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671B1 -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671B1
KR100619671B1 KR1020050026335A KR20050026335A KR100619671B1 KR 100619671 B1 KR100619671 B1 KR 100619671B1 KR 1020050026335 A KR1020050026335 A KR 1020050026335A KR 20050026335 A KR20050026335 A KR 20050026335A KR 100619671 B1 KR100619671 B1 KR 10061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information
display control
index word
dic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976A (ko
Inventor
유이치 사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의 색인어에 대한 설명정보를 표시시키는 정보표시제어장치, 서버에 관한 것으로,
내장메모리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일 없이, 표시 중의 설명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자의 읽기를 용이하게 표시시킬 수 있는 정보표시제어장치 등을 실현하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커서(CS)로 지정된 설명정보 중의 데이터가 한자이면 CPU는 지정된 한자를 선두로 하는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추출하여 그 복수 한자로 하는 한자색인어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한자색인어가 있으면 해당 색인어의 읽기를 커서(CS)의 근처에 후리가나(KN1)로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사전, 색인어테이블, 설명정보테이블, 사전검색프로그램, 추출문자열, 선택색인어

Description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A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도 1은 (a)는 전자사전의 개관도의 한 예, (b)는 전자사전의 키배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전자사전의 기능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색인어테이블의 데이터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설명정보테이블의 데이터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전검색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5 도면.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ROM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ROM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전자사전단말과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종래의 전자사전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자사전 3: 디스플레이
5: 조작입력 키군 10: CPU
20: 입력부 30: 표시부
40: ROM 42: 국어사전DB
42a: 색인어테이블 42b: 설명정보테이블
44: 사전검색프로그램 44b: 점프프로그램
50: RAM 52: 입력문자열
54: 추출문자열 56: 선택색인어
본 발명은 사전의 색인어에 대한 설명정보를 표시시키는 정보표시제어장치,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국어사전 등의 사전DB(Database)가 편입된 단체(單體)의 전자사전이나 사전DB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휴대전화 등에 편입하여 구성한 정보표시제어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전자사전에서 국어사전의 색인어를 검색하면 색인어에 대한 설명정보가 표시된다(도 21). 이 설명정보 중의 어려운 단어에는 ()첨부로 후리가나(읽기)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서는 어려운 한자「大和」에 ()첨부로 후리가나「やまと」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한자에 읽기가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읽을 수 없는 한자에 후리가나(읽기)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한편, 미리 모든 한자에 후리가나(읽기)가 기재되도록 사전DB가 작성되면 데이터량이 증대하고, 표시상도 번거로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전데이터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설명정보의 표시 중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자의 읽기를 알기 쉽게 표시시킬 수 있는 정보표시제어장치 등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정보표시제어장치는,
한자색인어와 읽기와 설명정보가 각각 대응지워져 사전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사전기억수단(도 2; 국어사전DB)과,
이 사전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한자색인어 중,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도 1의 커서 키(520); 도 5의 S5)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도 2의 CPU(10); 도 5의 S7)과,
이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 중, 어느 쪽인가 데이터를 지정하는 지정수단(도 1의 커서 키(520); 도 6의 S100)과,
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한자판별수단(도 2의 CPU(10); 도 6의 S106)과,
이 한자판별수단에 의해 한자라고 판별된 경우에, 이 판별된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상기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하고, 이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를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한자색인어 검색수단(도 2의 CPU(10); 도 6의 S124)과,
이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표시제어수단(도 2의 CPU(10); 도 6의 S1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한자색인어가 선택되어 설명정보가 표시된 후, 그 설명정보 중, 어느 쪽인가의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지 아닌지가 판별되어 한자인 경우에는, 그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가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되어 그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가 표시된다. 따라서 설명정보 중의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 경우만 그 한자로부터의 복수 한자의 읽기가 적절하게 표시되게 된다. 또 이 읽기데이터는 설명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지는 것으로, 읽기의 표시를 위해 추가의 데이터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정보표시제어장치는,
한자색인어와 읽기와 설명정보가 각각 대응지워져 사전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사전기억수단(도 2; 국어사전DB, 도 2)과,
이 사전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한자색인어 중,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도 1의 커서 키(520); 도 5의 S5)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도 2의 CPU(10); 도 5의 S7)과,
이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 중의 한자를 검색하는 한자검색수단과,
이 한자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각각의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상기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하고, 이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를 각각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한자색인어 검색수단(도 2의 CPU(10); 도 18의 S302)과,
이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 읽어내어 대응하는 각 복수 한자의 근처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근처표시제어수단(도 2의 CPU(10); 도 18의 S3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한자색인어가 선택되어 설명정보가 표시된 후, 그 설명정보 중의 각 한자가 검색되어 그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가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되어 그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가 한자의 근처에 표시된다. 따라서 설명정보 중의 각 한자에 대하여, 그 한자로부터의 복수 한자의 읽기가 복수 한자에 근처에 적절하게 표시되게 된다. 또 이 읽기데이터는 설명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지는 것으로, 읽기의 표시를 위해 추가의 데이터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정보표시제어장치를 전자사전에 적용한 경우의 제 1 실시형 태에 대하여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전자사전(1)의 개관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일 도면과 같이 전자사전(1)은 디스플레이(3)와, 조작입력 키군(5)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입력 키군(510)은 조작의 확정지시를 입력하는 결정 키(500), 커서의 이동지시 등을 입력하는 커서 키(520), 문자입력 키(540), 설명정보 중의 문자로 시작되는 색인어를 재검색시키기 위한 점프 키(560b), 직전의 표시화면에 표시를 되돌리기 위한 되돌아감 키(560c), 사전종별을 선택하기 위한 사전선택 키(580), 후리가나(읽기)를 설명정보 중에 표시시키기 위한 후리가나 키(560a)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전자사전(1)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사전(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0)와, 입력부(20)와, 표시부(30)와, ROM(Read Only Memory)(40)과, RAM(Random Access Memory)(50)이 버스(60)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CPU(10)는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한 처리를 실행하고, 각 기능부로의 지시나 데이터의 입출력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는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서 ROM(40)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처리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데이터를 표시부(30)에 출력하고, 해당 표시데이터에 따른 표시화면을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
입력부(20)(도 1에 나타내는 조작입력 키군(5))는 가나, 알파벳 등의 문자 입력이나 기능선택 등에 필요한 키군을 구비하고, 눌러진 키의 누름신호 등을 CPU(10)에 출력한다.
표시부(30)(도 1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에 상당)는 CPU(10)로부터 입력되는 표시데이터에 의거하여 각종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구성된다.
ROM(40)은 각종 초기설정, 하드웨어의 검사, 또는 필요한 프로그램의 로드 등을 실시하기 위한 초기프로그램을 격납한다. CPU(10)는 전자사전(1)의 전원투입시에 이 초기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사전(1)의 동작환경을 설정한다. 또 ROM(40)은 전자사전(1)의 동작에 관련되는 여러가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도 2에 따르면 ROM(40)은 색인어테이블(42a) 및 설명정보테이블(42b)을 갖고 구성되는 국어사전DB(42)와 제 1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a) 및 점프프로그램(44b)을 포함하는 사전검색프로그램(44)을 격납한다.
