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849B1 - 광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849B1
KR100624849B1 KR1020030082100A KR20030082100A KR100624849B1 KR 100624849 B1 KR100624849 B1 KR 100624849B1 KR 1020030082100 A KR1020030082100 A KR 1020030082100A KR 20030082100 A KR20030082100 A KR 20030082100A KR 100624849 B1 KR100624849 B1 KR 10062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detector
laser diode
optical pickup
mpd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226A (ko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8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7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를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빔의 정확한 세기 측정을 위한 모니터 포토 디텍터(Front Monitor Photo Detector: MPD)를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는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빔이 발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입사된 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빔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빔 스프리터와, 빔이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광 디스크상에 빔이 정확한 위치에 맺히도록 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을 판독하는 포토 디텍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빔의 세기를 감지하는 모니터 포토 디텍터가 포함되는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서 입사되는 빔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량 조절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픽업, 광량 조절

Description

광 픽업 장치{APPARATUS FOR OPTICAL PICK-UP}
도 1은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이저 다이오드 20 ; 빔 스프리터
30 ; MPD 40 ; 콜리메이터 렌즈
50 ; 미러 60 ; 프리즘
70 ; 엑츄에이터 80 ; 실린더 렌즈
90 ; 포토 디텍터 110 ; 레이저 다이오드
120 ; 빔 스프리터 130 ; MPD
131 ; 각도 조절 스크류 132 ; 광량 조절 슬라이더
140 ; 콜리메이터 렌즈 150 ; 미러
160 ; 프리즘 170 ; 엑츄에이터
180 ; 실린더 렌즈 190 ; 포토 디텍터
본 발명은 광 디스크를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빔의 정확한 세기 측정을 위한 모니터 포토 디텍터(Front Monitor Photo Detector: MPD)를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란 광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작은 원판형상 모양을 가진다. 광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 디스크 드라이버가 필요하고 광 디스크 드라이버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광 픽업 장치에 의해 광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하거나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광 픽업은 크게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와 광 디스크 상에서 반사되어진 빔을 판독하는 포토 디텍터(PD: Photo Detector), 그리고 입사되는 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입사 빔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가 중요 부품으로 사용된다.
한편, 광 디스크 상에 빔이 정확히 맺히기 위해서 엑츄에이터(actuator)라는 기구가 사용되는데, 엑츄에이터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온 레이저를 광 디스크 상의 정보가 기록된 정확한 지점에 모아주는 대물렌즈의 위치를 움직여 레이저에 의한 정보의 재생 및 기록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 과정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태 및 기록 기술(write strategy)에 따른 이유로 그 세기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빔의 정확한 세기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모니터 포토 디텍터(Front Monitor Photo Detector, 이하 MPD라고 한다)이다.
MPD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감지하여 이를 증폭함으로써, 출사된 빔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대물렌즈(Object Lens) 사이에 설치되며,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취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전체 빔 세기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MPD는 적은 광량에 대해서도 충분한 SN비를 가져,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며, 최대 출력의 광량에서도 신호가 포화되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출사된 빔은 빔 스프리터(20)와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40)를 통해 대물렌즈로 보내지는데, 이때, 빔 스프리터(20)를 이용하여 빔의 일부를 MPD(30)로 보내게 된다. 이 경우 빔 스프리터(20)의 반사막 특성에 따라 MPD(30)로 보내지는 빔의 양이 결정되고, 해당 빔의 양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방출된 빔의 세기를 측정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다른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두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는 예를들어, CD빔과 DVD빔을 방출한다.
빔 스프리터(20)는 입사되는 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빔을 투과하거나 반사시키고, 프리즘(60)은 CD빔과 DVD빔의 경로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미러(50)가 구비되어 콜리메이터 렌즈(40)를 통해 엑츄에이터(70)를 이용하여 빔을 광 디스크의 정확한 위치에 맺히도록 한다.
아울러,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은 미러(50), 프리즘(60), 빔 스프리터(20), 실린더 렌즈(80)를 통해 포토 디텍터(90)에 맺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MPD(30)는 프리즘(60) 또는 미러(50)의 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MPD(30)의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광량으로 인한 포화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빔의 방향으로 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MPD(30)의 위치는 입사되는 빔의 광량에 따른 증폭율, 광 부품의 투과율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슬림 광 픽업 장치와 같이 기구적인 제약이 많이 따르는 경우에는 그 위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MPD(30)에 입사되는 광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 입사되는 광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광 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 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는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빔이 발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입사된 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빔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빔 스프리터와, 빔이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광 디스크상에 빔이 정확한 위치에 맺히도록 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을 판독하는 포토 디텍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빔의 세기를 감지하는 모니터 포토 디텍터가 포함되는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서 입사되는 빔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량 조절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가 입사되는 빔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이동방향 또는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광량 조절 슬라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는 특정 파장의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10)가 구비되고, 입사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빔을 투과하거나 반사시키는 빔 스프리터(120)와, 두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방출된 빔의 경로를 일치시키는 프리즘(160)과, 미러(150)와, 빔을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40)와, 광 디스크상에 빔이 정확한 위치에 맺히도록 하는 엑츄에이터(170)가 포함되고,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이 비점이 생성되도록 하는 실린더 렌즈(180)와, 빔을 감지하는 포토 디텍터(190) 및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방출된 빔의 광량을 측정하는 MPD(130)가 포함된다.
상기 MPD(130)는 상기 빔 스프리터(120), 프리즘(160), 미러(15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MPD(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스크류(131)가 구비된다.
최근, 슬림 광 픽업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슬림 광 픽업 장치는 상기 MPD(130)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에 많은 제약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10)에서 방출되는 빔의 세기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MPD(130)가 적절한 위치에 있어야 하는데, 위치 제약을 고려하면서, 광 포화가 되지 않는 지점을 선택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PD(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의 제약 및 광 포화를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스크류(13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각도 조절 스크류(131)는 그 회전 방향에 따라 MPD(130)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MPD(130)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MPD(130)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의 제약에 상당한 자유도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광 픽업 장치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MPD(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스크류(131)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MPD(130)의 전면(광이 입사되는 방향을 가르키는 것으로서 반드시 전면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에 광량 조절 슬라이더(132)가 구비된다.
상기 광량 조절 슬라이더(13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MPD(130)의 광이 입사되는 방향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MPD(130)에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량 조절 슬라이더(132)가 이동되는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MPD(130)에 입사되는 광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MPD(130)의 설치 위치 제약에 상당한 자유도를 부여하게 된다.
도 3과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MPD(130)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광량 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MPD(130)의 설치 위치에 자유도를 부여하고, 광 포화를 방지하면서 쉽게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광량 조절 수단은 기구적인 설치 오차에 의해 빔의 방향, 위치, 광량, 민감도 등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미세한 광량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레이저 다이오드(110)의 위치에 따라, 종류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10)에 구성된 칩의 배열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 입사되는 광량을 용이하게 제어하므로써, 모니터 포토 디텍터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기구적인 오차에 의한 입사되는 광량을 적절히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빔이 발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입사된 빔의 편광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빔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 빔 스프리터와, 빔이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광 디스크상에 빔이 정확한 위치에 맺히도록 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빔을 판독하는 포토 디텍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빔의 세기를 감지하는 모니터 포토 디텍터가 포함되는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에 입사되는 빔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니터 포토 디텍터의 각도를 소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각도 조절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장치.
  3. 삭제
KR1020030082100A 2003-11-19 2003-11-19 광 픽업 장치 KR10062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00A KR100624849B1 (ko) 2003-11-19 2003-11-19 광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00A KR100624849B1 (ko) 2003-11-19 2003-11-19 광 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226A KR20050048226A (ko) 2005-05-24
KR100624849B1 true KR100624849B1 (ko) 2006-09-18

