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814B1 -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814B1
KR100617814B1 KR1020050015132A KR20050015132A KR100617814B1 KR 100617814 B1 KR100617814 B1 KR 100617814B1 KR 1020050015132 A KR1020050015132 A KR 1020050015132A KR 20050015132 A KR20050015132 A KR 20050015132A KR 100617814 B1 KR100617814 B1 KR 10061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terminal
gprs
ser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814B1/ko
Priority to US11/343,359 priority patent/US7580414B2/en
Priority to EP06003531A priority patent/EP16966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814B1/ko
Priority to US12/414,311 priority patent/US800033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라 GPRS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가 수행되도록 하는 도중에 서비스 취소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더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럽형 GPRS/UM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Abnormal) 상황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서비스 취소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연결 절차를 바로 종료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비정상적인 상황은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예: WAP, MMS)를 사용하는 도중에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아 서비스 연결이 실패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절차(Routing Area Updating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파워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연결(Attach), GPRS

Description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METHOD TERMINATING OF ATTACH PROCEDURE I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략적인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가 도중에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가 연결되지 않는 도중에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PRS 연결 절차 완료 후 데이터 서비스가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타이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정상 종료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 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연결 절차도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로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존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서비스가 등장하였고, 더 많은 데이터와 더 빠른 속도의 필요성에 의하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라는 3세대 통신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와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Context Activation procedure)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연결 절차와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는 각각 서로 다른 모듈인 GMM(GPRS Mobility Management)과 SM(Session Management)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SM 단에서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해야 하지만, PDP 컨택스트 활성화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GPRS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GPRS 서비스를 등록해야한다.
따라서 단말이 GPRS 연결 절차를 단말의 파워 온(Power On)시 수행하였을 때는 데이터 서비스 시 PDP 콘택스트만 활성화시키면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 시 먼저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그 다음에 PDP 콘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연결 절차는 구현 방법에 따라 단말이 처음 파원 온 되었을 때 수행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절차를 단말의 파워 온 시 수행하도록 하였을 때는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였을 때 바로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콜 설정 시간(Call Setup time)을 줄일 수 있으며, PS(Packet Switched) 페이징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주기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Periodic Routing Area Updating)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라우팅 영역(Routing Area)가 바뀔 때에는 정상적인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Normal Routing Area Updating)을 해주어야 하므로, 단말은 이를 위해 파워를 더 소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네트워크상태가 일시적으로 안 좋아서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시 리젝트(Reject)를 줄 경우 그 내용이 UI(User Interface)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안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반면에 연결 절차를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 시에만 수행하게 하였을 때는 전술한 바와 반대의 장단점을 갖게 된다.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음성 통화와는 달리 페이징이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시작하는 MO(Mobile originated) PS Call을 주로 사용하고, MT(Mobile Terminated) PS Call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없음으로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연결 절차를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 시 에만 수행하도록 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했다가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가 끝나기 전에 데이터 서비스를 취소하면 SM 단에서는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중지(abort)시키지만, GMM 단에서 수행하는 연결 절차에 대해서는 중지시키지 않으며, 또한 이미 GPRS 연결(Attach)이 끝났을 경우 연결 해제 절차(Detach Procedure)를 진행하지 않는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했지만 네트워크 상태가 안좋거나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장소이기 때문에 단말의 연결 요청(Attach Request)에 대한 네트워크의 응답이 없을 경우, 사용자 측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기다리지 못한채 데이터 서비스를 취소한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가 취소된 상태에서도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시도된 GPRS 연결 절차는 프로토콜에 정의된 타이머와 시도 횟수(Attempt Counter)에 의해 계속적으로 시도되는 상태이므로, 단말이 안정된 망으로 진입했을 경우에 