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22B1 -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22B1
KR100623322B1 KR1020040088413A KR20040088413A KR100623322B1 KR 100623322 B1 KR100623322 B1 KR 100623322B1 KR 1020040088413 A KR1020040088413 A KR 1020040088413A KR 20040088413 A KR20040088413 A KR 20040088413A KR 100623322 B1 KR100623322 B1 KR 10062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hesunate
composition
salt
pyrinaridi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286A (ko
Inventor
이성태
박우일
노정열
정현근
이철규
전성현
정현규
Original Assignee
신풍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풍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풍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22B1/ko
Priority to AP2005003402A priority patent/AP2419A/xx
Priority to OA1200500281A priority patent/OA13155A/en
Priority to CN2005800374225A priority patent/CN101052392B/zh
Priority to BRPI0517241A priority patent/BRPI0517241B8/pt
Priority to PCT/KR2005/003432 priority patent/WO2006049391A1/en
Publication of KR2006003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22B1/ko
Priority to ZA200703467A priority patent/ZA200703467B/xx
Priority to HK08102530.5A priority patent/HK1113079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알테미시닌(artemisinin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피로나리딘(pyronaridine)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Orally administrable anti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도 1은 실시예 1의 배합 제제 중 알테수네이트의 용출 시험을 인공 장액, 물 및 pH 4.0 인산 완충액에서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배합 제제 중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의 용출 시험을 인공 위액, 인공 장액, 물 및 pH 4.0 인산 완충액에서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알테미시닌(artemisinin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피로나리딘(pyronaridine)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매년 3 내지 5억 정도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하며, 그 중의 90%는 아프리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매년 150 내지 270만명이 말라리아로 사망하며, 그 중 적어도 100만명은 5 세 이하의 아프리카지역 어린이들이다. 특히 아프리카 사하라 남쪽은 최고의 감염률, 이환률 및 사망률을 보이는 지역이다. 또한 전쟁, 환경 파괴, 재식민지화, 기후 변화 등의 문제와 연관하여 항말라리아제에 대한 내성, 특히 클로로퀸(chloroquine)과 피리메타민/설파독신(pyrimethamine/sulfadoxine)에 대한 내성 증가 등으로 인해, 오늘날 말라리아 질환은 인류에게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말라리아의 치료와 예방은 수십년 동안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해 공급되는 클로로퀸 약물에 의지해 왔지만, 클로로퀸에 대한 내성이 점점 널리 생겨나면서, 클로로퀸에 내성이 있는 P. 팔시파럼(P. falciparum) P. 비박스(P. vivax)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절실해졌다. 새로운 약물을 선정한 후에는, 어떤 타입의 제형으로 제조할 것인지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클로로퀸을 대체하여 사용할 새로운 첫 번째 선상에 있는 것은 경구용 제형인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공공의료 서비스 단체나 도심 외곽지역의 주민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고 복용이 간단하고 쉬워 효과적이며 타 제형보다 안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개발 중인 후보물질은 그리 많지 않다. 그 중 하나가 피로나리딘인데, 이는 1970년에 중국에서 합성된 혈액 살(殺)-분열체 약물(blood schizonticide)로서, 기존에 사용되던 약물과 공통된 화학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만니치 염기(Mannich bases; 예를 들어 퀴놀린-타입: 아모디아퀸, 아모피로퀸; 아크리딘-타입: 피로나리딘, 피라퀸)는 활성, 내성률 및 내성에 대한 안정성 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을 갖는다(Basco and Le Bras, 1992; Peters and Robinson, 1992). 피로나리딘(경구용 제형과 주사제 제형)은 현재 중 국 약전에 수록되어 있고, 말라리딘(Malaridine)이라는 제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내에서만 판매되고 있고, 투여 초기에는 신속한 약효를 발휘하지 못하고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이 있어 저개발국에서 대중적으로 복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알테수네이트는 알테미시닌 유도체 중에서 중국, 베트남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모든 항말라리아 약물에 내성을 갖는 P. 팔시파럼 및 P. 비박스 균주에 효과적이다. 현재 알테수네이트 50 ㎎ 정제가 베트남[메디플랜텍스(Mediplantex)사 또는 칸 화(Khanh Hoa)사]과 중국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알수맥스(Arsumax)라는 제품명으로 사노피 윈트롭(Sanofi Winthrop)에 의해 일부 아프리카에서 제한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의 경우 체내 반감기가 짧아 말라리아 감염을 완치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일부 클로로퀸에 내성이 있는 플라스모디움 요엘리(Plasmodium yoelii) 종에 감염된 마우스들에게 피로나리딘과 알테미시닌을 병용 투여하였을 때 상승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러 항말라리아제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P. 팔시파럼의 치료를 위하여, 피로나리딘과 알테미시닌 유도체 병용 투여에 대한 임상 예비 시험(clinical pilot study)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피로나리딘을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dihydroartemisinin) 또는 알테메터(artemether)와 병용 투여 시, 각 그룹의 환자 수는 제한적이었지만(40명의 어른과 아이), 7 일과 28 일의 추적 조사에서 어떠한 재발도 나타나지 않았다(Liu et al, 2002). 또한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과 피로나리딘 단독 투여 또는 병용 투여 후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피로나리딘 단독(32 ㎎/㎏) 또는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6 ㎎/㎏)과의 병용 투여(16 ㎎/㎏)가 28 일 이상 동안 매우 효과적이며 내약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Liu et al, 2002). 