Family

ID=3724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100A KR100624849B1 (ko) 2003-11-19 2003-11-19 광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8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226A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8588A (en) Optical head
US4977552A (en) Split type optical pick-up device with a tracking error detector on the moving part
JP2000099980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に使用される光学装置
KR100536721B1 (ko)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 디스크 틸트 제어장치
KR100624849B1 (ko) 광 픽업 장치
JP2767577B2 (ja) 光学ディスク上に予め作られたトラックを用いずに情報を記録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005761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70201327A1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KR19990006653A (ko) 디스크 내에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장치
JP4085041B2 (ja) 傾きセンサ,傾き測定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614324B1 (ko) 광 픽업 장치
EP1073045B1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782201B1 (ko) 근접장 광 저장장치 및 광 픽업 콘트롤 방법
KR20050058600A (ko) 광 픽업 장치
KR20050052752A (ko) 광 픽업 장치
KR100569492B1 (ko) 홀로그래픽 롬 및 디지털 데이터의 디스크와 이에 관련된콤보 픽업 장치
KR100659868B1 (ko) 광 픽업 장치
JP3988513B2 (ja) 光学ヘッド
KR100586097B1 (ko) 광 픽업 장치
KR20050058599A (ko) 광 픽업 장치
KR100656161B1 (ko) 광픽업 장치
KR100655547B1 (ko) 광 픽업 장치
JP4956325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2728211B2 (ja) 光ヘッド
KR20050047185A (ko) 광 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