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458B1 -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458B1
KR100626458B1 KR1020040099660A KR20040099660A KR100626458B1 KR 100626458 B1 KR100626458 B1 KR 100626458B1 KR 1020040099660 A KR1020040099660 A KR 1020040099660A KR 20040099660 A KR20040099660 A KR 20040099660A KR 100626458 B1 KR100626458 B1 KR 10062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eat
built
door
transf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873A (ko
Inventor
임형근
이윤석
전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4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장고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 중 발열량이 가장 높은 응축기와 상기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열판에 열전달 매체(열 사이펀)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된 열이 열전달 매체를 통해 아웃 케이스 내지 도어에 설치된 방열판에서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기계실의 방열을 위한 빌트인 장에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빌트인 장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설치공간을 감소시킨다.
빌트인, 냉장고, 열 사이펀, 방열

Description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REDIATING APPARATUS OF BUILT-IN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빌트인 냉장고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매체가 설치된 빌트인 냉장고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매체가 설치된 빌트인 냉장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도 5는 도어에 방열판이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의 단락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실내 바닥면 12 : 실내 측벽
13 : 흡기유로 14 : 배기유로
20 : 냉장고 본체 21 : 지판
22 : 기계실 23 : 걸레받이
24 : 냉장고 도어 25 : 통기공
30 : 빌트인 장 31 : 도어패널
110 : 아웃 케이스 112 : 이너 케이스
120 : 방열판 130 : 열전달 매체
132 : 집열부 135 : 기계실 백커버
140 : 기계실 141 : 압축기
142 : 응축기 150 : 도어
152 : 도어패널 154 : 방열핀
본 발명은 빌트인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장고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 중 발열량이 가장 높은 응축기와 상기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열핀에 열전달 매체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된 열이 열전달 매체를 통해 아웃 케이스에 위치한 방열판으로 방출하기 위한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트인(BUILT-IN)이란, 각종 주방기기들을 부엌 가구 안에 내장한 뒤 표면을 깔끔하게 마무리 하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빌트인 타입의 가전제품은 주방공간 및 인테리어를 고려해 냉장고,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드럼세탁기, 전자레인지, 김치냉장고, 가스오븐, 쿡탑 등이 주로 주방의 싱크대 또는 수납장 등과 일체로 구성되는 붙박이형의 가전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빌트인 타입 가전제품 중 냉동식품과 냉장식품 또는 김치와 같은 발효 식품들을 장기간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적당히 낮은 온도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이 구비된 종래 빌트인 타입 냉장고 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빌트인 냉장고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내의 바닥면(11)에서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지판(21)과, 실내의 측벽(12)으로 부터 일정공간을 두고 지판(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장고 본체(20)와,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기계실(22)과,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전면 하부에서 바닥을 가로지르는 걸레받이(23)와,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도어(24)에 도어패널(31)이 부착되고 여유공간에 수납장(32)이 형성되는 빌트인 장(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레받이(23)에 통기공(25)이 형성되며, 바닥면(11)과 지판(21)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기계실(22)의 방열을 위한 흡기유로(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12)과 냉장고 본체(20)의 배면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기계실(22)에서 방열된 공기가 빌트인 장의 상부로 빠져나가는 배기유로(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걸레받이(23)는 빌트인 장(30)의 하부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오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빌트인 장(30)과 걸레받이(23) 및 지판(21)은 주로 목재나 그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무늬 및 모양이 코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빌트인 냉장고는, 냉장고가 작동되면 기계실에 설치된 압축기나 응축기와 같은 장치에서, 냉장 및 냉동에 필요한 냉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많은 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기계실에서 발생된 열을 빌트인 냉장고의 외부로 배기 시키기 위하여, 상기 빌트인 장(3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걸레받이(23)의 통기공(25)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빌트인 장(30)의 하부에 설치된 지판(21) 및 바닥면(11)사이에 형성된 흡기유로(13)를 통해 기계실(22)에 유입되어 상기 기계실(22)에서 발생된 열을 식히고 난 후, 냉장고 본체(20)의 배면과 측벽(12) 사이의 배기유로(14)를 통해 빌트인 장의 상부로 흘러 빌트인 장(3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빌트인 냉장고는, 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에 의해 빌트인 장의 부피가 증대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응축기가 냉장고의 배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냉장고는, 냉장고의 배면과 실내의 측벽에 공간을 두어 설치되어야만 원활한 방열효과가 발생되기 때문에 그만큼 설치공간을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판의 상부에 냉장고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판이 