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000B1 -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000B1
KR100621000B1 KR1020040076644A KR20040076644A KR100621000B1 KR 100621000 B1 KR100621000 B1 KR 100621000B1 KR 1020040076644 A KR1020040076644 A KR 1020040076644A KR 20040076644 A KR20040076644 A KR 20040076644A KR 100621000 B1 KR100621000 B1 KR 10062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robot cleaner
information data
connection mean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727A (ko
Inventor
임형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0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항상 전원이 연결되는 로봇청소기의 충전대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그 충전대의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24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과, 상기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무선랜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ROBOT CLEAN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로봇 청소기 110:마이크로컴퓨터
120:무선랜 130:알에프송수신부
140:블루투스송수신부 200:충전대
210:네트워크 연결수단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청소기의 충전대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그 충전대의 네트워크를 연결수단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24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로봇청소기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청소경로를 주행하면서 청소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기설정된 청소 경로를 자동적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봇청소기의 위치와 주행거리 및 장애물등을 감지하기 위해 많은 수의 센서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의 정확한 방향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주행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엔코더와, 목표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및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등의 수 많은 센서들이 로봇 청소기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술한 로봇청소기를 청소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때 종래에는 상기 로봇청소기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하여, 가정용 피씨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가정용 피씨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방법은, 만약 외부에서 로봇 청소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피씨를 24시간 켜놓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항상 전원이 연결되는 로봇청소기의 충전대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그 충전대의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24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과, 상기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무선랜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알에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송수신부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알에프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상기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고, 상기 알에프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알에프 정보데이 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충전대가 항상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120)과; 상기 무선랜(120)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10)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100)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무선랜(120)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랜(120)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구비하는 충전대(200)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상기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력된 원격제어 데이터에 따른 결과를,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데, 즉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정보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무선랜(12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보데이터에는, 로봇청소기(100)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신호가 포함된다.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의 무선랜(120)으로 전송하고, 그 무선랜(120)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미도시)과,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씨피유(미도시)를 구비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 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한다.
도2는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알에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송수신부(130)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되는 알에프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10)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100)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알에프 정보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구비하는 충전대(200)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상기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력된 원격제어 데이터에 따른 결과를, 알에프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데, 즉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알에프 정보데이터를 알에프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알에프 송수신부(13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보데이터에는, 로봇청소기(100)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신호가 포함된다.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의 알에프송수신부(130)로 전송하고, 그 알에프송수신부(120)에서 송신되는 알에프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미도시)과,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씨피유(미도시)를 구비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알에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알에프송수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알에프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저장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알에프 송수신부(130)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한다.
도3은 본 발명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10)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100)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구비하는 충전대(200)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마이크로컴퓨터(110)는, 상기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을 통해 입력된 원격제어 데이터에 따른 결과를,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데, 즉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0)는 블루투스 정보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보데이터에는, 로봇청소기(100)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충전대(200)의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의 블루투스 송수신부(140)로 전송하고, 그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에서 송신되는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미도시)과,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씨피유(미도시)를 구비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140)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 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210)은, 저장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알에프 송수신부(130)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항상 전원이 연결되는 로봇청소기의 충전대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 가정용 피씨를 통해 외부 인터넷에 연결하는 대신에, 로봇청소기의 충전대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그 충전대의 네트워크를 연결수단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24시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외부에서 로봇 청소기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피씨의 전원을 24시간 별도로 켜 놓아야 하지만,본원발명은 충전대에 설치되므로 별도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과,
    상기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무선랜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의 원격제어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원격제어 데이터에 따른 결과를,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씨피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상기 무선랜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9. 원격 제어를 위한 알에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알에프 송수신부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알에프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상기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고,
    상기 알에프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알에프 정보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결과를, 알에프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알에프 정보 데이터를, 알에프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정보 데이터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시스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알에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알에프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알에프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씨피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상기 알에프 송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7.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와;
    외부 원격제어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여, 그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봇 청소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충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결과를,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정보 데이터는,
    카메라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시스템.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전력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PLC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씨피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수단은,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정보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040076644A 2004-09-23 2004-09-23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062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44A KR100621000B1 (ko) 2004-09-23 2004-09-23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44A KR100621000B1 (ko) 2004-09-23 2004-09-23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27A KR20060027727A (ko) 2006-03-28
KR100621000B1 true KR100621000B1 (ko) 2006-09-19

Family

ID=371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644A KR100621000B1 (ko) 2004-09-23 2004-09-23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47B1 (ko) * 2006-04-03 2007-03-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로봇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4347B1 (ko) 2013-07-29 2020-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청소 시스템,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27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79B1 (ko)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로봇 제어방법
KR100677252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시스템 및 방법
RU2305029C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управляемый робот-уборщик и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
US7227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turning self-moving robot to charger
KR20060028293A (ko) 로봇청소기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55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gacy home appliances
US10012963B2 (en) Smart household applian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
GB2376535A (en) Robot clean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1025426B1 (ko) 센서 위치 추적 팬 틸트 네트워크 감시카메라
KR100621000B1 (ko) 로봇 청소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0645816B1 (ko) 이동로봇의 이동거리 보정 장치
KR100483567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19745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126855B1 (ko) 디바이스 및 시설물의 원격 상태 관리, 제어를 위한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1358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34960A (ko) 차량의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414637Y1 (ko) 청소로봇의 원격제어장치
KR101745818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KR20020080895A (ko) 로봇청소기의 제어시스템
KR20090114965A (ko) 청소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38256B1 (ko) 청소로봇과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13008A (ko) 로봇 청소기
KR100492540B1 (ko) 로봇 청소기의 초음파 센서 운용방법
KR100441087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청소 시스템
KR100482974B1 (ko) 스캔형 온라인 두께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