색인어테이블(42a)은 한자를 포함하는 어구 및 해당 어구의 읽기를 갖는 색인어와, 설명정보번호를 대응진 레코드를 집합하여 기억하는 데이터테이블이다. 설명정보번호는 설명정보테이블(42b)의 각 레코드에 배당된 레코드번호를 가리키고 있다. 또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는 레코드는 각 레코드에 포함되는 읽기의 오십음 차례로 미리 정렬되어 있다.
설명정보테이블(42b)은 레코드번호와 설명정보를 대응진 레코드를 집합하여 격납하는 데이터테이블이다.
도 3은 색인어테이블(42a)의 데이터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일 도면에 따르면 읽기와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에 설명정보번호가 대응지워져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읽기가 「にほん」, 어구가 「日本」인 색인어에는 설명정보번호"83"이 대응지워져 격납되어 있다. 또 동일 도면의 「日本アルプス(일본알프스)」와 같이 한자와 가나문자로 구성되는 어구도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합쳐서 「가나」라는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4는 설명정보테이블(42b)의 데이터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 따르면 레코드번호에 설명정보가 대응지워져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코드번호"83"에는 「にほん(日本)我が國の國號。神武天皇建國の地と···(일본(일본)우리 나라의 국호. 진무천황 건국의 땅으로···)」라는 설명정보가 대응지워져 있다.
상기한 색인어테이블(42a)의 설명정보번호"83"는 이 설명정보테이블(42b)의 레코드번호"83"을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설명정보번호와 레코드번호에 의해 읽기「にほん」및 어구 「日本」의 색인어와 설명정보「にほん(日本)我が國の國號。神武天皇建國の地と···(일본(일본)우리 나라의 국호. 진무천황 건국의 땅으로···)」가 대응지워져 있다. 이와 같이 설명정보번호와 레코드번호에 의해 색인어테이블(42a)의 색인어와, 설명정보테이블(42b)의 설명정보가 대응지워져 집합되어 사전정보가 구성된다.
이 국어사전DB(42)는 종래의 전자사전에 있어서 내장되는 사전DB와 마찬가지이며, 통상의 사전검색(도 5의 스텝S1∼S7의 처리에 상당)이나 점프기능(도 5의 스 텝S15의 처리에 상당) 등은 이 국어사전DB(42)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처리가 되는 후리가나의 표시도 이 국어사전DB(42)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사전검색프로그램(44)은 사전검색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국어 키(580a)가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 사전검색프로그램(44)을 ROM(40)으로부터 읽어내어 사전검색처리를 개시한다.
제 1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a)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 제 1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a)을 ROM(40)으로부터 읽어내어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개시한다.
점프프로그램(44b)은 점프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점프 키(560b)가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 점프프로그램(44b)을 ROM(40)으로부터 읽어내어 점프처리를 개시한다.
RAM(50)은 CPU(10)가 실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련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관리하는 메모리영역을 구비한다. 도 2에 따르면 RAM(50)은 입력문자열(52)과 추출문자열(54)과, 읽기(56a) 및 어구(56b)를 포함하는 선택색인어(56)를 격납한다.
입력문자열(52)은 사용자의 문자입력 키(540)의 눌러짐에 의해서 입력된 문자열이다. CPU(10)는 문자가 1문자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문자를 입력문자열(52)에 추가 기억하여 갱신한다.
추출문자열(54)은 표시부(30)에 표시시킨 설명정보 중에서 CPU(10)가 추출한 문자열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명정보 중의 한자 1문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에 의한 문자열, 즉 지정된 한자를 처음으로 하는 설명정보 중의 한자의 문자열을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한다. CPU(10)는 이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하고, 이 검색한 색인어의 읽기를 표시부(30)에 표시시킴으로써 제 1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처리가 되는 후리가나의 표시가 실현된다.
선택색인어(56)는 표시부(30)에 표시시킨 색인어후보(예를 들면 도 7b의 색인어후보(LST1))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인어의 읽기와 어구의 조합이다. CPU(10)는 색인어후보 중에서 1개의 색인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색인어의 읽기를 선택색인어(56)의 읽기(56a)로서 해당 색인어의 어구를 선택색인어(56)의 어구(56b)로서 RAM(50)에 격납한다.
다음으로 전자사전(1)의 사전검색처리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국어 키(580a)가 눌러지면, 사전검색처리를 개시한다.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열이 입력되면(스텝S1: Yes), 입력된 문자열을 추가해 가는 것으로 입력문자열(52)을 갱신한다. 그리고 입력문자열(52)에서 시작되는 읽기의 색인어와, 해당 색인어 이후의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읽어내고, 읽어낸 색인어를 색인어후보로서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스텝 S3).
표시시킨 색인어후보 중에서 어느 쪽인가 1개의 색인어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기까지 스텝S1∼S3의 처리가 반복된다(스텝S5: NO). 따라서 색인어후보 중에서 색인어가 선택되지 않은채 문자열이 입력되면 그 문자열이 입력문자열(52)에 추가·갱신되는 것으로, 입력문자열(52)이 서서히 길어지고, 그 입력의 정도, 색인어후보의 표시가 입력문자열(52)에 맞추어서 갱신되게 된다.
CPU(10)는 1개의 색인어가 선택되었다고 판별하면(스텝S5: Yes), 선택색인어(56)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설명정보테이블(42b)로부터 읽어내어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스텝S7).
그리고 CPU(10)는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진 것을 검지한 경우는(스텝S9: Yes)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실행하고(스텝S11), 점프 키(560b)가 눌러진 것을 검지한 경우는(스텝S9→S13: Yes) 점프처리를 실행하며, 사전검색처리를 종료한다. 또 어떤 것도 키가 눌러지지 않았을 경우는(스텝S9→S13: No) 그대로 사전검색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점프처리(점프기능)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지(公知)의 기술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즉 표시부(30)에 표시시킨 커서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고, 결정 키(500)가 눌러지면 CPU(10)는 커서의 위치의 문자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전선택화면(W104)을 표시시키고, 사전DB가 선택되면 추출한 문자로 시작되는 어구 또는 추출한 문자로 시작되는 읽기의 색인어를 선택된 사전DB의 색인어테이블로부터 읽 어내어 색인어후보로서 일람표시시킨다. 그리고 일람표시시킨 색인어후보 중에서 하나의 색인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CPU(10)는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개시하면, 우선 표시부(30)에 커서(예를 들면 도 8a의 커서(CS))를 표시시킨 후, 커서 키(520)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00). 커서 키(520)가 조작되지 않고, 다른 키가 조작되었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00→S102: Yes) CPU(10)는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종료하고, 조작된 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CPU(10)는 커서 키(520)가 조작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100: Yes), 해당 조작에 따라서 커서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시킨 커서의 표시위치(이하, 「커서위치」라 한다.)가 최하행이며, 또한 설명정보가 계속되고 있어 표시부(30)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설명정보를 1행상에 스크롤하여 표시를 갱신시킨다(스텝S104).