그러나, 이들의 병용 투여는 각각의 약물을 개별적으로 단순히 함께 투여하는 방식으로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친 것이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항말라리아제들은 대부분 약물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고 있고 발병지역의 대부분이 아프리카 등의 저개발국이므로 경제적 부담이 없으면서 내성 균주에 대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항말라리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단순성(uncomplicated) P. 팔시파럼 및 P. 비박스 말라리아의 경구 치료를 위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품질이 우수하고, 저렴한 항말라리아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내성 균주에 가장 효과적인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과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의 다양한 비율의 배합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중량비 6:1 내지 1:1, 특히 중량비 3:1의 배합이 약효 및 독성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두 약물을 단순 혼합하는 경우, 피로나리딘 염이 산성 염의 이화학적 성질을 띄므로,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가 직접 접촉에 의해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먼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를 마이크로캡슐 또는 공융 혼합 과립물로 제조하거나 코팅제로 코팅하는 등 1차 제형화한 후, 이를 피로나리딘 산성 염과 혼합하여 배합 제제로 제조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 용해도 및 용출률 문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말라리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테미시닌 유도체의 예들은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 알테수네이트, 알테메터 및 알테에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테미시닌 유도체는 알테수네이트이다. 또한, 피로나리딘 염의 예들은 피로나리딘의 인산, 황산, 염산,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과의 산 부가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로나리딘 염은 피로나리딘 인산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와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는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마이크로캡슐 또는 과립 형태의 공융 혼합물, 또는 코팅된 제제로서 1차 제형화한 후, 여기에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 대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 제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산성 염 형태의 피로나리딘 염과 배합 시 두 약물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제형의 불안정성, 낮은 용해도, 낮은 용출률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약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두 약물 상호간의 약효 상승효과를 갖게 하여 내성 균주에 대해서 뛰어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항말라리아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유당, 덱스트린,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산화규소, 하이드로탈사이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메타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융 분산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알테미시닌 또는 그의 유도체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1:0.1 내지 1:2, 특히 알테수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체 외에, 생체 내 투여 시 수용성 매질과 접촉하여 신속히 붕해, 용출될 수 있도록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계 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들은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및 그의 유도체, 폴록사머(poloxamer) 및 그의 유도체, 포화폴리글리코형 글리세라이드(saturated polyglycorized glyceride, 일명 gelucire), 라브라솔(labrasol), 각종의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이하, 트윈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이하, 트윈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이하, 트윈 6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이하, 트윈 80)),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이하, 스팬 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이하, 스팬 4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이하, 스팬 60),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이하, 스팬 80), 소르비탄 트리라우레이트(이하, 스팬 25),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이하, 스팬 85),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이하, 스팬 65), 크레모포어(cremophor), PEG-60 수소화 피마자유(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PEG-40 수소화 피마자유(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소디움 라우릴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yl glutamate), 디소디움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건조 시럽제, 코팅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알테수네이트의 마이크로캡슐 제조 (1)
성분 함량
알테수네이트 3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3 g
리퀴드 파라핀 396 g
트윈 80 4 g
3 g의 알테수네이트와 3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9 g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이 유기용액을 1% 트윈 80 함유 리퀴드 파라핀 396 g에 마이크로소적으로 분산시키고, 디지털 교반기(IKA, EUROSTAR)를 사용하여 교반하였다. 적절한 유제를 제조한 후, 40 내지 60%의 아세토니트릴이 제거될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켰다. 마이크로캡슐 현탁액을 10 분간 41×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경사분리한 후, 마이크로캡슐을 50 내지 100 ㎖의 세척액으로 재현탁하고 천천히 여과하였다. 여과하는 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세척액을 계속 첨가하여 마이크로캡슐을 현탁액 내에 유지시켜, 마이크로캡슐 내에 잔존하는 아세토니트릴를 제거하고 마이크로캡슐을 경화시켰다.
