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676B1 -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676B1
KR100619676B1 KR1019990037399A KR19990037399A KR100619676B1 KR 100619676 B1 KR100619676 B1 KR 100619676B1 KR 1019990037399 A KR1019990037399 A KR 1019990037399A KR 19990037399 A KR19990037399 A KR 19990037399A KR 100619676 B1 KR100619676 B1 KR 10061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receiv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186A (ko
Inventor
박흥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6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서 원하는 상품의 상세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상품의 구매신청시 HTML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전송스트림 형식의 방송신호에서 원래의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품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의 수신 여부를 상기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상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품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 입력시 상기 상품 정보와 구매자 정보를 소정 통신망을 통해 관련 개소측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GOODS ORDER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SET}
도 1은 종래기술의 케이블티브이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의 개략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3a-3c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채널의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노멀모드의 상품광고 화면 설명도.
도 4b는 본 발명에서 상품의 상세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상품광고 화면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방송시스템의 예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방송시스템의 다른 예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쇼핑프로그램 방송국 22 : 영상기기
31A,33A : 일반 텔레비젼수상기 31B : 디지털티브이 셋탑박스
32 : 디지털티브이 셋트 33B : 피씨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 방송의 부가기능인 데이터 방송을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중인 상품광고를 보고 에치티엠엘(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쌍방향 통신으로 원하는 상품을 보다 편리하게 주문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통신을 이용한 상품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그 예로써 인터넷 온라인 쇼핑이나 케이블티브이의 특정 채널(CH39,CH45)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을 들 수 있다.
도 1은 상기 케이블티브이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의 설명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온라인 쇼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핑프로그램의 방영권을 갖은 쇼핑프로그램 방송국(11)에서 쇼핑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케이블티브이망의 특정 채널(CH39,CH45)을 통해 송출하고, 텔레비젼수상기(12)는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그 쇼핑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자신이 선택한 채널을 통해 광고되는 쇼핑 상품을 시청하다가 원하는 상품이 소개될 때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를 보고 쇼핑프로그램 방송국(11) 또는 관련 제조업체측으로 전화를 걸어 상품을 주문하게 된 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온라인 쇼핑 시스템의 상품 주문기술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광고 방영되는 상품 중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결정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를 메모하거나 기억하고 있다가 전화를 걸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주문과정은 상당한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상품 구매욕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광고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HTML에 상품에 대한 태그(TAG)를 부가하여 전송하고,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시청자가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정보 요구신호를 소정의 통신경로를 통해 방송국에 전송하여 그 방송국으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보다 상세정보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시청자가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그 통신경로를 통해 방송국이나 제조업체에 자동적으로 구매 주문이 접수되도록한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은,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전송스트림 형식의 방송신호에서 원래의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품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의 수신 여부를 상기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상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품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 입력시 상기 상품 정보와 구매자 정보를 소정 통신망을 통해 관련 개소측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광고용 디지털 방송을 위해 오디오/비디오신호, PSIP, 유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원래의 방송신호와 상품의 상세정보를 위한 HTML을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과; 상기 전송스트림 형식의 방송신호를 수신처리하여 각 상품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분리검출한 상세정보나 별도의 통신라인을 통한 상세정보를 화면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다음 특정의 키이신호가 입력될 때 해당 상품의 상세정보 및 시청자 정보를 HTML 형식으로 가공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이나 관련 업체측으로 전송하는 영상기기(22)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에서는 제조업자 혹은 유통업자에 의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이 광고 프로그램은 오디오/비디오신호를 바탕으로 제작되고 광고에 관련된 데이터는 HTML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HTML에 특정의 태그(Tag)를 삽입하여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품의 상세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 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였다.
예: <BUY 관련 상품이름-주문시의 전화번호-상품공급업자… BUY>
영상기기(22)는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으로부터 방송되는 광고 프로그램을 수신처리하여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품의 상세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그 사실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시청자는 그 영상기기(22)를 통해 각종 상품에 대한 광고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는데, 이 영상기기(22)는 도 3a-3c와 같은 통신채널을 구비한다.
즉, 도 3a와 같이 일반 텔레비젼수상기(31A)가 오디오/비디오케이블(A/V)을 통하고 디지털티브이 셋탑박스(31B)를 통해 모뎀에 연결된 통신구조로 되거나, 도 3b와 같이 디지털티브이 셋트(32)가 직접 모뎀에 연결된 통신구조로 되거나, 도 3c에서와 같이 일반 텔레비젼수상기(33A)가 오디오/비디오케이블(A/V)을 통하고 디지털티브이 수신카드를 내장한 피씨(33B)를 통해 모뎀에 연결된 통신구조를 갖는다.
