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564B1 -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 Google Patents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564B1
KR100619564B1 KR1020050019506A KR20050019506A KR100619564B1 KR 100619564 B1 KR100619564 B1 KR 100619564B1 KR 1020050019506 A KR1020050019506 A KR 1020050019506A KR 20050019506 A KR20050019506 A KR 20050019506A KR 100619564 B1 KR100619564 B1 KR 10061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ack
vehicle
pinion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성모
최상민
한세민
이문석
김사중
김병권
소양선
신수록
Original Assignee
양성모
최상민
한세민
이문석
김사중
김병권
소양선
신수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모, 최상민, 한세민, 이문석, 김사중, 김병권, 소양선, 신수록 filed Critical 양성모
Priority to KR102005001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하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 랙을 갖는 한 쌍의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하부 연결부재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상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랙을 갖는 한 쌍의 상부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의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외측 일부에 캐리어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랙을 갖는 한 쌍의 캐리어본체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nd a roof carrie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sliding movem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pair of lower guide rails fixed and mounted on a fixing bracket existing on a roof of the vehicle is performed. A pair of lower sliding members having a first rack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at a portion of the bottom center thereof; A pair of upper guide rails hinged by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 pair of upper sliding members sliding along the upper guide rai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rack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at a portion of a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pair of carrier bodies having a third rack which sl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n upper guide rail of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engages with a carrier pinion on a portion of an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 low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a cylinder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rail. It is about.

루프캐리어, 텔레스코프형(telescope type)실린더, 랙, 피니언 Roof carrier, telescope type cylinder, rack, pinion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Lifting device for vehicle roof carrier and roof carrier using the same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viewed from A-A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하부슬라이딩부재의 제1 랙에 하부구동모터의 하부피니언이 치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 Figure 3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inion of the lower drive motor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of the lower sliding member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상부슬라이딩부재의 제2 랙과 캐리어본체의 제3 랙에 상부구동모터의 상부피니언과 캐리어피니언이 치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Figure 4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inion and the carrier pinion of the upper drive motor is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of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third rack of the carrier body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5a 및 도 5b는 스토퍼를 포함한 상부슬라이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와 걸림쇠를 포함한 캐리어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sliding member including a stopper and a carrier body including a latch,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하부구동모터가 구동되어 하부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운동을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driving motor of a lifting device of a lifting device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liding move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캐리어본체 및 상부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 상부가이드레일이 일정각도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guide rail including the carrier body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is raised at an angle by operating the cylinder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상부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캐리어본체 및 상부슬라이딩부재가 각각 슬라이딩 운동을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8A and 8B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driving motor of a lifting device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of the carrier body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respectively,

도 9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도 10은 도 9의 B-B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seen from B-B of FIG.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를 이용한 루프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1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of carrier using a lifting device of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가 차량의 루프상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11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opera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110; 루프,100; A lift device for the vehicle roof carrier, 110; Loops,

130; 고정브래킷, 150; 하부가이드레일,130; Fixed bracket, 150; Lower guide rail,

170; 하부슬라이딩부재, 190; 상부가이드레일,170; A lower sliding member, 190; Upper guide rail,

210; 상부슬라이딩부재, 230; 캐리어본체,210; An upper sliding member, 230; Carrier Body,

250a; 제1 랙, 250b; 제2 랙,250a; First rack, 250b; Second rack,

250c; 제3 랙, 270a; 제1 관통구,250c; Third rack, 270a; First through hole,

270b; 제2 관통구, 290a; 제1 치합구,270b; Second through hole, 290a; The first brace,

290b; 제2 치합구, 310; 롤링베어링부재,290b; Second brace, 310; Rolling bearing member,

330; 스토퍼, 350; 걸림쇠,330; Stopper, 350; Brace,

370; 하부구동모터, 390; 상부구동모터,370; Lower drive motor, 390; Upper drive motor,

410; 하부피니언, 430; 상부피니언,410; Lower pinion, 430; Upper Pinion,

450; 캐리어피니언, 470; 모터축,450; Carrier pinion, 470; Motor shaft,

490; 상·하부 연결부재, 510; 실린더,490;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510; cylinder,

530; 하부샤프트, 550; 상부샤프트,530; Bottom shaft, 550; Upper Shaft,

570; 캐리어바, 590; 보조플레이트,570; Carrier bar, 590; Auxiliary Plate,

610; 로프끼움부, 630; 물품지지패널,610; Rope fitting, 630; Goods Support Panel,

650; 상부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레일, 670; 와이어로프풀리,650; A guide rail of the upper sliding member, 670; Wire Rope Pulley,

700; 차량용 루프캐리어.700; Car roof carrier.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V(recreational vehicles)나 SUV(sports utility vehicles)와 같은 다목적·다기능 차량의 경우에 차량의 전고(全高)가 일반 승용차 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차량의 루프상의 루프캐리어에 물품을 적재하기가 매우 불편하였고, 그에 따른 물품의 파손우려 및 적재자의 신체위험의 우려가 존재하였는 바, 물품을 싣고 내릴 때 상기 루프캐리어를 자동으로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자동으로 RV(recreational vehicles)나 SUV(sports utility vehicles)와 같은 다목적·다기능 차량의 루프보다 낮은 위치로 캐리어본체를 하강시켜서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의 고속주행시나 급정차, 급출발시에도 상기 루프캐리어에 탑재된 물품이 외부로 추락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종래의 루프캐리어에 적재할 수 없었던 큰 하중의 물품도 부담없이 싣고 내릴 수 있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nd a roof carrie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vehicle such as a recreational vehicle or a sports utility vehicle, It is very inconvenient to load the goods in the roof carrier on the roof of the vehicle because it is higher than the general passenger car,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damage of the goods and the risk of the physical risk of the loader. Therefore, the roof carrier is automatically loaded when the goods are unloaded. To move the vehic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lower and lower the carrier body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roof of a multi-purpose vehicle such as RV (recreational vehicles) or sports utility vehicles (SUV).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roof carrier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at a sudden stop, or at a sudden start. The product relates to a load carrier using prevented the risk of falling to the outside, and the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load carrier article of a large load could not be loaded in the conventional load carrier can also be put down without load and it.

