스로는 부탄가스와 프로판가스(LPG)가 있는데, 이중 부탄가스의 부탄(butane)은 사슬모양 탄화수소의 하나로, 화학식은 C4H10이고, 분자량은 58.1이다. 4개의 탄소원자가 연속하여 사슬모양으로 결합하고 있는 n-부탄과, 1개의 탄소원자에 다른 3개의 탄소원자가 결합한 이소부탄의 두 이성질체(異性質體)가 있다.
n-부탄은 노멀부탄이라고도 하며, 또 단지 부탄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킬 때가 많다. 노멀부탄은 천연가스나 석유분해가스에 함유되어 있으며, 상온·상압 하에서는 무색의 기체로, 공기 또는 산소가 존재하면 잘 타며, 발열량은 2만 7600 kcal/㎥으로 크다. 또한 액화석유가스로서 연료로 사용되며, 석유화학 원료로서 부텐이나 부타디엔의 제조에도 사용된다. 잘 액화하는 점을 이용하여 가스라이터 연료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소부탄은 노멀부탄과 마찬가지로 천연가스 또는 석유분해가스에 함유되어 있으며, 무색의 기체로 인화성이 강하고, 쉽게 액화한다. 프로필렌과 화합시켜 고(高)옥탄가의 가솔린을 얻을 수 있고 이소부틸렌을 합성하는 원료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이소부탄은 낮은 온도에서도 연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동계 캠핑이나 산악용으로 널리 상용화되어 있다.
상기 노멀부탄과 이소부탄은 정형화 된 소형의 알루미늄 용기에 적정압력으로 충진되어 슈퍼나 편의점에서 시판하고 있어 사용자는 부탄가스용기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동이 용이한 가정용 소형버너에 장착하여 야외나 캠핑 시에 음식을 조리하거나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고 있다. 노멀부탄은 원통형상의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판매되고, 이소부탄은 돔형상의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노즐 구조가 상이한 관계로, 노멀부탄용 가스버너와 이소부탄용 가스버너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노멀부탄 가스용기는 이소부탄 가스용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소부탄 가스용기는 저온에서도 정격 성능을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는바, 캠핑 및 등산을 할 때에는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노멀부탄 가스용기는 노즐을 가압하였을 때 내부 가스가 유출되고, 이소부탄 가스용기는 노즐 내에 구비된 슬라이드밸브를 가압하였을 때 내부 가스가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노멀부탄용 가스버너와 이소부탄용 가스버너는 가스용기 장착 구조가 상이하게 제작되는바,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병행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멀부탄용 가스버너와 이소부탄용 가스버너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멀부탄용 가스버너에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장착시킬 수 있는 어댑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어댑터를 별도로 구매하여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0413232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공용으로 장착될 수 있고, 노멀부탄 가스와 이소부탄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만이 선택적으로 사용됨으로써 가스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로를 지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가 상측에 구비된 몸체;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유로와 연통되는 노멀부탄 유입유로로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공급하는 노멀부탄 체결블록;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상기 가스공급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이소부탄 유입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와 이소부탄 유입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은,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이소부탄 체결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이송블록 인입홈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는 상기 이소부탄 체결홈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공급유로와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는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의 상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 내측에 구비되어, 상승 시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를 차단하고, 하강 시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를 차단하는 이송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블록의 내부에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가스공급유로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이송블록의 상면에 위치되고 하측 개구부가 상기 이송블록의 측면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의 측면 중단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벽밀폐링과,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를 관통한 후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슬라이드밸브를 가압하는 가압핀과, 상기 이송블록 상승 시 상기 이송블록의 상면과 상기 가스공급유로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단밀폐링과, 상기 이송블록 하강 시 상기 이송블록의 저면과 상기 이소부탄 유입로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하단밀폐링과, 상기 이송블록이 하강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를 개폐시키는 노멀부탄 밸브와,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를 개폐시키는 이소부탄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공급유로와 상기 가스배출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배출구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스핀들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이용하면,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노멀부탄 가스와 이소부탄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만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므로 