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501B1 -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01B1
KR100620501B1 KR1020040091348A KR20040091348A KR100620501B1 KR 100620501 B1 KR100620501 B1 KR 100620501B1 KR 1020040091348 A KR1020040091348 A KR 1020040091348A KR 20040091348 A KR20040091348 A KR 20040091348A KR 100620501 B1 KR100620501 B1 KR 10062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profile
poi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618A (ko
Inventor
길기종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5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83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curvature of the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용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profile,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시 반경(Radius) 설계 개념을 포인트(point) 설계 개념으로 변경하여 트레드 폭들의 선단점에서 접선과 수평선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서 균일하고 라운드한 접지형상을 갖추어 타이어의 제동, 조종 안정성 및, 마모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구성하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 지점(Point)에서의 접선 기울기와 수평선과의 각도(α)를 제어하여 라운드한 접지 형상 및 균일한 접지압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갖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100) 프로파일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100)의 원호를 구성하기 위하여 센터(CL)로부터 각각 일정 지점(A,B,C)을 설정하고 이들 각각의 일정 지점(A,B,C)에서의 접선 기울기 각도(α)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반경(Radius)을 구성한 후, 이들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원호간 서로 접선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정 설계되도록 설정된다.
각도(α) = kX2 + jX + 0.03
여기서 k = 0.5 ~ 0.7
j = 0.06 ~ 0.09
X = (각각의 지점 A,B,C에서 센터(CL)로부터 수평거리(a,b,c)/센터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선단 점까지의 수평거리로서, 센터(CL)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끝점인 C까지의 수평거리)

Description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Method of designing tread profile of tire having uniform ground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의 프로파일 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어 트레드의 개략적 구성 부분 단면도,
도 2(가),(나)는 종래 타이어 트레드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이어 트레드의 접지형상을 나타낸 접지 압력 분포도들,
도 3은 종래 타이어 트레드의 프로파일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어 트레드의 개략적 구성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레드, TW1,TW2,TW3 : 트레드의 폭,
TR1,TR2,TR3 : 트레드의 원호.
본 발명은 승용차용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profile, 형상)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시 반경(Radius) 설계 개념을 포인트(point) 설계 개념으로 변경하여 트레드 폭들의 선단점에서 접선과 수평선의 각 도를 제어함으로서 균일하고 라운드한 접지형상을 갖추어 타이어의 제동, 조종 안정성 및, 마모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승용차의 성능 발전과 더불어 고성능 고출력의 승용차에 맞는 고성능 저편평비의 타이어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초저편평비 타이어의 사용조건은 차량의 고성능화 및 고출력화로 더욱 가혹해지고 있다.
한편, 도로의 지면과 직접 맞닿는 타이어 트레드가 이루는 타이어 트레드의 접지형상 및 접지압력은 타이어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바, 타이어 단면형상에서의 트레드 프로파일이 대칭인 타이어에 대해 편평비가 높은 경우 1개의 원호로 트레드 프로파일을 설정하였으며, 단면 폭이 높아질수록 2개 또는 그 이상의 원호를 사용하여 트레드 프로파일을 설정하여 왔다.
2개 이상의 원호를 사용하여 트레드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종래 타이어 트레드의 프로파일 설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드 폭(TW1,TW2,TW3)을 트레드(100) 총폭(TW)의 일정비율로, 각각의 트레드 원호(TR1,TR2,TR3)는 공칭 단면 폭의 일정비율로 설정하여 설계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 트레드(100)의 접지형상 및 접지압은 트레드 총폭(TW)의 크기 변화 및 사이즈 변화에 따라 다른 형상을 보이므로 기존 설계방법 적용시 목표 접지형상 구현의 실패 및 접지압력 분균일로 전체적인 타이어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컸다.
이를 좀더 부언하면, 도 3에 도시된 종래 타이어 트레드의 프로파일 설계방 식은 2개 또는 3개의 트레드(100) 원호를 설정할 경우 각각의 트레드 원호(TR1,TR2,TR3)를 공칭 단면 폭의 일정비율로 각각의 트레드 폭(TW1,TW2,TW3)은 일정비율로 설정하여 왔다. 즉,
TR1=NSW(공칭 단면폭)*a%, TW1= 트레드폭의 α%
TR1=NSW(공칭 단면폭)*b%, TW1= 트레드폭의 β%
TR1=NSW(공칭 단면폭)*c%, TW1= 트레드폭의 δ%으로 각각 a,b,c 및 α,β,δ에 대하여 적정 비율을 설정하여 트레드 원호를 구성하여 왔다.
그러나 접지 형상 및 접지압은 트레드폭의 크기 변화 및 사이즈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기존 설계방법 적용시 목표 접지형상 구형의 실패 및 접지압력 불균일로 전체적인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시 기존에 사용했던 반경(Radius) 설계 개념을 포인트(Point) 설계 개념으로 변경 각각의 트레드폭(TW1,TW2,TW3)의 선단점에서 접선과 수평선의 각도를 제어하여 균일하고 라운드한 접지형상을 갖게 하므로써 제동, 조종 안정선, 마모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타이어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구성하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프로파일 내 임의의 점에서 접선과 수평선을 이루는 각도(α)는 다음 식을 만족하 도록 되어 있다.
각도(α) = kX2 + jX + 0.03
여기서 k = 0.5 ~ 0.7
j = 0.06 ~ 0.09
X = (각각의 지점 A,B,C에서 센터(CL)로부터 수평거리(a,b,c)/센터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선단점까지의 수평거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어 트레드의 개략적 구성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구성하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을 구성함에 있어 일정 지점(Point)에서의 접선 기울기와 수평선과의 각도(α)를 제어하여 라운드한 접지 형상 및 균일한 접지압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서,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갖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100) 프로파일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100)의 원호를 구성하기 위하여 센터(CL)로부터 각각 일정 지점(A,B,C)을 설정하고 이들 각각의 일정 지점(A,B,C)에서의 접선 기울기 각도(α)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반경(Radius)을 구성한 후, 이들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원호간 서로 접선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정 설계되도록 설정된다.
각도(α) = kX2 + jX + 0.03
여기서 k = 0.5 ~ 0.7
j = 0.06 ~ 0.09
X = (각각의 지점 A,B,C에서 센터(CL)로부터 수평거리(a,b,c)/센터(CL)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선단점까지의 수평거리로서, 센터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끝점인 C점까지의 수평거리)
상기와 같은 트레드(100)의 원호를 설정하면 본 발명의 목표설정에 적합한 접지형상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의 (가),(나)는 종래 타이어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이어의 트레드 접지압력 분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100)의 접지압력 분포가 종래 타이어 트레드의 접지압력과 비교할 때, 균일하고 라운드한 형상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타이어 트레드는 균일하고 라운드한 접지형상을 갖춤에 따라 타이어의 제동, 조종 안정성, 마모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을 갖추게 된다.