일반적으로,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스키장비나 기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상에 장착되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RV(recreational vehicles)나 SUV(sports utility vehicles)와 같이 차량의 전고(全高)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루프캐리어에 물품을 적재하는데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었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is a fixed type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so that ski equipment or other items can be loaded, such as RV (recreational vehicles) or sports utility vehicles (SUV) In the case of high,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and difficulties in loading the article into the roof carrier.

아울러, 상기 적재 물품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물품을 들어서 루프캐리어 상에 싣고 내려야 하는바, 실제 하중이 큰 물품은 루프캐리어에 적재할 수 없는 폐단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load of the load article is large, a person must lift and load the article directly on the roof carrier, and there is a closed end in which the actual load of the article cannot be loaded on the roof carrier.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015 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50404호, 동보 제10-043207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207호 등 여러가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015호의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캐리어는 링크장치를 이용하여 차폭방향으로 캐리어를 승강시키나 상기 승강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수동적인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여전히 불편한 점을 지니고 있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301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5040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32077,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4-0050207 Although it has been proposed, the slide-link devic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3015 and the loop carrier using the same are used to lift the carri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using the link device, but the lifting motion is not automatic, but the manual movement of the person. It is made by manipulation and still has some inconveniences.

한편,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50404호의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전동식 캐리어는 상기 승강운동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작하나, 루프상의 레일이 차량의 뒷유리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어 미관상 매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급정차시나 급출발시 캐리어를 고정해주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서 적재된 물품이 추락할 위험이 상존하며, 여전히 하중이 큰 물품을 허리 위로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과 캐리어를 지지하는 회전바퀴의 존재로 무거운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에 차량의 루프에 손상을 줄 우려 또한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arrier installed in the roof of the vehicle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150404 automatically operates the lifting movement by the driving of the motor, but the rail on the roof extends to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which is very good in appearance. In addition, there is no risk of falling of the loaded goods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means for fixing the carrier during a sudden stop or start of the vehicle, and there is still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lift a heavy load over the waist and rotation to support the carrier. There is also a risk of damaging the roof of the vehicle when loading a heavy article in the presence of the wheels.

그리고, 동보 제10-0432077호의 자동차의 루프랙은 적재된 물품의 상태나 크기에 맞게 상기 루프랙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역시 무거운 물품을 싣거나 내릴 경우 상기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상기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of rack of the automobile of Publication No. 10-0432077 is configured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roof rack according to the state or size of the loaded goods, the carrier is also fix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when loading or unloading heavy goods It still has the above problem.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207호의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는 차량의 후방 범퍼의 양측부위에 캐리어암의 타측단을 회전축 결합하여 설치하고, 캐리어몸체의 후방부에 캐리어암의 일측단을 힌지결합하여 설치하고, 캐리어몸체의 전방부에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된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캐리어몸체를 차량의 후방으로 하강시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몸체를 차량의 루프상으로 원위치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베이스플레이트가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자체의 하중이 커서 연비과다 등의 문제의 소지가 있고, 차체에 별도의 캐리어암의 설치가 요구되므로 설치비용의 과다 및 설치상의 난해함과 미관상 악영향을 초해함과 동시에 캐리어몸체의 전방 하부의 스토퍼가 있다고 하더라도,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운동이 일어나므로 무거운 물품을 상기 캐리어에 적재하는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차시에 캐리어암의 파손과 탄성부재의 파손 등의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device of the car roof carrier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0207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carrier arm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and the rear side of the carrier body of the carrier arm One side end is hinged and installed, and by installing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base plate in the front of the carrier body, by driving the drive motor to lower the carrier body to the rear of the vehicle to load the goods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body is configured to be return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However, since the base plate of the car roof carrier is made of a plate, there is a problem of excessive fuel consumption, such as excessive fuel consumption, and the vehicle body. Installation of additional carrier arm is required, so excessive installation cost and difficulty in installation and aesthetic appearance Even if there is a stopper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carrier body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ertain limit to loading a heavy article on the carrier because the upward movement occur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re is still a fear of breakage of the arm and breakage of the elastic member.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루프캐리어가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car roof carrier lifting device and roof carrier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 과 결합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상의 하부슬라이딩부재가 하부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함으로써, RV 나 SUV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와류방지판과 후방 미러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캐리어본체를 포함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the lower sliding member on the lower guide rail coupled with the upper guide rail performs sliding movement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y driving a lower drive motor, thereby providing an RV or SUV vehicle. Provided is an improved lifting device for a roof loop carrier for a vehicle that can move the upper guide rail including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to the rear of the vehicle without colliding with the rear anti-vortex plate and the rear mirror and a roof carrier using the same. It is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캐리어본체를 포함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차량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cylinder which is axially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upper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rail, the upper slid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apparatus for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which lowers or raises the upper guide rail including a member and a carrier body at a rearward angle of a vehicle, and a roof carrier using the same.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랙을 각각 갖는 하부슬라이딩부재, 상부슬라이딩부재, 캐리어본체를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슬라이딩 운동시켜, RV나 SUV 차량처럼 차량의 전고(全高)가 높은 경우에도 원할하게 차량의 후방으로 상기 루프캐리어를 승강시키고, 상기 승강높이를 물품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동시에 무거운 물품이라도 어려움 없이 싣고 내릴 수 있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lide the lower sliding member,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by driving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each having a fixed rack,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vehicle is high, such as an RV or SUV vehicle. Even if the roof carrier is raised and lower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smoothly, the lifting height is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rticle, and even a heavy article can be loaded and unloaded even with a heavy load lifting device and a loop carrier using the same.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하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 랙을 갖는 한 쌍의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하부 연결부재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상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랙을 갖는 한 쌍의 상부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의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외측 일부에 캐리어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랙을 갖는 한 쌍의 캐리어본체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pair of lower guide rails fixed to and mounted on a fixed bracket existing on the roof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pin is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lower sliding members having one rack; A pair of upper guide rails hinged by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 pair of upper sliding members sliding along the upper guide rai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rack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at a portion of a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pair of carrier bodies having a third rack which sli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n upper guide rail of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engages with a carrier pinion on a portion of an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 low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a cylinder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rail. .

