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223B1 -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223B1
KR100624223B1 KR1020040096747A KR20040096747A KR100624223B1 KR 100624223 B1 KR100624223 B1 KR 100624223B1 KR 1020040096747 A KR1020040096747 A KR 1020040096747A KR 20040096747 A KR20040096747 A KR 20040096747A KR 100624223 B1 KR100624223 B1 KR 10062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information
food waste
discharg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724A (ko
Inventor
차대성
Original Assignee
(주)에덴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덴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에덴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4009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2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측정하여 각 세대마다 배출량에 비례하는 요금을 부과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수거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배출세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전용용기에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수거전용용기내에서 목질발효보조제를 투입하여 예비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측정하고 배출세대 정보, 배출량 정보 및 배출량 이미지 정보를 측정기에 저장한 후 수거하는 단계; 상기 측정기에 저장된 정보를 수거용역업체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거용역업체에 전송된 정보와 배출세대의 요금수납정보를 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계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자료화하여 웹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바코드, RFID, 서버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Garbage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계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출세대 20 : 수거전용용기
21 : 삽입구 22 : 바코드 또는 RFID칩
23 : 계량눈금 30 : 수거용역업체
40 : 집계서버 41 : 세대별정보
42 : 세대별 배출정보 43 : 세대별 요금납부 정보
50 : 웹서버 51 : 집계서버정보
52 : 판별분석정보 53 : 세대별성적관리정보
54 : 관공서 및 수거업체 연동정보 100 : 측정기
101 : 바코드스캐너부 또는 RFID칩리더부
102 : 초음파 발생 및 수신부 103 : 디지털카메라
60 : 인터넷서비스 70 : 인트라넷서비스
80 : 관공서 81 : 요금수납계
1 : 음식물쓰레기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측정하여 각 세대마다 배출량에 비례하는 요금을 부과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21세기 지구환경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화로 인해 환경의 파괴와 오염문제로 그 심각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그 대책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음식물쓰레기직매립금지법을 시행할 예정이지만,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장 반입만을 법적으로 금지하였을 뿐 음식물쓰레기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여 자원화할 수 있는 별다른 방안은 준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약 1만692톤/일(2004년 10월 기준)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 재활용 된 것은 7499톤, 소각된 것은 802톤, 매립된 것은 2391톤으로 집계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강원도의 경우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341톤 중 절반이 넘는 178톤은 매립되고 재활용 되는 것은 159톤에 지나지 않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 또한 전무한 상태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직매립금지법의 대책의 하나로 춘천,강릉,삼척 등 3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원화처리시설은 빨라도 내년 상반기에나 완공될 예정으로 있고, 읍/면 지역의 음식물쓰레기는 수거 자체도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들 자치단체는 시설이 완공되기 전까지 충청도나 경기도등의 자원화처리시설을 이용할 계획이어서 해당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도 예상되는 바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시설은 약 248개소 정도가 있는데 이 중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하는 곳은 120개소, 퇴비화하는 곳은 117개소로 대부분 사료화 또는 퇴비화 하는 곳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사료화의 경우는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기 전의 것을 수거해서 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의 수거 체계로는 힘들기 때문에 질 좋은 사료의 생산이 어렵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과 더불어 분리배출 된 음식물쓰레기 수거방법을 개선하여 효과적으로 자원화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추어 당면한 과제임과 동시에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이에 따른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16431호(명칭: 전자표시수단을 이용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가 공개되어 있는데, 음식물류 폐기물의 수거와 수수료 납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2차원 바코드 또는 RFID 칩을 음식물 수거 전용 용기에 부착하여 주택의 문전에 설치하면, 배출자는 수거료 납부 스티커를 용기에 부착하고 음식물 수거 전용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다. 이후, 수거자는 주택, 세 대, 수거료 납부 스티커의 바코드 정보를 차례대로 읽어들여 서버로 전송하면, 각 주택별, 세대별로 수수료 납부 현황 및 수거 현황등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를 단지 수거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것에 불과하여, 음식물 쓰레기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고, 분리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자원화하는 방법의 제시가 없다. 