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691B1 -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691B1
KR100619691B1 KR1020000008197A KR20000008197A KR100619691B1 KR 100619691 B1 KR100619691 B1 KR 100619691B1 KR 1020000008197 A KR1020000008197 A KR 1020000008197A KR 20000008197 A KR20000008197 A KR 20000008197A KR 100619691 B1 KR100619691 B1 KR 10061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all
voice
wireless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701A (ko
Inventor
박영만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8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6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규격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통화 장치에 전송 용량에 따라 별도의 코덱을 내장하여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제작 단계에서 코덱을 선택해야 되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할 수 없어 대중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품질 모드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모드에 대응하는 코덱을 선택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모드 정보를 셋업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대측 무선 통화 장치와 호설정을 하는 단계와; 상기 호설정시 상대측 무선 통화 장치의 응답 종류에 따라 상기 통화 품질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통화 장치의 모드 및 통화 상대자의 통화 장치의 성능을 파악하여 송수신 데이터(음성, 음악 등..)의 종류에 따라 최상의 품질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EING CAPABLE OF SELECTING COMMUNICATION QUALITY}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코덱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코덱 모드를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 처리부 2 : 음성신호 처리부
3 : 키패드 4 : 스피커
5 : 마이크 6 : 중앙 처리부
7 : 코덱부
본 발명은 무선 휴대폰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 모드 및 통화 상대자의 휴대폰 성능을 파악하여 최상의 품질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은 유선 전화의 개발 이후로 근거리에서는 쌍방간에 유선 연결을 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는 무전기에서부터 900MHz용 무선 전화기 및 고속 주행하는 자동차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음성 전달에만 머물렀던 휴대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 MP3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기능과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게 되었다.
더구나, 21세기에는 현재의 휴대폰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 음질이 뛰어나고 국제 단일표준이기 때문에 한 개 단말기로 전세계 어느 곳에서나 상대방의 얼굴을 서로 마주보면서 통화 할 수 있는 차세대 휴대폰 규격이 발표되면서 각 휴대폰 제작사에서도 그에 대응한 휴대폰의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규격이 마련되어 있으며 통화 품질은 음성을 부호화하는 코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폰에서는 다양한 성능을 갖는 복수개의 코덱을 내장한 휴대폰이 없어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의 품질을 직접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는 방법 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용 모드 및 통화 상대자의 휴대폰 성능을 파악하여 최상의 품질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고주파(RF) 처리부와; 상기 고주파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따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대측 전화 번호 또는 메뉴 제어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상대의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원활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트율로 음성을 부호화하는 다수개의 음성코덱을 구비한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고주파(RF) 처리부(1)와; 상기 고주파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따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와; 상대측 전화 번호 또는 메뉴 제어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5)와; 상대의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원활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6)와; 상기 중앙 처리부(6)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트율로 음성을 부호화하는 다수개의 음성코덱을 구비한 코덱부(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2와 도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코덱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일단, 사용자가 키패드(3) 등에 의해 코덱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모드를 선택하였다면 일반 모드에 해당하는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7a)이 선택되어 음성 송수신을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드가 일반 모드가 아닐 경우 이번에는 고음질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고음질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그에 해당하는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7b)이 선택되어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음성을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모드 판단에 의해 음성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이번에는 음악이나 미디와 같은 사운드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자연음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코덱(7c)을 통해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원음 그대로의 사운드가 스피커(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드는 사용자가 먼저 전화를 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자동으로 상기 휴대폰에서 지원하는 가장 품질이 좋은 고음질 모드가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반 모드는 가장 대중화된 전송모드로서 모든 휴대폰에서 지원하도록 되어있는데, 만약 오래전에 출시된 휴대폰이나 상기와 같이 고음질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휴대폰과는 통화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모드를 선택할 경우 고음질 모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일반모드로 바꾸어 다시 전화를 걸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모드를 전환할 경우 사용이 번거롭기 때문에 모든 휴대폰에서 지원하는 일반 모드로 먼저 전화를 걸게 되어 고음질 모드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3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측의 휴대폰에서 선택된 코덱 모드를 상대측으로 전송하여 상대측의 휴대폰에서 처리가 가능한지를 응답받게 한다.
즉, 상대측 휴대폰과의 호설정을 위해 주고 받는 셋업 메시지에 상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코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상기 도2의 과정을 통해 코덱이 선택되면 상대측 휴대폰과의 호설정시 셋업 메시지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대측 휴대폰에서 이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는 응답이 있을 경우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지 않다는 응답이 오거나 아예 상기 기능이 지원 되지 않아 그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는 자동으로 고음질 모드보다 아래 단계인 일반 모드로 전환되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 통화 장치의 모드 및 통화 상대자의 통화 장치의 성능을 파악하여 송수신 데이터(음성, 음악 등..)의 종류에 따라 최상의 품질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고주파(RF) 처리부와; 상기 고주파 신호에서 음성 신호만을 따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 처리부와; 상대측 전화 번호 또는 메뉴 제어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상대의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원활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트율로 음성을 부호화하는 다수개의 음성코덱을 구비한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품질 모드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된 모드에 대응하는 코덱을 선택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방법.
  3. 사용자의 무선 통화 장치에서 선택한 통화 품질 모드 정보를 셋업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대측 무선 통화 장치와 호설정을 하는 제1단계와; 상기 호설정시 상대측 무선 통화 장치의 응답 종류에 따라 상기 통화 품질 모드를 전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코덱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상대측 무선 통화 장치의 응답이 없거나, 불가 응답이 수신될 경우에는 선택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모드의 지원이 가능한 가능 응답이 수신될 경우에는 선택된 모드로 신호처리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방법.
KR1020000008197A 2000-02-21 2000-02-21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61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97A KR100619691B1 (ko) 2000-02-21 2000-02-21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97A KR100619691B1 (ko) 2000-02-21 2000-02-21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01A KR20010083701A (ko) 2001-09-01
KR100619691B1 true KR100619691B1 (ko) 2006-09-08

Family

ID=1964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97A KR100619691B1 (ko) 2000-02-21 2000-02-21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056B1 (ko) 2004-06-05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재생 방법, 생성 장치,생성 방법, 및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01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521B1 (ko) 음성 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전화 및 중계국
KR1006403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출력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
US2004012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ground audio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KR100619691B1 (ko)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US20040204033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s
JP4263837B2 (ja) 携帯端末装置
US694428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olds melody sensing method, incoming melody playing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JPH04306944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3133013U (ja) 通信機能つきヘッドフォン
KR20010003178A (ko) 미디어 데이터 및 정보 자료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기기 및 그 운영 방법
JP2005117698A (ja) 電話器
KR1005744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음 전송 방법
KR20010085178A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KR100508642B1 (ko) 휴대 전화기
JP2002051116A (ja) 移動体通信装置
JPWO2004066524A1 (ja) 携帯電話機
KR20050099738A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배경음악 설정 방법
JP2004229213A (ja) 携帯通信端末
JP3981995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2171338A (ja) 無線通信端末
KR1010757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제어 방법
KR100452532B1 (ko)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및 통화방법
JP4768660B2 (ja) 携帯電話器に用いる装置およ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6006296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