여기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부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제1 랙에 대한 제1 치합구가 형성되고, 저면 외측부에는 롤링베어링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shaft penetrates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rail, a first engagement hole for the first rack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and a rolling bearing member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guide rail.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 사이에 양방향, 양축 하부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구동모터의 양축의 일부에 상기 제1 치합구에 삽설되어 상기 제1 랙과 치합되는 하부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구동모터의 양축의 양단은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롤링베어링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bi-directional, biaxial lower drive moto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ower guide rails, and a lower pin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port on a part of both shafts of the lower drive motor and engaged with the first rack. It is more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both shafts of the lower driving motor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olling bearing members formed on the lower guide rails.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의 내·외측면에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제2 랙에 대한 제2 치합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pper guide rail, and a second fitting hole for the second ra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 사이에 양방향, 양축 상부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구동모터의 양축의 일부에 상기 제2 치합구에 삽설되어 상기 제2 랙과 치합되는 상부피니언과 상기 제3 랙과 치합되는 캐리어피니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구동모터의 양축의 양단은 상기 제2 관통구에 관통되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a bi-directional, biaxial upper drive moto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upper guide rails, the upper pinion and the second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port on a part of both shafts of the upper drive moto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Carrier pinions which are engaged with the three racks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both ends of both shafts of the upper driving motor are more preferably penetra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그리고, 상기 캐리어피니언의 반경은 적어도 상기 상부피니언의 반경의 2배 이상인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The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is more preferably at least twice the radius of the upper pinion.

또한, 상기 캐리어본체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로프끼움부를 갖는 보조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에 다수의 캐리어바가 횡으로 형성되고, 하부 전방 말단에 걸림쇠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plate having at least one rope fi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a plurality of carrier bars are formed transversely on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atch is formed at the lower front end.

여기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레일상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쇠에 의해 상기 캐리어피니언의 상기 제3 랙의 이탈시, 상기 캐리어본체를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레일상의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of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when the third rack of the carrier pinion is separated by the stopper and the latch, the carrier body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uide rail of the upper sliding member. It is more preferable to stop.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를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장착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loop carrier for fixing and mounting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to the fixed bracket existing on the roof of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작동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본 승강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10)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130)에 고정·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150);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의 내부에 삽설되어 저면 중앙 일부에 하부피니언(410)과 치합되는 제1 랙(250a)을 갖는 한 쌍의 하부슬라이딩부재(170);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상·하부 연결부재(490)에 의해서 힌지결 합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190);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부에 삽설되어 저면 중앙 일부에 상부피니언(430)과 치합되는 제2 랙(250b)을 갖는 한 쌍의 상부슬라이딩부재(210);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내부에 삽설되어 저면 외측 일부에 캐리어피니언(450)과 치합되는 제3 랙(250c)을 갖는 한 쌍의 캐리어본체(230);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530)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550)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510); 하부피니언(410)을 갖는 하부구동모터(370); 상부피니언(430)과 캐리어피니언(450)을 갖는 상부구동모터(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operational state of a lifting device 100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seen from AA of FIG. 1 and 2, a pair of lower guide rails 150 fixed and mounted to a fixing bracket 130 existing on the roof 110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lower sliding members (170) having a first rack (250a)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rail (150) and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410) a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pair of upper guide rails 190 hinged by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90; A pair of upper sliding members (210) having a second rack (250b)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 rail (190) and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430) a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pair of carrier bodies (230) having a third rack (250c) inserted into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engaged with the carrier pinion (450) on a portion of the bottom outer surface; A cylinder 510 axially coupled to a lower shaft 53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an upper shaft 55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rail 190, respectively. ; A lower drive motor 370 having a lower pinion 410; And an upper drive motor 390 having an upper pinion 430 and a carrier pinion 450.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차량의 루프(110)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130)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를 내부에 삽설한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부샤프트(53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270a)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제1 랙(250a)에 대한 제1 치합구(290a)가 형성되고, 저면 외측부에는 롤링베어링부재(310)가 형성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lower guide rail 150 is fixed and mounted to the fixing bracket 130 existing on the roof 110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lowering the lower sliding member ( 17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270a through which the lower shaft 530 penetrates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rail 150, and a first fitting hole for the first rack 250a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guide rail 150. 290a is formed, and a rolling bearing member 310 is formed on the bottom outer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 관통구(270a)는 상기 하부샤프트(530)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내측면 일부와 고정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 1치합구는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하부피니언(410)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저면 중앙 일부에 형성된 제1 랙(250a)과 치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롤링 베어링부재(310)는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양축(470)과 결합되어 상기 양축(470)을 무리 없이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Here, the first through hole 270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haft 530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the first tooth fitting is the lower driving motor 370. The lower pinion 410 of the)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rack 250a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the rolling bearing member 310 is the lower drive motor 370 Combined with both shafts (470) of the) form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two shafts (470) without difficulty.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에 삽설된 상태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는 내측면이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510)의 하부샤프트(530)의 양단과 고정결합되고, 상부면은 상·하부 연결부재(49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과 힌지결합되고, 저면 중앙 일부에 형성된 제1 랙(250a)은 상기 하부피니언(410)과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는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도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는 것은 구조상 당연하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which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guide rail 15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rail 15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shaft 530 of the cylinder 510, th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member 490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upper guide rail 190,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The formed first rack 250a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lower pinion 410. Accordingly,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performs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lower guide rail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driving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Of cours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it is natural in structure that the upper guide rail 190 also moves together with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아울러,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 및 상기 실린더(510)의 설치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승강장치(100)의 전방부에 상기 실린더(510)를 설치하고, 중간부에 하부구동모터(370)를 설치하고, 후방부에 상부구동모터(39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510)를 본 승강장치(100)의 전방부에 설치하는 것은 물품의 적재가 완료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중을 상기 상·하부 연결부재(490)와 함께 상기 실린더(510)가 동시에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하부구동모터(370)를 중간부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구동시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를 차량의 후방부로 일정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상부구동모터(390)를 후방부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및 상기 캐리어본체(230)를 지면 가까이 최대한 하강 시켜, 물품을 싣고 내릴 때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drive motor and the cylinder 510 is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elevat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lower portion in the middl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drive motor 370 and to install the upper drive motor 390 in the rear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cylinder 51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elevating device 100 to load the article in the state where the loading of the article is completed, along wit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90 of the cylinder 510. In order to support the same time, the lower driving motor 370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when driving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be movable,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in the rear portion is to lower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as close to the ground as possible, uncomfortable when loading and unloading goods This is to avoid.