한해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GPRS 연결 절차를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에 수행하도록 하거나 파워 온 시 수행되도록 할 경우가 구분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연결 절차가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정상 종료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 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연결 절차도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GPRS 연결 절차 수행과 관련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중지하여 현재 진행중이던 GPRS 연결절차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이 지연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 재시도없이 현재 진행중이던 GPRS 연결절차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GPRS 연결 절차 완료 시 PDP 컨택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Context Activation Procedure) 수행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중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절차가 중지되면 연결 해제 절차(Detach Procedure)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라 GPRS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가 수행되도록 하는 도중에 서비스 취소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더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럽형 GPRS/UM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Abnormal) 상황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서비스 취소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진행중인 연결 절차를 바로 종료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비정상적인 상황은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예: WAP, MMS)를 사용하는 도중에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아 서비스 연결이 실패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절차(Routing Area Updating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파워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연결 절차 및 연결 해제 절차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이동성 관리 수행은 가입자가 전원을 켜면서 시작되는 연결(Attach) 절차에서부터 주기적인 위치 영역 갱신, 또는 라우팅 영역 변경에 따른 갱신 및 전원을 껐을 때 발생되는 연결 해제(Detach)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런 각각의 절차는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상태가 일치하여 발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즉, 연결 설정(Attach)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패킷 데이터 규약(PDP: Packet Data Protocol)을 생성하여 호를 발생시킬 수 없고, 연결 해제(Detach)된 상태에서는 다른 모든 서비스는 불가능하다. 또한, 연결 해제(Detach) 후에 새로운 연결 설정(Attach) 요구가 와야 정상이다. 연결 해제(Detach) 후에 서브 GPRS 지원 노드에 정보가 존재하지 말아야 하며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비정상 연결 해제(Detach) 나 미처 연결 해제(Detach)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 설정(Attach) 요구가 오면, 네트워크는 이전 호에 대한 처리가 마쳐지지 않은 상태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종료 시 단말기와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하게 GPRS 연결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략적인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 단말기(10)와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다수 개의 기지국(20), 다수 개의 기지국(20)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30) 및 그 기지국 제어장치(30)와 연결된 교환장치(40)로 이루어진 네트워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교환장치(40)는 서브 GPRS 지원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와 게이트웨이 GPRS 지원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와 네트워크(50)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최적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GPRS 연결 절차의 수행이 단말기가 전원 온 상태가 되면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할 경우에 시작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상태가 'Power On Attach'의 옵션이 해제(Disable)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 여기서, 'Power On Attach'의 옵션이란 GPRS 연결을 단말기의 전원을 처음 켰을 때 수행되게 할지 아니면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할 때에 수행되게 할지를 결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Power On Attach'의 옵션을 해제 상태로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할 때 GPRS 연결이 수행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라 GPRS 연결 절차가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시도 시에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GPR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종료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GPRS 연결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정상적인 종료 상황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예: WAP, MMS)를 사용하는 도중에 서비스 이용을 취소함으로써 발생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태 또는 무선 환경이 좋지 않아 서비스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도중에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취소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도중에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경우 현재 수행되고 있는 GPRS 연결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가 도중에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단말기(10)는 200단계에서 T3310 타이머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210단계에서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연결 설정 요구("Attach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50)로 보낸다. 여기서, T3310 타이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에 카운트를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전송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또는 연결 불허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 카운트를 종료한다. 그리고 T3310 타이머와 함께 T3311 타이머도 구동될 수 있는데, T3311 타이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불허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가 불허되는 경우에 카운트를 시작하며 라우팅 영역이 변경되는 시점에 카운트를 종료한다.
