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447B1 -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447B1
KR100619447B1 KR1020040063338A KR20040063338A KR100619447B1 KR 100619447 B1 KR100619447 B1 KR 100619447B1 KR 1020040063338 A KR1020040063338 A KR 1020040063338A KR 20040063338 A KR20040063338 A KR 20040063338A KR 100619447 B1 KR100619447 B1 KR 10061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concrete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697A (ko
Inventor
신성한
Original Assignee
신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한 filed Critical 신성한
Priority to KR102004006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4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판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벽을 구성함으로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거푸집을 분리하지 않고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과 천장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벽은 중심의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프레임 삽입홈에 삽입 설치된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마감재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은 천장의 중심에 묻혀진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바닥판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콘크리트에 일측 단부가 묻힌 고정볼트로 구성된다.
단열판, 골조, 콘크리트, 보강프레임

Description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A walls and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과 천장 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골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단열재의 시공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마감재의 시공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마감재 시공을 위한 마감재 고정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골조 111 : 가로골조
112 : 세로골조 120 : 콘크리트
130, 130' : 단열판 140, 140' : 세로 프레임
150, 150' : 가로 프레임 160, 160' : 마감재 고정프레임
161, 161', 162, 162' : 마감재 고정깃 170 : 외장판
171 : 마감재 고정구 170' : 내장판
180 : 고정볼트 181 : 단열판 지지구
182 : 고정너트 191, 192 : 코너바
193 : 문틀 194 : 창틀
210 : 골조 211 : 철근
220 : 콘크리트 230 : 단열판
240 : 보강프레임 250 : 골조지지앵글
251 : 골조 안착홈 260, 260' : 단열판 연결구
280 : 고정볼트 282 : 고정너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과 천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판을 거푸집용 판체로 사용하여 거푸집을 짜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거푸집용 판체로 사용된 단열판을 분리하지 않고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서 거푸집용 판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이 간편 함을 물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건축 자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 중의 하나가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만드는 과정이며, 이때 만들어진 거푸집은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소성된 후 분리하여야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과정에서 거푸집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이를 해체할 경우 콘크리트가 충분히 소성된 후에 해체하게 되면 콘크리트에 거푸집을 구성하는 판체가 부착되어 잘 분리되지 않음으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소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기 해체는 이후 그 위에 설치되는 지붕의 시공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벽의 강도가 약해지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본적인 벽체 및 천장의 시공이 이루어진 후 그 벽면 또는 지붕면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그 외면에 마감재를 시공해야 하므로 건축에 많은 자재와 시간 및 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열판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모 르타르를 타설한 후 그대로 벽의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푸집의 분해와 단열재의 재시공 과정을 단축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건물을 축조할 수 있게 한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과 천장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벽은 중심의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프레임 삽입홈에 삽입 설치된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마감재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은 천장의 중심에 묻혀진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바닥판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콘크리트에 일측 단부가 묻힌 고정볼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다수의 골조가 매설된 기초 위에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벽 시공 방법은
상기 기초에 매설된 골조와 연결되도록 다수의 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골조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골조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에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고정볼트에 단열판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골조에 설치된 고정볼트의 양단에 거푸집 대용의 단열판을 각각 설치하 되, 고정볼트가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 프레임 설치홈에 세로프레임을 삽입한 후 세로프레임과 단열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단열판 지지구에 단열판의 일측이 면접되도록 밀어 넣어 설치한 후, 고정너트를 조이는 단계와 ; 상기 고정볼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단열판 사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와 ;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소성된 후, 단열판의 외부에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가로프레임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가로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마감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및 ;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마감재 프레임에 마감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천장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벽의 내부에 다수의 지지대를 세우고 그 위에 단열판을 설치하되 서로 다른 단열판들 사이에 단열판 연결구를 설치하여 서로 다른 단열판이 연결되게 하는 단계와 ; 단열판을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 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보강프레임을 설치한 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보강 프레임에 의해 그 상부면이 지지되고 하부에는 지지대에 의해 받쳐지는 단열판의 상부에 다수의 골조를 종, 횡으로 배치하여 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골조가 설치된 단열판의 상부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 시공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벽과 천장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과 천장 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골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단열재의 시공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마감재의 시공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을 구성하는 마감재 시공을 위한 마감재 고정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벽과 천장은 거푸집용 판체 겸용 단열판(130, 130', 230)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벽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벽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거푸집 겸용 단열판(130, 130')을 구비하고 있다.
