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691B1 -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91B1
KR100625691B1 KR1020040108795A KR20040108795A KR100625691B1 KR 100625691 B1 KR100625691 B1 KR 100625691B1 KR 1020040108795 A KR1020040108795 A KR 1020040108795A KR 20040108795 A KR20040108795 A KR 20040108795A KR 100625691 B1 KR100625691 B1 KR 10062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prefabricated building
weight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149A (ko
Inventor
정양호
Original Assignee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6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04B2002/728Butt-joining plasterboards in the space between two st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건물의 기초층(10)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100)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벽체 골격(101)과, 기초층(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210)가 구비되고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와, 상기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2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부(210)에 걸어물림 구조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면서 건물의 기초층(10) 위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연결하여 벽체 골격(101)를 형성하고,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고정한 후,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200) 사이에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을 삽입하여 걸림 구조로 조립하는 것으로, 벽체 골격(101)의 시공 작업과 외장패널(300)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벽체 골격(101)의 조립 구조 및 벽체 골격(101)과 외장패널(300)의 조립 구조의 내구력이 매우 높아, 시공성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다. 그리고,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와 나무 칩, 규산소다, 황산알루미늄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성형한 고강도 외장패널(3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일반 시멘트를 이용한 패널과 비교하여 볼 때 압축강도, 굽힘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약 3배 이상 증가하고, 단열성, 방음성, 내화성도 우수하며,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과 내구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패널 연결부재(200)가 상,하측으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의 서로 인접한 단부가 일정한 폭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형태로 외장패널(300)의 내측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외장패널(300)의 틈새로 우수가 침투되는 경우에도 패널 연결부재(200)에서 차단되어 누수가 완벽하게 방지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PREFABRICATE WALL STRUCTURE OF ENTIRELY PREFABRICATE BUILDING}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을 시공 중인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도 2는 조립식 벽체를 시공 중인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조립식 벽체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조립식 벽체의 패널 연결부재와 외장패널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조립식 벽체의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위 프레임 101 : 벽체 골격
111,112 : 상,하측 횡부재 113,114 : 좌,우측 종부재
115 : 중간 종부재 200 : 패널 연결부재
210 : 연결부 211 : 받침부
212 : 걸림부 220 : 방수판재
300 : 외장패널 301 : 걸림홈
본 발명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기초층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을 조립하고, 각 단위 프레임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를 조립한 후, 상하로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 사이에 외장패널을 횡방향으로 삽입하여 패널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의해 외장패널이 걸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간편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도록 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하우스는 건물의 뼈대를 아연도금 경량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한 집을 말하며, 기본적 구조는 기둥과 같은 스터드부재와 벽면 상하의 트랙부재, 바닥이나 천장을 받쳐주는 조이스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틸하우스는 먼저 시공성에 있어서 공장에서 미리 구조에 맞는 스틸스터드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줄어 들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자체 중량에 비하여 단면 성능과, 내하 능력이 강하고 내구성, 내식성, 내진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이다.
그리고 기본 구조가 철이므로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하며 또 재활용을 하여도 기능이나 질적인 면에서 거의 변화가 없으므로 거의 반영구적이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을 줄어들게 해서 환경친화적인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간활용성에 있어서도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철거가 쉽고 변경이 가능하므로 자유로운 공간활용을 할수 있고, 같은 평형 기준으로 일반 철근콘크리트조나 벽돌조보다 벽체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스틸하우스는 건물 골조와 벽체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시공기일이 지연 되어 공사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고, 구조재의 복잡한 조립 구조로 인하여 다양한 디자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건물 골조와 벽체를 복잡한 공정으로 시공하므로 시공자의 시공능력에 따라 결로와 단열, 내화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틸하우스 및 철골조 주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틸하우스의 장점들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건물의 기초층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을 조립하고, 각 단위 프레임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를 조립한 후, 상하로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 사이에 외장패널을 횡방향으로 삽입하여 패널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의해 외장패널이 걸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간편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일체 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조립식 벽체는 조립식 건물의 기초층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벽체 골격과, 기초층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벽체 골격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와, 상기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부에 걸어물림 구조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외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를 들어, 상기 단위 프레임은 상,하측 횡부재와 좌,우측 종부재를 장방형으로 조립하고, 중간 종부재를 중간부에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 연결부재는 판재의 하단부에 받침부와 걸림부를 가지는 연결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외장패널은 상기 연결부의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상,하단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패널 연결부재는 각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 골격의 외면에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의 하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의 상단부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장패널은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나무 칩, 모래 및 실리카 등의 혼합물로 성형되어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면서 벽체 골격의 시공 작업과 외장패널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벽체 골격의 조립 구조 및 벽체 골격과 외장패널의 조립 구조의 내구력이 매우 높아, 시공성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다. 그리고 외장패널의 압축강도, 굽힘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단열성, 방음성, 내화성도 우수하며,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과 내구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을 시공 중인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조립식 벽체를 시공 중인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에는 조립식 벽체의 부분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조립식 벽체의 패널 연결부재와 외장패널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조립식 벽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채용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은 대지 위에 시공되는 기초층(10)과, 상기 기초층(10)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벽체(20)와, 상기 조립식 벽체(20)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립식 벽체(20)는 기초층(10) 위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100)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벽체 골격(101)과, 기초층(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210)가 구비되고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와, 상기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2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부(210)에 걸려 고정되는 복수개의 외장패널(외장판재)(300)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단위 프레임(100)은 상,하측 횡부재(111),(112)와 좌,우측 종부재(113),(114)를 장방형으로 조립하고, 필요에 따라 중간 종부재(115)를 중간부에 조립하여 형성한다.