시청자는 상기와 같은 영상기기(22)를 통해 광고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상세정보 제공 표식이 있는 상품 중에 관심이 가는 상품이 있을 때 간단하게 리모콘의 특정 버튼이나 화면상의 특정 버튼(BUY)을 클릭하면 전화망이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이나 관련업체(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측으로 해당 상품의 상세정보 요청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에서는 시청자가 요청한 상품의 상세정보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자세한 규격, 색깔 등의 정보를 데이터 방송채널이나, 모뎀이나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영상기기(22)는 도 4b에 서와 같이 원래의 방송화면을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화면에는 시청자가 선택한 상품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다가 시청자가 임의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영상기기(22)측에서 시청자의 구매정보에 태그(TAG)를 부가하여 전송하고, 쇼핑프로그램 방송국(21)에서는 그 태그(TAG)를 파싱한 자료(전화번호, 업체, 상품명)를 근거로 상품의 구매정보를 접수하여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상세정보요청신호와 웹(WEB) 등을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티브이 셋트(32)에는 기본적으로 리모콘이나 마우스에 의해 조작되는 마우스 포인터가 구비된다. 물론, 특정의 텔레비젼수상기나 셋탑박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모콘에 직접 특정 버튼(BUY)을 추가하여 대신할 수 있다.
ATSC 방송규격에 의하면 디지털티브이 방송시 데이터 방송규격으로 G1,G2,G3 및 A1이 정의되어 있다. G1,2,3의 경우 데이터 방송을 위해 각각 383,896/ 3,838,960/19.2M의 대역폭을 확보하게 되어 있으며, A1의 경우 오디오/비디오신호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대역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데이터 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즉, ATSC 방송규격에 의하면 대역폭을 약 19.34M로 정의하고 있는데, G3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대역폭을 데이터 방송을 위해 사용하지만, A1의 경우에는 오디오/비디오신호 및 다른 부분들을 제외하고 남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G3,A1가 현재 방송되는 오디오/비디오신호와 관계없는 기상정보, 주식정보, 등등의 정보를 위한 것이라면, G1,G2와 같이 전체 19.34M 중 반드시 데이터 방송을 위한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방송중인 오디오/비디오신호와 상관관계가 있는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상기의 모든 방송규격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텔레비젼수상기(또는 셋탑박스)의 일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를 통한 상품 주문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에는 디지털 방송을 위하여, 오디오/비디오신호 (A/V), PSIP, 유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스트림(Stream)을 처리하기 위한 스트림 서버(501)와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서버(504)가 사용되고, 이 서버(501), (504)들의 출력 데이터를 대역폭에 상응되게 멀티플렉싱 해주는 스트림발생기(505)가 사용된다.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에서, 데이터 방송중 HTML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서버(504)내에서 HTML을 생성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오더링 애플리케이션(502)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 데이터 오더링 애플리케이션(502)의 기능 중에는 본 발명에 의해 특정 태그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태그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품의 상세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생성되는 오디오/비디오신호와 데이터가 상기 스트림 발생기(505)에 의해 규격을 만족하는 방송신호로 변환되어 영상기기(500B)측으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스트림 형식의 쇼핑방송 신호는 디지털 텔레비젼수상기 또는 셋탑박스 등의 영상기기(500B)에서 수신처리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시청자는 필요에 따라 상세정보를 요구하여 열람하다가 리모콘 등의 특정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간단하게 주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송스트림 형식의 쇼핑방송 신호가 셋탑박스나 디지털 텔레비젼수상기 등의 수신단(506)를 통해 수신된 후 복조 및 파싱부(507)를 통해 TP 스트림으로 변경된다.
상기 TP 스트림들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서비스 등 각각의 PID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외한 부분 예를 들어, 비디오/PSIP/유저데이터 등과 같이 데이터 방송에 관련되지 않은 섹션 데이터들은 영상신호 처리부(508)를 통해 적절히 처리되어 티브이화면(509)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TP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방송에 관련된 데이터들은 DSM-CC 형식으로 전달되는데, 이 방송 데이터들이 디코더(510)에 의해 디코딩된 후 스위치(511)를 통해 HTML 파서(512)에 전달되고, 여기서 파싱 처리되어 원래의 HTML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데이터의 용도는 데이터의 방송 방식 에 따라 다르고,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의 채널을 통해 방송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예: 상품의 색상, 크기, 디자인 종류, 가격 등의 정보)들은 데이터 서비스 대역폭에 따라 제한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허용된 대역폭을 통해 전송받는 데이터량 보다 더 많은 량의 데이터를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상기 스위치(511)를 절환함으로써, 영상기기(500B)에 내장된 모뎀(515)이나 TCP/IP 송수신단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504)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시스템의 부하나, 모뎀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에서 가용 데이터 서비스 대역폭에 적당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로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캐시 형식으로 메모리(51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청자가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품의 상세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는 화면상의 표식을 확인하고, 영상기기(500B)의 리모콘 예를 들어 텔레비젼수상기나 셋탑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관심이 가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메모리(513)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의 상세정보가 HTML 브라우저(514)를 통해 상기 티브이 화면(509)에 도 4b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화면상의 상품정보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의 상세정보를 근거로 관심이 있는 상품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다가 임의의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버튼(BUY)을 누르게 된다.
