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18B1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18B1
KR101745818B1 KR1020160023110A KR20160023110A KR101745818B1 KR 101745818 B1 KR101745818 B1 KR 101745818B1 KR 1020160023110 A KR1020160023110 A KR 1020160023110A KR 20160023110 A KR20160023110 A KR 20160023110A KR 101745818 B1 KR101745818 B1 KR 10174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oard
communication
unit
convers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성
Original Assignee
최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성 filed Critical 최인성
Priority to KR102016002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비교적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두 보드 상호간을 데이터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연결하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는 지그비(Zigbee) 통신에 의해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INTEGRATE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비교적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두 보드 상호간을 데이터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연결하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는 지그비(Zigbee) 통신에 의해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개발되면서, 관리자가 현장에 있지 않더라도 그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등)를 수집하여 현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원거리에서도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센서들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각 센서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수집한 후,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격지의 서버나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각종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용이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실내에 설치하면 외부로의 원거리 송신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부로의 원거리 송신이 용이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실외에 설치하면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워 각 센서의 송신출력을 높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선 및 무선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와 원거리의 정보를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에 통신할 수 있게 하여 원격 감시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 통합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02호에 개시된 통합통신 시스템은, 주로 사용되는 다수의 통신프로토콜을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장에 설치되는 위치는 실내 또는 실외로 택일적일 수 밖에 없었는바,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 획득 효율 저하나 원거리 전송 효율 저하 중 어느 하나의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장에 있는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방문하거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 장치마다 서버나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야 하였는바, 원거리에서 현장에 있는 장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장비 자체의 교체 등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02호
본 발명은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비교적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두 보드 상호간을 데이터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연결하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는 지그비(Zigbee) 통신에 의해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려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장비로 송출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원거리용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원거리에 있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송출하며,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유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변환보드; 및 원거리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통신로를 통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유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각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전달받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환보드 접속부; 및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구동하고자 하는 각 장비로 송출하여 각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데이터 변환보드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유선통신수단으로서, RS485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랜케이블에 의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는,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의 데이터 변환과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함께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유선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지그비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부와, 상기 지그비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센싱 데이터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부가 구비된 데이터 변환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비교적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두 보드 상호간을 데이터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지그비(Zigbee) 통신에 의한 센싱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있는 장비 자체를 개별적인 통신모듈이 구비되도록 교체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변환보드와 인터페이스 보드를 통하여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현장의 각 장비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의 입출력 현황을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려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장비로 송출하는 인터페이스 보드(100)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원거리용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원거리에 있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송출하며,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유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변환보드(200)와; 원거리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통신로를 통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0)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각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부(110)와,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전달받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환보드 접속부(120)와,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구동하고자 하는 장비로 송출하여 각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 송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에서 오는 아날로그 신호(0~10 V의 전압신호를 12 Bit resolution)로 이루어진 센싱 데이터를 최대 8채널로 입력받고, 디지털 접점 신호는 최대 16채널로 입력받을 수 있게 되며, 입력받은 센싱 데이터를 임시 저장했다가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120)를 통하여 최대 10Hz의 속도로 데이터 변환보드(2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0)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장소나 센서의 개수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0)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터페이스 보드(100)에 데이터 변환보드(200)가 각각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데이터 변환보드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유선통신수단으로서, RS485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랜케이블에 의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RS485 통신방식은 반이중 통신방식으로서, + 신호선과 - 신호선 두 가닥의 회선을 사용하면서 두 신호선의 전위차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차동 입출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약 1.2km까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데이터 수집을 위해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보드(100)와, 격지로의 무선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데이터 변환보드(200)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바, 센싱 데이터나 제어데이터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의 데이터 변환과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원도 함께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별도의 독립적인 전원수단이 없어도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 변환보드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데이터 송출부(130)는,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300)에서 생성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200)로부터 전달받아 제어데이터에 의해 구동하고자 하는 각 장비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인 통신모듈을 각 장비에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데이터 변환보드에 의해 각 장비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의한 원격지에서의 장비 구동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출력 8 채널과, 디지털 접점 출력 8채널을 통하여 각 장비에 적합한 형태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2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300)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상에서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0)로 전달하기 위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와 가까운 곳인 실내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는 달리, 무선통신의 장애물이 비교적 적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100)와, 비교적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보드(200)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두 보드 상호간을 데이터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RS485와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2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210)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유선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220)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지그비 통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210)는, 설치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200)와 인터페이스 보드(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유선통신수단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구비된 변환보드 접속부와 마찬가지로 RS485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랜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210)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는 데이터 변환과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원도 함께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22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에 의해 유선으로 전달받은 센싱 데이터를 상기 지그비 통신부에서의 무선통신에 적합한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지그비 통신방식에 의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300)으로부터 지그비 통신방식에 의해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는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RS485 유선통신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210)에 의해 RS485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유선통신인 RS485와 무선통신인 지그비(Zigbee) 상호간에 통신방식을 달리하면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그비 통신부(230)는,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탑재한 보드(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변환보드임)가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제어보드(본 발명에서는 인터페이스 보드임)와 가깝게 설치되면 통신에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됨이 여러 실험을 통해 밝혀지게 되어 본 발명에서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데이터 변환보드의 설치 위치를 실내와 실외로 구분하여 원활한 통신환경이 구현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수신하여야 하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도 지그비 통신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지그비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센싱 데이터의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하게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부가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변환보드가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그비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된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어 현장의 모니터링 결과로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인터페이스 보드 110 : 센싱 데이터 수집부
120 : 변환보드 접속부 130 : 제어데이터 송출부
200 : 데이터 변환보드 210 :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
220 : 데이터 변환부 230 : 지그비 통신부
300 : 데이터 관리시스템