벽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벽의 중심에는 골조(110)가 설치되어 있고 골조를 감싸고 콘크리트(120)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120)층의 외부 즉, 건물의 내, 외부에는 각각 거푸집 겸용 단열판(130, 13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 단열판(130, 130')들의 외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단열판(130, 130') 중 건축물의 외부를 향한 면에 설치된 단열판(130')의 외면에는 외장판(170')이 설치되고 건축물의 내부를 향한 면에 설 치된 단열판(130)의 외면에는 내장판(1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골조(110)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골조(111)와 세로골조(112)가 서로 가로지르도록 엮어져 구성된다.
상기 가로골조(1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111)를 관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골조(111)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세로골조(112)가 삽입 설치되어 문살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 4에서는 가로골조(111)에 구멍을 형성하고 세로골조(112)가 상기 구멍을 관통되게 설치한 것을 하나의 일예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세로골조(112)에 횡으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관통하여 다수의 가로골조(111)를 설치하여 골조(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예가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로골조(111) 또는 세로골조(112)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각 구멍에 고정볼트(18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180)는 후술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판(130, 13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고정볼트(180)의 양 단부와 인접된 부분에는 각각 단열판 지지구(1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열판 지지구(181)는 후술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판(130, 130')들 사이 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볼트(180)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다른 것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판 지지구(181)는 두 개가 하나의 고정볼트(180)의 양단부로부터 삽입되어 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서 단열판(130, 1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들 두 단열판 지지구(181)들 사이의 거리가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단열판(130, 130')의 일측면 즉, 콘크리트(120)의 반대쪽을 향한 면에는 종 또는 횡으로 프레임 설치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설치홈(131)에는 가로 또는 세로 프레임(140, 140', 150, 15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들(140~150')은 단열판(130, 130')들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단열판들(130, 13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압력에 의해 단열판(130, 13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후 설명하는 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들(140~150')과 단열판(130, 130')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판(130, 130')에 형성된 프레임 삽입홈(131)에 세로프레임(140)을 끼우고 세로프레임(140)과 단열판(130, 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이 상기 골조(1100에 설치된 고정볼트(180)에 끼워지고 그 외부에 고정너트(182)가 조여져 단열판(130, 130') 및 세로프레임(140)이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세로프레임(140)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가로프레임(150)을 볼트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들(140~150')에 종 또는 횡으로 마감재 고정프레임(160, 160')을 설치한 후 마감재를 설치한다.
상기 마감재로는 건축물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내장판(170)과 외장판(17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도 6에는 가로 프레임(150)에 세로로 마감재 고정프레임(160)를 설치하고 여기에 외장판(170)을 설치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40)에 가로로 마감재 고정프레임(160)를 고정 설치한 후, 내장판(170')이나 외장판(170)을 설치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마감재인 외장판(170)의 일측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재고정구(1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재 고정프레임(160)은 판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한쌍의 걸림깃(161, 162)과 다른 한쌍의 걸림깃(161, 162')이 각각 형성되어 걸림깃들 사이에 판체 형상의 마감재 고정구(171)가 억지 끼움되게 구성되었다.
즉, 상기 마감재 고정프레임(160)은 도 7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04512633424-pat00001
"형상을 이루고 있어 걸림깃들(161~162')의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날카롭게 형성되어져 있어 그 사이에 끼워진 마감재 고정구(171)의 외면을 파고들어 마감재 고정구(171)가 마감재 고정프레임(16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상기 마감재 고정구(171)를 내장판(170')과 외장판(170)에 고정시키는 수단 은 고정나사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장판 또는 외장판은 이미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천장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천장의 구조는 상기한 벽의 구조와 유사하나 외면에는 외장판을 설치하지 않고 방수처리 함으로서 벽의 반쪽에 해당하는 구조와 유사하다.