상기 각 부재(111∼115)는 ㄷ자형 채널을 절단하여 이용하고 연결부를 볼트(116)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에는 판재가 이용되고 패널 연결부재(200)의 연결부(210)는 받침부(211)와 걸림부(212)를 갖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각 부재(111∼115)의 ㄷ자형 채널과 패널 연결부재(200)의 판재에는 아연도금 강재, 스테인레스 강재와 같은 내식성 강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장패널(300)에는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를 함유한 무기재로 성형된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석재, 목재, 철판재 등의 다른 재질의 판재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300)은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의 걸림부(21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01)이 상단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방법은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100)을 연결하고 건물의 기초층(10) 위에 고정하여 벽체 골격(10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걸림부(212)를 갖는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상기 걸림부(212)가 수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복수단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하는 단계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200)의 걸림 부(212) 사이에 외장패널(30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장패널(300)의 조성은 바람직한 강도, 열성, 차음 등의 특성을 갖도록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나무 칩, 규산소다, 황산알루미늄을 혼합한 혼합물을 혼련하고 성형하여 판상의 성형체를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장패널(300)은 중량율로서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약 57∼80중량%와 나무 칩 10∼30중량%, 규산소다 3∼10중량%, 황산알루미늄 1.0∼3.0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을 물/시멘트비 0.4∼0.5되게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성형하여 판상의 성형체를 제조한다. 이 때 가압 조건은 면압이 약 700톤/㎡로 프레스 하여 50∼70℃에서 양생시켜 제조한다.
상기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는 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및 칼슘·철·마그네시움 실리케이트((Ca·Fe·Mg)SiO3))로 조성되고, 그 조성 비율은 바람직한 강도와 속경성을 갖도록 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가 약 40∼65%,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약 30∼45%,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 및 칼슘·철·마그네시움 실리케이트((Ca·Fe·Mg)SiO3))가 약 5∼15%이며, 브레인 분말도가 약 4200㎠/g이다.
상기한 고강도 속경성 외장패널의 정량적 조성에 있어서,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의 구성비가 57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품의 강도가 저하되고, 80중량% 이상에서는 제품의 강도는 증가하나 비중이 증가하여 경량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나무 칩 사용량은 5중량% 이하에서는 제품의 비중이 증가되고, 10중량% 이상에 서는 비중은 감소하나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저하된다.
상기 외장패널(300)의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외장패널의 물성
항목 시험결과
압축강도(MPa) 20
경도(MPa) 55
굴절강도 패널두께(㎜) 25 30
강도(MPa) 10 10
탄성(N/㎟) 4500
수분함량(%) 9
수분흡수후 팽창율 시간(hr) 2시간침적 24시간침적 24시간이상
팽창율(%) 1 1.5 2.0
밀도(㎏/㎥) 1100
단위면적당 중량 패널두께(㎜) 10 25 30
중량(㎏/㎡) 11 27.5 33
열전도성 0.18W/m k
내열도 220℃에서 변형 없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프레임(100)의 외면에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을 조립한 후에는 단위 프레임(100)의 내면에 내장패널(400)이 부착되고, 이 내장패널(400)에는 단열 흡음재로 성형된 단열 흡음패널(410) 또는 통상의 내장패널이 이용된다.
상기 단위 프레임(100)의 단위 프레임(100)의 내측부, 즉 외장패널(300)과 내장패널(400)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 흡음재를 충진한다.
상기 단열 흡음재에는 발포 펄라이트 또는 버미쿨라이트 입자에 규산소다, 메틸셀루로즈,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된다.
