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558B1 -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558B1
KR100624558B1 KR1020040094241A KR20040094241A KR100624558B1 KR 100624558 B1 KR100624558 B1 KR 100624558B1 KR 1020040094241 A KR1020040094241 A KR 1020040094241A KR 20040094241 A KR20040094241 A KR 20040094241A KR 100624558 B1 KR100624558 B1 KR 100624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upport
module
contact materi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795A (ko
Inventor
정순우
손석희
박병국
배태인
차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Priority to KR102004009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5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 가능한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하여 인공수로 또는 자연수로의 수중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수질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미생물 접촉재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부유접촉재 모듈과,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을 연결하는 접촉재 연결수단과,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부유접촉재 모듈을 지지수단에 유동성 있게 연결하는 유동성 연결수단과,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부유접촉재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수량 및 수위 변동에 유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변형 사용 가능하며, 하부접촉재를 이용해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류 수로, 인공 수로, 수질정화,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 어류 서식처 및 산란처

Description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WATER PURIFICATION WAY AND DEVICE USING AN MOVABLE FLOATING CONTACT MEDIA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부유접촉재 모듈이 유동하는 원리를 도시한 원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접촉재 모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재 부유수단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연결수단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의 연속 설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을 수로에 설치하는 설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받침틀에 지지대 모듈을 고정시키는 바람직한 설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과 지지대받침틀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과 지지대받침틀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과 지지대받침틀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모듈과 지지대받침틀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로 200 : 부유접촉재 모듈
300 : 유동성 연결수단 400 : 지지대모듈
500 : 지지대받침수단 600 : 고정지지대
700 : 석회석 혹은 석회암
본 발명은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 가능한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하여 인공수로 또는 자연수로의 수중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수질정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 및 생활수준향상 등으로 인하여 일반가정,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정화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생활하수 처리량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처리효율 또한 감소하고 있어 이의 해결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하수종말처리장의 최종방류수 수질은 하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최종방류수의 수질악화가 하천오염 및 부영향화 심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해결이 매우 시급하다. 특히 이러한 하천오염의 심화현상은 용존산소량 감소 등에 의한 수중 생태계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더욱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모든 오·폐수 처리장의 방류수 규제기준을 대폭 강화하여 근본적으로 유출수의 오염원 양을 최소화시키는 방법, 별도의 처리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 등이 고려되고 있다.
특히, 최근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처리기술 등 다양한 형태의 고도처리공정 및 시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고도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지가 필요하다는 점과 과다한 설치비용이 소모된다는 점 때문에 경제력이 약한 지자체에서 이를 널리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상기 오존처리기술의 경우 설치비용이 크고,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보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변동·유속변화 등 상태변화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별도의 필요 부지 없이 수로에 직접 설치 가능하여 설치비용이 적게 들며, 유지관리비용 또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수로 방류수의 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 및 영양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유지·관리와 재설치 및 추가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황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고,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수면 아래로 수직하게 선 상태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되며, 미생물 접촉재를 통해 수질을 정화하는 부유접촉재 모듈 다수개와,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들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들 이 일정한 위치에서 그룹지어 함께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접촉재 연결수단과,
하단부는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과 연결되며 상단부는 후술할 지지수단과 유동성있게 연결되어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에 그룹지어 연결된 부유접촉재 모듈들이 수위와 유속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유동성 연결수단 및