단, 상기 실린더(510) 및 상·하부 구동모터의 설치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된 물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차량의 전고(全高)에 따라 적당하게 변형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cylinder 510 and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 and 2, and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loaded article, and suitab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and installed.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제1 랙(250a)에 하부구동모터(370)의 하부피니언(410)이 치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의 B는 동작 후, 특히 정회전 구동시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liding motion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ower pinion 410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is engaged with and operated by the first rack 250a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chematic bottom view, specifically, FIG. 3A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and FIG. 3B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particularly in the forward rotational dri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랙(250a)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저면 중앙 일부, 즉 하부면 중앙부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하부피니언(410)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랙(250a)의 길이는 도 3과 같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절반 정도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더욱 길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상기 제1 랙(250a)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슬라이딩 운동 길이가 동일하게 길어짐은 당연하다. 단, 상기 제1 랙(250a)의 설치위치 및 설치길이는 상기 실린더(510)의 설치위치 내지 상부구동모터(390)의 설치위치와 적재될 물품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고,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가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상에서 원할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암 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rack 250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rtion of the bottom center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410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It is composed.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rack 250a may be formed about half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formed longer. Of course, as the length of the first rack 250a is longer, the sliding movement length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is equally longer.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first rack 250a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ylinder 510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and the load of goods to be loaded, and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female rack to enable a smooth sliding movement on the lower guide rail 150.