제조예 2 : 알테수네이트의 마이크로캡슐 제조 (2)
성분 함량
알테수네이트 3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1.5 g
리퀴드 파라핀 396 g
트윈 80 4 g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알테수네이트의 마이크로캡슐 제조 (3)
성분 함량
알테수네이트 3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6 g
리퀴드 파라핀 396 g
트윈 80 4 g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알테수네이트의 공융 혼합 과립물 제조 (1)
성분 함량(㎎/제제)
알테수네이트 40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40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140
용융 분산 담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활성성분인 알테수네이트를 혼합한 후 , 여기에 에탄올 약 20 ㎎을 가하여 실온에서 현탁시켰다. 약 80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급냉하고 미세하게 분쇄한 후, 여기에 미세결정성 셀룰로스를 혼합하고 건식 조립하여 알테수네이트 함유 공융 혼합 과립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알테수네이트의 공융 혼합 과립물 제조 (2)
성분 함량(㎎/제제)
알테수네이트 40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40
폴록사머 F127 15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125
용융 분산 담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활성성분인 알테수네이트를 혼합한 후, 여기에 에탄올 약 20 ㎎을 가하여 실온에서 현탁시켰다. 약 80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급냉시키면서 이 용융물에 폴록사머를 가하고 고결시켰다. 미세하게 분쇄한 후, 여기에 미세결정성 셀룰로스를 혼합하고 건식 조립하여 알테수네이트 함유 공융 혼합 과립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알테수네이트의 공융 혼합 과립물 제조 (3)
성분 함량(㎎/제제)
알테수네이트 40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40
폴록사머 F127 15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20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105
용융 분산 담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활성성분인 알테수네이트를 혼합한 후, 여기에 에탄올 약 20 ㎎을 가하여 실온에서 현탁시켰다. 약 80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급냉시키면서 이 용융물에 폴록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가하고 고결시켰다. 미세하게 분쇄한 후, 여기에 미세결정성 셀룰로스를 혼합하고 건식 조립하여 알테수네이트 함유 공융 혼합 과립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알테수네이트의 공융 혼합 과립물 제조 (4)
성분 함량(㎎/제제)
알테수네이트 40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0 40
폴록사머 F127 15
에틸셀룰로스 20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105
용융 분산 담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활성성분인 알테수네이트를 혼합한 후, 여기에 에탄올 약 20 ㎎을 가하여 실온에서 현탁시켰다. 약 80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급냉시키면서 이 용융물에 폴록사머와 에틸셀룰로스를 가하고 고결시켰다. 미세하게 분쇄한 후, 여기에 미세결정성 셀룰로스를 혼합하고 건식 조립하 여 알테수네이트 함유 공융 혼합 과립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3) 혼합 정제의 제조 (1)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2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와, 에탄올에 녹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혼합, 습식 조립, 건조, 정립한 후 상기 처방 조성을 갖도록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크로스포비돈,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및 실리콘 디옥사이드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가하여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3) 혼합 정제의 제조 (2)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5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2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3) 혼합 정제의 제조 (3)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6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2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3) 혼합 정제의 제조 (4)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7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2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2:3) 혼합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6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4) 혼합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6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6) 혼합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24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3) 혼합 경질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2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와, 에탄올에 녹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혼합, 습식 조립, 건조, 정립한 후, 상기 처방 조성을 갖도록 제조예 4의 공융 혼합물,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크로스포비돈,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및 실리콘 디옥사이드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가하여 혼합한 후 경질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2:3) 혼합 경질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6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4) 혼합 경질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16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6) 혼합 경질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24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알테수네이트/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1:1) 혼합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제제)
제조예 4의 공융 혼합 과립물 220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25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40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4
크로스포비돈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5
실리콘 디옥사이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용출 시험
(1) 알테수네이트의 용출 시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를 미국약전(USP)에 기재된 일반시험법 중 용출 시험법 제2법(패들법)에 따라 시험하고, 30 분후 용출액을 취하여 용출된 양을 아래 분석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출 시험 장치: SR8PLUS(HANSON)
용출액의 온도: 37±0.5 ℃
용출액: 인공장액, 물, pH 4.0 인산완충액
회전속도: 100 RPM
분석법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칼럼: 안지름 약 4.6 ㎜, 길이 약 25 ㎝의 스테인레스관에 5 내지 10 ㎛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다.
