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616B1 -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616B1
KR100626616B1 KR1020040079711A KR20040079711A KR100626616B1 KR 100626616 B1 KR100626616 B1 KR 100626616B1 KR 1020040079711 A KR1020040079711 A KR 1020040079711A KR 20040079711 A KR20040079711 A KR 20040079711A KR 100626616 B1 KR100626616 B1 KR 10062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etal
acid
ether
composition
deter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828A (ko
Inventor
송재관
염재우
Original Assignee
(주)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스 filed Critical (주)바스
Priority to KR102004007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알루미늄보다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합금, 니켈, 크롬 합금강, 스테인레스, 두랄루민 등 금속류 전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3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세정 보조제 및 상안정화제 5 내지 45 중량% 및 잔량의 물(H2O)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은 금속 중에서 부식이 쉬운 알루미늄의 부식 방지력이 우수하면서도 정전기 방지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세정제로 많이 사용되어 왔던 오존 파괴물질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아 외부로 폐기된 경우에도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적은 환경 친화적인 세정제 조성물이라는 장점이 있다.
금속, 세정제, 알루미늄, 휘발성 유기화합물, 계면활성제.

Description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Liquid compostion for cleaning metal}
도 1은 부식력을 테스트 하지 않은 순수 알루미늄 표면의 SEM 사진.
도 2는 부식력을 테스트 하지 않은 항공기 소재용 두랄루민 표면의 SEM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로 부식력을 테스트한 순수 알루미늄 표면의 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로 부식력을 테스트한 항공기 소재용 두랄루민 표면의 SEM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로 부식력을 테스트한 순수 알루미늄 표면의 SEM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로 부식력을 테스트한 항공기 소재용 두랄루민 표면의 SEM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세정제 조성물로 부식력을 테스트한 순수 알루미늄 표면의 SEM 사진.
본 발명은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알루미늄보다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합금, 니켈, 크롬 합금강, 스테인레스, 두랄루민 등 금속류 전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금속류는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재료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우리 주변을 보더라도 강(鋼)이나 알루미늄 합금, 니켈, 크롬 합금강 등 여러 금속재료가 가정, 산업체, 기계, 철도, 선박,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 인간 생활 전 분야에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알루미늄은 가볍고 질기며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여 수많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금속 표면은 대기 중의 먼지나 배기가스, 기름 등 각종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세정제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른 금속에 비해 알루미늄은 쉽게 부식되는 특성이 있어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며, 이를 위한 특허도 다수 출원되었다.
종래에는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산성 세정제와 알카리성 세정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산성 세정제로 크롬산계나 불화수소산계 세정제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들 세정제는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크롬이나 불소를 사용하지 않는 세정기술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일본 특허공보 평3-50838호, 일본 특허공보 평3-65436호의 경우 불소이온을 함유하지 않은 황 산 또는 질산을 사용하였으나, 표면 손상과 함께 세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4-0000639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6-0009116호에서는 알루미늄 표면 세척을 위해 계면활성제와 함께 산류로 황산과 오르조인산, 알카리류로는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였지만, 알루미늄 표면이 암갈색이나 흑색으로 부식되고, 알루미늄의 고유 재질에 변형을 초래하여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0-0011888호의 경우 일정한 pH를 유지하기 위해 알칸올아민 화합물인 모노에탄올아민(MEA, Mono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EA, 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EA, Triethanolamine)과 알카리 금속 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강 표면에 전혀 부식효과를 보이지 않거나 최소의 부식효과를 보이는 액체 수성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0-0001828호는 가성소다, 메타 또는 올소 규산소다, 트리에탄올아민에 알킬글루코사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강알카리성 투명 액상 철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알칸올아민류와 같은 유기 알카리성 세정제도 알루미늄의 부식현상을 유발한다는 문제점과 일반적으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이 쓰이는 알카리금속 메타실리케이트나 1~3호 규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부식방지 효과는 좋으나 장기 보관시 제품내에서 침전을 일으키는 경우와 미세한 구멍을 이용하여 세정을 하는 자동차나 항공기 세척시 노즐을 막히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규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층분리나 노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산나트륨과 함께 아크릴산 혹은 말레산 기초 중합체 폴리머를 사용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5618호를 보면 부식 방지력은 우수하나 장기 보관시 침전현상이 발생되었고, 또한 노즐 막힘 빈도수가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근본적인 해결을 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로 사용된 EO(Ethylene Oxide) 부가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는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낮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금속 표면에 잔류하는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었으나, 