다음으로 CPU(10)는 커서위치의 문자가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06). 한자가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06: No) 스텝S100의 처리로 이행하고, 한자라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06: Yes) 커서위치의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RAM(50)에 격납시킨다(스텝S108).
CPU(10)는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의 선두로부터 검색한다(스텝S110). 해당하는 색인어가 검색된 경우는(스텝S112: Yes) 검색한 색인어 중,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는 최선의 색인어에 포함되는 읽기(후리가나)를 커서의 근처(예를 들면 도 8a와 같이 커서(CS)의 아랫쪽)에 표시시킨다(스텝S118).
한편, 해당하는 색인어가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스텝S112: No) CPU(10)는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말단측의 문자)를 1자 삭제한다(스텝S114). 그리고 그 삭제에 의해서 추출문자열(54)이 없어져 버리고 있지 않은지, 문자가 있는지를 판별하고(스텝S116), 있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16: Yes) 스텝S110의 처리로 이행하여 재차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의 검색을 실시한다. 다시 말하면,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는 색인어의 어구와 일치하기까지 추출문자열(54)의 문자열이 최후 꼬리로부터 1자씩 삭제되어 간다. 따라서 커서의 근처에 표시되는 읽기는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는 어구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한자를 처음으로 하는 설명정보 중의 문자열이 일치한 최장의 문자열에 대하여 표시된다.
또 스텝S116에 있어서, 추출문자열(54)이 없다고 판별하면(스텝S116: No), CPU(10)는 스텝S100에 처리를 이행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한자를 어구로 하는 색인어가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예를 들면 지정된 문자가 특수한 한자이었던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읽기의 표시는 실시하지 않고 스텝S100에 이행하게 된다.
스텝S118에 있어서 커서의 근처에 읽기를 표시시킨 후,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 키(500)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20), 눌러지지 않았던 경우는(스텝S120: No) 스텝S100에 처리를 이행한다.
결정키(500)가 눌러졌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20: Yes) 색인어후보의 일람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처리가 된다. 우선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모두 검색한다(스텝S124). 그리고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으면(스텝S126: Yes) 검색한 색인어 각각의 어구와 읽기를 색인어후보로서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스텝S128).
스텝S128의 처리 후, 또는 스텝S126에 있어서 해당하는 색인어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126: No) CPU(10)는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 1자를 삭제한다(스텝S130). 그리고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여(스텝S132) 있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132: Yes) 스텝S124의 처리에 이행하여 재차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의 검색을 실시한다.
스텝S132에 있어서,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132: No) CPU(10)는 스텝S128에 있어서 표시부(30)에 표시시킨 색인어후보의 선두의 색인어를 반전표시(M) 등에 의해 선택된 상태로 하고, 이 선택된 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설명정보테이블(42b)로부터 읽어내어 표시부(30)에 소화면으로 프리뷰표시(예를 들면 도 11의 설명정보(CT1))시킨다(스텝S134).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커서 키(520)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스텝S136: Yes) 스텝S134에 처리를 이행하여 해당 조작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로 프리뷰표시를 갱신시킨다. 그리고 결정 키(500)가 눌러졌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138: Yes) 선택되어 있는 색인어를 선택색인어(56)로서 선택색인어(56)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설명정보테이블(42b)로부터 읽어내어서 표시부(30)에 표시 시킨 후(스텝S140),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구체적인 조작예와 해당 조작에 동반하는 표시화면의 천이의 모습을 도 7∼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국어 키(580a)를 누르면, 도 7a와 같은 국어사전화면(W1)이 표시부(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읽기입력영역(AR)에 「にほん」으로 입력하면 「にほん」으로 시작되는 색인어의 일람이 동일 도면b와 같이 색인어후보(LST1)로서 표시된다(도 5의 스텝S1→S3에 상당).
사용자가 커서 키(520)에 의해 반전표시(M)를 이동하여 「にほん[日本]」을 선택하여 결정 키(500)를 누르면 도 8a와 같이 「にほん[日本]」의 설명정보가 표시된다(도 5의 스텝S5→S7에 상당).
그리고 후리가나 키(560a)를 누르면 「にほん[日本]」의 「に」에 커서(CS)가 표시된다(도시 생략).
사용자는 커서 키(520)에 의해 커서(CS)를 이동하여 도 8a와 같이 「日本」의 「日」을 지정하면 커서(CS)의 근처에「にっぽん」이라는 후리가나(KN1)가 표시된다.
이 때, 커서위치의 「日」이라는 한자가 CPU(10)에 의해 추출되고, 또한 이 「日」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本」이 추출된 결과, 「日本」이 추출문자열(54)로서 RAM(50)에 격납된다(도 6의 스텝S100→S104→S106→S108에 상당).
그리고 색인어테이블(42a)의 선두로부터 추출문자열(54)인 「日本」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된다. 도 3에 있어서「日本」과 완전 일 치하는 색인어의 읽기는 「にほん」과「にっぽん」인데, 오십음 차례의 읽기로 정렬된 색인어테이블(42a)의 선두로부터 검색하기 때문에, 읽기「にっぽん」및 어구「日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된다. 따라서 도 8a와 같이 「日」을 커서(CS)로 지정한 경우는 「日」을 포함하는 어구「日本」의 읽기로서 「にっぽん」이라는 후리가나(KN1)가 표시된다(도 6의 스텝S110→S112→S118에 상당).
다음으로 도 8b와 같이 「わが國の(우리나라의)」의 「國」을 커서(CS)로 지정하면, 커서(CS)의 근처에 「くに」라는 후리가나(KN3)가 표시된다. 이 때 지정한「國」의 뒤에 계속되는 문자는「の」라는 히라가나이다. 그 때문에 CPU(10)에 의해 「國」만의 한자가 추출되어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된다. 그리고 도 3의 색인어테이블(42a)에 있어서, 「國」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의 읽기는 「くに」이기 때문에, 이 읽기가 후리가나(KN3)로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 경우만, 그 한자로부터의 복수 한자의 읽기가 적절하게 표시되게 된다. 또 이 읽기데이터는 설명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지는 것으로, 읽기의 표시를 위해 추가의 데이터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어서, 사용자가 커서 키(520)의 오른쪽 화살표 키로 「の」를 지정하는데(도시 생략), 이 때 지정하고 있는 문자는 히라가나이기 때문에 후리가나는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8c와 같이 「國號」의 「國」을 지정하면 「こくごう」라는 후리가나(KN5)가 표시된다. 이 때 「國」의 뒤에 계속되는 한자는 「號」이기 때문에 CPU(10)에 의해 「國號」가 추출되어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된다. 그리고 색인어테이블(42a)에 있어서 「國號」와 완전 일치하는 어구의 읽기「こくごう」가 읽어내어져 후리가나(KN5)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9a와 같이 「國號」의 「號」를 지정하면 「ごう」라는 후리가나(KN7)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일 도면b와 같이 「神武天皇建國の(진무천황 건국의)」의 「神」을 커서(CS)로 지정하면 「じんむてんのう」라는 후리가나(KN9)가 표시된다. 이 때 우선 지정한「神」이라는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武天皇建國」이라는 한자가 추출되고, 「神武天皇建國」이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된다(도 6의 스텝S100→S106→S108에 상당).