칼럼 온도: 40 ℃
이동상: pH 3.0 완충액:아세토니트릴 혼합액(50:50)
유속: 0.2 ㎖/분
pH 3.0 완충액: 인산이수소칼륨 1.36 g을 물 1 ℓ에 녹이고 인산을 가하여 pH를 3.0±0.05로 맞춘다.
상기 용출 시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2)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의 용출 시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를 미국약전(USP)에 기재된 일반시험법 중 용출 시험법 제2법(패들법)에 따라 시험하고, 30 분후 용출액을 취하여 용출된 양을 아래 분석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출 시험 장치: SR8PLUS(HANSON)
용출액의 온도: 37±0.5 ℃
용출액: 인공위액, 인공장액, 물, pH 4.0 인산완충액
회전속도: 100 RPM
검출기: 자외부 흡광광도계(측정 파장 278 ㎚)
칼럼: 안지름 약 4.6 ㎜, 길이 약 25 ㎝의 스테인레스관에 5 내지 10 ㎛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다.
칼럼 온도: 40 ℃
이동상: 10%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인산으로 pH 2.15로 조절한 용액
유속: 1.0 ㎖/분
상기 용출 시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저장안정성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정제의 저장안정성을 저장온도 40±2 ℃, 상대습도 75±5%RH 조건에서 48 주간 실시하였다. 즉, 시험 초기부터 48 주간 일정기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정제의 성상을 관찰하고 알테수네이트와 피로나리딘 각각에 대한 함량시험을 하기 방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상기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각각 실시하였다.
(1) 알테수네이트의 함량 시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 중 약 20정 이상을 취하여 그 무게를 정밀하게 달아 분말화하였다. 알테수네이트 약 4.0 ㎎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하게 달아 아세톤 2 ㎖에 잘 혼합하여 녹여 여과한 후 증발 건조시켰다. 이 잔사에 아세토니트릴 1 ㎖를 가하여 녹여 검액으로 하였다. 별도로 알테수네이트 표준품에 아세토니트릴을 가하여 녹여 1 ㎖ 중 4.0 ㎎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20 ㎕씩에 대해 다음 조건으로 미국약전 (USP)에 기재된 일반 시험법 중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시험하여 알테수네이트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구하였다.
알테수네이트(C19H28O8)의 양(㎎) = 무수물로 환산한 알테수네이트 표준품의 양(㎎) × AT / AS
조작조건
검출기: 자외부 흡광광도계(측정파장 216 ㎚)
칼럼: 안지름 약 4.6 ㎜, 길이 약 25 ㎝의 스테인레스관에 5 내지 10 ㎛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다.
칼럼 온도: 40 ℃
이동상: pH 3.0 완충액:아세토니트릴 혼합액(50:50)
유속: 1.0 ㎖/분
pH 3.0 완충액: 인산이수소칼륨 1.36 g을 물 1 ℓ에 녹이고 인산을 가하여 pH를 3.0±0.05로 맞춘다.
(2)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의 함량 시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 중 약 20정 이상을 취하여 그 무게를 정밀하게 달아 분말화하였다.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약 10 ㎎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하게 달아 황갈색 플라스크에 가하였다. 여기에 인산염 완충액(pH 7.0)을 가하여 100 ㎖로 하고 잘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신속하게 여과하여 처음 여액은 버리고 다음 여액 5 ㎖를 취하고 인산염 완충액(pH 7.0)을 가하여 50 ㎖로 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별도로 미리 105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피로나린딘 테트라포스페이트 표준품 약 10 ㎎을 정밀하게 달아 황갈색 플라스크에 가하고 인산염 완충액(pH 7.0)을 가해 100 ㎖로 하고 녹인 후, 5 ㎖를 취해 인산염 완충액(pH 7.0)을 가해 50 ㎖로 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에 대해 미국약전(USP) 일반 시험법 중 자외가시부 흡광도 측정법에 따라 시험하여 파장 260 ㎚에서의 흡광도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C29H32ClN5O2:4H3PO 4)의 양(㎎) = 건조물로 환산한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 표준품의 양(㎎) × AT / AS
조작조건
검출기: 자외부 흡광광도계(측정 파장 278 ㎚)
칼럼: 안지름 약 4.6 ㎜, 길이 약 25 ㎝의 스테인레스관에 5 내지 10 ㎛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다.