여기서, 상기 하부구동모터(37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양방향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축(470)이 양쪽에 모두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양축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ere, the lower drive motor 37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bidirectional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more preferably the shaft 470 of the lower drive motor 37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force Mor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a biaxial drive motor that can deliver.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구동, 즉 정회전 구동으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차량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캐리어본체(230) 및 상부슬라이딩부재(210)를 포함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과 함께 일체로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구동모터(370)가 역회전 구동을 하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는 다시금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의 내부에 삽설된다. As shown in FIG. 3,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long the lower guide rail 150 by driving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that is, forward rotation driving. As the sliding movement is performed, the upper guide rail 190 including the carrier body 230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s integrally mov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On the contrary, when the lower driving motor 370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is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rail 150 again.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상부슬 라이딩부재(210)의 제2 랙(250b)과 캐리어본체(230)의 제3 랙(250c)에 상부구동모터(390)의 상부피니언(430)과 캐리어피니언(450)이 치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4의 C는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의 D는 동작 후, 특히 정회전 구동이 일어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의 E는 캐리어본체(230)의 제3 랙(250c)으로부터 캐리어피니언(450)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의 F는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upper drive motor to the second rack 250b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third rack 250c of the carrier body 230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inion 430 and the carrier pinion 450 of 39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FIG. 4C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and FIG. After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bottom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forward rotation drive occurs, E of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rier pinion 450 is separated from the third rack 250c of the carrier body 230, 4F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comple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 전에는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와 상기 캐리어본체(230)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부에 삽설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은 내·외측면에는 제2 관통구(270b)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양축(470)이 삽설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상부피니언(430)이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저면 중앙 일부에 형성된 제2 랙(250b)과 치합될 수 있는 제2 치합구(290b)가 구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상기 상·하부 연결부재(49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before the upper driving motor 390 is driven,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 rail 190. Here, the upper guide rail 190 has a second through hole 270b formed at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thereof so that both shafts 470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can be inserted, and the upper side has the upper side. The second pinion 290b is formed to the upper pinion 430 of the drive motor 390 and the second rack 250b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member 490 is configured to hinge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가 삽설되어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에 의해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뿐만 아니라 상기 캐리어본체(230)도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rail 190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driving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In addition, the carrier body 230 as well as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by the driving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performs a sliding movem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제2 랙(250b)과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제3 랙(250c)의 설치위치 및 설치길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랙(250b)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저면 중앙 일부, 즉 하부면 중앙부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상부피니언(430)과 치합되도록 구성되며, 제3 랙(250c)의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저면 외측 일부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캐리어피니언(450)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second rack 250b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third rack 250c of the carrier body 230 ar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rack 250b. In the cas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tha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lower surface cent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430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the third rack 250c In the case of the carrier body 230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o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arrier pinion 450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여기서, 상기 제2 랙(250b)의 길이는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몸체길이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랙(250b)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물품의 적재시 지면 가까이 상기 캐리어본체(230)를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3 랙(250c)의 길이는 도 4와 같이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저면 외측 전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3 랙(250c)의 길이를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몸체의 전체에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시, 즉 정회전 구동시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이 상기 제3 랙(250c)을 이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의 E참조.)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이 상기 제3 랙(250c)을 이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외부로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물품의 적재시 상기 캐리어본체 (230)를 지면 가까이 하강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Here, the length of the second rack 250b is preferably formed to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second rack 250b is, the carrier body 230 can be lowered closer to the ground when the article is loade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third rack 250c is preferably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rrier body 230 as shown in FIG. The reason for forming the length of the third rack 250c in the entire body of the carrier body 230 is that the carrier pinion 450 is driven when the upper drive motor 390 is driven, that is, the forward rotation drive. This is to allow the third rack 250c to be separated. (See E of FIG. 4.) When the carrier pinion 450 does not leave the third rack 250c, the carrier body 230 This is because the carrier body 230 can not be lowered closer to the ground when the article is loaded because the sliding movement cannot be perform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단, 상기 제2 랙(250b) 및 제3 랙(250c)의 설치위치 및 설치길이는 상기 실린더(510)의 설치위치 내지 상부구동모터(390)의 설치위치와 적재될 물품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고,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및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 및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상에서 원할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암 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second rack 250b and the third rack 250c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ylinder 510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and the load of goods to be loade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arm rack to enable a smooth sliding movement on the upper guide rail 190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Do.

여기서, 상기 상부구동모터(39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양방향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축(470)이 양쪽에 모두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양축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축(470)의 일부, 즉 양축(470)의 양단의 일부에 상기 제2 랙(250b)과 치합되는 상부피니언(430)과 상기 제3 랙(250c)과 치합되는 캐리어피니언(45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은 적어도 상기 상부피니언(430)의 반경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drive motor 39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bi-directional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re preferably the shaft 470 of the lower drive motor 37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force More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a biaxial drive motor that can deliver. In addition, the upper pinion 430 meshes with the second rack 250b and the carrier pinion 450 meshes with the third rack 250c on a part of both shafts 470, that is, both ends of both shafts 470. Each of which is provided, the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45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t least twice the radius of the upper pinion 430.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을 적어도 상기 상부피니언(430)의 반경의 2배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도 4의 동작상태 저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시, 상기 상부피니언(430)의 회전력으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가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회전력으로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슬라이딩 길이의 2배 이상의 슬라이딩 길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최소 2배 이 상의 슬라이딩 길이를 확보해야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지면 가까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을 더욱 크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더욱 지면 가까이 하강하여 물품의 싣고 내림이 편리해짐을 알 수 있다. 단,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이 너무 커지는 경우에는 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루프캐리어(700)의 부피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반경을 상기 상부피니언(430)의 2.5배 내지 3배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Configuring the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450 to at least two times the radius of the upper pinion 430 is as shown in the bottom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4, when the upper driving motor 390 is driven. While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performs the sliding movem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pinion 430, the carrier body 23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arrier pinion 450 This is to secure the sliding length more than twice the sliding length. In this way, at least two times the sliding length must be secured so that the carrier body 230 can be lowered close to the ground. In the case where the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450 is further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carrier body 230 is lowered closer to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article is convenient. However, when the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450 is too large, the volume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vehicle roof carrier and the roof carrier 700 using the same increase, so that the radius of the upper pinion 430 is 2.5. Most preferably, it is composed of 3 to 3 times.

도 5a 및 도 5b는 스토퍼(330)를 포함한 상부슬라이딩부재(2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와 걸림쇠(350)를 포함한 캐리어본체(2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제3 랙(250c)으로부터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이 이탈되는 경우, 더 이상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의 일정위치에 상기 캐리어본체(230)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3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330)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sliding member 210 including a stopper 330 and a carrier body 230 including a latch 350, specifically, the carrier body 230. When the carrier pinion 450 is separated from the third rack 250c, the carrier body 230 no longer slide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t is provided with a stopper 330 that can stop the carrier body 230, the stopper 330 is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ure 5a do.

또한, 상기 캐리어본체(230)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전방 말단에 걸림쇠(350)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이 상기 제3 랙(250c)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에 구비된 상기 스토 퍼(330)에 걸리게 되어 상기 캐리어본체(230)를 더 이상 슬라이딩 운동시키지 않고 일정위치에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arrier body 230 has a latch 350 at the lower front end, as shown in Figure 5b, when the carrier pinion 450 leaves the third rack 250c, the upper sliding The stopper 330 provided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member 210 serves to stop the carrier body 23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any further sliding movement.