상기 단열 흡음패널(410)에는 발포 펄라이트 또는 버미쿨라이트 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발포 펄라이트 또는 버미쿨라이드 패널은 약 2∼5㎜ 크기의 발 포 펄라이트 또는 버미쿨라이트 입자에 규산소다, 메틸셀루로즈,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바인더로 첨가하여 일정 두께의 판재로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조립식 벽체의 구체적인 한 시공 형태는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100)이 기초층(10)위에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기초층(10)에 고정되어 벽체 골격(101)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복수개의 판상 패널 연결부재(200)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200)의 하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200)의 상단부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의 사이에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이 횡방향, 즉 지면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각 외장패널(300)의 하단면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210)의 받침부(211) 위에 접촉되고, 각 외장패널(300)의 상단면에 형성된 걸림홈(301)에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부(210)의 걸림부(212)가 끼워지는 형태로 걸려 고정된다.
이어서, 벽체 골격(101)의 내면에 내장패널(400)을 고정하고, 내장패널(400)과 외장패널(300) 사이의 내부에 단열 흡음재 또는 통상의 충전재를 충진하여 조립식 벽체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채용되는 조립식 건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건물의 기초층(10), 조립식 벽체(20), 트러스(31) 등의 재질, 형상 및 치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립식 벽체(20)에 창문, 통기창 등을 설치할 수 있고, 그외 구체적인 작업은 통상의 시공예를 활용하여 실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형태에서 단위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패널 연결부재(200)는 우수 침투 방지를 위하여 서로 인접된 단부가 상하로 일정한 폭으로 겹쳐지도록 넓은 폭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6 및 도 7과 같이 받침부(211)와 걸림부(212)만 구비되도록 좁은 폭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좁은 폭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별도의 방수를 위한 방수판재(220)를 고정하고, 이 방수판재(220)의 외면에 좁은 폭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후, 외장패널(300)을 조립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형태는 외장패널(300)의 상단면에 하나의 걸림홈(301)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태는 외장패널(300)의 상,하단면 양쪽에 걸림홈(301)이 형성되고, 패널 연결부재(200)도 걸림부(212)가 양쪽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상,하단 걸림홈(301)을 패널 연결부재(200)의 걸림부(212)로 걸어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벽체 골격(101)을 이루는 단위 프레임(100)의 외면에 별도의 방수를 위한 방수판재(220)를 고정하고, 이 방수판재(220)에 형성한 삽입홈(221)에 한 쌍의 걸림부(212)를 가지는 패널 연결부재(200)를 삽 입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후, 외장패널(300)을 조립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 방수판재(220)에 패널 연결부재(200)를 용접으로 미리 고정한 후,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가 미리 결합되어 있는 방수판재(220)를 단위 프레임(100)에 조립한 후, 외장패널(300)을 조립하는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방수판재(220)에 패널 연결부재(20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방수판재(220)에 고정홈(2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패널 연결부재(200)를 방수판재(220)의 고정홈(221)에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하는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로서 걸림부(212)가 양쪽으로 구비되는 H자형 단면의 부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H자형 패널 연결부재(200)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아연도금 강판재 ㄷ자형 채널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립식 벽체(20)를 이루는 단위 프레임(100), 패널 연결부재(200) 및 외장패널(300) 등의 재질, 형상 및 치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면서 건물의 기초층(10) 위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연결하여 벽체 골격(101)를 형성하고,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를 고 정한 후,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200) 사이에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을 삽입하여 걸림 구조로 조립하는 것으로, 벽체 골격(101)의 시공 작업과 외장패널(300)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벽체 골격(101)의 조립 구조 및 벽체 골격(101)과 외장패널(300)의 조립 구조의 내구력이 매우 높아, 시공성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다.
그리고,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와 나무 칩, 규산소다, 황산알루미늄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성형한 고강도 외장패널(3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일반 시멘트를 이용한 패널과 비교하여 볼 때 압축강도, 굽힘 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약 3배 이상 증가하고, 단열성, 방음성, 내화성도 우수하며, 무게도 가벼워 시공성과 내구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패널 연결부재(200)가 상,하측으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의 서로 인접한 단부가 일정한 폭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형태로 외장패널(300)의 내측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외장패널(300)의 틈새로 우수가 침투되는 경우에도 패널 연결부재(200)에서 차단되어 누수가 완벽하게 방지된다..