가스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에 포함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의 가스유동 경로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에 포함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의 가스유동 경로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되, 원통 형상의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돔 형상의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겸용으로 장착 및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멀부탄 버너나 이소부탄 버너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노멀부탄 가스와 이소부탄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스공급유로(120)가 형성되되 상기 가스공급유로(120)를 지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30)가 상측에 구비된 몸체(100)와, 노멀부탄 가스용기 장착을 위한 노멀부탄 체결홈(21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노멀부탄 체결블록(200)과, 이소부탄 가스용기 장착을 위한 이소부탄 체결홈(31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으로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노멀부탄 가스용기는 버너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이소부탄 가스용기는 버너의 저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멀부탄 체결블록(200)은 몸체(100)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은 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노멀부탄 체결블록(200)과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의 결합위치는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상기 노멀부탄 체결블록(200)과 상기 가스공급유로(120)를 연통시키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노멀부탄 체결블록(200)에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 내에 채워져 있던 노멀부탄 가스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와 가스공급유로(120)를 통해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어 연소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 내에는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상기 가스공급유로(120)로 전달하기 위한 이소부탄 유입유로(330)가 형성되는바,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에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에 채워져 있던 이소부탄 가스가 이소부탄 유입유로(330)와 가스공급유로(120)를 통해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어 연소에 사용된다.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상기 가스배출구(130) 사이에는 상기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스핀들(140)이 장착되는바, 사용자는 스핀들(140)을 조작함으로써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핀들(140)은, 종래의 가스버너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노멀부탄 체결블록(200)에 노멀부탄 가스용기를 장착시킨 경우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이소부탄 체결홈(310)으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가스배출구(130) 측으로만 공급되어야 하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에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장착시킨 경우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노멀부탄 체결홈(210)으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가스배출구(130) 측으로만 공급되어야 하는바,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와 이소부탄 유입유로(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장착시켰을 때에는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가 자동으로 차단되고, 노멀부탄 가스용기를 장착시켰을 때에는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착된 가스용기의 종류에 따라 노멀부탄 유입유로(110)와 이소부탄 유입유로(330)가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은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이소부탄 체결홈(310)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이송블록 인입홈(320)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는 상기 이소부탄 체결홈(310)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는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의 상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 내측에는 상승 시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를 차단하고 하강 시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차단하는 이송블록(40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 내에는 상기 이송블록(400)이 하강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블록(4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바,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이송블록(4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아래에 위치되어,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블록(400)이 하측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의 하단과 가스공급유로(120) 하단이 각각 이송블록 인입홈(320)에 연통되는바, 노멀부탄 체결블록(200)에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면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로부터 인출된 가스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를 통해 이송블록 인입홈(320)으로 유입된 후 가스공급유로(120)로 흐르게 된다. 