수변 등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의 상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은, 네트형의 미생물 접촉재를 중심으로 상단부에는 접촉재 부유수단이 결합하고 하단부에는 무게추가 결합하여 부유접촉재가 수직하게 선 상태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으로는, 중심연결구를 구비한 부유형 스페이서 또는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특허출원 제10-2004-0030037호, 실용신안등록 제0361791호)가 사용될 수 있다. 접촉재 부유수단으로 상기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를 일정비율 사용할 경우 수면에 부유물질이나 거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은, 봉형, 끈형 또는 관형 등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의 중심 연결구를 관통 연결하며, 양말단에는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이탈방지판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은 수변을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고, 여러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은, 봉형 또는 끈형 등 직선형으로 구성되며 양쪽 말단에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과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갈고리형 고리 또는 A자형 고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탈부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유동성 연결수단의 상부와 유동성 있게 연결되어 상기 유동성연결수단 및 부유접촉재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대모듈과, 수변 등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모듈을 고정시켜주는 지지대받침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대모듈은,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 및 후술할 보강재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구를 포함하며 L자형, 널빤지형, 또는 스틱형 등으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연결구와 연결되어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재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연결구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양쪽 말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틀형을 유지하는 지지보조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받침수단은, 양쪽 수변 등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모듈과 결합하는 지지대받침틀과, 상기 지지대받침틀을 수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모듈과 지지대받침수단은 이와 같은 형태 외에도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이 수변 등을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모든 가능한 변형된 형태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상기 지지대모듈의 상부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망형 등의 디딤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양쪽 수로 변에 앵커 등의 고정지지대를 설치하여 유동성 연결수단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가 수로(100)에 설치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수중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부유접촉재 모듈(200)과,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200)이 수위나 수량 등의 변화에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200)을 유동성 있게 연결하는 유동성 연결수단(300)과, 수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300)을 통해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200)을 지지하는 지지대모듈(400)과, 상기 지지대모듈(400)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받침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는, 상기 지지대모듈(400)의 상부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모듈(400)의 상부에 연결되는 망형 등으로 구성된 디딤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가 수위 및 유속의 상승에 대응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수기에는 부유접촉재 모듈(200)이 수직으로 늘어지게 되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수기에 우천으로 인해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부유접촉재모듈(200)이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유동성 연결수단(300)은 물의 흐름과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200)의 상승에 따라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되어 풍수기에도 수면의 상승 및 빠른 유속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접촉재 모듈(200)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다 상세 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접촉재 모듈(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형 미생물 접촉재(220a) 또는 세로로 긴형태의 미생물 접촉재(220b)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접촉재 부유수단(210)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무게추(230)가 위치하여 모듈 상부는 수면위로 부상하게 되고 모듈의 하부는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미생물 접촉재(220a, 220b)는 수중 오염물질의 흡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키토산 또는 초산 등이 단독 또는 혼합되어 구성된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200)은 적용하는 하천·수로 및 호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한 접촉재 부유수단(21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210)은, 일렬로 연결되어 미생물 접촉재(220)와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형 스페이서(211)와, 상기 부유형 스페이서(211) 사이 일정 간격마다 삽입되어 수면 위로 거품 및 부유물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212)와, 상기 부유형 스페이서(211) 및 상기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212)의 중앙 연결구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접촉재 연결수단(214)과,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214)의 양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형 스페이서(211) 및 상기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2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재(213) 및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300)을 연결하는 연결구(2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3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300)은, 봉형 연결대(320a) 또는 끈형 연결대(320b)와, 상기 연결대(320a, 320b)의 양쪽 말단에 결합되는 갈고리형 연결고리(310a, 310b) 또는 A자형 연결고리(310c, 3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연결고리(310a, 310b, 310c, 310d)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또는 연결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대(320a, 320b)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가 가능한 갈고리 또는 A자고리를 사용하여 탈부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쪽 연결고리는 지지대(410a, 410b, 410c, 410d, 410e)의 연결구 또는 연결고리와 연결되며, 하부 쪽 연결고리는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210)의 연결구(215)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봉형 