통상적으로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가 네트워크(50)로 전송되면 네트워크(50)는 220단계에서 T3350 타이머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230단계에서 전송된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허락("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기(10)쪽으로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50)는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통해 소정의 가입자 식별 과정을 수행한 후에 연결 허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50)에서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동작은 통상적인 경우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단말기(10)는 연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에 240단계에서 동작중이던 T3310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이 때, 네트워크(50)는 연결 허락 메시지에 가입자의 번호 유형을 나타내는 임시 번호인 임시 식별자(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실어보낸다.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250단계에서 임시 식별자가 새로 할당되면 연결 완료("Attach Complete") 메시지를 네트워크(50)로 보내고, 네트워크(50)에서는 연결 완료 메시지 수신과 동시에 260단계에서 T3350 타이머를 중지시키면서 GPRS 연결 절차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가 네트워크(50)쪽으로 전송되면 단말기(10)에서는 T3310 타이머가 구동되지만, 이러한 동작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를 시도했다가 도중에 종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와 네트워크(50) 간의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되기 이전에 S20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들어올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연결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데이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입력되면 즉시 240단계에서와 같이 T3310 타이머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 때, T3310 타이머 뿐만 아니라 T3311 타이머도 구동중인 상태이면 함께 중지시킨다. 이러한 타이머는 상기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에 대응하는 연결 허락 메시지(Attach Accept)를 수신한 시점에 상관없이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 시점에 카운트를 종료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연결 허락 메시지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T3310 타이머를 중지시키면서 GPRS 연결 절차를 종료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태 또는 열악한 무선 환경으로 인해 서비스가 연결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취소하는 경우 현재 수행되고 있는 GPRS 연결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가 연결되지 않는 도중에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300단계에서 T3310 타이머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310단계에서 연결 설정 요구("Attach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5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거나 단말기가 열악한 무선 환경에 위치할 경우 네트워크(50)는 320단계에서 연결 불허("Attach Reject") 메시지를 단말기(10)쪽으로 보낸다.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연결 불허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330단계에서 T3310 타이머 또는 T3311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결 불허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즉,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이 지연됨에 따라 S30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으면 단말기(10)는 즉시 330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불허 메시지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T3310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연결이 지연될지라도 연결 재시도를 하지 않아 더이상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되기 이전에 데이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했다가 정상적으로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를 취소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데이터 서비스를 취소하는 경우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PRS 연결 절차 완료 후 데이터 서비스가 취소되는 경우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와 같이 단말기(10)와 네트워크(50) 간의 GPRS 연결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기(10)와 네트워크(50) 간에는 GPRS 패킷 전송을 위한 PDP(Packet Data Protocol) 컨택스트 활성화(Context Activation) 과정이 시작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50)로 데이터 전송 중 PDP 컨택스트를 요청하는 메시지(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송한다. 그러면, 네트워크(50)는 단말기(10)로부터 PDP 컨택스트 활성화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인증된 사용자와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PDP 컨택스트 활성화를 요청한 단말기(10)에 한해 PDP 컨택스트 활성화를 허락하는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도면부호 S40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현재 PDP 컨택스트 활성화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으면 단말기(1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진행 중이던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중지 시킨다. 그리고 미처 연결 해제(Detach)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연결 설정(Attach) 요구가 입력됨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이전 호에 대한 처리가 마쳐지지 않은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결 해제 절차를 진행한다.