즉, 천장의 구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층으로부터 하층을 향하며, 콘크리트(220) - 콘크리트에 매설된 골조(210) - 보강프레임(240) - 단열판(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용 골조(210)는 "ㄴ"형상으로 굽혀지고 향방으로 굽혀진 면에 다수의 철근 안착홈(251)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지지앵글(250)과, 상기 철근지지앵글(250)을 가로질러 설치되데, 상기 철근지지앵글(250)에 형성된 철근 안치홈(251)에 억지끼움된 다수의 철근(2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 골조(210)의 하부에는 거푸집 겸용 단열판(2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골조(210)와 단열판(230) 사이에는 보강프레임(2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천장 구성 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열판(230)은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수단으로 단열판 연결구(260, 260')이 사용된다.
상기 단열판 연결구(260, 260')은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04512633424-pat00002
"형상의 고정구를 서로 상하로 배치하여 중앙의 요홈부가 서로 대향되고 하고 두 개의 단열판 연결구(260, 260')글 사이의 양측에 각각 단열판(230)을 삽입한 구 고정볼트(280) 와 고정너트(282)로 고정시킴에 의해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단열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볼트(280)를 설치한 후 고정볼트(280)의 상단에 보강프레임(240)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단열판(230)들의 연결 부분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시공시에는 단열판(230)의 저면을 지지대로 받쳐 그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타설 압력에 의해 단열판(230)의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판(230)의 상부에는 상기하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철근지지앵글(250)이 설치되며, 상기 철근지지앵글(250)에 형성된 철근 안치홈(251)에 철근이 설치된다.
상기 철근지지앵글(2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판(230)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단열판 연결구(260, 260')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으나 천장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른 부분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천장을 구성하는 고정볼트(28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판(23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서 이후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판을 설치할 때 하나의 고정 수단이 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벽 및 청장의 시공 과정을 약술한다.
먼저 통상적인 건축물의 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건축물이 시공되는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 후, 기초를 설치하고 기초의 설치시 기초에 매설된 골조와 연결되도록 다수의 골조를 설치한다.
설치된 골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에 고정볼트를 삽입 하여 고정볼트의 중단이 골조의 중단에 위치되거 하고, 설치된 고정볼트에 단열판 지지구를 설치한다.
상기 골조에 설치된 고정볼트의 양단에 거푸집 대용의 단열판을 각각 설치하되, 고정볼트가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 프레임 설치홈에 세로프레임을 삽입한 후 세로프레임과 단열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단열판 지지구에 단열판의 일측이 면접되도록 밀어 넣어 설치한 후, 고정너트를 조인다.
상기 고정볼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단열판 사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소성되면, 단열판의 외부에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가로프레임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가로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마감재 프레임을 설치한다.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마감재 프레임에 마감재를 고정 설치함으로서 벽체의 시공이 완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마감재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장판과 외장판이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들은 이후 진행될 천장의 시공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 시공 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장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벽의 내부에 다수의 지지대를 세우고 그 위에 단열판을 설치하되, 서로 다른 단열판들 사이에 단열판 연결구를 설치하여 서로 다른 단열판이 연결되게 한다.
단열판을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상단에는 볼트 관 통 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보강프레임을 설치한 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고, 보강프레임의 위에 철근지지앵글을 고정시킨 후 철근지지앵글에 형성된 철근안치홈에 철근을 배선하여 골조를 설치한다.