연결대(320a)는 양쪽 말단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식각되어 볼트형 연결고리(310a, 310d)의 숫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끈형 연결대(320b)는 연결구형 연결고리(310b, 310c)의 하부에 있는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는 상기 지지대모듈(400)의 바람직한 구성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모듈(400)은,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300)을 연결할 수 있는 다수 의 연결구(411)와 보강재(42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구(412)를 포함한 L자형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를 보강하는 보강재(420)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연결구(431)를 통해 상기 지지대(410)의 양쪽 말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410)의 틀형을 유지하는 지지보조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대(410)는 L자형, 널판지형, 스틱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모듈(400)은 상기한 것처럼 각 구성요소가 연결구(412, 431)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조립과 분해가 매우 용이하며, 다양한 형태로 모듈화가 가능하여 적용하는 수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대(410) 상부에는 수질분석 등을 위한 채수 작업을 위하여 사람이 설수 있도록 망형의 지지판(4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지지대모듈(40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보조대(430)의 연결구(431)를 통해 상기 지지대(4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지지대모듈(400)을 수로에 설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수로(100)의 양쪽 수변 또는 수로벽 상부에 지지대받침수단(500)을 고정시키고, 조립된 지지대모듈(400)을 상기 지지대받침수단(500) 사이에 끼워넣는 방법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 설치과정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공이 매우 간단하며, 상기 지지대모듈(400)은 적용하는 수료의 특성에 따라 양한 형태의 모듈 로 변형사용 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도 9는 상기 지지대받침수단(500)의 바람직한 설치 실시예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받침수단(500)은, 지지대모듈(400)을 양쪽변에 고정할 수 있도록 ‘ㅗ’자형으로 형성되어 앵커볼트 등이 관통 연결되는 고정연결구(520)를 포함하는 받침틀(510)과, 상기 받침틀(510)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5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틀(510)은 수로벽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양 사이드에 수직박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적용하는 하천, 수로 및 호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변형사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a, 10b, 10c 및 10d는 상기 지지대모듈(400)과 받침수단(5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의 받침수단은 받침틀(510a)이 ‘ㅗ’자형으로 구성되고, 밑면에 다수의 고정연결구(520)를 포함하며, 앵커 등의 고정수단(530)을 상기 고정연결구(520)에 결합하여 수로에 고정시키고, 지지대 연결홈(540)을 통해 지지대(410b, 410c, 410)를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받침틀(510a)은 연결홈(540)마다 별개로 분리되어, 거치되는 지지대(410b, 410c, 41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b의 받침수단은 기본적으로 도 10a의 경우와 동일하나 직선형의 받침틀(510b)이 다수개의 지지대 연결홈(540)을 가지고 있어 다수개의 지지대(410b, 410c, 410)가 함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c의 받침수단은 받침틀(510c)을 수로벽에 끼울 수 있도록 받침틀(510c)의 양 사이드에 수직박음판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연결구(520)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530)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지지대 연결홈(540)을 통해 지지대(410b, 410c, 410)를 연결하는 형태로, 받침틀(510c) 하나마다 하나의 연결홈(540)을 구비하여 거치되는 지지대(410b, 410c, 41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d의 받침수단은 기본적으로 도 10c의 경우와 동일하나 직선형의 받침틀(510d)이 다수개의 지지대 연결홈(540)을 가지고 있어 다수개의 지지대(410b, 410c, 410d)가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모듈(400)과 받침수단(500)은 다양한 형태로 모듈화가 가능하여 적용하는 수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대모듈(400)과 받침수단(500)을 사용하지 않고, 양쪽 수로변에 고정지지대(600)를 설치하고 유동성 연결수단(300a, 300b)을 직접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접촉재 부유수단(210)에 일정길이 단위의 일반 스페이서(216)만을 사용하고 각 부유수단 모듈 사이에 별도의 부체(217)를 연결함으로써 부유접촉재 모듈(200)이 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들어가도록 하여 수면 위에 부유물질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의 또 다른 설치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질정화장치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로바닥에 석회석 혹은 석회암(700)을 일정두께로 깔아 수중의 미세 오염물질을 플럭(flock)화하여 쉽게 흡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장치에 의할 경우, 별도의 구조물 및 기계설비 없이 수중의 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 및 영양염류 등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높은 수질정화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토사유출·수위변동·유속변화 등 상태변화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모듈은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설치 후 오염물질 유입원이나 유입부하가 변화할 경우 장소를 옮겨 간편하게 재설치하거나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상황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우수하고, 정화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구조물과 기계 설비 구성을 위해 투입되는 초기 투자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장치는 접촉재 부유수단에 의해 그늘이 형성됨으로써 미생물 접촉재를 통해 어류에게 서식처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생태적으로도 유용한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수면 아래로 수직하게 선 상태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되며, 수중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정화처리하는 미생물 접촉재를 중심으로 상단부에는 접촉재 부유수단이 결합하고 하단부에 무게추 결합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다수 개의 부유접촉재 모듈;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들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들이 일정한 위치에서 그룹지어 함께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의 연결구들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접촉재 연결수단;