따라서, 단말기(10)는 430단계에서 연결 해제 요청 시점을 나타내는 T3321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440단계에서 연결 해제 요청("Detach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50)로 전송한다. 그러면 네트워크(50)는 연결 해제를 요청한 단말기(10)에게 연결 해제를 허락하는 연결 해제 허락("Detach Accep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연결 해제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460단계에서 T3321 타이머를 중지시킴으로써 연결 해제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해제(Detach)가 수행된 상태여야 정상적으로 새로운 연결 설정이 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에 사용자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불필요한 GPRS 연결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절차(Routing Area Updating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파워 소모를 줄일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GPRS 연결 절차 수행과 관련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중지하여 현재 진행중이던 GPRS 연결절차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에 카운트를 시작하고, 상기 전송에 대응하는 연결 허락 메시지(Attach Accept)를 수신한 시점에 상관없이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 시점에 카운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GPRS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연결 설정 요구 메시지(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이 지연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 재시도없이 현재 진행중이던 GPRS 연결절차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GPRS 연결 절차 수행과 관련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발생하면 연결 불허(Attach Reject) 메시지의 수신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구동중이던 타이머를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 지연은
    상기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거나 상기 단말기가 열악한 무선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의 종료 방법에 있어서,
    GPRS 연결 절차 완료 시 PDP 컨택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Context Activation Procedure) 수행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PDP 컨택스트 활성화 절차를 중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절차가 중지되면 연결 해제 절차(Detach Procedure)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절차(Detach Procedure)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 Detach Request)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연결 해제 허락 메시지(Detach Accept)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해제 허락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연결 해제 절차(Detach Procedure)를 종료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5132A 2005-02-23 2005-02-23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KR10061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132A KR100617814B1 (ko) 2005-02-23 2005-02-23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US11/343,359 US7580414B2 (en) 2005-02-23 2006-01-31 Method for terminating attach procedure in mobile terminal
EP06003531A EP1696681B1 (en) 2005-02-23 2006-02-21 Method for terminating an attach procedure in a mobile terminal
US12/414,311 US8000332B2 (en) 2005-02-23 2009-03-30 Method for terminating attach procedure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132A KR100617814B1 (ko) 2005-02-23 2005-02-23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814B1 true KR100617814B1 (ko) 2006-08-28

Family

ID=3611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132A KR100617814B1 (ko) 2005-02-23 2005-02-23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580414B2 (ko)
EP (1) EP1696681B1 (ko)
KR (1) KR100617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07B1 (ko) 2007-04-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212A1 (en) * 2006-01-19 2007-07-26 Nokia Corporation Mobility management with controlled use of new reject causes
US8023944B2 (en) * 2008-09-29 2011-09-20 Via Tele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ttach proced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35404B2 (en) * 2008-09-29 2012-03-13 Via Telecom,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handling attach proced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79731A1 (en) * 2009-05-01 2010-11-04 Puneet Jain Techniques for communications among access and core networks
US8582561B2 (en) * 2009-07-31 2013-11-1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P-TMSI ch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TWI470976B (zh) * 2010-11-04 2015-01-21 Htc Corp 計時器組態設定之方法
CN102625276B (zh) * 2011-01-28 2017-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激活终端的方法和系统
EP2501191B1 (en) 2011-03-14 2013-10-23 HTC Corporation Methods for handling reachability of a mobile device
CN102726074B (zh) * 2011-06-16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费实现方法、接入网设备和系统
CN102291853A (zh) * 2011-06-30 2011-12-21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设置有太阳能电池板的gprs通信终端
CN102917432A (zh) * 2011-08-05 2013-02-06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手机ps域网络连接管理装置及方法
US10237780B2 (en) 2015-04-02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llowing user equipment to detach from network entity
WO2018089442A2 (en) * 2016-11-09 2018-05-17 Intel IP Corporation Ue and devices for detach handling
CN106792815A (zh) * 2016-12-20 2017-05-3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数据加载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055B1 (en) * 1998-06-01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grated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interworking an ANSI-41 network and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FI106512B (fi) 1998-06-26 2001-02-15 Nokia Networks Oy Pakettikytkentäisten yhteyksien hallinta matkaviestinverkossa
FI105969B (fi) * 1998-08-10 2000-10-31 Nokia Networks Oy Palvelunlaadun hallinta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6907265B1 (en) * 1998-08-31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upply of instant GPRS to mobile phone manufacturers