그리고「神武天皇建國」이라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되는데, 도 3에 있어서,「神武天皇建國」은 색인어테이블(42a)에는 격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CPU(10)에 의해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1문자(「國」)가 삭제되어 추출문자열(54)은「神武天皇建」이 된다(도 6의 스텝S112→S114에 상당).
이 「神武天皇建」을 어구로서 포함하는 색인어도 색인어테이블(42a)에는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또한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1문자(「建」)이 삭제되어 추출문자열(54)은「神武天皇」이 된다. 이「神武天皇」을 어구로서 포함하는 색인어는 도 3의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읽기「じんむてんのう」및 어구「神武天皇」을 포함하는 색인어가 CPU(10)에 의해 검색되고, 그 결과 「じんむてんのう」라는 후리가나(KN9)가 표시되게 된다(도 6의 스텝S116→S110→S112→S118에 상당).
표시되는 후리가나는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는 어구의 색인어의 읽기이다. 따라서「神」을 지정하여 표시된 후리가나(KN9)에 의해서 전자사전(1)에 내장되어 있는 국어사전DB(42)에는 「じんむてんのう」라는 읽기의 색인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CS)를 이동하여 도 10a와 같이 「現在の領土···(현재의 영토)」의 「現在」를 지정하면 「げんざい」라는 후리가나(KN11)가 표시된다. 그리고 커서(CS)를 추가로 이동하여 동일 도면a의 국어사전화면(W15)에 있어서, 최종행 내의 「大」에 커서(CS)를 이동하면 설명정보가 1행 스크롤되어 동일 도면b와 같이 표시가 갱신되는(도 6의 스텝S100→S104에 상당)동시에, 해당 스크롤에 의해 새롭게 표시된 행의 위에 「たいりく」라는 후리가나(KN11)가 표시된다.
또 도 11a와 같이 사용자가 「神武天皇建國の···(진무천황 건국의)」의 「天」을 지정하면 「すめらぎ」라는 후리가나(KN13)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すめらぎ」라는 후리가나(KN13)가 소망의 읽기가 아니었던 경우, 결정 키(500)를 누르면 동일 도면b와 같은 색인어후보(LST3)가 국어사전화면(W21)에 표시된다. 그리고 반전표시(M)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すめらぎ[天皇]」의 설명정보(CT1)가 국어사전화면(W21)의 아랫쪽에 프리뷰표시된다.
이와 같이 지정한 [天皇]의 후리가나「すめらぎ」가 표시될 뿐만 아니라 프리뷰에 의해 그 설명정보도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정된 「天」과 「天」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皇建國」이 추출되고, 「天皇建國」이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된다. 그리고 색인어테이블 (42a)에 격납되어 있는 어구와 완전 일치하는 어구가 되기까지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가 삭제됨으로써 추출문자열(54)은 「天皇」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결정 키(500)가 눌러졌을 때, 우선 CPU(10)에 의해 「天皇」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되고, 이 검색된 모든 색인어를 색인어후보(LST3-1)로서 표시된다(도 6의 스텝S120→S124→S126→S128에 상당).
그리고 CPU(10)에 의해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인 「皇」이 삭제되어 「天」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되고, 이 검색된 모든 색인어(색인어후보(LST3-2))가 색인어후보(LST3)에 추가표시된다. 종래의 전자사전이면 설명정보 중, 한자의 읽기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그 한자를 지정하고, 점프할 곳의 사전DB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실시한 후에, 도 11b와 같은 색인어의 일람이 표시되었는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전DB를 선택하는 조작을 실시하는 일 없이, 색인어후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색인어후보(LST100)의 선두의 「すめらぎ[天皇]」이 선택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읽기「すめらぎ」및 어구「天皇」을 포함하는 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가 설명정보테이블(42)로부터 읽어내어져 프리뷰표시된다(도 6의 스텝S134에 상당).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반전표시(M)를 커서 키(520)로 이동하고, 선택한 색인어에 맞추어서 프리뷰표시를 갱신시킴으로써 소망의 의미를 갖는 색인어를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 커서 키(52)를 조작하여 「すめらぎ[天皇]」을 선택하고, 결정 키(500)를 누르면 도 21d와 같이 「すめらぎ[天皇]」의 설명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 용자는 프리뷰표시에서는 표시되지 않았던 설명정보부분을 표시시키고, 색인어의 상세한 의미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결정 키(500)를 누름으로써 색인어를 선택·결정하는 것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색인어후보에 붙여져 있는 키 번호(KY)(예를 들면 "A"이나 "B")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를 누름으로써 색인어를 선택·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상,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자를 포함하는 어구와 해당 어구의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에 설명정보를 대응지어 격납한 국어사전DB(42)을 내장하는 전자사전(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명정보 중의 문자가 한자인 경우에, 그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문자열(54)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색인어의 후리가나를 커서의 근처, 즉 선택된 한자의 근처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명정보 중의 한자를 지정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지정한 한자로 시작되는 설명정보 중의 어구의 읽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기존의 국어사전DB(42)의 색인어테이블(42a)을 이용함으로써 후리가나의 표시를 실현하기 때문에 새로운 후리가나용의 데이터를 추가 기억할 필요도 없다.
또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가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를 삭제하고, 재차 색인어테이블(42a)의 검색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설명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한자로 시작되는 어구 중, 색인어테이블(42a)에 등록되어 있는 어구와 일치하고, 또한 가장 문자수가 많은 어구의 후리가나를 표시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9a와 같이 「神」이 선택된 경우에 「神」이라는 한자 1자의 읽기「かみ」의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것은 아니고, 「神武天皇」의 읽기「じんむてんのう」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보다 설명정보의 내용에 맞는 후리가나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설명정보 중의 한자가 지정되어 결정 키(500)가 눌러지면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읽어내어 일람표시시키고, 또한 선택된 상태에 있는 색인어의 설명정보를 프리뷰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명정보 중에 표시된 후리가나가 소망의 후리가나가 아닌 경우에 결정 키(500)를 누른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지정한 한자를 포함하는 색인어후보에 표시되는 읽기에 의해 소망의 읽기를 찾을 수 있다.
또 커서 키(520)에서 색인어후보 중에서 색인어를 선택하고, 선택한 색인어의 설명정보의 프리뷰표시를 갱신표시시키는 것으로 선택한 색인어의 의미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적절한 읽기를 찾는 단서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전자사전(1)에 적용한 경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2∼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1)은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ROM(40)을 ROM(40-1)에 옮겨 놓은 구성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ROM(40-1)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따르면 ROM(40-1)은 국어사전DB(42)과 제 2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c) 및 점프프로그램(44b)을 포함하는 사전검색프로그램(44-1)을 격납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CPU(1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명정보 중의 한자 1문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하는데, 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문자가 가나문자인 경우에는 지정된 가나문자 1문자와 해당 가나문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가나문자를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한다. 따라서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되는 문자는 설명정보 중에 표시되어 있는 어구 중, 한자만에 의해 구성되는 어구 또는 가나문자만에 의해서 구성되는 어구가 된다. 또한 CPU(10)는 가타카나를 추출한 경우는 히라가나로 변환하고 나서 추출문자열(54)에 격납한다.