또한, 여름철에는 수거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빠른 시간 내에 부패되어 수거업체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악취가 발생되므로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사료화 또는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도 이미 수거과정에서 부패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요금징수를 위한 스티커를 매달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티커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비용부담도 크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 용기에서 목질발효보조제를 투입하여 1차적으로 예비 발효시켜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이고, 수거시에 측정기를 통해 배출량을 측정하여 배출양에 따른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합리적인 요금 부과 체계를 갖추며, 수거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수거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배출세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전용용기에 배출하는 단계; 상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수거전용용기내에서 목질발효보조제를 투입하여 예비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측정하고 배출세대 정보, 배출량 정보 및 배출량 이미지 정보를 측정기에 저장한 후 수거하는 단계; 상기 측정기에 저장된 정보를 수거용역업체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거용역업체에 전송된 정보와 배출세대의 요금수납정보를 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계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자료화하여 웹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표시수단이 부착되고 내부에 계량눈금이 표시되며 배출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예비발효시키는 수거전용용기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및 상기 전자표시수단의 정보를 읽어들여 수거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 저장된 수거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용역업체 컴퓨터와, 상기 배출세대의 요금수납정보를 관리하는 요금수납계와, 상기 수거정보와 요금수납정보를 전송받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에서 집계된 정보를 전송받아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비스를 받는 배출세대, 용역업체, 관공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배출자 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전용용기에 배출하여 1차적으로 예비 발효시키는 단계와, 이후에 수거용역업체에서 상기 예비 발효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그 수거정보를 관리하는 단계가 있다.
예비 발효단계
예비 발효단계는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목질발효보조제를 수거전용용기에 버림으로써 목질발효보조제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예비발효시켜 부패로 인한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추후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목질발효보조제는 사용자가 수거전용용기에 투입하는 것으로 탄소율(C/N)이 100을 넘는 목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1mm ~ 3mm 크기로 가공한 다음, 종퇴비와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을 70% 되게 한다. 분쇄된 목재와 종퇴비의 혼합물을 통상의 시리얼 성형기에 투입하여 시리얼 형태로 가공한다. 상기 목질발효보조제인 시리얼의 규격은 표면적의 경우 입자체 1g당 20~25㎡, 공극율은 65%~70%, 함수율은 25% 미만이어야 한다.
상기 목재의 경우 탄소율이 높으면 악취방지에는 좋으나 퇴비화에서 분해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분쇄한 목질칩에 종퇴비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종퇴비는 음식물쓰레기와 돈분 그리고 톱밥을 3:3: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2개월 이상 숙성시키면 중간퇴비가 제조되고, 상기와 같은 재료와 배합비율로 혼합한 후 6개월 이상 숙성시키면 완성퇴비가 제조되며, 중간퇴비 70중량%와 완성퇴비 30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종퇴비는 스페로틸서스 네이탄스(Sphearotius natans)류 아크로모막터(Achromobacter), 알카리젠스(Alcaligenes), 바실러스(Bacillus), 후라보박테리아(Flauobacterium) 및 시우도모나스(Phseudomonas) 등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어 퇴비화에서 필요한 자연발생 미생물군인 사상체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조기 생성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퇴비화공정에서 퇴비화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예비발효과정에서 상기 목질발효보조제에 포함된 미생물군은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물을 섭취하여 증식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며, 탄소율(C/N)이 높고 표면적이 넓게 가공된 목재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CH4), 탄산가스(Co2), 암모니아(NH3) 등을 흡수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며, 상기 목질발효보조제로 발효시킨 음식물쓰레기는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퇴비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수거 및 수거정보 관리단계
수거 및 수거정보 관리단계는 상기와 같이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시에 배출자 정보를 확인하고 배출량을 측정하여 수거정보를 저장한 후 자료화하여 수거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측정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세대(10)에서 수거전용용기(20)에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면, 상기 수거전용용기(20) 내에서 수거 전까지 사용자가 목질발효보조제를 투입 혼합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예비발효되고, 수거용역업체(30)에서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거전용용기(20)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칩을 통해 배출세대의 정보를 읽어들여 측정기에 저장한 후 상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수거작업이 종료한 후, 상기 측정기에 저장된 정보를 수거인이 수거용역업체(30)의 컴퓨터로 USB포트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수거 정보를 일괄적으로 집계서버(40)에 전송함과 동시에, 관공서의 요금수납계(81)에 구비된 시스템의 요금 수납 정보를 상기 집계서버(40)로 전송하여 수거정보 및 요금 수납 정보를 집계서버(40)에서 집계한다.
