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056B1 -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056B1
KR100618056B1 KR1020040064578A KR20040064578A KR100618056B1 KR 100618056 B1 KR100618056 B1 KR 100618056B1 KR 1020040064578 A KR1020040064578 A KR 1020040064578A KR 20040064578 A KR20040064578 A KR 20040064578A KR 100618056 B1 KR100618056 B1 KR 10061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nit
fluid
tube assembly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210A (ko
Inventor
고동환
Original Assignee
동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0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staggered to form tortuous flui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튜브를 종래와 같이 원심원상으로 2열이 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체로 된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만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하여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위 히터는,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114)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는,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단위튜브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하여서 된 튜브 어셈블리와; 상기 다수개의 단위튜브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유체가 유입/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유입수단 및 유체 배출수단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단위튜브들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는 방열핀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방열핀을 통과하여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 흡입한 후 튜브 어셈블리의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위튜브, 환형, 히터, 방열핀, 모터, 팬, 유체

Description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A tube, and hea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튜브 및 환형 히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튜브와 방열핀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튜브와 방열핀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 및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와 방열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시선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시선 "B-B"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 및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위 히터에 설치된 유체 유입수단 및 유체 배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C-C"선의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D-D"선의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지시선 "A-A"선의 상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지시선 "F-F"선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브 어셈블리
pass : 내부 통로
110 : 단위튜브
111 : 제1 튜브형성부재
111a,111b : 제1 측면 접합부
112 : 제2 튜브형성부재
112a,112b : 제2 측면 접합부
114 : 구획수단
114a : 제1 구획 접합부
114b : 제2 구획 접합부
150 : 유체 유입수단
151 :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
152 : 유체 유입 파이프
153 : 유체 유입 파이프
160 : 공기 누출 방지플레이트
161 : 유체 이동방지 플레이트
170 : 유체 배출수단
171 :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
172 : 유체 배출 파이프
173 : 유체 배출 파이프
200 : 방열핀
300 : 구동모터
310,311,312 : 모터축
400 : 팬
410 : 프로펠러 팬
420 : 시로코팬
500 : 상부 하우징
510 : 상측 토출구
520 : 개폐 도어
600 : 하부 하우징
610 : 하측 토출구
본 발명은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튜브를 종래와 같이 원심원상으로 2열이 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체로 된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만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하여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는 동절기때, 실내를 난방하는 것과 실내의 유리창 흐림을 맑게 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종래 기술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체가 고리 형상으로 벤딩된 단위 튜브(11)들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와,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의 단위튜브(11)들 사이 마다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는 제1 방열핀(12)과, 개구된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체가 고리 형상으로 벤딩된 단위 튜브(21)들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와, 상기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의 단위튜브(21)들 사이 마다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는 제2 방열핀(22)과,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단위튜브(11)(21)의 일단에 결합 설치되는 제1 헤더탱크(30)와,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단위튜브(11)(21)의 타단에 결합 설치되는 제2 헤더탱크(40)와, 제1 헤더탱크(30)에 설치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인렛 파이프(31)와, 상기 제2 헤더탱크(40)에 설치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아웃렛 파이프(41)와, 상기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의 상부측에 설치됨과 아울 러 상측 토출구(51)를 갖는 상부 하우징(50)과,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상측 토출구(51)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52)와,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의 하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 토출구(61)를 갖는 하부 하우징(60)과,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측에 각각 상하부 모터축(71)(72)을 구비한 구동 모터(70)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모터축(71)에 고정되어 회전됨으로써 공기를 상기 상측 토출구(51)로 토출하는 프로펠러 팬(73)과, 상기 하부 하우징(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모터축(72)에 고정되어 회전됨으로써 공기를 상기 하측 토출구(61)로 토출되도록 하는 시로코팬(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가열된 유체(온수, 오일 등등)는 인렛 파이프(31)를 통해 유입된 후, 제1 헤더탱크(30)에 모인후, 제1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10)(20)를 구성하는 단위튜브(11)(21)로 분기된 다음, 이들 내부를 따라 유동되어 제2 헤더탱크(40)로 모인 후, 아웃렛 파이프(4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된 유체의 흐름과 동시에 구동모터(70)가 구동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구동모터(70)가 구동되면, 상하부 모터축(71)(72)가 회전되어 이에 결합된 프로펠러 팬(73)과 시로코팬(74)이 회전된다.