칼럼 온도: 40 ℃
이동상: 10%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인산으로 pH 2.15로 조절한 용액
유속: 1.0 ㎖/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혼합 정제(실시예 1) 중의 알테수네이트와 피로나리딘 테트라포스페이트의 저장안정성 시험 결과
시험기간 (단위; 주) 성상 함량 시험(90.0-110.0%) 용출 시험(%)
알테수네이트 피로나리딘 알테수메이트 (80% 이상) 피로나리딘 (80% 이상)
0 이상없음 99.8 100.5 87.2 95.0
4 이상없음 98.5 100.1 85.8 93.5
8 이상없음 98.2 99.2 86.9 95.2
12 이상없음 99.0 99.5 86.1 91.2
16 이상없음 98.8 98.9 85.2 93.8
20 이상없음 97.9 98.5 85.8 93.8
24 이상없음 98.6 98.4 87.1 93.8
36 이상없음 98.7 98.5 85.1 92.8
48 이상없음 98.5 98.3 86.7 91.9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8 주간의 저장안정성 시험 후 혼합 정제 중 알테수네이트의 함량은 1.3% 감소되었고 피로나리딘의 함량은 2.2%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 혼합 정제는 48 주간의 함량 및 용출 시험에서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 모두 5% 이내의 변화를 보임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생체 외(in vitro) 항말라리아 활성 시험
실험에 사용된 P. 팔시파럼 말라리아 원충은 MR4(Malaria 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Resource Center, Virginia, USA)로부터 입수하였다[3D7(네덜란드); 약물 민감 클론, K1(태국); 클로로퀸/피리메타민/사이클로구아닐 저항성 아종, VS1(베트남); 클로로퀸/피리메타민 저항성 아종, FCR3(감비아); 클로로퀸/피리메타민 저항성 아종, FCB(콜롬비아); 클로로퀸 저항성 아종, Tm90 C2A(태국); 클로로퀸/피리메타민/메플로퀸 저항성]. 생체 외에서의 원충의 배양은 배양액(RPMI-1640; Rh+ 인형 적혈구, 5% 헤마토크리트, 25 mM HEPES, 24 mM NaHCO3, 0.2% 글루코스, 0.03% L-글루타민, 150 μM 하이포크산틴, 0.5% 알부맥스Ⅱ)이 함유된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넣고 조직 배양기(37 ℃에서 5% 이산화탄소/95% 공기 공급)에서 배양하였다.
약물 감수성 시험을 데스자르딘 등의 방법(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79, 16, 710)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즉, 약물을 100% DMSO에 녹인 후 96 웰 플레이트에서 배양액(RPMI1640; 0.5% 알부맥스Ⅱ, 0.2% 글루코스, 0.03% L-글루타민, 150 uM 하이포크산틴)으로 연속 희석하고(배합 시험에서는 두 약물간의 배합비율을 1:0, 4:1, 3:2, 2:3, 1:4, 0:1로 고정), 여기에 동일 용량의 P. 팔시파럼 기생충 현탁액(0.5% 기생충혈증(parasitaemia)과 1.5% 헤마토크리트 포함) 또는 감염되지 않은 적혈구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배양기(37 ℃, 5% 이산화탄소)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 웰에 10 ㎕ [3H]하이포크산틴(3.7 Bq/웰)을 첨가하고 24 시간 더 배양한 후, -80 ℃ 냉동기에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플레이트를 다시 녹이고 입자화된 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수확한 후 방사능을 방사선 측정기(scintillation spectrometer)로 측정하였다. 농도-반응간 자료로부터 회귀 곡선을 얻은 후 각 약물에 대한 50% 저해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각 약물의 IC50값으로부터 FIC50(FIC=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ion)을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Sum FIC50 = 배합 약물 중 A 약물의 IC50/A 약물의 IC50 + 배합 약물 중 B 약물의 IC50/B 약물의 IC50
그 결과를 표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피로나리딘, 알테수네이트,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 및 클로로퀸의 항말라리아 활성
P. 팔시파럼 IC50(㎎/㎖)
3D7 K1 VS1 FCB Tm90 C2A FCR3
실험 1 2 1 1 2 1 2 1 2 1 2
알테수네이트 3.1 4.1 1.2 1.2 2.4 2.7 3.1 3.6 3.2 2.3 2.1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 0.5 0.7 0.4 0.2 0.8 0.8 0.7 0.9 0.7 0.4 0.4
피로나리딘 1.7 2.6 5.3 2.2 1.0 1.5 1.3 2.0 2.6 1.3 3.1
클로로퀸 nd 7.5 419 446 418 121 74 56 139 206 131
* 각 수치는 3회의 실험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nd; 측정되지 않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의 IC50은 6개의 품종에서 1.2∼4.1 ㎎/㎖로 비슷하였으며, 디하이드로알테미시닌이 0.2∼0.9 ㎎/㎖로 좀 더 효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말라리아 원충에 대한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 혼합물의 약물 감수성