사전검색프로그램(44-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전검색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사전검색처리는 도 5의 사전검색처리의 스텝S11의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에 옮겨 놓은 처리이기 때문에 다른 동일한 처리스텝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c)은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도 13은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의 처리스텝과 동일한 처리에는 도 6의 스텝번호를 200번대의 스텝번호(스텝S100∼S116은 스텝S200∼S216에 상당)로서 이하,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동일 도면에 따르면 CPU(10)는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개시하고, 우선 커서 키(520)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커서위치의 문자가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커서위치의 문자가 한자이면, 커서위치의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RAM(50)에 격납시킨다(스텝S200→S206→S208).
그리고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으면 소화면을 표시하여 그 색인어 전부를 색인어후보로 하여 소화면 내(예를 들면 도 14의 프리뷰표시화면(PW1))에 표시시킨다(스텝S210→S212→S250). 이 때 각 색인어후보에는 키 번호(예를 들면 문자입력 키(540)에 붙여져 있는 숫자 또는 문자)가 붙여져 있는 표시된다.
또 스텝S212에 있어서 해당하는 색인어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는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 1자(말단측의 문자)를 삭제하여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있으면 스텝S210에 처리를 이행하고, 재차, 문자열후보인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색인어의 검색을 실시한다(스텝S212→S214→S216).
한편, 스텝S206에 있어서 커서위치의 문자가 한자가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스텝S206: No), CPU(10)는 커서위치의 가나문자와 해당 가나문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가나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문자열(54)로서 격납한다(스텝S252).
CPU(10)는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데이터(42a)로부터 검색하고(스텝S254),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256).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256: Yes) 검색한 색인어에 키번호를 붙이고, 색인어후보로서 표시부(30)에 프리뷰표시시킨다(스텝S258).
또 해당 하는 색인어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256: No), 추출문자열 (54)의 최후 꼬리의 문자를 1자 삭제하여(스텝S260) 추출문자열(54)이 없어지기 까지 스텝S254∼S258의 처리를 반복한다(스텝S256: Yes). 따라서 커서위치의 문자가 가나문자인 경우는 그 가나문자와 해당 가나문자의 뒤에 계속되는 가나문자를 읽기로 하는 어구 중, 최장의 어구가 색인어 후보로서 표시된다.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없어지기까지 스텝S254∼S258의 처리를 한 후, CPU(10)는 프리뷰표시로 표시시킨 키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64).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264: No) 스텝S200에 처리를 이행한다. 또 눌러졌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264: Yes) 키 번호에 대응하는 색인어를 선택하고, 해당 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설명정보테이블(42b)로부터 읽어내어 표시부(30)에 표시시킨 후(스텝S266), 제 2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구체적인 조작예와 해당 조작에 동반하는 표시화면의 천이의 모습을 도 14∼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조작예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にほん[日本]」의 설명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후리가나 키(560a)를 누르면 「にほん[日本]」의 「に」에 커서(CS)가 표시되고, 또한 국어사전화면(W23)의 아랫쪽부분에 소화면인 프리뷰표시화면(PW1)이 표시된다(도 14a). 이 프리뷰표시화면(PW1)은 3행분의 표시영역을 갖고 있고, 「にほん[二本]」,「にほん[二品]」,「にほん[日本]」이라고 한 색인어후보(LST5)가 표시된다.
이 때 커서(CS)에 의해서 선택되어 있는 문자「に」와, 이 「に」의 뒤에 연 속하여 계속되는 가나문자 「ほん」이 CPU(10)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문자열(54)(「にほん」)로서 격납되어 있다(도 13의 스텝S206→S252에 상당). 그리고 추출문자열(54)의 「にほん」과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된다. 도 3의 색인어테이블(42a)에 있어서,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는 어구「二本」, 어구「二品」 및 어구「日本」을 포함하는 색인어의 3개이기 때문에 이들의 색인어가 검색되고, 프리뷰표시화면(PW1)에 색인어후보(「にほん[二本]」,「にほん[二品]」,「にほん[日本]」의 읽기와 어구(색인어))(LST5-1)로서 표시된다(도 13의 스텝S254→S256→S258에 상당).
그리고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ん」)1자가 삭제되면 추출문자열(54)은「にほ」가 된다. 「にほ」와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는 색인어테이블(42a)에는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PU(10)에 의해 또한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ほ」)가 삭제된다(도 13의 스텝S256→S260에 상당). 이 때 추출문자열(54)은 「に」가 되고, 「に」와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색인어후보(LST5-2)로서 검색된다. 단, 색인어후보(LST5-1)가 3행으로 프리뷰표시화면(PW1)이 3행분의 영역이기 때문에 색인어후보(LST5-2)는 프리뷰표시화면(PW1)에 표시되지 않는데, 소정의 조작(예를 들면 후리가나 키(560a)를 재차 누르고 나서 커서 키(520)를 누르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색인어후보를 스크롤시켜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に」)가 또한 1자 삭제되면 추출문자열(54)의 문자가 없어지고, 키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의 누름의 대기상태가 된다(도 13의 스텝S262→S264에 상당).
도 14b와 같이 커서 키(520)를 조작하여 커서(CS)를「國號。」의 「國」에 이동하면 프리뷰표시화면(PW3)의 표시가 갱신되어 색인어후보(LST7)가 표시된다. 이 때 지정한「國」과 그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號」가 CPU(10)에 의해 추출되고, 「國號」와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한 결과, 색인어후보(LST7-1)가 표시된다. 또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號」) 1자를 삭제하고, 추출문자열(54)(「國」)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한 결과, 색인어후보(LST7-2)가 표시된다(도 13의 스텝S206→S208→S212→S250에 상당).
이어서 도 15a와 같이 커서(CS)를 「神武天皇建國の」의 「神」으로 이동하면 프리뷰표시화면(PW5)의 표시가 갱신되어 색인어후보(LST9-1)가 표시된다. 색인어후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처리는 상기한 「國號」의 색인어후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사용자는 색인어후보(LST9-1)를 참조함으로써 「神武天皇」이 「じんむてんのう」라고 읽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神武天皇建國」또는 「神武天皇建」이라는 어구는 국어사전DB(4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도 알 수 있다.
도 15b와 같이 커서(CS)를 「神武天皇建國の」의 「天」에 이동하면 프리뷰표시화면(PW7)의 표시가 갱신되어 색인어후보(LST11)가 표시된다. 또 도 16a와 같이 「おほやまと」의 「お」에 커서(CS)를 이동하면 색인어후보(LST13)가 표시된다. 이 표시에 따라 사용자는 「おほやまと」라는 어구가 국어사전DB(42)에는 등 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다른 컨텐츠(예를 들면 고어사전) 등을 조사하는 실마리로 할 수도 있다.