상기 프로펠러 팬(73)과 시로코팬(74)이 회전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화살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10)(20)를 구성 하는 제1, 제2 방열핀(12)(22)을 통해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의 내부로 강제 흡입된다.
상기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20)의 내부로 강제 흡입된 공기중의 일부는 프로펠러 팬(73)에 의해 상부 하우징(50)으로 유동되고, 나머지는 시로코팬(74)에 의해 하부 하우징(60)으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50)에 설치된 개폐 도어(52)에 의해 상부 토출구(51)가 폐쇄되어 있으면, 상기 공기의 대부분은 하부 하우징(60)의 하부 토출구(61)측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제1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10)(20)를 구성하는 단위튜브(11)(21)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가열된 유체와 열교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단위튜브(11)(21)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열된 유체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높은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상부 토출구(51) 또는 하부 토출구(61)측으로 토출되어 실내를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튜브(11)(21)가 직경이 서로 상이한 두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역시 두종류로 별도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해 금형 제작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 및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방열핀(12)(22)가 직경이 서로 상이한 두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역시 두종류로 별도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해 금형 제작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를 구성하는 제1 방열핀(12)과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제2 방열핀(2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틈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방열핀(22)을 통과한 후 제1 방열핀(12)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공기의 기류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통기 저항이 커짐에 따라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넷째, 종래 기술은 전술한 셋째 문제점으로 인해 공기가 통과할때 소음이 증대되어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다섯째,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의 제1 적층 튜브 어셈블리(10)와 바깥쪽의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가조립치구를 필요하다.
만약, 조립치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레이징노에서 브레이징하게 되면,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와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단위 튜브(11)(21)들의 위치가 흐트러진 상태로 브레이징 결합되어 결국에는 상하부 하우징(50)(60)과 정확한 조립이 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10)(20)가 설계된 상태로 조립되지 못하고 흐트러진 상태로 조립되면 열교환성능도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하중에 대한 강도적인 측면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제1 적층 튜브 어셈블리(10)와 바깥쪽의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균일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부품들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제2 적층튜브 어셈블리(20)의 외측면과, 제1 적층튜브 어셈블리(10)의 내측면과, 제1,2 적층튜브 어셈블리(10)(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등 3지점을 지지하는 복잡한 구조의 가조립치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단위튜브를 종래와 같이 원심원상으로 2열이 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체로 된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만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하여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이송용 튜브는,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는,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단위튜브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하여서 된 튜브 어셈블리와; 상기 다수개의 단위튜브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어 유체가 유입/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유입수단 및 유체 배출수단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단위튜브들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는 방열핀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방열핀을 통과하여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 흡입한 후 튜브 어셈블리의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단위 히터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 및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어셈블리와 방열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시선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시선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히터 및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위 히터에 설치된 유체 유입수단 및 유체 배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C-C"선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지시선 "D-D"선의 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방열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110)는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114)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단위 튜브를 이용한 환형히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의 주요 구성 요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어셈블리(100)와, 유체 유입수단(150) 및 유체 배출수단(170)과, 방열핀(200)과, 구동모터(300)와, 팬(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114)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단위튜브(110)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유체 유입수단(150) 및 유체 배출수단(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단위튜브(1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유체가 유입/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핀(200)은 도 15, 도 16,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20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20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코루게이트 핀을 사용한다.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팬(400)은 상기 구동모터(300)의 모터축(310)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방열핀(200)을 통과하여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 흡입한 후 튜브 어셈블리(100)의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부터는 상기에 언급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단위튜브(1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브형성부재(111)와, 제2 튜브형성부재(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튜브형성부재(11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튜브형성부재(11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와 겹쳐져 접합되는 제2 튜브형성부재(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튜브형성부재(111)(112)의 결합에 의해 내부통로(pass)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는 상기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와 겹쳐진 상태로 접촉되어 브레이징 용접되어 접합된다.