상기 골조가 설치된 단열판의 상부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볼트의 상단과 보강프레임과 골조들이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굳혀진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천장의 아래 측 건축물의 내부면에 천장판을 설치하되 상기의 과정에서 고정볼트의 하단을 단열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한고 이 돌출된 고정볼트에 천장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지지앵글은 보강프레임이 설치되기 전에 단열판들 사이에 설치된 단열판 연결구에 먼저 고정시킨 후 그 일부를 절개하여 보강프레임이 상빙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한 후 보강프레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단열판은 경도 및 강도가 강한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함으로서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타설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과 천장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은 기존의 건축물의 시공 사용되는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 겸용 단열판을 사용하여 시공됨으로 거푸집을 회수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다양하게 변형,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벽과 천장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벽은 중심의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프레임 삽입홈에 삽입 설치된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마감재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은 천장의 중심에 묻혀진 골조와, 상기 골조가 묻혀진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시 바닥판의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가 소성된 상태에서는 단열재가 되는 단열판과, 상기 콘크리트에 일측 단부가 묻힌 고정볼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 구조.
  2.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다수의 골조가 매설된 기초 위에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벽 시공 방법은
    상기 기초에 매설된 골조와 연결되도록 다수의 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골조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골조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에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고정볼트에 단열판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골조에 설치된 고정볼트의 양단에 거푸집 대용의 단열판을 각각 설치하되, 고정볼트가 단열판에 형성된 세로 프레임 설치홈에 세로프레임을 삽입한 후 세로프레임과 단열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단열판 지지구에 단열판의 일측이 면접되도록 밀어 넣어 설치한 후, 고정너트를 조이는 단계와 ;
    상기 고정볼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단열판 사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와 ;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소성된 후, 단열판의 외부에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가로프레임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가로프레임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마감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마감재 프레임에 마감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천장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벽의 내부에 다수의 지지대를 세우고 그 위에 단열판을 설치하되 서로 다른 단열판들 사이에 단열판 연결구를 설치하여 서로 다른 단열판이 연결되게 하는 단계와 ;
    단열판을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 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보강프레임을 설치한 후 고정볼트를 조여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보강 프레임에 의해 그 상부면이 지지되고 하부에는 지지대에 의해 받쳐지는 단열판의 상부에 다수의 골조를 종, 횡으로 배치하여 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와 ;
    상기 골조가 설치된 단열판의 상부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 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상하로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가로골조와 ;
    상기 가로골조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골조가 엮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마감재 고정프레임을 향한 면에 판체 형상의 마감재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재 고정프레임은 판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한쌍의 걸림깃이 각각 형성되어 걸림깃 사이에 마감재고정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설치된 고정볼트는 그 하단이 단열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정볼트의 단부 에는 천장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을 구성하는 골조는 "ㄴ"형상으로 굽혀지고 향방으로 굽혀진 면에 다수의 철근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지지앵글과 ;
    상기 철근지지앵글을 가로질러 설치되데, 상기 철근지지앵글에 형성된 철근안치홈에 억지끼움된 다수의 철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열판은 고강도의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040063338A 2004-08-11 2004-08-11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61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38A KR100619447B1 (ko) 2004-08-11 2004-08-11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38A KR100619447B1 (ko) 2004-08-11 2004-08-11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97A KR20060014697A (ko) 2006-02-16
KR100619447B1 true KR100619447B1 (ko) 2006-09-19

Family

ID=3712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338A KR100619447B1 (ko) 2004-08-11 2004-08-11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4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97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978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panel wall structure
US20090218474A1 (en) Single faced insulated concrete form
US20150247317A1 (en) Tension Reinforcement for Concrete
CN104563288A (zh) 钢筋混凝土框格板预制装配式节能房屋
US8201380B2 (en) Reinforcing shape member for a wall and system for construction using same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CN112177203A (zh) 免拆双面叠合剪力墙板、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RU2440473C2 (ru) Вертикаль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швы
KR1009649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CN107313516B (zh) 蒸压加气混凝土墙板与钢梁连接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102079964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CN108018967B (zh) 一种新式建筑隔墙装配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19447B1 (ko) 건축물의 벽과 천장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214169553U (zh) 复合保温钢骨混凝土集成建筑结构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EP3486387B1 (en) Connecting kit for prefabricated panels and fastening method using such kit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2505922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1636407B1 (ko)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CN110284618B (zh) 一种保温墙施工方法
KR0152401B1 (ko) 거푸집 판넬 조립체
CN218952448U (zh) 一种纵肋空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