도 16b와 같이 커서(CS)를 「倭」에 이동하면 프리뷰표시화면(PW11)의 표시가 갱신되어 색인어후보(LST15)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색인어후보(LST15)에 표시된 읽기의 「やまと」와 「わ」의 어느 쪽이 표시되어 있는 설명정보 중에서 읽기에 적합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색인어후보(LST15)에 붙여진 키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를 누르고, 키 번호에 대응하는 색인어의 설명정보를 표시시킨다(도 13의 스텝S264→S266에 상당).
예를 들면 "A" 키를 누르면 읽기가 「やまと」, 어구가 「大和·倭」의 설명정보가 표시부(30)에 표시된다. 종래의 전자사전이면, 설명정보를 표시시키기까지 빈번한 조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었는데,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망의 문자를 커서 키(520)로 지정하여 프리뷰표시 내의 키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를 누른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설명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표시된 설명정보를 단서로서 어구의 읽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문자가 한자이면 지정된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고,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검색한 후, 색인어 후보로서 프리뷰표시한다. 또 지정된 문자가 가나문자이면 지정된 가나문자와, 해당 가나문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가나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읽기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검색한 후, 색인어후보로서 프리뷰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 용자는 소망의 설명정보 중의 문자를 지정한다는 간단 조작에 의해서 지정한 문자로 시작되는 색인어후보를 용이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색인어후보 내에 표시된 어구와 읽기에 의해서 소망의 읽기를 조사할 수 있다.
또 색인어후보에는 지정된 문자로 시작되는 설명정보 중의 어구 중, 색인어테이블(42a)에 등록되어 있는 최장의 문자수의 어구가 표시된다. 에를 들면, 도 15a의 예를 들면 선택된 문자「神」으로 시작되는 어구 중, 「神武天皇建國」이나 「神武天皇建」으로 한 어구는 색인어테이블(42a)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색인어후보로서는 표시되지 않고, 등록되어 있는 「神武天皇」이나 「神武」로 한 어구가 색인어후보로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정한 문자로 시작되는 어구 중, 색인어테이블(42a)에 등록되어 있는 어구가 어떠한 어구인지를 색인어후보를 참조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 색인어후보 내의 어구와 해당 어구의 읽기를 소망의 읽기를 조사하기 위한 단서로 할 수 있다.
또 프리뷰표시 내의 키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입력 키(540)가 눌러지면, 해당 키 번호에 대응하는 색인어의 설명정보를 설명정보테이블(42b)로부터 읽어내어서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리뷰표시 내의 소망의 색인어의 설명정보를 간단한 조작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된 색인어후보만으로 적절한 읽기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판단의 단서가 되는 설명정보를 용이한 조작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본어의 한자와 후리가나에 대하여 발명을 개시했는데, 중국어의 한자에 핀인에서의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로 실시 가능하다. 또 한국어에 한글과 병용되는 한자에 대해서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진 후에, 커서 키(520)로 지정된 한자에 관한 후리가나 또는 색인어후보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었는데,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즉 커서 키(520)로 한자가 지정되고, 이 때에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지게 되면 지정된 한자에 관한 후리가나 또는 색인어후보를 일시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후리가나 및 색인어후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커서 키(520)로 설명정보 중의 문자를 지정하는 것으로써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설명정보 중의 문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표시부(30)에 터치패널을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터치펜으로 터치패널을 맞닿음으로써 문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커서에 의해 1문자의 문자를 지정하는 것으로써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복수의 문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 단어나 문절 단위로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전자사전(1)에 적용한 경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7∼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1)은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ROM(40)을 ROM(40-2)으로 옮겨 놓은 구성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ROM(40-2)의 데이터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일 도면에 따르면 ROM(40-2)은 국어사전DB(42)과 제 3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d) 및 점프프로그램(44b)을 포함하는 사전검색프로그램(44-2)을 격납한다.
사전검색프로그램(44-2)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전검색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사전검색처리는 도 5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전검색처리와 마찬가지이고, 스텝S11의 제 1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에 옮겨 놓은 처리이기 때문에 다른 동일한 처리스텝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d)은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CPU(10)는 제 3 후리가나 표시프로그램(44d)을 ROM(44-2)으로부터 읽어내어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전자사전(1)의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18의 프리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CPU(10)는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개시하면 우선 표시부(30)에 표시시키고 있는 설명정보를 읽기표시용 공간으로서의 행간(예를 들면 도19b의 행간(SP))을 1행분씩 비워서 개행표시시킨다(스텝S300). 그리고 표시시키고 있는 설명정보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한자를 검색한다(스텝S302).
CPU(10)는 검색한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여 추출문자열(54)로서 RAM(50)에 격납시킨 후(스텝S304),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의 선두로부터 검색하여( 스텝S306),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308).
해당하는 색인어가 있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308: Yes) 설명정보 중의 추출문자열(54)의 아래의 읽기표시용 공간인 공행(空行)에, 검색한 색인어에 포함되는 읽기를 표시시킨다(스텝S314). 또 해당하는 색인어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308: No)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의 문자 1자(말단측의 문자)를 삭제한다(스텝S310). 그리고 이 삭제 후의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아직 있는 경우는(스텝S312: Yes) 스텝S306의 처리로 이행하여 재차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의 검색을 실시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 색인어테이블(42a)의 어구와 동일한 문자열이고, 또한 최장의 문자열의 검색이 실현된다.
스텝S314의 처리 후, 또는 스텝S312에 있어서 추출문자열(54)에 문자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312: No), CPU(10)는 추출문자열(54)이 표시시키고 있는 설명정보 중에서 최후 꼬리의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316), 최후 꼬리가 아니면 추출문자열(54)의 다음의 한자를 설명정보 중에서 검색하여(스텝S318) 스텝S304의 처리에 이행한다. 또 추출문자열(54)이 설명정보 중의 어구의 최후 꼬리라고 판별한 경우는(스텝S318: Yes) 그대로 제 3 후리가나 표시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구체적인 조작예와 해당 조작에 동반하는 표시화면의 천이의 모양을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조작예에 의해 「にほん[日本]」의 설명정보가 도 19a와 같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후리가나 키(560a)를 누르면 표시되어 있던 설명정보의 행간이 1행분씩 비워지고, 읽기표시용 공간인 공행(SP) 이 설치되어 표시갱신된다(도 18의 스텝S300에 상당). 그 공행(SP)에는 동일 도면b와 같이 설명정보 중의 한자의 후리가나가 표시된다.
이 때 CPU(10)에 의해 설명정보의 선두로부터 한자가 검색되어 「わが國の」의 「國」이 검색된다. 이 「國」의 뒤에 계속되는 한자는 없기 때문에 추출문자열(54)은 「國」이 된다(도 18의 스텝S302∼S304에 상당). 그리고 이 「國」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된 결과, 「くに」라는 후리가나(KN15)가 공행(SP)부분에 표시된다(도 18의 스텝S306∼S308→S314에 상당).