한편, 상기 단위튜브(110)의 구획수단(1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튜브형성부재(111)의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제1 구획 접합부(114a)와, 상기 제2 튜브형성부재(112)의 상기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어 상기 제1 구획 접합부(114a)에 접촉되는 제2 구획 접합부(11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구획 접합부(114a)(114b)에 의해 내부 통로(pass)가 구획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구획 접합부(114a)와 제2 구획 접합부(114b)는 서로 맞대응 접촉되어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튜브(110)를 구성하는 제1 튜브형성부재(111)와 제2 튜브형성부재(11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대응되어 접합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설명한 단위튜브(110)의 제1 실시예는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환형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단위튜브(110)의 양단은 개구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유체 유입수단(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110) 각각의 일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와, 상기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에 구비되는 유체 유입 파이프(1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체 배출수단(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110) 각각의 타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와, 상기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에 구비되는 유체 배출 파이프(17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단위튜브(110)를 상기와 같이 실시하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제2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는데,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환형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단위튜브(110)의 양단은 유체 이동방지 플레이트(161)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단위튜브(110)의 구성에서 상기 유체 유입수단(1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유체 유입파이프(1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배출수단(170)은, 상기 단위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된 유체 배출파이프(1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3a,173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파이프(153)와 유체 배출파이프(173)에 형성된 버링부로써, 단위튜브(100)가 끼워져 삽입될 때 안내하는 안내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열핀(2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단일개가 설치되도록 할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적어도 2줄 이상이 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구성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방열핀(200)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 이상이 되도록 복수개로 구성하게 되면, 또 13에 도시된 타입보다 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방열핀(200)으로 제작을 하게 되면, 방열핀(200)을 대략 환형으로 하게 되면 내경측의 간격이 조밀하게 되는 반면에 외경측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내경측에서 공기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열핀(200)을 복수개의 2줄 이상으로 하게 되면, 내경측의 간격이 조밀하게 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어 공기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두가지 타입의 방열핀(200)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임을 밝혀둔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도면중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와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 사이에는 이들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누출 방지플레이트(16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중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튜브(110)는, 튜브 자체가 완전히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유체 유입 파이프(153)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이동방지 플레이트(16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유체 이동방지 플레이트(161)를 설치함으로 인해 유체가 유체 유입 파이프(153)로 유입된 후 곧바로 유체 배출파이프(173)로 가지 않고 단위튜브(110)를 통해 열교환을 하면서 일주해서 유체 배출파이프(1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제까지 설명한 구성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상부측에 결합 설치되며, 상측 토출구(510)를 갖는 상부 하우징(500)과, 상기 상측 토출구(510)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520)와,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하부측에 결합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 토출구(610)를 갖는 하부 하우징(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기 모터축(310;311,312)이 양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팬(400)은 상기 모터축(311,312)중 상기 상부 하우징(500)측의 모터축(311)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팬(410)과, 상기 하부 하우징(600)측의 모터축(312)에 설치되는 시로코팬(420)으로 이루어진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작용 설명은 생략하고 신규한 부분에 대한 작용 설명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수단(150)을 구성하는 유체 유입파이프(152,153)내로 외부에서 가열된 유체(공기, 물, 기름)가 유입되면, 유체는 각각의 단위튜브(110)에 연결된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에 모인후, 단위튜브(110)내에서 구획수단(114)에 의해 다수 갈래로 갈라져 흐르게 된다.