이때, 영상기기(500B)에서는 시청자의 구매정보에 태그(TAG)를 부가하여 상 기 모뎀(515)이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측으로 전송하고, 그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에서는 그 태그(TAG)를 파싱한 자료(전화번호, 업체, 상품명)를 근거로 상품의 구매정보를 접수하게 된다.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란 사용자가 누구이며, "상품은 어디로 배달을 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회원(시청자)의 정보(예: 전화번호, 주소, 신상정보)가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의 무료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회원에게 발부된 ID(예: 주민등록번호)를 회원 스스로 영상기기의 메모리(예: EPROM)에 셋팅할 수 있게 하여, 상품 구매정보 전송시 상품종류, 색상, 크기, 개수 등 상품에 관련된 정보와 함께 상기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물론, 향후 주민등록증이 전자카드 형태로 보급되면 별도의 회원등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시청자의 구매정보가 직접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으로 전송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구매정보가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상품 제조업체나 유통업체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그 쇼핑프로그램 방송국(500A)을 경유하여 상품 제조업체나 유통업체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상품 주문방법이 적용되는 피씨 카드의 일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 5와 비교해 볼 때 소프트웨어 환경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상품 주문과정은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품광고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HTML에 상품에 대한 태그를 부가하여 전송하고,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보다 상세정보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시청자가 상품 구매를 위해 버튼을 클릭하면 디지털 텔레비젼수상기측에서 시청자의 구매정보를 방송국이나 제조업체에 자동 전송함으로써 별다른 추가비용을 유발시키지 않고도 구매 신청과정을 보다 간략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씨나 셋탑박스를 이용할 경우 일반 텔레비젼수상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에게 보다 편리한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전송스트림 형식의 방송신호에서 원래의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품에 관한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의 수신 여부를 상기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 수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상품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품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표시중인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 입력시 상기 상품 정보와 구매자 정보를 소정 통신망을 통해 관련 개소측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상품의 상세한 정보와 상기 상품의 상세 정보의 존재 및 해당 상품 구매시 필요한 상품 관련 정보를 포함한 태그를 상품에 관한 정보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태그를 근거로 하여, 현재 디지털 방송 신호로 표시되는 상품에 관련된 상세정보가 제공되고 있음을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근거로하여,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의 일부를 상품의 상세 정보로 표시하거나, 상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상세 정보를 별도 통신망으로 요청 및 제공받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정보는 상기 방송을 수신하거나 표시하는 수단에 미리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KR1019990037399A 1999-09-03 1999-09-03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KR10061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399A KR100619676B1 (ko) 1999-09-03 1999-09-03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399A KR100619676B1 (ko) 1999-09-03 1999-09-03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114A Division KR100678558B1 (ko) 2006-06-19 2006-06-19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html 데이터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86A KR20010026186A (ko) 2001-04-06
KR100619676B1 true KR100619676B1 (ko) 2006-09-06

Family

ID=1961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399A KR100619676B1 (ko) 1999-09-03 1999-09-03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35B1 (ko) * 2000-03-20 2007-11-08 주식회사 셀런 티 브이를 이용한 홈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4710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상에서의 상거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791A (ko) * 1997-11-28 1999-06-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홈 쇼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791A (ko) * 1997-11-28 1999-06-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홈 쇼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8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541B2 (en) Interactive television advertising computer program product having an icon representative of a company or product, the icon is not integrated wit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the icon overlaying video content
KR100304467B1 (ko) 유알엘을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어드레스에 매핑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6249914B1 (en) Simulating two way connectivity for one way data streams for multiple parties including the use of proxy
JPH10234018A (ja) テレビ表示および制御のためのhtmlプロトコル
JP2002199375A (ja) インターネットdtvシステム及びその放送局側システム、視聴者用端末、コンテンツプロバイダ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9071876B2 (en) Providing a viewer incentive with video content
US20050066366A1 (en)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in conjunction with television program, and printing control method
KR100834046B1 (ko) 티브이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 관심광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2027344A (ja) メール連動番組放送システム
JP4834227B2 (ja) 電子番組ガイドにおけるユーザの行為に基づく広告の選択
KR20050012837A (ko) 데이터 및 스킨을 마크업 언어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디바이스
KR100619676B1 (ko) 디지털티브이의 상품 주문방법
KR100580149B1 (ko) 홈쇼핑 방송을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다국어로 제공하는다국어 제공 홈쇼핑 데이터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8558B1 (ko)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html 데이터의 처리방법
GB2352600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ynamically changing a display
KR10084514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리치 미디어 서비스를 연계한광고방법
KR100777269B1 (ko) 방송 수신기와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KR20020024426A (ko) Ip멀티캐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의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25243B1 (ko) 서비스 제공 장치, 셋탑 박스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408051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834048B1 (ko) 사용자단말기 제어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관심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7172208A (ja) 成果報酬型広告システム、成果報酬型広告方法および成果報酬型広告プログラム
JP2006133878A (ja) 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
JP2002141876A (ja) 放送システム
KR20030065654A (ko) 티브이 프로그램의 프로덕트 정보 제공 및 구매 방법과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