이때,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는 이송블록(4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이송블록 인입홈(320) 내의 가스가 이송부탄 체결홈으로 유입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에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갖는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노즐(10)은 내측(도 5에서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밸브(12)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밸브(12)가 내측(도 5에서는 하측)으로 가압되었을 때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소부탄 체결홈(310)에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노멀부탄 체결블록(200)으로는 유출되지 아니하고 가스공급유로(120) 측으로만 전량 유입될 수 있도록 노멀부탄 유입유로(110)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소부탄 가스용기 장착 시 노멀부탄 유입유로(110)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블록(400)의 내부에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이송블록(400)의 상면에 위치되고 하측 개구부가 상기 이송블록(400)의 측면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400)의 측면 중단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벽밀폐링(434)과, 상기 이송블록(4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관통한 후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슬라이드밸브를 가압하는 가압핀(420)과, 상기 이송블록(400) 상승 시 상기 이송블록(400)의 상면과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단밀폐링(432)과, 상기 이송블록(400) 하강 시 상기 이송블록(400)의 저면과 상기 이소부탄 유입로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하단밀폐링(436)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노즐(10)이 이소부탄 체결홈(310)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산(312)에 나사결합되면,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하향으로 관통한 가압핀(420)은 상기 노즐(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드밸브(12)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밸브(12)는 무한히 노즐(10)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 인입된 이후에는 더 이상 인입되지 아니하고 고정되는바, 슬라이드밸브(12)가 더 이상 인입되지 아니하는 상태가 된 이후 상기 노즐(10)이 더욱 이소부탄 체결홈(310)(310) 내측으로 인입되면(즉, 노즐(10)이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압핀(420) 및 이에 결합된 이송블록(400)은 위로 밀려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송블록(400)을 하향 가압하는 복원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노즐(10)이 이소부탄 체결홈(310)에 나사결합되어 가압핀(420)이 슬라이드밸브에 접촉되었을 때, 슬라이드밸브(12)가 하향으로 밀리기 이전에 가압핀(420) 및 이송블록(400)이 상향으로 먼저 밀리고, 이송블록(400)이 최대한 상승된 이후(더 명확하게는 상단밀폐링(432)이 돌출부(122)에 압착된 이후), 슬라이드밸브(12)가 하향으로 밀려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가압핀(420)과 슬라이드밸브(12)가 접촉된 상태에서 노즐(10)이 상향으로 이동될 때 슬라이드밸브(12)가 먼저 하향으로 밀릴지, 이송블록(400)이 먼저 상향으로 밀릴지의 여부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록(400)이 슬라이드밸브(12)의 반력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면, 이소부탄 유입유로(330)가 개방되고 상면에 마련된 상단밀폐링(432)이 가스공급유로(120)의 하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2)에 압착되는바, 이소부탄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통해 이송블록 인입홈(320)으로 유입되고, 하측개구부(414)를 통해 블록관통홀(410) 내로 유입된 후 상측개구부(412)를 통해 가스공급유로(120)로 흐르게 된다.
이때, 이송블록(400)의 외측면 중단에 구비된 측벽밀폐링(434)이 이송블록 인입홈(320)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측개구부(412)를 둘러싸도록 배열된 상단밀폐링(432)이 가스공급유로(120)의 돌출부(122)에 밀착되는바, 이송블록 인입홈(320)으로 유입된 가스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 측으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전량 가스공급유로(120)로만 전달된다. 즉,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이소부탄 체결홈(310)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가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이소부탄 가스가 노멀부탄 체결블록(200) 측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지므로, 사고의 우려가 현저히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모두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에 장착시키는 경우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는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노멀부탄 가스와 이소부탄 가스가 혼합되어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이용하면, 가스용기를 체결시키는 조작만으로 가스 유출 및 가스 혼합을 방지할 수 있고, 노멀부탄 가스용기와 돔 형상의 이소부탄 가스용기를 모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노멀부탄 유입유로
120 : 가스공급유로 122 : 돌출부
130 : 가스배출구 140 : 스핀들
200 : 노멀부탄 체결블록 210 : 노멀부탄 체결홈
300 : 이소부탄 체결블록 310 : 이소부탄 체결홈
312 : 암나사산 320 : 이송블록 인입홈
330 : 이소부탄 유입유로 400 : 이송블록
410 : 블록관통홀 412 : 상측개구부
414 : 하측개구부 420 : 가압핀
432 : 상단밀폐링 434 : 측벽밀폐링
436 : 하단밀폐링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가스공급유로(1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유로(120)를 지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30)가 상측에 구비된 몸체(100);