이후, 구획수단(114)에 의해 다수 갈래로 갈라져 단위튜브(110)내를 흐른 유체는 유체 배출측 헤터탱크(171)내로 다시 모인후, 유체 배출 파이프(172)(173)를 통해 배출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단위튜브를 종래와 같이 원심원상으로 2열이 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체로 된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만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하여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형으로 된 튜브 어셈블리(100)의 내측과 외측의 2군데를 지지하는 가조립치구를 사용하여 가조립한 후, 브레이징노에서 단위 튜브(110)와 방열핀(200)을 브레이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의 가조립치구를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 통로가 적어도 2줄 이상으로 구획된 일체형의 단위튜브를 다수개 적층하여 튜브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때문에 방열핀과의 적층시 종래와 같이 흐트러짐이 발생되지 않고 부품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브레이징되어 품질이 좋은 환형 히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환형 히터의 구성중 단위튜브나, 방열핀등의 재질을 알루미늄(AL)으로 하여 중량을 가볍게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CU(구리)재질로 하는 것보다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형 히터에 따르면, 단위튜브를 종래와 같이 원심원상으로 2열이 되게 배치하지 않고 일체로 된 단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만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하여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114)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튜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를 구비하는 제1 튜브형성부재(111)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와 겹쳐져 접합되는 제2 튜브형성부재(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튜브형성부재(111)(112)의 결합에 의해 내부통로(pass)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의 구획수단(114)은,
    상기 제1 튜브형성부재(111)의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제1 구획 접합부(114a)와;
    상기 제2 튜브형성부재(112)의 상기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 사이에 길 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어 상기 제1 구획 접합부(114a)에 접촉되는 제2 구획 접합부(11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구획 접합부(114a)(114b)에 의해 내부 통로(pass)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4. 내부 통로(pass)를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수단(114)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 형상이 환형으로 벤딩된 단위튜브(110)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하여서 된 튜브 어셈블리(100)와;
    상기 다수개의 단위튜브(1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유체가 유입/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유입수단(150) 및 유체 배출수단(170)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브레이징 용접되는 방열핀(200)과;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구동모터(300)의 모터축(310)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방열핀(200)을 통과하여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 흡입한 후 튜브 어셈블리(100)의 상하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단위튜브(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를 구비하는 제1 튜브형성부재(111)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절곡된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와 겹쳐져 접합되는 제2 튜브형성부재(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튜브형성부재(111)(112)의 결합에 의해 내부통로(pass)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110)의 구획수단(114)은,
    상기 제1 튜브형성부재(111)의 상기 제1 측면 접합부(111a)(111b)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제1 구획 접합부(114a)와;
    상기 제2 튜브형성부재(112)의 상기 제2 측면 접합부(112a)(112b)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어 상기 제1 구획 접합부(114a)에 접촉되는 제2 구획 접합부(11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구획 접합부(114a)(114b)에 의해 내부 통로(pass)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110)는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환형 형상으로 벤딩 되며, 상기 단위튜브(110)의 양단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수단(150)은,
    상기 단위튜브(110) 각각의 일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와;
    상기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에 구비되는 유체 유입 파이프(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배출수단(170)은,
    상기 단위튜브(110) 각각의 타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와;
    상기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에 구비되는 유체 배출 파이프(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110)는 양단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환형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단위튜브(110)의 양단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0.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수단(150)은,
    상기 단위튜브(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유체 유입파이프(1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배출수단(170)은,
    상기 단위튜브의 타단부에 설치된 유체 배출파이프(1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00)은,
    상기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단일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200)은,
    상기 단위튜브(110)들 사이에 적어도 2줄 이상이 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측 헤더탱크(151)와 유체 배출측 헤더탱크(171) 사이에는 이들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누출 방지플레이트(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110)의 양단 폐쇄측 사이에는 이들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이동방지 플레이트(16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15. 제 4 항 내지 제 7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상부측에 결합 설치되며, 상측 토출구(510)를 갖는 상부 하우징(500)과;
    상기 상측 토출구(510)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520)와;
    상기 튜브 어셈블리(100)의 하부측에 결합 설치되며, 하측 토출구(61)를 갖는 하부 하우징(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기 모터축(310;311,312)이 양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팬(400)은 상기 모터축(311,312)중 상기 상부 하우징(500)측의 모터축(311)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팬(410)과, 상기 하부 하우징(600)측의 모터축(312)에 설치되는 시로코팬(4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히터.
