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505B1 -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505B1
KR100617505B1 KR1019990047743A KR19990047743A KR100617505B1 KR 100617505 B1 KR100617505 B1 KR 100617505B1 KR 1019990047743 A KR1019990047743 A KR 1019990047743A KR 19990047743 A KR19990047743 A KR 19990047743A KR 100617505 B1 KR100617505 B1 KR 10061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members
terminal block
surge protecto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355A (ko
Inventor
한스-디에터 비퍼스
브뤼스린세이 니콜스
Original Assignee
에이디씨 베타일리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씨 베타일리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에이디씨 베타일리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5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using spark-gap arr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2Telephone switchboard pro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기술을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플라스틱으로 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금속제 접촉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금속제 접촉부재는 쌍으로 배열되고 서지 방지기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부재의 체임버들내에서 스프링 아암들에 의해 각각 맞물리며 접촉 블레이드들로서 상기 하부부재 밖으로 돌출한다. 또한, 고전송률을 갖는 터미널 블록에 대해서 이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로부터 터미널 블록(1)의 내부로 향하고 있는 접촉 핑거들을 분리시키는 접촉 블레이드들(11)을 구비하는데, 이 접촉 블레이드들은 스프링 아암들(19)의 길이에 대략 2배인 길이를 가지며, 위로 굽혀짐으로써 자유단에서 재료두께(d)의 2배 이상으로 된다.

Description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Surge Arrester Mounting Unit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Systems Equipment}
도 1은 터미널 블록에 꽂히는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접촉부재들을 갖춘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하부부재의 정면도,
도 5는 접촉부재들 없이 도 4에 도시된 하부부재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접촉부재들을 포함한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접촉부재들을 갖춘 하부부재의 단면도,
도 8은 접촉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미널 블록, 2 ----- 하우징 하부부재,
3 ----- 하우징 상부부재, 4 -----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
5 ----- 지지벽, 6 ----- 접촉 핑거(finger),
7 ----- 스프링 접촉부, 8 ----- 단락점(break point),
9 ----- 플러그인 개구부, 10 -----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11 ----- 접촉 블레이드(blade), 12 ----- 연장부,
13 ----- 상부부재, 14 ----- 하부부재,
15 ----- 체임버(chamber), 16 ----- 횡단벽,
17 ----- 서지 방지기, 18 ----- 접촉부재,
19 ----- 스프링 아암(arm), 20 ----- 연결 돌출부,
21, 25 ----- 어깨부, 22 ----- 웨브(web),
23 ----- 끝 클립, 24 ----- 만곡부,
26 ----- 관통 개구부, 27 ----- 안내 웨브,
28 ----- 중앙 웨브, 29 ----- 기저부,
30 ----- 개구부, 31 ----- 벽,
32 ----- 돌출부, 33 ----- 안내 덕트.
본 발명은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플라스틱으로 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금속제 접촉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금속제 접촉부재는 쌍으로 배열되고 서지 방지기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부재의 체임버들내에서 스프링 아암들에 의해 각각 맞물리며 접촉 블 레이드들로서 상기 하부부재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서지방지기 장착장치는 이미 독일특허 DE 3014796 C3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이 장착장치에서는 하부부재의 밖으로 돌출하는 접촉 블레이드들이 터미널 블록의 접촉 스프링들에 맞물리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이미 독일 특허 DE 2725551 C2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각 케이스내의 2개의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는 접촉 스프링과 함께 단일부재를 형성하는데, 이 접촉 스프링은 터미널 블록의 꼭대기에 비교적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접촉 블레이드들이 그 안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독일특허 DE 4325952 C2호에는 이미 고전송률을 갖는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용 터미널 블록들이 기술되어 있는 바, 이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의 내부를 향하면서 플러그의 인쇄 회로기판과 같은 플러그텅(plug tongue)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접촉 핑거들을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 사이에 구비하고 있다. 