Claims (8)

  1.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려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장비로 송출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원거리용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원거리에 있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송출하며, 격지의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유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변환보드; 및
    원거리 무선 통신망상에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통신로를 통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여러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원거리로 무선 통신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유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각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센싱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전달받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환보드 접속부, 및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구동하고자 하는 각 장비로 송출하여 각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데이터 변환보드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유선통신수단으로서, RS485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랜케이블에 의해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보드 접속부는,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에서의 데이터 변환과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함께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변환보드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보드 접속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를 유선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센싱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지그비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지그비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부와, 상기 지그비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센싱 데이터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부가 구비된 데이터 변환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KR1020160023110A 2016-02-26 2016-02-26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KR10174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10A KR101745818B1 (ko) 2016-02-26 2016-02-26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10A KR101745818B1 (ko) 2016-02-26 2016-02-26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18B1 true KR101745818B1 (ko) 2017-06-09

Family

ID=5922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110A KR101745818B1 (ko) 2016-02-26 2016-02-26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664B1 (ko) 2017-08-02 2017-12-27 (주)백산에스엔케이 소형화 및 모듈화된 해양플랫폼 자산 무결성 관리시스템용 iot 디바이스
KR102154035B1 (ko) * 2020-02-18 2020-09-09 삼인싸이언스(주) 식별자 자동부여 데이터 처리 보드, 식별자 자동부여 데이터 처리 보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47B1 (ko) 2012-05-25 2013-06-05 최치건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47B1 (ko) 2012-05-25 2013-06-05 최치건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664B1 (ko) 2017-08-02 2017-12-27 (주)백산에스엔케이 소형화 및 모듈화된 해양플랫폼 자산 무결성 관리시스템용 iot 디바이스
KR102154035B1 (ko) * 2020-02-18 2020-09-09 삼인싸이언스(주) 식별자 자동부여 데이터 처리 보드, 식별자 자동부여 데이터 처리 보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11507390B2 (en) 2020-02-18 2022-11-22 Samin Science Co., Ltd. Identifier automatic assigning data processing board, data processing module including identifier automatic assigning data processing board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data process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67B1 (ko) 축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HK1149069A1 (en) Air-conditioning management apparatus, air-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EP1909235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iagnostics of devices
CN205301613U (zh) 一种可远程访问的自动气象站
KR101866702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스마트팜용 통신모듈 분리형 사물인터넷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US111592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dition monitoring
CN105634815A (zh) 应用于光纤配线网络的智能odn设备管理系统及方法
KR102344193B1 (ko)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3053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관 관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818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통합시스템
CN106288233A (zh) 一种空调诊断及调试系统
CN105043347A (zh) 一种墙体测斜系统及方法
MY164587A (en) Slope monitoring system
KR101126855B1 (ko) 디바이스 및 시설물의 원격 상태 관리, 제어를 위한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4851273A (zh) 基于网络的智能测量系统
CN104375450B (zh) 一种用于控制远程设备的自动化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US11856343B2 (en) Monitoring of high-voltage or medium-voltage equipment
KR102463605B1 (ko) IoT를 적용한 작업 자동화 시스템
KR101180375B1 (ko) 발전설비의 운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CN108224685A (zh) 基于电力载波的空调远程控制系统
KR20120140132A (ko) 전력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환경 관리 usn 시스템
CN110995580A (zh) 一种多功能物联网网关
CN216083770U (zh) 电务室内设备远程智能巡检通讯系统
KR20080110941A (ko) 이동 통신 모뎀 및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게이트웨이 장치를 활용한 온실 관리 방법
CN204761593U (zh) 一种低功耗无线图像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