상기 집계한 정보는 웹서버(50)로 전송하는데, 상기 웹서버는 웹서비스 정보로 자료화하고, 자료화한 정보를 이용하여 웹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웹서비스는 크게 배출자용 인터넷서비스(60)와 수거용역업체 및 관공서용 인트라넷서비스(70)로 나뉘어 제공되는데, 상기 배출자용 인터넷서비스(60)는 배출세대별 배출성적을 확인하여 배출성적표를 발부하고 배출성적에 따라서 포상을 할 수도 있으며, 이메일, 문자서비스등을 제공하고, 배출요금고지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트라넷서비스(70)는 수거용역업체(30) 및 관공서(80)에 정보를 제공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공서(80), 수거용역업체(30) 및 배출세대(10)가 관련 정보를 열람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대정보 및 요금수납 정보가 전/출입 정보에 따라 관리되고, 관공서(80)와 수거용역업체(30)간의 업무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 수거전용용기(20)내의 예비 발효된 음식물쓰레기(1)의 양을 측정기(100)를 통해 측정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기(100)는 초음파 발생 및 수신부(102), 바코드 스캐너부(101), 디지털카메라부(103), 메모리부(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수거전용용기(20)는 수거전용용기(20) 내부에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량눈금(23)이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측정기(100)의 초음파 발생 및 수신부(102)를 수거전용용기(20)의 상부에 위치한 삽입부(21)에 삽입시킨 후, 상기 측정기(100)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음식물쓰레기에 도달시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남은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수거전용용기(20)의 전체 높이로 미리 계산된 부피 값에서 상기 측정한 거리 값으로 환산된 부피 값을 연산하여 배출된 음식물쓰레기(1)의 부피 값을 산출하고 그 배출량을 상기 측정기(100) 화면에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을 하고, 이 때, 상기 측정기(100)의 바코드 스캐너부(101)를 통해 상기 수거전용용기(20) 상부에 부착된 바코드(22)에 입력되어 있는 배출세대의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을 하고, 상기 측정기(100)의 디지털카메라부(103)를 통해 상기 수거전용용기(20)에 표시된 계량눈금(23)이 나타나도록 음식물쓰레기(1)의 배출량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부(103)는 상기 수거전용용기(20)의 내부가 어둡기 때문에 후레쉬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거전용용기(20)에 배출세대의 정보가 입력된 바코드(22)를 부착하는 대신 RFID칩을 내장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상기 측정기(100)에 바코드 스캐너부(101) 대신 RFID칩 리더부를 구비한다.
상기 RFID란, 물체나 동물 또는 사람등을 식별하기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의 무선 내에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킨 기술로서 바코드를 대체하는 기술로 산업계에서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계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도이다.
상기 수거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측정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수거용역업체(30)의 컴퓨터에 저장한 후 상기 수거용역업체(30)의 컴퓨터에서 일괄적으로 수거 데이터를 전송하여 집계서버(40)에 저장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집계서버(40)는 세대별 정보(41), 세대별 배출 정보(42), 세대별 요금 납부 정보(43)로 구성된다.
상기 세대별 정보(41)는 세대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수거용기정보와 배출하는 책임세대주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세대별 배출정보(42)는 세대별 배출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배출량, 배출량 이미지(사진), 바코드 또는 RFID칩으로 확인한 배출세대주 확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세대별 요금 납부 정보(43)는 세대별 배출요금 납부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요금수납계(81)에서 배출요금 납부 데이터를 전송받아 세대별 납부정보, 세대별 미납정보가 저장되 어 있다.
상기 집계서버(40)에서 집계한 정보를 상기 웹서버(50)로 전송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웹서버(50)는 집계서버정보(51), 판별분석정보(52), 세대별성적관리정보(53), 관공서 및 수거용역업체 연동 정보(54)로 구성되어 수거용역업체와 관공서에는 인트라넷 서비스(70)를 제공하고, 배출세대에는 인터넷서비스(60)를 제공한다.