고전송률을 위한 이러한 터미널 블록에 대한 과전압 방지책은 상기 독일특허 DE 3014796 C3호에 이미 기술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에 꽂음으로써 제공될 수는 없는데, 이는 상기 장착장치의 접촉 블레이드들이 고전송률을 위한 상기 터미널 블록의 접촉 핑거들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형태의 서지방지기 장착장치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고전송률을 위한 터미널 블록들의 과전압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의 내부로 향하고 있는 접촉 핑거들을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로부터 분리하는 접촉 블레이드들을 제공하며, 이 접촉 블레이드는 스프링 아암 길이의 거의 2배로 되며, 위로 굽혀짐으로써 자유단에서 재료 두께의 2배 이상으로 된다. 상기 접촉 블레이드들의 이 상당한 길이연장 및 현저한 두께변화는 인쇄 회로기판과 같은 플러그의 기능을 부여하는데, 이 플러그는 터미널 블록의 내부로 향하는 접촉 핑거들 사이에 맞물리고 접촉하는 동안 분리할 수 있어서, 고전송률용 터미널 블록을 위해 과전압 방지가 확실히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 블레이드들의 길이연장과 두께변화의 조합은 필수적인데, 이는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의 터미널 블록의 내부로 향하는 접촉 핑거들과의 확실한 접촉 및 분리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접촉 블레이드들을 안정시키고 그들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접촉 블레이드들은 대략 길이방향의 중심에 재료의 절단된 만곡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이하의 종속항들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의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의 하부에는 상기 독일특허 DE 4325952 C2호에 따른 고전송률의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터미널 블록(1)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고 있다. 이 터 미널 블록(1)은 각각 플라스틱으로 된 하우징 하부부재(2)와 하우징 상부부재(3)로 구성되고, 그 안에는 케이블 컨덕터들을 연결하는 2열의 짧은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이 끼워지는데, 인접한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쌍 사이의 거리는 1쌍내의 인접한 2개의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된다.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은 하우징 하부부재(2)의 지지벽들(5)에 지지되고, 터미널 블록(1)의 내부로 향하고서 비스듬하게 각진 접촉 핑거들(6)과, 이 핑거들(6)에 인접한 스프링 접촉부들(7)을 갖춤과 더불어 연장되는데, 상기 핑거들(6)과 접촉부들(7)은 그들 사이에 단락점(8)을 형성한다. 2열의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 사이에서, 터미널 블록(1)은 서지방지기 장착장치(10)의 접촉 블레이드들(11)을 위한 1열의 플러그인 개구부들(9)을 갖추는데, 이 개구부들(9)은 스프링 접촉부들(7) 사이의 접촉 연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10)는, 두 끝에 플라스틱으로 된 클립과 같은 연장부들(12)을 구비하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 블록(1)의 하우징 상부부재(3)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접촉 블레이드들(11)의 자유단들이 연장부들 위로 돌출한다.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10)는 각각 플라스틱으로 된 상부부재(13)와 하부부재(14)로 구성되며, 이 상부부재(13)는 걸쇠연결에 의해 하부부재(14)에 걸리게 된다. 상부부재(13)에는 서지 방지기들(17)이 삽입되는 횡단벽들(16)에 의해 구분된 10개의 체임버(15)가 있는데(도 1 참조), 각 체임버(15)에는 서지 방지기들(17)의 연결 돌출부들(20)과 접촉하는 체임버들(15)내로 돌출한 스프링 아암들(19)과, 하부부재(14)의 밖으로 돌출한 접촉 블레이드(11)로 구성되는 1쌍의 금속제 접촉부재들(18;도 8 참조)이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 아암들(19)은 각각 쌍으로 웨브(web;22)에 부착되어 자유단에서 V형상으로 굽혀지며 서로를 향하게 된다. 상기 접촉 블레이드(11)는 대략 90도로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웨브(22)로부터 돌출하고, 스프링 아암들(19)의 길이에 거의 2배가 되는 길이를 갖게 되며, 자유단에서 끝 클립(23)을 굽힘으로써 접촉 블레이드(11)의 재료두께(d)보다 2배 이상의 두께(D)로 두꺼워진다. 