기생충 FIC 고정 약물 비율(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
4:1 3:2 2:3 1:4
377 클론 FIC50 1.06 1.26 2.24 1.77
FIC90 1.07 1.22 2.11 2.13
K1 균주 FIC50 1.19 1.4 1.59 1.22
FIC90 1.24 1.54 1.75 1.37
VS1 균주 FIC50 1.07 0.96 1.25 1.37
FIC90 1.03 0.93 1.04 1.42
FCB 균주 FIC50 1.35 1.66 1.79 1.43
FIC90 1.45 1.85 1.63 1.61
Tm90C2A 균주 FIC50 1.49 1.85 2.11 1.63
FIC90 1.47 2.39 2.07 1.49
FCR3 균주 FIC50 1.57 1.93 2.06 1.33
FIC90 2.01 2.25 2.51 1.78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 혼합 투여 시 FIC 값이 대부분 1∼2로서 약간의 길항작용을 보였으나, 약동력학적 요소들이 고려되지 않은 생체 외(in vitro) 시험 결과이므로, 생체 내(in vivo) 시험 결과와 연계하여 분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실험예 4: 생체 내(in vivo) 항말라리아 활성 시험
(1) 용량-반응 시험
실시예 1의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 배합 제제의 용량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P. 카바우디(P. chabaudi) 원충을 이용하여 고농도(피로나리딘 + 알테수네이트: 12 ㎎/㎏ + 4 ㎎/㎏)와 저농도(피로나리딘 + 알테수네이트: 0.9 ㎎/㎏ + 0.3 ㎎/㎏)에서의 억제/치료 작용을 단독 약물과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간략하게 기술하면, 무투약 TFW 생쥐에게 2×106 P. 카바우디 ASS 감염 적혈구를 정맥투여한 후, 감염 2 일차부터 억제력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P. 카바우디 원충을 마우스에 감염시키고 3 일 과정으로 실시예 1의 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3:1)를 피하투여하였다. 감염 과정을 28 일동안 관찰하였는데, 매일 각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혈액 박막(thin blood film)을 제조하여 김자 염색한 후 감염 여부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음성 반응을 보이는 생쥐의 혈액은 채혈 후 0.9% 식염수로 2 배 희석하고 0.2 ㎖을 5 마리의 무투약 생쥐에게 정맥투여로 재차 감염시키고 28 일간 더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알테수네이트 단독 투여는 저용량(0.3 ㎎/㎏) 또는 고용량(4 ㎎/㎏) 모두에서 감염 과정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또한 피로나리딘 단독 투여는 0.9 ㎎/㎏ 용량에서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12 ㎎/㎏ 용량에서 기생충증을 28 일간 완전히 억제하였고, 이 때까지 감염증을 보이지 않은 생쥐들의 혈액을 취해 무투약 생쥐에 재차 감염시킨 후 28 일간을 더 관찰하였을 때에도 감염증은 재발되지 않았다. 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3:1) 병용 투여(실시예 1)는 저용량, 중용량, 고용량(4, 8, 16 ㎎/㎏) 모두에서 뛰어나며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8 ㎎/㎏(피로나리딘 + 알테수네이트: 6 + 2) 이상의 용량에서는 매우 뛰어난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기생충증을 28 일간 완전히 억제하고, 이 때까지 감염증을 보이지 않은 생쥐들의 혈액을 취해 무투약 생쥐에 재차 감염시킨 후 28 일간을 더 관찰하였을 때도 감염증은 재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병용 투여에 의해 항말라리아 효과를 보이는 알테수네이트의 투여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2) 전체 감수성 시험(4-일 시험)
0 일에 2×106 개의 감염된 적혈구를 생쥐에 감염시키고, 2 시간 후부터 약물을 투여하고 하루 한번씩 3 일까지 투여하였다. 4 일에 꼬리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액 박막을 제조하고, 김자 염색한 후 감염 여부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사용된 원충은 P. 베르게이(P. berghei) NY-약물 민감성, P. 베르게이 PYN-피로나리딘 저항성, P. 베르게이 SANA-알테수네이트 저항성 등이었다. 투약 종료 후 다음 날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박막을 제조하고 기생충의 출현빈도를 현미경 검경으로 측정하여 정균효과를 관찰하였다. 정균활성은 대조군과 약물 처리군의 기생충혈증 수준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50% 및 90% 효과수준(effective level; ED50, ED90)을 로그 약물농도와 정균활성 그래프로부터 산출하고, 다음 식과 같이 ED90 수준에서의 저항 인덱스(I90)을 계산하였다.