가장 중요한 부식이나 침식 문제가 발생되었고, 부식방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규산나트륨의 경우 침전, 층분리와 함께 노즐 구멍을 막히게 하여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과 노즐 막힘의 원인이 되는 규산염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부식방지력이 우수하며, 세정력과 더불어 정전기 방지효과까지 있고, 오존층 피괴물질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1,1,1-트리클로로에탄, 메틸렌클로라이드, 자일렌, 항공터빈 연료유 4호 등을 함유하지 않아 외부로 폐기된 경우에도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3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세정보조제 및 상안정화제 5 내지 45 중량% 및 잔량의 물(H2O)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은 원액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용도와 오염의 정도에 따라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효소, 항균제 및 킬레이트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 화합물로 구연산, 락트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탈산, 아디프산 및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아민옥사이드, 아미도 프로필 아민옥사이드, 코코넛디에탄올아마이드 및 솔비탄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와 이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하기 식(1)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1
식중 R은 1 분자 평균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m은 3내지 50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는 하기 식(2)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2
식중 R은 1 분자 평균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n이 3내지 50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은 하기 식(3)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3
식중 R은 1분자 평균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p+q는 2 내지 30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3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세정력을 만족시킬 수 없 고,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포발생이 많아져 헹굼 횟수가 증가하여 불편하며, 세정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던 알킬페놀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무방하나 환경호르몬의 문제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도 이미다졸리니움, 디아미도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 및 디에스테르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도 이마졸리니움은 하기 식(4)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중 R은 알킬기이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4
상기 디아미도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은 하기 식(5)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중 R은 알킬기이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5
상기 디에스테르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은 하기 식(6)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중 R은 알킬기이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6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부식방지 효과 및 정전기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5중량%를 초과할 경우 장기 안정성 측면에서 층분리와 침전이 발생하고, 세정력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알킬디메틸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분해가 쉽지 않아 환경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보정제 및 상안정화제로는 수용성 에테르, 노르말 메틸피롤리돈, 다가 및 저가 알코올 및 오렌지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에테르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및 저가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틸알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오일은 D-리모넨, L-리모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보조제 및 상안정화제는 우수한 오염액 제거력과 동시에 알루미늄을 부식시키지 않는 원료들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4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세정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기안정성에서 층분리나 침전이 발생되며, 4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안정성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세정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 하지 않다.
상기의 세정보조제 및 상안정화제 중에서 최근에는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원료들이 제품으로 많이 출시되어 있어 작업자들이 작업시 냄새로 인한 불편이 많이 줄어들게 되었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안전하여 환경부에서 고시한 2001-36호 휘발성 유기화합물 규제제품(37종) 및 물질개정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실시예>
가로 3cm, 세로 3cm의 알루미늄 판을 준비한 다음, 우지:식용유:카본블랙을 각각 2:7:1의 비율로 50℃에서 혼합하여 테스트용 오염액을 제조한다. 상기 알루미늄 판을 상기 50℃ 전후의 오염액에 담궜다가 꺼낸다. 이때 오염액은 3cm×3cm면에 도포하며, 1g 정도 도포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냉각시킨다.
실험 1 : 세정력 테스트
200g 샘플 용기에 세정액 원액 150g에 오염액을 묻힌 상기 알루미늄 시편을 담근 후 60℃의 건조기(Dry Oven)속에서 1일(24시)간 정치한다. 정치하면서 3시간에 2~3회씩 동일하게 흔들어 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알루미늄 시편을 꺼내어 증류수로 세척하고 드라이기로 말린 후 다음 세정력 식에 따라 오염물질의 잔류상태를 계산하여 평가한다. 또한 세척 전 후의 알루미늄 시편과 오염액의 무게를 소수점 4자리까지 정확하게 기록하여 둔다.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7
아래 표 1은 세정력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구분 세정력 평가 기준
3 95% 이상 오염액 제거
2 80% 이상 오염액 제거
1 60% 이상 오염액 제거
0 50% 이상 오염액 제거
실험 2 : 부식력 테스트
세정력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식력 테스트를 진행하지만 알루미늄 시편에 오염액은 묻히지 않고, 60℃의 Dry Oven속에서 1일(24시)간 정치한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알루미늄 시편을 꺼내어 증류수로 세척하고 드라이기로 말린 후 부식상태를 육안 평가한다.