금속제의 각 접촉부재(18)는 쌍으로 배치되는 스프링 아암들(19)과 접촉 블레이드(11) 및 위로 굽혀진 끝 클립(23)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구부려진 형상의 돔형상부(24)는 어깨부(21) 아래쪽에 접촉 블레이드(11)의 대략 길이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데, 이 돔형상부는 접촉 블레이드(11)의 재료가 절단되어 상기 판형 어깨부(21) 위에서 구부려지면서 하부부재(14)에 끼워지는 접촉 블레이드(11)의 움직임을 잡게 되는 바, 이는 두꺼워진 끝 클립(23) 때문에 상기 접촉 블레이드(11)가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더 큰 단면을 갖춘 하부부재(14)의 기저부(29)를 통과하는 관통형 개구부(26)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배열되는 스프링 아암들(19)은 상부부재(13)가 끼워지는 하부부재(14)의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데, 이 스프링 아암들(19)은 상부부재(13)의 체임버들(15)내에서 각각 쌍으로 맞물린다. 더욱 긴 구조이면서 두꺼워진 끝 클립(23)을 구비한 접촉 블레이드들(11)은 측면의 클립들(12)에 평행한 하부부재(14)의 밖으로 돌출하며, 각각 180도로 회전된 후에 하부부재(14)의 기저부(29)에 꽂히는데, 이는 접촉 블레이드(11)의 두꺼워진 끝 클 립들(23)이 하부부재(14)의 두 세로면들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도 7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금속제 접촉부재들(18)은 하부부재(14)의 기저부에 평행한 웨브들(22)과, 하부부재(14)의 기저부에서 개구부들(26)을 관통하는 접촉 블레이드들(11)과 함께 하부부재(14)에 꽂히게 되는데, 개구부들의 단면(26)은 L형상이고(도 5 참조), 두꺼워진 끝 클립(23)에 맞춰지게 된다.
하부부재(14)의 아랫면에는, 옆으로 인접해 있는 클립들(23) 사이에 중앙의 안내 웨브들(27)이 있는데, 이 안내 웨브들(27)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각각 1쌍의 접촉 블레이드들(11)을 안내한다. 각 케이스내에서 2쌍의 접촉 블레이드들(11) 사이에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접촉 블레이드들(11)을 추가로 안내하는 중앙 웨브들(28)이 있다. 각 접촉 블레이드(11)의 절단된 만곡부(24)는 안내 웨브들(27)과 중앙 웨브들(28)로 형성된 안내 덕트(33)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접촉 블레이드(11)는 개구부(26)의 단면이 더 크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하부부재(14)에 완전히 장착된다. 상기 하부부재(14)의 기저부(29)는 접촉 블레이드들(11)의 1쌍당 2개의 큰 개구부들(30)과, 이 개구부들(30) 사이에 Z형상의 벽(31)을 갖추게 되어, 접촉 블레이드들(11)의 두꺼워진 끝 클립들(23)은 벽(31)의 돌출부들(32)의 각 측면에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들(26)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만곡부들(24)은 개구부(26)에 인접한 안내 덕트(33)에서 접촉 블레이드(11)의 위치를 확보하고,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를 향상시켜 고전송률을 위한 터미널 블록들의 과전압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플라스틱으로 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금속제 접촉부재들을 구비하되, 이 금속제 접촉부재들은 쌍으로 배열되고 서지 방지기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부부재의 체임버들내에서 스프링 아암들에 의해 맞물리며 접촉 블레이드들로서 하부부재의 밖으로 돌출하고,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로부터 터미널 블록(1)의 내부로 향하고 있는 접촉 핑거들을 분리시키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들(11)은 스프링 아암들(19)의 길이의 2배인 길이를 가지며, 위로 굽혀짐으로써 자유단에서 두께(D)가 재료두께(d)의 2배와 같거나 크게 되어 있는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블레이드들(11)은 길이방향의 중심에 재료가 절단된 만곡부(24)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14)의 기저부(29)에는 접촉 블레이드(11)의 두꺼워진 자유단(23)이 관통하도록 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26)를 갖추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11)는 만곡부(24)에 의해 상기 개구부(26)와 인접한 안내 덕트(33)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송률을 위한 터미널 블록(1)은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4)을 갖추되, 이 인접한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쌍들 사이의 거리는 1쌍내의 인접한 2개의 절연부 절단 접촉부재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됨과 더불어, 상기 터미널 블록(1)은 접촉 블레이드들(11)을 위한 중앙의 1열의 플러그인 개구부들(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KR1019990047743A 1999-01-12 1999-10-30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KR100617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0759.4 1999-01-12
DE19900759A DE19900759A1 (de) 1999-01-12 1999-01-12 Überspannungsableitermagazin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55A KR20000052355A (ko) 2000-08-25
KR100617505B1 true KR100617505B1 (ko) 2006-09-01

Family