FI107685B (fi) * 1998-11-19 2001-09-14 Nokia Networks Oy Palvelun toimittaminen
FI114768B (fi) * 1999-03-11 2004-12-15 Nokia Corp Parannettu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don siirtämiseksi pakettiradiopalvelussa
FI991597A (fi) * 1999-07-12 2001-01-13 Nokia Networks Oy Access-kontekstin hallinta makrotason liikkuvuudenhallintarekisteröinn in yhteydessä access-verkoissa
US6571095B1 (en) * 1999-12-30 2003-05-27 Nokia Internet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ress discovery of services in mobile networks
PT2139272E (pt) * 2000-10-13 2014-07-15 Sisvel Internat S A Método e sistema para conexão de um equipamento móvel a uma rede de comunicações sem fios
US6708031B2 (en) * 2000-12-05 2004-03-16 Nokia Corporation Session or handoff methods in wireless networks
SE518751C2 (sv) * 2001-01-03 2002-11-19 Microsoft Corp Metod och system där en extern server erhåller information om enskilda mobila terminalers radioöverföringskapacitet
FR2822320B1 (fr) * 2001-03-16 2003-07-04 Evolium Sas Procede pour le controle de session d'appel multimedia dans un systeme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NO20020667D0 (no) * 2002-02-11 2002-02-11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te for å unngå unödig okkupering av ressurser i pakkesvitsjede mobilnett
US7301918B2 (en) * 2002-04-18 2007-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xed cellular terminal with packet data transmission over analog interface
US20030214970A1 (en) * 2002-05-17 2003-11-20 Pimentel Roberto J.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capability to send information to a wireless device using hybrid network capability
US20040100940A1 (en) * 2002-11-27 2004-05-27 Nokia Corporation Enhanced PDP context management using radio parameter information elements added to messages
US6709031B1 (en) * 2002-12-03 2004-03-23 Alexander Michael Window and sliding glass door having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US7460862B2 (en) * 2003-01-29 2008-12-02 Nokia Corporation Solution for managing user equipment vers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7539186B2 (en) * 2003-03-31 2009-05-26 Motorola, Inc. Packet filtering for emergency service access in a packet dat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EP1623556B1 (en) * 2003-05-07 2008-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ndeliverable push IP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20050037753A1 (en) * 2003-08-12 2005-02-17 Andersen Niels Peter Skov Method for a communication device to search for an alternate network upon a registration failure
DE10355265A1 (de) * 2003-11-26 2005-06-23 Siemens Ag Verfahren zum Registrieren eines Kommunikationsgeräts, zugehöriges Kommunikationsgerät sowie Registrierungseinheit
US7346348B1 (en) * 2003-12-22 2008-03-18 At&T Mobility Ii, Llc Selective retry of attach and location update proced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07B1 (ko) 2007-04-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0414B2 (en) 2009-08-25
US20090190530A1 (en) 2009-07-30
EP1696681B1 (en) 2011-10-19
US20060187933A1 (en) 2006-08-24
EP1696681A1 (en) 2006-08-30
US8000332B2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814B1 (ko) 단말기에서 연결 절차의 종료 방법
EP1808041B1 (en)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communication procedure failure
KR100658650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서비스 접속에대한 처리 방법
KR101051189B1 (ko) 가입자 식별을 가진 무선 가입자 장치, 그 무선 가입자 장치에 대해 한정된 망 접속을 구축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망에서의 방법
KR100459126B1 (ko) 통신망의 세션 유지 제어 방법
CN1422500B (zh) 最佳分组资源管理的方法和装置
KR101033763B1 (ko) 이동국이 데이터 호출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음성 호출을허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MXPA05003788A (es) Transferencia en modo latente en una red de datos de paquete.
JP2002511671A (ja) パケット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性管理
WO2010133139A1 (zh) 一种短信网管的实现方法、系统和装置
WO2008065246A1 (en) Packet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2078014A (ja) 移動通信網加入者情報記憶装置およびこの記憶装置を具備する移動通信端末
CN1939001A (zh) 与分组交换通信有关的系统、装置和方法
WO2008110048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ermettant de sélectionner différents numéros de réserve pour effectuer des services par un terminal multimode
US7848754B2 (en)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606498B2 (en) State model for a wireless device
US960276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calls 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2199424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のメニュー表示設定方法
JP2005277911A (ja) 携帯電話パケット呼接続システム
JP200022464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700796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모드 변경 방법
KR100429289B1 (ko) 데이터 호 사용 중 음성 호 착신 방법
KR101103191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rab 설정 방법
KR100355296B1 (ko) 교환기간 핸드 오버시 통화중 대기 기능 처리방법
WO2013037212A1 (zh) 实现usat语音呼叫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