그리고 추출문자열(54)인 「國」의 다음의 한자를 설명정보 중에서 검색되면 「國號」의 「國」이 검색되어 추출된다. 그리고 이 「國」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는 「號」이기 때문에 「號」가 또한 추출되어 추출문자열(54)은 「國號」가 된다. 그리고 「國號」와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된 결과, 「こくごう」라는 후리가나(KN17)가 공행(SP)부분에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 추출문자열(54)은 「國號」이기 때문에, 다음은 「國號」의 뒤의 「神」이 검색되고, 이 「神」과 「神」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의 「武天皇建國」이 추출문자열(54)로서 추출되어 재차 마찬가지의 읽기의 검색이 실시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神武天皇建國」이라는 어구는 색인어테이블(42a)에는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PU(10)에 의해 추출문자열(54)의 최후 꼬리가 1자씩 삭제되어 「神武天皇」이 되었을 때에 「神武天皇」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가 검색된 결과, 「じんむてんのう」라는 후리가나(KN19)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설명정보의 선두로부터 한자가 검색되어 가고, 검색된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에 의해 구성되는 어구의 읽기가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읽어내어져 공행에 표시되어 간다.
또한 「神武天皇建國の地の···(진무천황 건국의 땅의)」의 「地」의 후리가나(KN21)는 「じ」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오십음 차례로 정렬되어 있는 색인어테이블(42a)의 선두로부터 「地」와 일치하는 어구가 검색되기 위해 「ち」가 아닌 「じ」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예를 들면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전부 검색하여 읽어내어 그 읽어낸 색인어의 읽기를 일람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地」에는 「じ」,「ち」,「つし」및 「つち」라는 후리가나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중에서 적합한 읽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시시킨 설명정보의 행간을 1행 비워서 표시시켜 해당 설명정보의 선두로부터 한자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한자와, 해당 한자의 뒤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문자열(54)로서 추출·격납하고, 이 추출문자열(54)과 완전 일치하는 어구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색인어의 읽기를 추출문자열(54)의 아래의 공행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리가나 키(560a)를 누른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설명정보 중의 한자의 후리가나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진 경우, 표시 중의 설명정보 중의 한자의 후리가나를 전부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는데, 다음과 같이 해 도 좋다. 즉 후리가나 키(560a)가 눌러진 경우에, 설명정보의 행간을 1행 비워서 표시를 갱신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설명정보 중의 한자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그 한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읽기를 읽어내어서 지정된 한자의 아래의 행간에 읽어낸 읽기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사전 등을 포함하는 전자사전을 적용예로서 설명했는데, 이와 같은 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전화, 퍼스널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기기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사전(1)을 단체로 동작하는 소위 스탠드얼론형의 장치로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통신장치를 내장 또는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장치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통신장치를 내장한 전자사전단말(800)과, 서버(900)가 통신회로(N)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시스템구성의 개략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900)는 예를 들면 범용의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용 컴퓨터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고, 전자사전단말(800)은 휴대전화기나 통신장치를 내장한 퍼스널컴퓨터, 통신장치를 내장한 전자사전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통신회선(N)은 유선/무선의 전화망이나 인터넷망 등이다.
도 20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전자사전(1)의 주요기능을 갖는 기능블록을 굵은 선으로 나타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사전(1)의 CPU(10)가 실행하는 사전검색처리 등은 서버(900)의 CPU(902)가 실행한다. 또 ROM(40)이 기억 하는 각종 데이터나 각종 프로그램 등은 서버(900)가 구비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914)가 기억한다. 또 사전검색처리 등의 실행에 동반하는 데이터는 서버(900)의 RAM(906)이 기억한다.
한편 전자사전(1)의 입력부(20) 및 표시부(30)는 각각 전자사전단말(800)의 입력부(808) 및 표시부(810)에 상당한다.
즉 서버(900)가 호스트(또는 서버), 전자사전단말(800)이 단말(또는 클라이언트)에 상당하는 호스트·단말의 시스템(또는 클라이언트/서버형의 시스템)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자사전단말(800)의 입력부(808)로부터 입력된 입력문자나 색인어후보 중에서 선택된 색인어 커서에 의해 지정된 한자 등이 통신장치(812)를 통하여 서버(900)에 송신된다. 서버(900)의 CPU(902)는 기억부(914)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 및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사전검색처리 등을 실행하고, 통신장치(912)를 통하여 색인어후보나 설명정보나 검색한 읽기 등의 처리결과를 전자사전단말(800)에 송신하여 표시부(81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전자사전단말(80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にほん」으로 입력되면 「にほん」을 입력문자열로서 서버(900)에 송신한다. 서버(900)는 입력문자열로부터 시작되는 색인어와, 그 색인어에 계속되는 색인어를 기억부(914)에 격납하고 있는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읽어내어 색인어후보로서 전자사전단말(800)에 송신한다. 전자사전단말(800)은 서버(900)로부터 색인어후보를 수신하면, 도 7b와 같이 표시부(810)에 색인어후보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인어를 서버(900)에 송신한다. 서버(900)는 전자사전단말(800)로부터 송신된 색인어 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전자사전단말(800)에 송신한다.
전자사전단말(800)은 수신한 설명정보를 표시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설명정보 중의 한자가 지정되면, 지정된 한자를 서버(900)에 송신한다. 서버(900)는 송신된 한자를 기초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해당 한자 또는 해당 한자를 포함하는 어구의 읽기를 색인어테이블(42a)로부터 읽어내어 전자사전단말(800)에 송신한다.
전자사전단말(800)은 읽기를 수신하면, 도 8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자의 근처에 후리가나를 표시부(810)에 표시시킨다. 전자사전단말(800)은 사용자에 의해 한자가 지정될 때마다 서버(900)와의 통신을 실시하고, 읽기를 수신하여 표시부(810)에 표시시킨다.
또한 서버(900)는 전자사전단말(800)로부터 송신되는 한자를 기초로 색인어후보를 읽어내어 전자사전단말(800)에 송신하고, 전자사전단말(800)은 수신한 색인어후보를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리뷰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서버(900)는 설명정보 중의 한자의 읽기를 전부 읽어내어 송신하고, 전자사전단말(800)은 설명정보의 행간을 1행씩 비워서 표시한 후, 수신한 읽기를 설명정보 중의 한자에 의해 후리가나로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서버(900) 및 전자사전단말(800)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사전단말(800)에 있어서는 국어사전DB(42)나 사전검색프로그램(44) 등을 기억해 둘 필요가 없고, 또 사전검색처리 등을 실행할 필요도 없다. 이 때문에 연산처리능력이 비교적 낮은 CPU(802)나 기억 용량 등이 비교적 작은 ROM(804) 등을 구비하는 전자사전단말(800)(예를 들면 휴대전화)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리가나를 히라가나명으로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히라가나를 알파벳으로 변환하여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こくごう」라는 후리가나를 「kokugou」라는 알파벳으로 변환하여 표시시킴으로써 일본어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에게도 알기 쉬운 표시내용으로 할 수 있다.