ID=789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743A KR100617505B1 (ko) 1999-01-12 1999-10-30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54223B1 (ko)
EP (1) EP1020963A3 (ko)
JP (1) JP2000208191A (ko)
KR (1) KR100617505B1 (ko)
CN (1) CN1252869C (ko)
AU (1) AU761358B2 (ko)
BR (1) BR0000532A (ko)
DE (1) DE19900759A1 (ko)
HK (1) HK1029446A1 (ko)
TW (1) TW429658B (ko)
ZA (1) ZA200000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0935U1 (de) * 1999-11-29 2000-02-03 Quante Ag Überspannungsschutzmagazin
DE20203912U1 (de) * 2002-03-11 2003-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nschlußmodul der Telekommunikationstechnik und Kombination mit einem Anschlußmodul
EP1455417A1 (en) * 2003-03-03 2004-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nctional module for assembling in a telecommunication module and installing method of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DE102004046394B4 (de) * 2004-08-24 2007-03-01 Dehn + Söhne Gmbh + Co. Kg Steckbare Überspannungsschutz-Anordnung
DE102004061681B4 (de) 2004-12-22 2006-10-26 Adc Gmbh Kabel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7006693A1 (de) * 2007-02-12 2008-08-21 Adc Gmbh Überspannunsschutzmagazin
US8064182B2 (en) * 2007-02-28 2011-11-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Overvoltage protection plug
DE102007026097B4 (de) * 2007-06-05 2023-05-11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7026094B4 (de) * 2007-06-05 2023-05-11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7026096A1 (de) * 2007-06-05 2008-12-11 Adc Gmbh Aderanschlussmodul
DE102007026095A1 (de) * 2007-06-05 2008-12-11 Adc Gmbh Erdkamm, insbesondere für einen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DE102007026102B3 (de) * 2007-06-05 2008-11-13 Adc Gmbh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SG152076A1 (en) * 2007-10-12 2009-05-29 Adc Gmbh Cross connect block
US7946863B2 (en) * 2008-04-25 2011-05-24 Adc Telecommunications, Inc. Circuit protection block
US8411404B2 (en) * 2008-05-27 2013-04-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Overvoltage protection plug
JP5339133B2 (ja) * 2009-02-27 2013-11-13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Spd用端子台
DE102009010929A1 (de) * 2009-02-27 2010-09-09 Adc Gmbh Überspannungsschutzmagazin oder -steck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Überspannungsschutzmagazins oder -steckers
US11251608B2 (en) 2010-07-13 2022-02-15 Raycap S.A.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95106B2 (en) 2011-02-08 2015-03-31 Raycap, S.A.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12109162A (ja) * 2010-11-18 2012-06-07 Yazaki Corp 電子部品の接続構造
US9099860B2 (en) 2012-12-10 2015-08-04 Raycap Intellectual Property Ltd. Overvoltag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US9640986B2 (en) 2013-10-23 2017-05-02 Raycap Intellectual Property Ltd. Cable breakout assembly
US9575277B2 (en) 2015-01-15 2017-02-21 Raycap, S.A. Fiber optic cable breakout assembly
US9971119B2 (en) 2015-11-03 2018-05-15 Raycap Intellectual Property Ltd. Modular fiber optic cable splitter
US10802237B2 (en) 2015-11-03 2020-10-13 Raycap S.A. Fiber optic cable management system
US10812664B2 (en) 2017-01-20 2020-10-20 Raycap S.A.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971928B2 (en) 2018-08-28 2021-04-06 Raycap Ip Assets Ltd Integrated overvoltag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US11677164B2 (en) 2019-09-25 2023-06-13 Raycap Ip Assets Ltd Hybrid antenna distribution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857A (en) * 1977-06-07 1979-10-23 Krone Gmbh Cleat connector for insulated wires