Claims (1)

  1. 2개 이상의 트레드 원호를 갖는 고성능 타이어의 트레드(100) 프로파일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100)의 원호를 구성하기 위하여 센터(CL)로부터 각각 일정 지점(A,B,C)을 설정하고 이들 각각의 일정 지점(A,B,C)에서의 접선 기울기 각도(α)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반경(Radius)을 구성한 후, 이들 각각의 트레드 반경(TR1,TR2,TR3)의 원호간 서로 접선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정 설계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각도(α) = kX2 + jX + 0.03
    여기서 k = 0.5 ~ 0.7
    j = 0.06 ~ 0.09
    X = (각각의 지점 A,B,C에서 센터(CL)로부터 수평거리(a,b,c)/센터(CL)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선단점까지의 수평거리로서, 센터로부터 트레드 총폭의 끝점인 C까지의 수평거리)
KR1020040091348A 2004-11-10 2004-11-10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KR10062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48A KR100620501B1 (ko) 2004-11-10 2004-11-10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48A KR100620501B1 (ko) 2004-11-10 2004-11-10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18A KR20060042618A (ko) 2006-05-15
KR100620501B1 true KR100620501B1 (ko) 2006-09-07

Family

ID=3714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48A KR100620501B1 (ko) 2004-11-10 2004-11-10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7475B2 (ja) * 2018-04-16 2022-11-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N112874245A (zh) * 2021-03-19 2021-06-01 山东兴鸿源轮胎有限公司 一种具有曲率连续轮胎冠部轮廓曲线的轮胎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029A (ja) * 1990-10-18 1992-05-26 Sumitomo Rubber Ind Ltd トレッドゴム体
JPH05229308A (ja) * 1992-02-19 1993-09-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1047816A (ja) 1999-08-11 2001-02-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レース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設計方法
KR20030043243A (ko) * 2001-11-27 2003-06-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40005445A (ko) * 2002-07-10 2004-01-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알 타이어의 트래드 프로파일 설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029A (ja) * 1990-10-18 1992-05-26 Sumitomo Rubber Ind Ltd トレッドゴム体
JPH05229308A (ja) * 1992-02-19 1993-09-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1047816A (ja) 1999-08-11 2001-02-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レース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設計方法
KR20030043243A (ko) * 2001-11-27 2003-06-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40005445A (ko) * 2002-07-10 2004-01-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알 타이어의 트래드 프로파일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18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97B2 (en) Heavy-duty tire with tread having middle blocks
EP2181863B1 (en) Pneumatic tire
JP5860625B2 (ja) タイヤ
CN101920637A (zh) 不平整地面行驶用充气轮胎
JP2007331439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08926A1 (ja) タイヤ
KR100620501B1 (ko) 균일한 접지압을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프로파일 설계방법
WO2013015408A1 (ja) タイヤ
GB2376217A (en) Pneumatic tyre with circumferential and angled tread grooves
JP2019104415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453246B2 (en) Tire
WO2013015375A1 (ja) タイヤ
US20070137749A1 (en) Tire with tread pattern
JPH08295105A (ja) V字型方向性傾斜溝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KR10107835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0510872B1 (ko)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100496147B1 (ko)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JP5797965B2 (ja) タイヤ
KR20100031999A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0546633B1 (ko) 레이싱용 공기입 레디알 타이어
KR100491994B1 (ko) 공기입 레디알 타이어의 트래드 프로파일 설계 방법
JP5869799B2 (ja) タイヤ
JP5808597B2 (ja) タイヤ
CN108367625B (zh) 轮胎胎面花纹块的几何形状
JP200920270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