저항 인덱스(resistance factor, I90) = ED90 약물저항성/ED90 약물민감성
그 결과를 표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혈액 내 말라리아 원충에 대한 피로나리딘의 정균 활성
말라리아 원충 ED50(㎎/㎏/일) ED90(㎎/㎏/일) I90
P. 베르게이 NY 0.5(0.3-0.9) 0.8(0.4-1.5) 1.0
P. 베르게이 NPN 2.0(0.8-5.5) 0.5(6.5-48.0) 22.5
P. 베르게이 SANA 0.9(0.6-1.2) 2.2(1.7-3.2) 1.2
혈액 내 말라리아 원충에 대한 알테수네이트의 정균 활성
말라리아 원충 ED50(㎎/㎏/일) ED90(㎎/㎏/일) I90
P. 베르게이 NY 6.5(1.8-15.0) 30.0(8.0-68.0) 1.0
P. 베르게이 NPN 0.5(0.1-2.0) 60.0(13.0-260) 2.0
P. 베르게이 SANA 7.0(2.7-25.0) 85.0(32.0-300) 2.8
혈액 내 말라리아 원충에 대한 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의 정균 활성
말라리아 원충 ED50(mg/kg/day) ED90(mg/kg/day) I90
P. 베르게이 NY 1.2(0.8-1.4) 2.0(1.4-2.2) 1.0
P. 베르게이 NPN 1.8(0.8-3.9) 11.0(5.0-23.0) 5.5
P. 베르게이 SANA 1.5(1.3-1.6) 2.2(1.8-2.5) 1.1
표 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나리딘 및 피로나리딘/알테수네이트(3:1) 병용투여는 P. 베르게이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었다. 즉, 피로나리딘 저항성 균종에 대한 피로나리딘 단독 투여의 ED90은 18 ㎎/㎏/일인 반면, 병용 투여 시에는 11 ㎎/㎏/일로 감소되었다. 또한 피로나리딘 저항성 균종에 대한 알테수네이트 단독 투여의 ED90은 60 ㎎/㎏/일인 반면, 병용 투여 시에는 11 ㎎/㎏/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로나리딘 저항성 균종에 대해서 병용 투여가 더 낮은 용량의 피로나리딘과 알테수네이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실험예 5: 반복투여 독성시험
흰쥐를 이용한 4 주간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OECD 공인 독성시험 GLP 기관인 한국안전성평가연구소에서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 수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피로나리딘의 무독성량은 암수 모두에서 23 ㎎/㎏으로 확실 중독량은 210 ㎎/㎏으로 관찰되었고, 알테수네이트의 무독성량은 암수 모두에서 30 ㎎/㎏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시예 1의 병용 투여의 무독성량은 암수 모두에서 40 ㎎/㎏으로 확실 중독량은 360 ㎎/㎏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병용 투여에 의해서 4 주 반복 투여 독성이 완화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용하면, 약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약물 상호간의 약효 상승효과를 갖게 하여 내성 균주에 대해서 뛰어난 말라리아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16)

  1.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유효성분으로서 알테수네이트 및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되, 상기 알테수네이트가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조제된 말라리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테수네이트와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의 중량비가 1:1 내지 1:6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알테수네이트와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1:3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알테수네이트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마이크로캡슐 또는 과립 형태의 공융 혼합물, 또는 코팅 제제로 제형화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또는 에틸셀룰로스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알테수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1:0.1 내지 1:2인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피로나리딘 염은 인산, 황산, 염산,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과의 산 부가염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피로나리딘 염은 피로나리딘 인산염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건조 시럽제 또는 내용 액제 형태의 조성물.