DE3014796A1 (de) * 1980-04-17 1981-10-22 Krone Gmbh, 1000 Berlin Ueberspannungsableitervorrichtung fuer anschlussleisten der fernmeldetechnik
DE3921203A1 (de) * 1989-06-28 1991-01-10 Siemens Ag Schutzstecker fuer eine verteilerleiste in einer telekommunikation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08785B (de) * 1962-11-28 1966-01-13 Standard Elektrik Lorenz Ag Loetfahne von Steckkontaktfedern, insbesondere fuer Steckverbindungen bei gedruckten Schaltungen
DE3909783C2 (de) * 1989-03-22 1996-06-13 Krone Ag Schutzstecker für Anschlußleisten der Fernmelde- und Datentechnik
DE4325952C2 (de) * 1993-07-27 1997-02-13 Krone Ag Anschlußleiste für hohe Übertragungsraten i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857A (en) * 1977-06-07 1979-10-23 Krone Gmbh Cleat connector for insulated wires
DE3014796A1 (de) * 1980-04-17 1981-10-22 Krone Gmbh, 1000 Berlin Ueberspannungsableitervorrichtung fuer anschlussleisten der fernmeldetechnik
US4345294A (en) * 1980-04-17 1982-08-17 Krone Gmbh Overvoltage-arrester device for terminal- or junction blocks i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DE3921203A1 (de) * 1989-06-28 1991-01-10 Siemens Ag Schutzstecker fuer eine verteilerleiste in einer telekommunikationsanlag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P 4171857
USP 43452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54223B1 (en) 2003-11-25
CN1260607A (zh) 2000-07-19
AU761358B2 (en) 2003-06-05
DE19900759A1 (de) 2000-07-27
KR20000052355A (ko) 2000-08-25
BR0000532A (pt) 2000-09-19
EP1020963A3 (de) 2001-08-01
TW429658B (en) 2001-04-11
EP1020963A2 (de) 2000-07-19
ZA200000035B (en) 2001-07-10
JP2000208191A (ja) 2000-07-28
HK1029446A1 (en) 2001-03-30
CN1252869C (zh) 2006-04-19
DE19900759A9 (de) 2007-01-11
AU6316899A (en) 200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505B1 (ko) 통신 및 데이터 시스템 장비를 위한 서지방지기 장착장치
CA1200080A (en) Device for making a solderless, non-screwed and unstripped single contact or multiple contact at a terminal element
CA2126582C (en)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US5114356A (en) Connecting block for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ology
CA1232643A (en) Cross-connector for terminal blocks
US5110305A (en) Shroud device for electrical conductors
US7147492B2 (en) Terminal block
CA1223656A (en) Network interface device
EP0866519B1 (en) Electrical terminal
CA2008719C (en) Connector bank
KR870000778A (ko) 모듈형 분배 프레임
US5797756A (en) Grounding bracket particularly for use in a connecting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applications
IE63161B1 (en) Safety plug for switching or disconnecting rails
US20080305661A1 (en) Grounding comb, in particular for a plug-typ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CA1183919A (en)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block with wire wrap pin
US6994582B1 (en) Connector module
AU636378B2 (en) Distributor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6236778A (ja) ターミナルストリップを使用する接続装置
US7253358B2 (en) Earth device, plug-in breaker and distribution board
JP2871876B2 (ja) 電気通信網における分配器のための保護構成部材アセンブリ
JPS63313476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のケーブル対用の端子ユニット
KR100425783B1 (ko) 보호기 접지핀의 구조
JP3041880U (ja) 通信機器用保安器
WO2004059795A2 (en) Connector module
JPH10504947A (ja) 通信設備内の分配器のための接点構成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