Claims (15)

  1. 조립식 건물의 벽체에 있어서, 조립식 건물의 기초층(10)에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100)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벽체 골격(101)과, 기초층(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210)가 구비되고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와, 상기 서로 인접한 패널 연결부재(2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부(210)에 걸어물림 구조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외장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프레임(100)은 상,하측 횡부재(111),(112)와 좌,우측 종부재(113),(114)를 장방형으로 조립하고, 중간 종부재(115)를 중간부에 조립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복수개의 판상 패널 연결부재(200)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200)의 하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 연결부재(200)의 상단부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골격(101)의 외면에 방수판재(220)가 고정되고, 상기 방수판재(220)에 복수개의 패널 연결부재(200)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 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는 판재의 하단부에 받침부(211)와 걸림부(212)를 가지는 연결부(210)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외장패널(300)은 상기 연결부(210)의 걸림부(212)가 삽입되는 걸림홈(301)이 상단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걸림부(212)가 구비되는 H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장패널(300)은 상기 연결부(210)의 걸림부(212)가 삽입되는 걸림홈(301)이 상,하단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300)은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30∼50중량%, 나무 칩 5∼10중량%, 모래 30∼50중량% 및 실리카 1∼10중량%인 혼합물로 성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300)은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40∼80중량%, 나무 칩 10∼30중량%, 실리카 3∼10중량%,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1∼3중량%인 혼합물로 성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300)은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 40∼80중량%, 나무 칩 10∼30중량%, 실리카 3∼10중량%,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1∼3중량%의 혼합물에 물/시멘트의 비가 0.40∼0.5되게 물을 첨가혼합하고 프레스 공법으로 가압 성형된 후, 건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강도 속경성 시멘트의 조성 비율이 칼슘알루미네이트(3CaO·5Al2O3) 40∼50%, 트리칼슘실리케이트(3CaO·SiO2) 30∼40%,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4CaO·3Al2O3·SO3)와 칼슘·철·마그네시움 실리케이트[(Ca·Fe·Mg)SiO3)] 5∼10%이며 브레인 분말도가 42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 0.1∼2㎝, 폭 0.5∼2.0㎜의 나무 칩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10㎛이하인 흄드 실리카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1∼3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4. 제 9 항에 있어서, 면압 700톤/㎡의 가압조건에서 프레스하는 것이 특징인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15. 제 9 항에 있어서, 온도 50∼7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특징인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KR1020040108795A 2004-12-20 2004-12-20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KR10062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795A KR100625691B1 (ko) 2004-12-20 2004-12-20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795A KR100625691B1 (ko) 2004-12-20 2004-12-20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149A KR20060070149A (ko) 2006-06-23
KR100625691B1 true KR100625691B1 (ko) 2006-09-28

Family

ID=3716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795A KR100625691B1 (ko) 2004-12-20 2004-12-20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01B1 (ko)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33B1 (ko) * 2011-11-30 2012-06-22 주식회사 성지기공 조립식 피디에프 복합 물탱크
KR101480091B1 (ko) * 2012-06-22 2015-01-07 이병화 구조체 기능을 갖는 모듈화된 가변형 기능벽체 세트, 이를 이용한 공간 형성 방법 및 그 구조물
WO2015009496A1 (en) * 2013-07-16 2015-01-22 Wickstrom Benjamin D Cleanroom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01B1 (ko)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149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CA2641755C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CN101974956B (zh) 内置格构钢架围护结构板及其建筑物和生产、施工方法
US7913469B2 (en) Concrete load-bearing wall with compound heat-insulating layer
US8136248B2 (en) Method of making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US6779314B1 (en) Structure formed of foaming cement and lightweight steel, and 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e system
CN101831967A (zh) 一种开口薄壁型钢-保温芯材-薄面板复合节能外墙板
KR100625691B1 (ko) 일체형 조립식 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JP36210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EP3594425B1 (en) A load-bearing wall structure
CN1117909C (zh) 组合面板及由其构成的建筑围护结构
CN101260723A (zh) 一种轻钢龙骨
KR102091308B1 (ko) 복합단열패널의 횡력보강 시공방법
KR101387602B1 (ko) 가구식과 벽식의 결구식 복합골조에 의한 복층 한식건축물의 층간구조
EP0940516A1 (en) A structural panel
CN112323967A (zh) 一种轻质抗震的装配式被动房及构建方法
JP5878867B2 (ja) ファサードを断熱するための補助的断熱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777995A (zh) 一种无机承重檩条承重组合屋面楼面
CN212896868U (zh) 一种整体轻质隔墙板
KR102131435B1 (ko) 건축구조물의 바닥충격음 감소를 통한 층간소음 및 진동 억제를 위한 보강재와 보강공법
US20230134719A1 (en) Panel for a floor or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such panel
CN210421381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板整体房屋
KR100498746B1 (ko) 지붕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구조
PL238485B1 (pl) Bezmostkowy kompozyt konstrukcyjny do budowy ścian i stropów
KR102125575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