아래 표 2는 부식력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구분 부식력 평가 기준
3 표면에 암갈색이나 흑색의 부식된 흔적이 전혀 없음
2 표면에 황색의 부식된 흔적이 육안으로 보임
1 표면에 갈색의 부식된 흔적이 육안으로 확실히 보임
0 표면에 흑색의 부식된 흔적이 육안으로 확실히 보임
실험 3 : 정전기 방지력 테스트
표면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세정액 원액 3g을 측정하고자 하는 자동차 표면에 약 50×50cm 면적으로 스프레이한 후 수건으로 닦고 1분 후 표면 저항을 측정한다. 측정시 습도는 50±5%, 온도는 25℃이다. 이때 사용한 표면저항 측정기는 Surface Resistance Meter SRM 110(Wolfgang Warmbier 제조)이다.
아래 표 3은 정전기 방지력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구분 정전기 방지력 평가 기준
표면 고유저항(Ω/cm) 대전현상
3 표면 저항값이 1010~ 1012 대전후 즉시 감쇠
2 표면 저항값이 1012 ~ 1013 대전후 서서히 감쇠
1 표면 저항값이 1013 이상 정전하가 축적
실험 4 : 안정성 테스트
200g 샘플 용기에 세정액 원액 150g을 넣고 고온(45℃)의 인큐베이터(Incubator) 내에서 30일간 정치한다. 30일후 꺼내어 세정제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세정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특히, 층분리와 침전 발생이 생겼는지를 관찰한다.
아래 표 4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의 조성 비율(중량%)을 나타낸다.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1 Polyoxyethylene LaurylEther (EO=5몰) 10 10
2 Polyoxyethylene LaurylEther (EO=9몰) 10 15 3 10 10 3
3 Polyoxyethylene OleylEster (EO=5몰) 5 5
4 Polyoxyethylene OleylEster (EO=14몰) 5 5 5
5 Polyoxyethylene LaurylAmine (EO=7몰) 5 15 5 5 10 5
6 Polyoxyethylene LaurylAmine (EO=20몰) 5 5
7 솔비탄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EO 20몰) 2 4
8 Alpha Olefin Sulfonate 10
9 Dialkyl Imidazolynium salt 5 8 3
10 Dialkylamido Quaternary ammonium salt 5 3
11 Ethanol 2 4 2 2 2 2
12 Propylene glycol 5 2 2 2 2 3
13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10 4 15 10 2 2 2 2
14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2 15 10 2 2 2 2
15 오렌지오일(D-리모넨) 3 4 5 3 3 3 3
16 NaOH 2 3
17 H2SO4 1
18 DEA 4
19 3호 규산나트륨 5
20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 비율로 평가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1 세정력 3 (97%) 3 (99%) 3 (95%) 3 (98%) 3 (98%) 3 (97%) 2 (92%) 3 (97%)
2 부식력 3 (없음) 3 (없음) 3 (없음) 3 (없음) 0 (부식) 0 (부식) 0 (부식) 3 (없음)
3 정전기 방지력 3 (1011) 3 (1011) 3 (1010) 3 (1011) 1 (1013) 1 (1013) 1 (1013) 1 (1013)
4 안정성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층분리 침전, 층분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보듯이 세정 성분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세정 보조제 및 상안정화제인 수용성 에테르, 알코올류 등을 함유할 경우 세정력이 우수해지며, 동시에 장기 보관시 안정성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특정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조성물은 부식방지력과 정전기 방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에서 보듯이 유기계 및 무기계 알카리제를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부식이 발생하였으며, 정전기 방지 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산염류인 메타규산나트륨이나 비교예에서 사용된 3호 규산나트륨의 경우 안정성면에서도 침전이나 층분리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수 알루미늄 표면에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시킨 후 SEM 사진을 촬영한 결과 표면에 부식현상뿐만 아니라 균열현상이 발생되었으며,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보다 비교예 2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더 심한 부식 및 균열현상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도시하고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세정 보조제 및 상안정화제를 사용하여 알루미늄의 부식 방지력이 우수하면서도 정전기 방지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세정제로 많이 사용되어 왔던 오존 파괴물질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아 외부로 폐기된 경우에도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적은 환경 친화적인 세정제 조성물이라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금속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35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세정보조제 및 상안정화제 5 내지 45 중량% 및 잔량의 물(H2O)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아미도 이미다졸리니움, 디아미도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 및 디에스테르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아민옥사이드, 아미노프로필아민옥사이드, 코코넛디에탄올아마이드 및 솔비탄지방산알킬에스테르와 이의 에틸렌옥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하기 식(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8
    상기 식 중, R은 1분자 평균 8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m은 3내지 50 사이의 정수이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4045432916-pat00009