    노멀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연통되는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로 상기 노멀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공급하는 노멀부탄 체결블록(200);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소부탄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상기 가스공급유로(120)로 전달하기 위한 이소부탄 유입유로(330)가 내부에 구비되는 이소부탄 체결블록(300); 을 포함하되,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와 이소부탄 유입유로(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소부탄 체결블록(300)은, 이소부탄 가스용기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이소부탄 체결홈(310)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이송블록 인입홈(320)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는 상기 이소부탄 체결홈(310)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는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의 상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 내측에 구비되어, 상승 시 상기 노멀부탄 유입유로(110)를 차단하고, 하강 시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차단하는 이송블록(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400)의 내부에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이송블록(400)의 상면에 위치되고 하측 개구부가 상기 이송블록(400)의 측면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400)의 측면 중단과 상기 이송블록 인입홈(320)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벽밀폐링(434)과, 상기 이송블록(4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이소부탄 유입유로(330)를 관통한 후 이소부탄 가스용기의 슬라이드밸브를 가압하는 가압핀(420)과, 상기 이송블록(400) 상승 시 상기 이송블록(400)의 상면과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단밀폐링(432)과, 상기 이송블록(400) 하강 시 상기 이송블록(400)의 저면과 상기 이소부탄 유입로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를 밀폐시키는 하단밀폐링(436)과, 상기 이송블록(400)이 하강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블록(4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유로(120)와 상기 가스배출구(1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배출구(130)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스핀들(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KR2020130010449U 2013-12-16 2013-12-16 휴대용 가스버너 KR200472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49U KR200472584Y1 (ko) 2013-12-16 2013-12-16 휴대용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49U KR200472584Y1 (ko) 2013-12-16 2013-12-16 휴대용 가스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84Y1 true KR200472584Y1 (ko) 2014-05-09

Family

ID=5357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49U KR200472584Y1 (ko) 2013-12-16 2013-12-16 휴대용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165A (ko) * 2014-05-13 2015-11-23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KR200480491Y1 (ko) 2014-11-18 2016-06-13 (주)휴브텍 휴대 가스버너용 듀얼 가스 어댑터
KR200480490Y1 (ko) 2014-11-18 2016-06-13 (주)휴브텍 휴대 가스버너용 접철식 가스 어댑터
KR20200132461A (ko) * 2019-05-17 2020-11-25 김영수 가스 멀티 어댑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578B1 (ko) * 2011-06-14 2011-12-15 김상필 가스용기의 호환성이 향상된 휴대용 버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578B1 (ko) * 2011-06-14 2011-12-15 김상필 가스용기의 호환성이 향상된 휴대용 버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165A (ko) * 2014-05-13 2015-11-23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KR101587052B1 (ko) 2014-05-13 2016-01-20 (주)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장치
KR200480491Y1 (ko) 2014-11-18 2016-06-13 (주)휴브텍 휴대 가스버너용 듀얼 가스 어댑터
KR200480490Y1 (ko) 2014-11-18 2016-06-13 (주)휴브텍 휴대 가스버너용 접철식 가스 어댑터
KR20200132461A (ko) * 2019-05-17 2020-11-25 김영수 가스 멀티 어댑터
KR102216327B1 (ko) * 2019-05-17 2021-02-16 김영수 가스 멀티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84Y1 (ko) 휴대용 가스버너
US4082993A (en) Gas appliance valve and adaptor
CN101111715A (zh) 燃烧器具
EP2989391A1 (en) High performance outdoor portable cooking system
US4509655A (en) Bottle or similar container, especially for readily combustible liquids, with a screw-on closure
US7040343B2 (en) Valve assembly with low gas level signaling and controlling function
IES20070227A2 (en) A stove
KR101344241B1 (ko) 가스토치용 어댑터
KR101326046B1 (ko) 휴대용 가스버너
CN101968232B (zh) 一种液化气灶溢锅自动熄火装置
CN205745508U (zh) 管道大功率减压阀
KR101627753B1 (ko) 이동식 부탄연소기
KR20100068118A (ko) 안전성 및 기능 개선을 향상시킨 엘피지 용기용 밸브 조립체
KR200480491Y1 (ko) 휴대 가스버너용 듀얼 가스 어댑터
CN209672323U (zh) 一种水平引射上进风式燃烧器
CN211009960U (zh) 一种新型天然气液化气转换调节器
KR100413232B1 (ko) 프로판-부탄가스 겸용버너의 가스전환밸브
EP2737251B1 (en) A stove with safety valve
US2356326A (en) Gasoline tank fitting
CN214274529U (zh) 一种轻烃储存防泄漏的密封阀
KR102277194B1 (ko) 가스안전밸브
CN201973307U (zh) 一种新型燃气卡式阀
KR101270057B1 (ko) 돔형가스용기 접속용 연결 어댑터
KR20120116704A (ko) 범용 가스용기 접속어댑터
KR200373560Y1 (ko) 휴대용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