    하단부는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대모듈과 이를 고정하는 지지받침수단이 포함되어 구비된 부유접촉재 모듈 등의 지지수단과 유동성 있게 연결되어,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에 그룹지어 연결된 부유접촉재 모듈들이 수위와 유속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유동성 연결수단; 및
    수변 등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의 상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상기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유동성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은,
    세로로 긴 형태 또는 네트형의 미생물 접촉재를 중심으로 상단부에는 접촉재 부유수단이 결합하고 하단부에는 무게추가 결합하여 부유접촉재가 수직하게 선 상태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은,
    중심연결구를 구비한 부유형 스페이서 및 회전형 투과성 접촉재가 10:1∼1:10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은,
    중심연결구를 구비한 일반 스페이서로 구성된 모듈 및 각 모듈이 만나는 일정지점에 연결되는 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은,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의 중심 연결구를 관통 연결하며, 양말단에는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이탈방지판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은,
    수변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여러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은,
    양쪽 말단에 갈고리형 고리 또는 A자형 고리 등으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접촉재 연결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탈부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유동성 연결수단의 상부와 유동성 있게 연결되어 상기 유동성연결수단 및 부유접촉재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대모듈; 및
    수변 등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모듈을 고정시켜주는 지지대받침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모듈은,
    상기 유동성 연결수단 및 보강재와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구를 포함하며 L자형, 널빤지형, 또는 스틱형으로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연결구와 연결되어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재; 및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연결구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양쪽 말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틀형을 유지하는 지지보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모듈은,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망형의 디딤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유동성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받침수단은,
    양쪽 수변 등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모듈과 결합하는 지지대받침틀; 및
    상기 지지대받침틀을 수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접촉재는,
    표면을 키토산, 초산 또는 키토산 및 초산의 혼합물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유동성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수로 바닥에 포설되는 석회석 또는 석회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유동성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14. 수변 등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 등의 지지수단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심연결구를 구비한 일반 스페이서로 구성된 모듈 및 각 모듈이 만나는 일정지점에 연결되는 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접촉재 부유수단을 구비하여, 수위나 수량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상기 부유접촉재 모듈을 통해 수질을 정화하는 수로용 유동성 부유접촉재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KR1020040094241A 2004-11-17 2004-11-17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62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41A KR100624558B1 (ko) 2004-11-17 2004-11-17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41A KR100624558B1 (ko) 2004-11-17 2004-11-17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689U Division KR200375640Y1 (ko) 2004-11-18 2004-11-18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95A KR20060053795A (ko) 2006-05-22
KR100624558B1 true KR100624558B1 (ko) 2006-09-15

Family

ID=3715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41A KR100624558B1 (ko) 2004-11-17 2004-11-17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60B1 (ko) * 2007-04-14 2008-02-04 정관선 수질정화장치
CN105776549B (zh) * 2016-01-26 2019-02-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模块化可替换浮排定量采样单体的浮排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95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00666U (zh) 一种带光催化网的生态浮床净水装置
CN101050028A (zh) 富营养化水体净化装置
CN107500415A (zh) 一种用于黑臭河道治理的科技湿地岸滤系统
KR100653274B1 (ko) 유동성 접촉재 모듈과 조류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CN103896458B (zh) 一种适用于静水湖泊的雨淋式高效生态浮床
KR100624558B1 (ko)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KR200375640Y1 (ko) 유동성 부유접촉재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207468298U (zh) 一种用于黑臭河道治理的科技湿地岸滤系统
CN201857305U (zh) 一种改进型污水回用和处理装置
CN108483669A (zh) 一种城市河道生态恢复水体曝气装置
CN204958677U (zh) 低能耗污水处理系统
KR200387191Y1 (ko) 유동성 접촉재 모듈과 조류 모듈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111943434A (zh) 一种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系统及方法
KR101090919B1 (ko) 부유형 식물모판을 이용한 수질오염 저감장치
CN205821063U (zh) 静态水体污染治理装置
CN218910086U (zh) 一种装配式柔性点源污染控制槽系统
CN101172734A (zh) 一种富营养水处理工艺
CN110776118A (zh) 一种用于河水处理的梯度反应墙
CN213112724U (zh) 一种村镇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装置系统
CN219194690U (zh) 一种园林景观水池净化装置
CN104098180B (zh) 一种好氧厌氧固定化微生物污水处理装置
CN213202730U (zh) 一种微动力景观型村镇污水处理装置
CN114735832B (zh) 模块式污水处理系统、处理方法及其应用
US20220411303A1 (en) Wetland System f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and Rainwater and Application Thereof
CN217350931U (zh) 一种用于曝气生物滤池的曝气滤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