    상기 식 중, R은 1분자 평균 8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m은 3 내지 50 사이의 정수이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은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4045432916-pat00010
    상기 식 중, R은 1분자 평균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알킬기이고, p+q가 2 내지 30 사이의 정수이다.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도 이미다졸리니움은 하기 식(4)로 표시되며, R은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6020246981-pat0001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미도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은 하기 식(5)로 표시되며, R은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6020246981-pat00012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스테르 알콕실레이트 4차 암모늄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며, R은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06020246981-pat00013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보조제 및 상안정화제로는 수용성 에테르, 노르말 메틸피롤리돈, 다가 및 저가 알코올 및 오렌지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에테르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및 저가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틸알코올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 오일은 D-리모넨, L-리모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은 효소, 항균제 및 킬레이트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 화합물은 구연산, 락트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탈산, 아디프산 및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20040079711A 2004-10-06 2004-10-06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062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711A KR100626616B1 (ko) 2004-10-06 2004-10-06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711A KR100626616B1 (ko) 2004-10-06 2004-10-06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828A KR20060030828A (ko) 2006-04-11
KR100626616B1 true KR100626616B1 (ko) 2006-09-25

Family

ID=3714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711A KR100626616B1 (ko) 2004-10-06 2004-10-06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11B1 (ko) * 2013-11-25 2015-03-09 주식회사 위즈켐 환경친화형 메탈-프리 세정제
KR101458630B1 (ko) * 2014-06-27 2014-11-12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타르타릭산과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1497879B1 (ko) * 2014-09-30 2015-03-04 송봉연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7167A (ko) * 2016-12-12 2018-06-20 김윤겸 수용성 세정제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CN114292711B (zh) * 2021-12-17 2024-01-23 张家港迪克汽车化学品有限公司 汽车空调冷凝器和散热器清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58494B (zh) * 2022-05-17 2024-03-15 圣戈班汇杰(杭州)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泥清洗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828A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2909C (en) Higher molecular weight diols for improved liquid cleaners
EP0527625B1 (en) Glass cleaning composition
CN111705323A (zh) 一种不锈钢环保清洗剂及清洗不锈钢零件的方法
CA2443645A1 (en) Low foaming/defoam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oxylate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U2002257654A1 (en) Low foaming/defoam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oxylate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O1996000316A1 (en) Non-silicated soft metal safe product
EP1945745A2 (en)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CN110629234B (zh) 一种有色金属清洗剂及清洗有色金属零件的方法
US7384902B2 (en) Metal brightener and surface cleaner
KR100626616B1 (ko) 액상 금속 세정제 조성물
KR101087087B1 (ko) 수계 세정제 조성물
US3048547A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cleaning aluminum surfaces
US20080081777A1 (en) Cleaning agent composition
EP0719323B1 (en) Cleaning composition
WO1998050505A1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for cleaning substrates and method of using same
CA2654120A1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JP2005514493A (ja) 運搬手段の外部表面の洗浄剤
JP2005514493A6 (ja) 運搬手段の外部表面の洗浄剤
JP2000008080A (ja) 工業用洗浄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KR101765212B1 (ko) 천연계 태양광 웨이퍼 세정제 조성물
JP3596912B2 (ja) リンス不要洗浄剤
JPS62257994A (ja) ガラスクリ−ナ−組成物
CN114958494B (zh) 一种水泥清洗剂
CN111019772A (zh) 一种清洗剂
KR101294303B1 (ko) 준수계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