냉장고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내려 앉는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빌트인 장의 흡기유로와 배기유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냉장고의 작동에 따른 방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빌트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빌트인 장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며, 냉장고가 설치되는 지판을 없 에 지판의 뒤틀림이나, 냉장고가 내려 앉는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빌트인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냉장고에서 방출되는 열을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포함시켜 방출시키는 빌트인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과 냉장고의 발열량이 높은 영역이 연결되는 열전달 매체가 포함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과 응축기가 열전달 매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달 매체는, 발열량이 높은 영역에 설치되는 집열부와 냉장고 의 아웃 케이스에 설치된 방열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 매체는 냉장고의 단열벽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과 냉장고의 발열량이 높은 영역이 연결되는 열전달 매체가 포함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 매체는, 냉장고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방열판과의 접촉이 단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판에 도어패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에 방열핀이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패널의 재질은 황토판넬, 숯판넬, 옥판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매체가 설치된 빌트인 냉장고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빌트인 장(30)은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데, 상기 빌트인 장(30)에 매설되는 냉장고의 사용빈도에 따라 부엌과 같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빌트인 장(30)은 여러가지의 빌트인용 전자제품이 함께 매설되므로, 다수의 칸으로 구획된 수납장(32)이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빌트인 장(30)에 냉장고 본체(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장고 본체(20)는 일반적으로 이너 케이스(112)와 아웃 케이스(110)의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지고, 상기 이너 케이스(112)의 내측으로 음식물을 저장한 용기를 보관하는 냉장실 및 냉동실로 구성되어,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의 정면에 도어(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 팽창변, 증발기, 응축기에 냉매가스가 충전되어 상기 냉매가스가 순환을 반복하여 냉각 효과를 얻게 되는데, 상기 압축기(141) 및 응축기(142)와 같은 작동중 온도가 높은 장치들은 냉장고 배면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14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 작동중, 발열량이 가장 높은 기계실(140)과 냉장고 본체(20)의 아웃 케이스(110)를 연결하는 열전달 매체(130)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달 매체(130)는 열 사이펀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열 사이펀(THERMOSYPHON)은, 중력이 작용하는 곳에서 액체가 기체로 바뀌는 2상변화에 의하여 특정부위에서 발생되는 열을 작동유체가 흡수하여, 상기 작동유체가 기체로 바뀌면서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신속히 이동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아웃 케이스(110)에 설치된 방열판(120)과, 기계실(140)의 비교적 발열량이 높은 응축기(142)가 열전달 매체(130)가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142)에서 발생된 열을 아웃 케이스(110)에 설치된 방열판(120)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냉장고의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142)에는 응축기(142)에서 발생된 열을 모으기 위한 집열부(132)가 설치되고, 상기 집열부(132)와 연결되는 열전달 매체(130)가 냉장고 본체(20)의 이너 케이스(112)와 아웃 케이스(110)에 형성된 단열벽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아웃 케이스(110)에 설치된 방열판(120)으로 연결되는 냉장고의 방열구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방열을 위한 열전달 매체(130)가 설치된 냉장고는, 실내에 설치되는 빌트인 장(30)에 설치되는데, 상기 빌트인 장(30)에는, 냉장고의 방열을 위한 흡기유로와 배기유로가 형성될 필요가 없기때문에, 실내 측벽(12)과 바닥(11)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빌트인 장(30)에 냉장고의 방열을 위한 흡기유로와 배기유로가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냉장고의 배면에 설치되는 응축기(142)가 기계실(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변경이 가능해져 다양한 냉장고 타입이 빌트인 장(3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는다.
한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와 도어패널 사이에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냉장고에서 오픈되면 방열판과의 연결이 단락되며, 상기 냉장고에서 방출되는 열에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포함시켜 방출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매체(130)가 설치된 빌트인 냉장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빌트인 장에 설치되는 여닫는 구조로 이루어진 빌트인 전자제품(오븐,냉장고등)의 경우에는 빌트인 장의 형상과 모양이 동일한 도어패널(152)을 냉장고 도어(150)에 부착시켜 빌트인 장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통일시키고 상기 빌트인 장과 빌트인 전자제품이 어우러지는 실내 인테리어를 꾸미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도어패널(152)이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150)에, 방열을 위한 열전달 매체(13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150)와 도어패널(152) 사이에 방열판(120)이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120)과 열전단 매체(열 사이펀)이 연결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130)는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12) 사이의 단열재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12) 사이에 설치된 열전달 매체(130)는, 냉장고 기계실(140)로 연장되어 집열부(132)에 접촉된다.