  15. 알테수네이트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1차 제형화한 후,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혼합하여 최종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알테수네이트는 상기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조제된 말라리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알테수네이트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마이크로캡슐 또는 과립 형태의 공융 혼합물로 제형화하거나, 코팅제로 코팅한 후,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을 혼합하여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40088413A 2004-11-02 2004-11-02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13A KR100623322B1 (ko) 2004-11-02 2004-11-02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2005003402A AP2419A (en) 2004-11-02 2005-09-29 Orally administrable anti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OA1200500281A OA13155A (en) 2004-11-02 2005-10-07 Orally administrable ant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CN2005800374225A CN101052392B (zh) 2004-11-02 2005-10-14 可口服给药的抗疟药组合制剂及其制备方法
BRPI0517241A BRPI0517241B8 (pt) 2004-11-02 2005-10-14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 para preparar a mesma
PCT/KR2005/003432 WO2006049391A1 (en) 2004-11-02 2005-10-14 Orally administrable anti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ZA200703467A ZA200703467B (en) 2004-11-02 2007-04-30 Orally administrable anti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HK08102530.5A HK1113079A1 (en) 2004-11-02 2008-03-05 Orally administrable antimalarial combine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13A KR100623322B1 (ko) 2004-11-02 2004-11-02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86A KR20060039286A (ko) 2006-05-08
KR100623322B1 true KR100623322B1 (ko) 2006-09-19

Family

ID=3631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413A KR100623322B1 (ko) 2004-11-02 2004-11-02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100623322B1 (ko)
CN (1) CN101052392B (ko)
AP (1) AP2419A (ko)
BR (1) BRPI0517241B8 (ko)
HK (1) HK1113079A1 (ko)
OA (1) OA13155A (ko)
WO (1) WO2006049391A1 (ko)
ZA (1) ZA20070346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2280B2 (en) 2016-08-12 2020-10-06 Novmetapharm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odiaquine and anti-diabetes drug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KR20230076573A (ko) 2021-11-24 2023-05-31 장은혜 야생쑥 추출 천연 아르테미시닌을 함유한 항말라리아용 구강붕해성 필름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4638B (zh) * 2009-05-12 2012-05-30 重庆通天药业有限公司 乳酸咯萘啶及其药物组合物
EP4129290A4 (en) * 2020-03-26 2023-08-30 Shin Poong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EPIDEMIC RNA VIRUS INFECTIOUS DISEASE
CN113350334A (zh) * 2021-02-05 2021-09-07 中国中医科学院中药研究所 一种含有双氢青蒿素的抗疟药物
WO2022231238A1 (ko) * 2021-04-26 2022-11-03 심민보 아르테수네이트 또는 그의 염, 및 피로나리딘 또는 그의 염의 해열, 항염증, 항바이러스용, 또는 covid-19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0925A (zh) * 1997-05-30 1998-12-09 北京市科泰新技术公司 一种治疗抗药性恶性疟疾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2280B2 (en) 2016-08-12 2020-10-06 Novmetapharm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odiaquine and anti-diabetes drug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KR20230076573A (ko) 2021-11-24 2023-05-31 장은혜 야생쑥 추출 천연 아르테미시닌을 함유한 항말라리아용 구강붕해성 필름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9391A1 (en) 2006-05-11
BRPI0517241B1 (pt) 2019-10-22
BRPI0517241A (pt) 2008-10-07
AP2419A (en) 2012-06-05
HK1113079A1 (en) 2008-09-26
OA13155A (en) 2006-12-13
CN101052392A (zh) 2007-10-10
BRPI0517241B8 (pt) 2021-05-25
KR20060039286A (ko) 2006-05-08
CN101052392B (zh) 2010-12-15
ZA200703467B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2857B2 (ja) 抗マラリア性組成物
US4537898A (en) Liquid formulations of dihydropyridines
ES2385819T3 (es) Combinación antirretroviral
TWI387456B (zh) 用於治療瘧疾之二茂鐵氯奎(ferroquine)及黃花蒿素(artemisinin)衍生物之組合
AU2014274890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a HIF hydroxylase inhibitor
KR100623322B1 (ko) 경구투여용 항말라리아 배합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7400180B2 (ja) 非経口製剤及びその使用
WO2005023304A2 (en) Antimalarial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O2007029093A2 (en)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oxcarbazepine
KR20140053169A (ko) 아르테롤란 및 피페라퀸의 안정한 제형
CN112020356B (zh) 作为抗疟疾药物组合的喹啉-4-甲酰胺类和苯并萘啶衍生物的组合
CN113057946A (zh) 一种双氢青蒿素哌喹片及其制备方法
AU668376B2 (en) Antimalarial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nflumetol
WO2007036947A1 (en) Delayed release anti-malarial composition
KR20090073511A (ko)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말라리아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KR101701547B1 (ko) 말라리아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페로퀸의 용도
WO2002026226A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de la dihydroartemisinine indiquee pour le traitement de la malaria
CN102327220B (zh) 一种氯雷他定脂质体固体制剂
US5637594A (en) Antimalarial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nflumetol
CN101953811A (zh) 一种用于防治老年性痴呆的滴丸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0583439B1 (en) Antimalarial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nflumetol
CN116898851A (zh) 一种氧代哒嗪酰胺类衍生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医药用途
WO2022090490A1 (en) Rifaximin liquid formula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ickle cell disease
CN116898852A (zh) 一种氧代哒嗪酰胺类衍生物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医药用途
RU2543322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вич-инфекци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