단, 여기서 상기 스토퍼(330)의 설치위치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피니언(430)과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 차이에 의한 슬라이딩길이에 의존적인 것임을 밝혀둔다.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opper 330 is not independent, but depends on the sliding length due to the difference in radius between the upper pinion 430 and the carrier pinion 450.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하부구동모터(370)가 구동되어 하부슬라이딩부재(170)가 슬라이딩 운동을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실린더(510)가 작동하여 캐리어본체(230) 및 상부슬라이딩부재(210)를 포함한 상부가이드레일(190)이 일정각도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상부구동모터(390)가 구동되어 캐리어본체(230) 및 상부슬라이딩부재(210)가 각각 슬라이딩 운동을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driving motor 370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roof carrier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FIG. The cylinder 510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o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the upper guide rail 190 including the carrier body 230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s raised at an angle. 8A and 8B illustrate an upper driving motor 390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roof carrier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arrier body 230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perform sliding motions, respectively.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schematically.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구동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을 제외하고 다른 승강장치(100)는 모두 차량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및 캐리어본체(230)를 포함한 상부가이드레일(190)을 후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이유는 RV나 SUV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 와류방지판과 후방 미러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부속품에 본 승강장치(100)가 충돌을 일으키지 않기 위함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when only the driving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is performed, all the other lifting devices 100 except for the lower guide rail 150 mov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of the vehicle. It can be seen. As such, the reason for moving the upper guide rail 190 including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to the rear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that in the case of an RV or SUV vehicle, This is because the lifting device 100 does not collide with the vehicle accessories because the eddy current prevention plate and the rear mirror are present at the rear side.

도 7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530)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550)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510)가 작동하여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및 캐리어본체(230)를 포함한 상부가이드레일(190)이 일정각도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510)는 일반 단동형 실린더(510)를 채택할 수도 있으나, 상기 상승각도를 적당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프형(telescope type) 실린더(510)를 채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7 is a cylinder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shaft 53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the upper shaft 55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rail 190, respectively. 510 is operated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upper guide rail 190 including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is rais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The cylinder 510 may employ a general single-acting cylinder 510, but in order to appropriately adjust the elevation angle, it is more preferable to adopt a telescope type cylinder 510 as shown in the drawing. Do.

단, 상기 실린더(510)는 차량에 장착된 컴프레셔나 파워펌프(파워스티어링)의 공기압이나 유압에 의하여 작동됨은 물론이다.However, the cylinder 510 is of course operated by the air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of the compressor or power pump (power steering) mounted on the vehicle.

도 8a는 상부구동모터(390)의 캐리어피니언(450)이 제3 랙(250c)으로부터 이탈되어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에 존재하는 스토퍼(330)에 캐리어본체(230)의 걸림쇠(350)가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b는 캐리어본체(230)가 스토퍼(330)와 걸림쇠(350)에 의해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슬라이딩부재(210)가 슬라이딩 운동을 마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 특 히 정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지면에 매우 근접한 상태로 하강하기 때문에 물품을 싣고 내리는데 매우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FIG. 8A shows the carrier body 230 in the stopper 330 of the carrier pinion 450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being separated from the third rack 250c and present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350 is caught and no longer descends, and FIG. 8B shows the carrier body 230 of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by the stopper 330 and the latch 350.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movement is finished in the stopped state, the carrier body 230 is driven to the ground when the driving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in particular the forward rotation is completed As it descends in close proximity,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effici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goods.

아울러, 도 11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로프끼움부(610)를 갖는 보조플레이트(590)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에는 다수의 캐리어바(570)가 횡으로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물품지지패널(630)이 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캐리어바(570)와 물품지지패널(630)을 형성함으로써, 물품의 적재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플레이트(590)에 하나 이상의 로프끼움부(610)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물품을 적재하고 차량의 주행시 물품이 추락하지 않도록 로프를 상기 로프끼움부(610)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a, b, an auxiliary plate 590 having at least one rope fitting portion 6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23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carrier bars (upper inner surface) 570 is formed horizontally, and the article support panel 630 is formed laterally in the rear portion. By forming the plurality of carrier bars 570 and the article support panel 630, it is possible to smoothly load the article, by separately providing at least one rope fitting portion 610 on the auxiliary plate 590, It is configured to bind the rope to the rope fitting portion 610 so as to load and prevent the article from falling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도 9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양축(470)에 상기 상부피니언(430)과 상기 캐리어피니언(450) 대신에 와이어로프풀리(670)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본체(230) 내부에 삽설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리어본체(230) 및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 section seen from BB of Figure 9, specifically the upper drive motor The carrier body 230 is provided with a wire rope pulley 670 instead of the upper pinion 430 and the carrier pinion 450 on both shafts 470 of 39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arrier body 230. And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is configured to be elevated.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부에 동일한 형상의 상부슬라이딩부재(210)가 삽설되고, 삽설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내부에 캐리어 바(570) 및 보조플레이트(590), 그리고 물품지지패널(630)을 갖는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삽설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후방 말단에 상기 와이어로프풀리(670)에 감겨진 와이어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전방 말단과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전방 말단에 각각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having the same sha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 rail 190, and the carrier bar 570 and the auxiliary plate 59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ed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a carrier body 230 having an article support panel 630 inserted therein, a wire wound around the wire rope pulley 670 fixedl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carrier body 230, A separate stopper is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front end of the carrier body 230.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부구동모터(390)의 구동으로 상기 와이어로프풀리(670)가 회전하여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 및 상기 캐리어본체(230)가 차량의 후방으로 하강하거나 원 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차량의 루프캐리어(700)에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wire rope pulley 67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upper driving motor 390 so that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the carrier body 230 descend to the rear of the vehicle or ascend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load and lower the goods on the roof carrier 700 of the vehicle.