KR1020040064578A 2004-08-17 2004-08-17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KR10061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78A KR100618056B1 (ko) 2004-08-17 2004-08-17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78A KR100618056B1 (ko) 2004-08-17 2004-08-17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210A KR20060016210A (ko) 2006-02-22
KR100618056B1 true KR100618056B1 (ko) 2006-08-30

Family

ID=3712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578A KR100618056B1 (ko) 2004-08-17 2004-08-17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0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3650U (ko) 1973-10-08 1975-06-10
JPS51137946A (en) 1975-05-26 1976-11-29 Toyo Radiator Kk Multi-layor rotary heat exchanger
JPS58193088A (ja) 1982-04-14 1983-11-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熱交換器
JPH10141872A (ja) 1996-11-12 1998-05-29 Shinko Pantec Co Ltd 冷却塔およびそのファンスタック
KR19980032039U (ko) * 1998-05-19 1998-08-17 권기태 오일을 이용한 원형 히터
JP2004190674A (ja) 2002-12-06 2004-07-08 Modine Mfg Co 燃焼用空気チャージャー用の内部取付半径流中間冷却器のためのタンク/マニホル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3650U (ko) 1973-10-08 1975-06-10
JPS51137946A (en) 1975-05-26 1976-11-29 Toyo Radiator Kk Multi-layor rotary heat exchanger
JPS58193088A (ja) 1982-04-14 1983-11-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熱交換器
JPH10141872A (ja) 1996-11-12 1998-05-29 Shinko Pantec Co Ltd 冷却塔およびそのファンスタック
KR19980032039U (ko) * 1998-05-19 1998-08-17 권기태 오일을 이용한 원형 히터
JP2004190674A (ja) 2002-12-06 2004-07-08 Modine Mfg Co 燃焼用空気チャージャー用の内部取付半径流中間冷却器のためのタンク/マニホ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210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17893A (ja) フィン付き低プロファイル熱交換器
EP0613546A1 (en) Full fin evaporator core
JP5420970B2 (ja) 熱交換器
JPH08114393A (ja) 積層型熱交換器
JP3947931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3774017B2 (ja) 熱交換器
JP2016200389A (ja) 迂回防止手段を備える熱交換器、油冷却システムおよび油冷却方法
KR100618056B1 (ko) 유체 이송용 단위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환형 히터
JP2001133187A (ja) 複式熱交換器
JP6111024B2 (ja) 熱交換器
KR101844296B1 (ko) 차량용 열교환기
JP2005147567A (ja) 2重管式熱交換器
KR101081968B1 (ko) 열교환기
JPWO2020004292A1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2016186254A (ja) 排気熱回収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89881A (ja) 積層型熱交換器
EP3236191A1 (en) Heat exchanger having improved manufacturability
JPH01291098A (ja) 熱交換器における出入口管の取付装置
JP4488871B2 (ja) 熱交換器
JP2007309541A (ja) 熱交換器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3937361B2 (ja) 複合型熱交換器
KR100630320B1 (ko) 적층형 열교환기 조립체
KR100647717B1 (ko) 알루미늄제 라디에이터의 헤더 탱크
KR0139994Y1 (ko) 열 교환기
JPH11142073A (ja) アルミニューム製オイルクーラ内蔵のラジエータ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