상기 기계실(140)은, 냉장고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압축기(141)와 응축기(142) 및 냉장고의 작동에 따른 기타 부속장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들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기계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백커버(1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0)에 설치된 장치들 중 발열량이 가장 높은 곳에 집열부(132)를 설치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응축기(14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집열부(132)는 기계실(140)의 모든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142)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매체(150)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도어(150)에 설치되는 도어패널(152)에 황토, 숯, 옥과 같은 가열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재질을 내장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패널(152)은 열전달 매체(130)에서 열 이동하는 방열판(120)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열판(120)에서 발산되는 열이 도어패널(152)을 가열시켜 상기 도어패널(152)에 포함된 황토, 숯, 옥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패널(152)에 별도의 방열핀(154)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방열핀(154)은 열방출 면적을 극대화시킨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방열핀(154)은 상기 냉장고 도어(150)에 설치된 방열판(120)과 연결되어 열전달 매체(130)에서 이동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장고 외부로 방출시키는 한편, 도어패널(152)의 황토, 숯, 옥으로 부터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도와 도 5는 냉장고 도어에 방열판이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의 단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계실(140)의 집열부(132)에 연결된 열전달 매체(130)는, 냉장고의 단 열벽, 즉, 냉장고의 단열을 위해 형성된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장고 본체(20)의 정면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130)의 끝단에는 열전도가 높은 구리재질의 접촉부(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정면 일측으로 냉장고의 도어(150)가 설치되도록 힌지 브라켓(160)이 설치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160)을 중심으로 냉장고 도어(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50)에 방열판(120)과 도어패널 (152)및 방열핀(15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20)에 형성된 접촉부(134)와 접촉가능하도록 방열판(120)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50)의 연부를 따라 연장된 접촉단자(136)가 상기 접촉단자(136)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접촉부(134)와 마찮가지로 열전도가 뛰어난 구리재질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정면으로 냉장고 도어(150)가 설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50)가 힌지 브라켓(160)을 중심으로 냉장고에 닫히게 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50)에 설치된 접촉단자(136)가 냉장고 본체(20)에 설치된 접촉부(134)와 연결되어 기계실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전달 매체(130)를 통해 냉장고 도어(150)에 설치된 방열판(12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50)를 오픈하게 되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접촉부(134)에서 접촉단자(136)가 단락되어 열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빌트인 장에 설치된 냉장고 도어를 오픈하게 되면, 도어에 설치된 방열판에서의 열 방출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의한 불쾌감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에 따르면, 응축기에서 발생된 열이 집열부에 모여, 상기 단열벽내에 설치된 열 사이펀을 이동하여 방열판에서 방출하게 되면, 열 사이펀을 이동하는 열의 손실을 막게되어 냉장고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기계실의 응축기와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에 설치된 방열판을 열 사이펀으로 연결하게 되면, 기계실의 방열을 위한 빌트인 장에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빌트인 장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가 냉장고의 배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냉장고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매체를 설치함으로서, 응축기를 냉장고 배면의 하부에 설치된 기계실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변경이 가능해지고, 냉장고의 배면에서 응축기가 사라짐으로서, 배기유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방열판이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패널에 포함된 황토, 숯, 옥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 및 음 이온에 의해 신체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도어를 오픈하게 되면, 냉장고의 정면에 설치된 접촉부와 도어에 설치된 접촉단자의 연결이 단락되어 도어에 설치된 방열판에서의 열 방출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의한 불쾌감이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형성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과 냉장고의 발열량이 높은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방열판과의 접촉이 단락되는 열전달 매체;가 포함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 구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에 도어패널이 설치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 방열핀이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연결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재질은 황토판넬, 숯판넬, 옥판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KR1020040099660A 2004-12-01 2004-12-01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KR100626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660A KR100626458B1 (ko) 2004-12-01 2004-12-01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660A KR100626458B1 (ko) 2004-12-01 2004-12-01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73A KR20060060873A (ko) 2006-06-07
KR100626458B1 true KR100626458B1 (ko) 2006-09-20

Family

ID=3715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660A KR100626458B1 (ko) 2004-12-01 2004-12-01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4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73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274B1 (ko) 냉장고
US7143599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lay
JP6405523B2 (ja) 冷蔵庫
AU2020346227B2 (en) Refrigerator
JP3904866B2 (ja) 冷蔵庫
JP2013011397A (ja) 貯蔵庫内蔵家具
JP5254578B2 (ja) 冷蔵庫
JP2008002697A (ja) 冷蔵庫
JP2008082625A (ja) 冷凍冷蔵庫及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キッチン
KR100626458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구조
JP2007064596A (ja) 冷蔵庫
JP4200334B2 (ja) 冷蔵庫
JP2001041639A (ja) 冷蔵庫
JP2007064598A (ja) 冷蔵庫
JP2007064553A (ja) 冷蔵庫
JP2007057193A (ja) 冷蔵庫
CN219141254U (zh) 冰箱
CN212815536U (zh) 冷藏柜
CN219390180U (zh) 半导体制冷的制冷设备
JP5620538B2 (ja) 冷蔵庫
JP5617003B2 (ja) 冷蔵庫
RU2313048C1 (ru) Холодильник
CN102692111B (zh) 冷藏库
JP3904023B2 (ja) 冷蔵庫
KR200328713Y1 (ko) 싱크대용 서랍식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