상기 집계서버정보(51)는 상기 집계서버(40)에서 전송된 정보로서 수거정보, 요금납부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판별분석정보(52)는 세대별 배출량 감량 결과를 분석하는 감량분석정보, 읍/면/동 단위의 지역별/주거형태별 감량 및 분리 배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세대별 성적관리정보(53)는 세대별 배출 성적과, 이메일 발송, 휴대폰을 이용한 문자서비스, 고지서 발행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관공서 및 수거용역업체 연동정보(54)는 관공서와 수거용역업체가 통계/분석한 정보 및 수거용역 정보를 확인/관리하는 것으로, 배출현황의 통계, 분석 정보 및 용역비용관리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전용용기에서 목질발효보조제를 이용하여 예비발효시킴으로서 일정기간 음식물쓰레기를 악취 없이 일정기간 보관할 수 있어 수거횟수를 줄이므로 수거비용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이 퇴비화 할 때 발효 적정치인 65%~75%를 가지므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로 재활용 할 경우 발효 효율이 높아지고 양질의 퇴비를 얻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량을 측정하여 세대별 배출량에 따른 요금을 차등 적용함으로서 세대별로 배출량의 감량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의 수거 정보를 전산화함으로서 계획적이며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그 분석 결과로 배출량 감량을 홍보 또는 단속이 가능하고,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는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수거 정보의 불만에 따른 민원 해결을 위한 증빙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거과정에서 수거전용용기 내부에서 목질발효보조제에 의하여 예비발효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세대 정보를 수거전용용기에 부착된 전자표시수단을 통해서 측정기로 전송받고, 배출량 정보 및 배출량 이미지 정보를 측정기에서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거정보 측정 단계;
    수거용역업체의 컴퓨터가 상기 측정기와 접속되어 상기 측정기의 메모리에 기록된 각종 수거정보를 전달받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거용역업체 전송 단계;
    상기 수거용역업체의 컴퓨터가 자체 메모리에 기록된 수거정보를 집계서버로 전송하고, 관공서의 요금수납계에 구비된 시스템이 배출세대별 요금수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계서버가 전송된 수거정보와 배출세대의 요금수납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전송된 정보를 자료화하여 웹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의 측정은 상기 측정기를 통해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되돌아오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값을 부피값으로 환산하여 배출량을 표시하고 상기 측정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방법.
  3. 음식물쓰레기를 수거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표시수단이 부착되고 내부에 계량눈금이 표시되며 배출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예비발효시키는 수거전용용기와,
    초음파 발생 및 수신부, 전자표시 정보 리더부, 디지털카메라 및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초음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측정하고, 전자표시수단을 통해 배출세대를 확인하며,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배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측정기와,
    상기 측정기에 저장된 수거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수거용역업체의 컴퓨터와,
    상기 배출세대의 요금수납정보가 관리되는 관공서의 요금수납계 시스템과,
    상기 수거정보와 요금수납정보를 전송받는 집계서버와,
    상기 집계서버에서 집계된 정보를 전송받아 배출세대, 용역업체, 관공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전용용기는 상부에 상기 측정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형성하 고, 상기 전자표시수단은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RFID)칩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며, 상기 수거정보는 배출량 정보, 상기 배출량 이미지 정보, 배출세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발효보조제는 탄소율(C/N)이 100을 넘는 목재를 분쇄기로 1mm ~ 3mm 크기로 분쇄하여 종퇴비와 1:15의 비율로 혼합하고, 함수율70%로 건조시킨 후 표면적은 입자체 1g당 20~25㎡, 공극율은 65%~70%, 함수율은 25% 미만의 시리얼(serial)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퇴비는 음식물쓰레기와 돈분 그리고 톱밥을 3:3: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2개월 및 6개월 이상 숙성시킨 중간퇴비 70중량%와 완성퇴비 30중량%를 혼합하여 스페로틸서스 네이탄스(Sphearotius natans)류 아크로모막터(Achromobacter), 알카리젠스(Alcaligenes), 바실러스(Bacillus), 후라보박테리아(Flauobacterium) 및 시우도모나스(Phseudomonas) 미생물군으로 부터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되게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방법.