또 색인어테이블(42a)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한자에 대하여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즉 설명정보 중의 한자가 상용한자인 경우는 후리가나는 표시시키지 않고, 상용한자가 아닌 한자에만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사용자의 학년에 따라서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초등학교 2학년인 경우는 습득학년이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한자에만 후리가나를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력에 따른 후리가나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연속하여 계속되는 한자를 추출하여 색인어테이블(42a)을 검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표시시킨 설명정보를 단어 또는 문절단위로 분할하고, 분할한 단어 또는 문절에 한자가 포함되는 경우에, 그 단어 또는 문절로 색인어테이블(42a)을 검색하여 후리가나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9b에 있어서는 「古く中國では···(오랜 중국에서는)」라는 설명정보를 「古く」, 「中國」 및 「では」라는 단어로 분할한다. 그리고 한자의 포함되어 있는 「古く」및 「中國」의 각각에 대하여 색인어테이블(42a)을 검색하고, 검색한 색인어의 읽기를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하여 「日の本の」에는 「ひのもとの」라는 후리가나(KN25)를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동일 도면b와 같이 「古く」에도 「ふるく」라는 오쿠리가나(한자를 분명히 읽기 위하여 그 밑에 다는 가나.「古く」의く)가 포함된 후리가나(KN23)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국어사전DB(42)의 데이터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블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색인어와 해당 색인어의 읽기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색인어읽기테이블(도시 생략)과, 색인어와, 해당 색인어의 설명정보를 대응지워서 기억하는 색인어설명정보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한자를 포함하는 색인어를 색인어읽기테이블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색인어의 읽기를 표시시킴으로써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한자색인어와 읽기와 설명정보가 각각 대응지워져 사전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사전기억수단과,
    이 사전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한자색인어 중,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과,
    이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 중, 어느 쪽인가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이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한자판별수단과,
    이 한자판별수단에 의해 한자라고 판별된 경우에, 이 판별된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상기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하여, 이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를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한자색인어 검색수단과,
    이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지정된 상기 복수 한자의 근처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근처표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은 상기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복수의 한자색인어를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복수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을 갖고,
    상기 읽기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복수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한자색인어와 해당 각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각 읽기를 대응지워 일람표시시키는 읽기일람표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읽기가 표시된 후에, 해당 읽기에 대응지워진 한자색인어의 설명정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표시시키는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일람표시제어수단에 의해 각 한자색인어와 대응하는 각 읽기가 일람표시된 후에, 해당 표시된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일람표시선택수 단과,
    이 일람표시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의 설명정보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표시시키는 일람선택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6. 한자색인어와 읽기와 설명정보가 각각 대응지워져 사전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사전기억수단과,
    이 사전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한자색인어 중,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과,
    이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 중의 한자를 검색하는 한자검색수단과,
    이 한자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각각의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상기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하여 이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를 각각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한자색인어 검색수단과,
    이 한자색인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사전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 읽어내어 대응하는 각 복수 한자의 근처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근처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은 읽기표시용 공간을 비워서 설명정보를 개행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행간첨부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읽기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행간첨부설명정보표시제어수단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의 상기 읽기표시용 공간의 대응하는 각 복수 한자의 근처에 상기 읽기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행간읽기표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표시제어장치.
  8.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한자색인어와 읽기와 설명정보가 각각 대응지워져 사전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사전기억코드와,
    이 사전기억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한자색인어 중, 어느 쪽인가의 한자색인어를 선택하는 선택코드와,
    이 선택코드에 의해 선택된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설명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설명정보표시제어코드와,
    이 설명정보표시제어코드에 의해 표시제어된 설명정보 중, 어느 쪽인가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지정코드와,
    이 지정코드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한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한자판별코드와,
    이 한자판별코드에 의해 한자라고 판별된 경우에, 이 판별된 한자를 선두에 연속하는 복수 한자를 상기 설명정보 중에서 추출하여 이 추출된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를 상기 사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한자색인어 검색코드와,
    이 한자색인어 검색코드에 의해 검색된 상기 복수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색인어에 대응하는 읽기를 상기 사전기억코드로부터 읽어내어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읽기표시제어코드로 이루어진 기록매체.
KR1020050026335A 2004-03-31 2005-03-30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 KR100619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7189A JP4487614B2 (ja) 2004-03-31 2004-03-31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107189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976A KR20060044976A (ko) 2006-05-16
KR100619671B1 true KR100619671B1 (ko) 2006-09-06

Family

ID=3532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35A KR100619671B1 (ko) 2004-03-31 2005-03-30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87614B2 (ko)
KR (1) KR100619671B1 (ko)
CN (1) CN100397394C (ko)
TW (1) TWI315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3879B2 (ja) * 2006-11-10 2012-05-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辞書、および該電子辞書におけるジャンプ画面表示方法
KR101001133B1 (ko) * 2008-03-14 2010-12-15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사전 서비스에서 후리가나 레이어 및 한자 읽기레이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0128539A (ja) * 2008-11-25 2010-06-10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および関連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4935869B2 (ja) * 2009-08-07 2012-05-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TWI494802B (zh) * 2012-01-04 2015-08-01 Asustek Comp Inc 操作方法與使用其之可攜式電子裝置
CN104462105B (zh) 2013-09-16 2019-01-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中文分词方法、装置和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819B2 (ja) * 1995-07-14 2004-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探索装置及び情報探索方法
US6154214A (en) * 1998-03-20 2000-11-28 Nuvomedia, Inc. Display orientation features for hand-held cont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5832B (en) 2009-10-11
KR20060044976A (ko) 2006-05-16
CN1694096A (zh) 2005-11-09
TW200604861A (en) 2006-02-01
CN100397394C (zh) 2008-06-25
JP4487614B2 (ja) 2010-06-23
JP2005293217A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749B1 (ko) 전자 장치들 내에서 수기 인식
US7256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on a reduced keyboard
US7286115B2 (en)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8832550B2 (en) Electronic dictionary device with touch panel display module and search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display module
KR10175362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193334A1 (en) Predictive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wo concurrent ranking means
US20030179930A1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KR100619671B1 (ko) 정보표시제어장치 및 기록매체
EP2109046A1 (en) Predictive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wo concurrent ranking means
JP2865210B2 (ja) 文字認識装置
WO2010109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CN101369209B (zh) 用于全混合输入的手写输入装置及其方法
KR20010101381A (ko) 표의적 언어 및 비표의적 언어를 위한 텍스트 입력 시스템
US91352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ctionary function and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3149273A (ja) 入力順非依存式文字入力機構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80150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2684910A (zh) 输入法候选词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981607A (zh) 以预定义顺序排列文本项的计算机实现的方法
US59914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handwritten characters associated with title information
US2012015443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058305B1 (ko) 사전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JP6221275B2 (ja) 文字入力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装置
RU2525748C2 (ru) Ввод текс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алфавитов и функция выделения клавиш
JP6048601B2 (ja) 情報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単語情報表示方法
KR20010069565A (ko) 부수를 활용한 한자 입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