한편,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루프캐리어(7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가 차량의 루프(110)상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11b와 같이 RV나 SUV 차량의 루프(110)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130)에 본 승강장치(100)를 장착하면, 본 승강장치(100)의 랙과 피니언의 치합으로 인해 차량의 고속주행시나 급정차, 급출발시에도 언제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사람이 직접 적재 물품을 들어 올리거나 들어 내릴 필요없이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 및 상기 실린더(510)의 작동으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무거운 물품이라도 별 어려움 없이 상기 승강장치(100)를 장착한 루프캐리어(700)를 이용함으로써 싣고 내릴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of carrier 700 using th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b is a vehicle lifting device 100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11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being mounted and operated on the roof 110 of FIG. 11B. The eleva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a fixed bracket 130 existing on the roof 110 of an RV or SUV vehicle, as shown in FIG. 11B. When the rack and pinion of the elevating device 100 are engaged, safety can be ensured at all times even during high-speed driving, sudden stop, and sudden start of the vehicle, and a person does not have to lift or lift a loaded article directly. · The drive of the lower drive motor and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510 can be loaded and unloaded goods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In addition, even heavy items can be loaded and unloaded by using the roof carrier 700 equipped with the elevating device 100 without any difficulty.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하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 랙을 갖는 한 쌍의 하부슬라이딩부재,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하부 연결부재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상부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 랙을 갖는 한 쌍의 상부슬라이딩부재,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캐리어피니언과 치합되는 제3 랙을 갖는 한 쌍의 캐리어본체, 하부샤프트와 상부샤프트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s long as it has a pair of lower guide rails fixed and mounted on a fixing bracket existing on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first rack sli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lower guide rails and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A pair of lower sliding members, a pair of upper guide rails hinged by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nd a second rack sli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upper guide rail and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A pair of upper sliding members having a pair of carrier bodies having a third rack engaged with the carrier pinion, sli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a cylinder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shaft and the upper shaft,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상부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상의 하부슬라이딩부재가 하부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함으로써, RV 나 SUV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와류방지판과 후방 미러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캐리어본체를 포함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안전성을 제공한다.First, the lower sliding member on the lower guide rail coupled with the upper guide rail slid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y driving a lower driving motor, thereby colliding with the vortex preventing plate and the rear mirr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V or SUV vehicle. It provides a safety that can move the upper guide rail including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to the rear of the vehicle without.

둘째,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와 상 기 상부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캐리어본체를 포함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을 차량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by mounting a cylinder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upper shaft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guide rail,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It provides an effect of lowering or raising the upper guide rail including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셋째,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상의 상부슬라이딩부재와 캐리어본체가 상기 상부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차량의 후방으로 각각 슬라이딩운동을 함으로써, 물품의 적재시 상기 캐리어본체를 지면 가까이 하강시키고, 적재가 완료되면 다시금 원상태로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the upper sliding member on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carrier body slid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y the driving of the upper driving motor, thereby lowering the carrier body closer to the ground when loading the article, and again when the loading is completed. Provides the effect of raising to the original state.

넷째,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과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캐리어본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상·하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적당한 승강높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무거운 물품이라도 어려움없이 상기 캐리어본체에 싣고 내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ourth, by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lower sliding member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by the drive of the upper and lower drive motor,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appropriate lifting height, without difficulty even heavy items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loaded on and off the carrier body.