KR1020040096747A 2004-11-24 2004-11-24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47A KR100624223B1 (ko) 2004-11-24 2004-11-24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47A KR100624223B1 (ko) 2004-11-24 2004-11-24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24A KR20060057724A (ko) 2006-05-29
KR100624223B1 true KR100624223B1 (ko) 2006-09-18

Family

ID=3715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747A KR100624223B1 (ko) 2004-11-24 2004-11-24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69B1 (ko) 2006-08-22 2006-12-0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Rfid카드와 번호키를 이용한 쓰레기 투입구 제어시스템
KR20230046602A (ko) 2021-09-30 2023-04-06 (주)리너지 스마트 튀김부스러기 수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튀김부스러기 수거용기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15B1 (ko) * 2007-04-20 2008-04-17 전주시 쓰레기 계근 시스템
KR20110123882A (ko) * 2010-05-10 2011-11-16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1037B1 (ko) * 2012-09-28 2014-05-29 유빈스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관리 시스템
KR101427138B1 (ko) * 2013-09-17 2014-08-07 박경희 단독주택의 지역별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중량 측정 시스템
KR101528298B1 (ko) * 2014-04-24 2015-06-11 주식회사 이큐브랩 쓰레기 수거용 모듈 장치 및 상기 모듈 장치의 동작 방법
CN108364220A (zh) * 2018-03-06 2018-08-03 雷学军 一种共享生态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18A (ko) * 2000-02-22 2000-06-05 이영선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27617A (ko) * 1999-09-14 2001-04-06 박규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20010084266A (ko) * 2000-02-24 2001-09-06 최판식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20020082894A (ko) * 2000-03-30 2002-10-31 아쯔시 이즈하라 자원·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자원·폐기물 수거 방법
KR20040016431A (ko) * 2003-09-19 2004-02-21 주식회사 아이티웰 전자표시수단을 이용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617A (ko) * 1999-09-14 2001-04-06 박규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20000030318A (ko) * 2000-02-22 2000-06-05 이영선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84266A (ko) * 2000-02-24 2001-09-06 최판식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20020082894A (ko) * 2000-03-30 2002-10-31 아쯔시 이즈하라 자원·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자원·폐기물 수거 방법
KR20040016431A (ko) * 2003-09-19 2004-02-21 주식회사 아이티웰 전자표시수단을 이용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69B1 (ko) 2006-08-22 2006-12-0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Rfid카드와 번호키를 이용한 쓰레기 투입구 제어시스템
KR20230046602A (ko) 2021-09-30 2023-04-06 (주)리너지 스마트 튀김부스러기 수거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튀김부스러기 수거용기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24A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tin et al. Solid waste management practices and review of recovery and recycling operations in Turkey
CN110155572B (zh) 一种智慧社区垃圾分类系统及方法
Burnley A review of municipal solid waste composition in the United Kingdom
CN102000688B (zh) 一种生活垃圾分类收集的方法与系统
Dahlén et al. Inconsistent pathways of household waste
CN111891587B (zh) 一种生活垃圾的分类投放方法及装置
US20100136666A1 (en) Garbage disposal system and maintenance schedule creating method of garbage disposal system
CN108280686B (zh) 垃圾分类回收信息管理系统
CN204433513U (zh) 垃圾投放箱
KR100624223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08339A (ja) 家庭ごみ収集システム、icタグ付きごみ収集袋、家庭ごみ収集管理システム、家庭ごみ収集管理方法、および家庭ごみ収集管理プログラム
CN111153070A (zh) 一种垃圾处理方法和设备
JPWO2003090944A1 (ja) 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8112454A (ja) リサイクルシステム
CN11006574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航运垃圾分类系统
Dias-Ferreira et al. The setting up of a pilot scale Pay-as-you-throw waste tariffin Aveiro, Portugal
KR20010084266A (ko) 쓰레기 수거 시스템
JP2004269150A (ja) ごみ収集システム
Cimpan et al. Material flow analysis, carbon footprint and economic assessment of alternative collection and treatment of domestic household waste from the region of Funen, Denmark
Ibrahim et al. Status, Problems and Challenges for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Assiut Governate
CN102310980A (zh) 一种实现各种垃圾等可计量并分类收集设施的方法
CN106530173A (zh) 基于免计量、居民实户制的混合可回收废弃物管理方法
Voronova et al. Assessment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ay As You Throw system into current waste management in Estonia
CN208314895U (zh) 可再生生活垃圾回收系统
Nell et al. Waste characterisation in Stellenbosch Local Municipality,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