다섯째,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캐리어본체는 각각 저면부 일부에 일정한 랙이 구비되고, 상기 랙은 상기 상·하부 구동모터의 피니언에 각각 치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고속주행시나 급정차, 급출발시에도 적재된 물품이 추락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며, 주행시 진동발생 등의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fth, the lower sliding member, the upper sliding member, and the carrier body are each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rack o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rack is engaged with the pinions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respectively, so that the vehicle can be driven at Eve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arted, the loaded goods are firmly supported without falling and provide an effect of alleviating the fear of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 변형 및 수정실시는 이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at many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However, the above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Claims (9)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고정브래킷(130)에 고정·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15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하부피니언(410)과 치합되는 제1 랙(250a)을 갖는 한 쌍의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와 상·하부 연결부재(490)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190)과;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중앙 일부에 상부피니언(430)과 치합되는 제2 랙(250b)을 갖는 한 쌍의 상부슬라이딩부재(210)와;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상부가이드레일(19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고, 저면 외측 일부에 캐리어피니언(450)과 치합되는 제3 랙(250c)을 갖는 한 쌍의 캐리어본체(230)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재(17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하부샤프트(530)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측면 일부에 고정결합된 상부샤프트(550)에 각각 축결합되는 실린더(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The first rack is fixed to the fixed bracket 130 existing on the roof of the vehicle, a pair of lower sliding motion along the guide rail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ack is engaged with the lower pinion 410 in a portion of the bottom center A pair of lower sliding members 170 having 250a; A pair of upper guide rails 190 hinged by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90; A pair of upper sliding members 210 having a second rack 250b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guide rail 190 and engaged with the upper pinion 430 at a portion of the bottom center thereof; A pair of carrier bodies 230 having a third rack 250c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guide rail 19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and engaged with the carrier pinion 450 on a portion of the bottom outer surface. )Wow; A cylinder 510 axially coupled to a lower shaft 53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sliding member 170 and an upper shaft 550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rail 190, respectively.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부샤프트(53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구(270a)가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제1 랙(250a)에 대한 제1 치합구(290a)가 형성되고, 저면 외측부에는 롤링베어링부재(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uide hole 270a through which the lower shaft 530 is form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rail 150,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for the first rack (250a) 1 engaging hole (290a) is formed,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ing bearing member 310 is formed on the bottom oute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가이드레일(150) 사이에 양방향, 양축 하부구동모터(37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양축의 일부에 상기 제1 치합구(290a)에 삽설되어 상기 제1 랙(250a)과 치합되는 하부피니언(41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구동모터(370)의 양축의 양단은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50)에 형성된 롤링베어링부재(3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According to claim 2, Between the pair of lower guide rails 150 is provided with a bi-directional, biaxial lower drive motor 370, the first fitting 290a on a portion of both shafts of the lower drive motor 370 A lower pinion 410 inserted into the first rack 250a and engaged with the first rack 250a, and both ends of both shafts of the lower driving motor 370 are formed on the lower guide rails 150.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0)의 내·외측면에는 제2 관통구(270b)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제2 랙(250b)에 대한 제2 치합구(29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hrough hole 270b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pper guide rail 190, the second fitting 290b for the second rack 25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가이드레일(190) 사이에 양방향, 양축 상부구동모터(39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양축의 일부에 상기 제2 치합구(290b)에 삽설되어 상기 제2 랙(250b)과 치합되는 상부피니언(430)과 상기 제3 랙(250c)과 치합되는 캐리어피니언(45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구동모터(390)의 양축의 양단은 상기 제2 관통구(270b)에 관통되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5. The bi-directional, biaxial upper drive motor 39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upper guide rails 190, and the second fitting 290b is formed on a part of both shafts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The upper pinion 430 inserted into the second rack 250b and the carrier pinion 450 engaged with the third rack 250c, respectively,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drive motor 390. Both ends are respectively penetrated by the second through hole (270b) is installed, the lifting device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반경은 적어도 상기 상부피니언(430)의 반경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The device of claim 5, wherein a radius of the carrier pinion (450) is at least two times the radius of the upper pinion (4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본체(23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로프끼움부(610)를 갖는 보조플레이트(590)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에 다수의 캐리어바(570)가 횡으로 형성되고, 하부 전방 말단에 걸림쇠(3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late 590 having at least one rope fitting portion 6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230, a plurality of carrier bars 570 on the upper inner surface sideways Is formed, the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350 is formed at the lower front e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에 스토퍼(330)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330)와 상기 걸림쇠(350)에 의해 상기 캐리어피니언(450)의 상기 제3 랙(250c)의 이탈시, 상기 캐리어본체(230)를 상기 상부슬라이딩부재(210)의 가이드레일(650)상의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topper 330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by the stopper 330 and the latch 350 to the carrier pinion 450 of the When the third rack (250c) is separated, the carrier carrier lifting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uide rail (650) of the upper sliding member (2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승강장치(100)를 차량의 루프상에 존재하는 상기 고정브래킷(130)에 고정·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A vehicular roof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device (100) of the vehicular roof carr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fixed and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130) existing on the roof of the vehicle.
KR1020050019506A 2005-03-09 2005-03-09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KR100619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06A KR100619564B1 (en) 2005-03-09 2005-03-09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06A KR100619564B1 (en) 2005-03-09 2005-03-09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564B1 true KR100619564B1 (en) 2006-09-01

Family

ID=3762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506A KR100619564B1 (en) 2005-03-09 2005-03-09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5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47B1 (en) 2015-09-22 2017-02-22 김민종 Roof carrier apparatus for car
CN108338093A (en) * 2017-01-25 2018-07-31 (株)泰进 Discharge mechanism with buffering effect
KR101943552B1 (en) * 2018-04-04 2019-01-29 이호준 Movable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19U (en) * 1997-10-23 1999-05-15 정몽규 Carryable Roof Carrier
JP2001301534A (en) 2000-04-20 2001-10-31 Comsys Net Kk Roof rack
US20040052622A1 (en) 2002-07-11 2004-03-18 As Fire & Rescue Equipment Ltd., A United Kingdom Limited Corporation Powered moveable stow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19U (en) * 1997-10-23 1999-05-15 정몽규 Carryable Roof Carrier
JP2001301534A (en) 2000-04-20 2001-10-31 Comsys Net Kk Roof rack
US20040052622A1 (en) 2002-07-11 2004-03-18 As Fire & Rescue Equipment Ltd., A United Kingdom Limited Corporation Powered moveable stow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47B1 (en) 2015-09-22 2017-02-22 김민종 Roof carrier apparatus for car
CN108338093A (en) * 2017-01-25 2018-07-31 (株)泰进 Discharge mechanism with buffering effect
KR101936718B1 (en) * 2017-01-25 2019-01-11 주식회사 태진 Unloading equipment has a buffer effect
KR101943552B1 (en) * 2018-04-04 2019-01-29 이호준 Movable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730B2 (en) Motorized loader rack for vehicle roof
CN211075739U (en) Vehicle luggage carrier assembly
KR100822261B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KR100619564B1 (en)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of roof carrier for vehicle and roof carrier thereby
JP5447989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CN213770588U (en) Mobile handling equipment
CN113802895A (en) Power down elevator
JP5161719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JP4408685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US11975689B2 (en) Equipment roof rack
JP5900843B2 (en) In-car lifting device
US11358509B2 (en) Automated cargo vehicle ramp deploy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2001180365A (en) Truck
JP2005289104A (en) Vehicular elevating device
JP4527262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JP4527263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CN112757959A (en) Battery replacement mechanical arm and battery replacement method
KR101232076B1 (en) 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2022007421A (en) Lifter device
JP4212454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JP4247677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KR200158661Y1 (en) Roof carrier for a car
CN212267354U (en) Full-bearing cargo fixing truss for passenger car
CN214422049U (en) Fixing device for connecting platform of elevator and goods shelf
CN217296438U (en) Lifting module and unloading and st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