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374B1 - 무한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무한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374B1
KR100617374B1 KR1020017000115A KR20017000115A KR100617374B1 KR 100617374 B1 KR100617374 B1 KR 100617374B1 KR 1020017000115 A KR1020017000115 A KR 1020017000115A KR 20017000115 A KR20017000115 A KR 20017000115A KR 100617374 B1 KR100617374 B1 KR 10061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ndless
members
slot
hour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741A (ko
Inventor
도르네캄프마틴
반덴하젤브란드
Original Assignee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filed Critical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7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Die Bond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제품(P)을 운반하기 위한 무한 컨베이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한 운반 부재(1, 2) 및, 운반 방향으로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다수의 횡방향 부재(3)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모래시계형 롤러(4)가 각 횡방향 부재(3)에 장착되고, 제1 경로부(A)에서의 연속적인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제2 경로부(B)에서보다 작으며, 제1 제어 기구(5a)가 주어져 있어, 제1 경로부(A)에서 제2 경로부(B)까지의 제1 전이부(O1)에서 상기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제2 제어 기구(5b)가 주어져 있어, 제2 경로부(B)에서 제1 경로부(A)까지의 제2 전이부(O2)에서 상기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며, 제2 경로부(B)의 적어도 한 부분(B1)에서 대칭적이며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는 운반되는 제품(P)을 지지하기 위하여 모래시계형 롤러(4)의 각 쌍 사이를 이동한다.
무한 운반 부재, 횡방향 부재, 모래시계형 롤러, 제어 기구, 경로부, 전이부, 지지 부재

Description

무한 컨베이어 {ENDLESS CONVEYOR}
본 발명은 대체로 대칭적이며 회전이 가능한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무한 컨베이어로서, 운반 방향과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extending) 적어도 하나의 무한 운반 부재와 다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래시계형 롤러는 각 횡방향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이 횡방향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모래시계형 롤러는 차례차례 순서대로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열(row)을 이루어 운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A4872564호에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도면 번호(1)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를 '롤러 컨베이어'라 부르고 있다. 제품들은 컨베이어의 연속해 있는 2개의 롤러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공간에 놓여짐으로써, 컨베이어의 각 롤러는 제품이 놓여지는 두 공간의 경계를 형성한다. 때로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롤러 위의 제품이 원활히 회전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예를 들면, 롤러 위의 제품에 대해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때이다. 예를 들면, 이런 방식으로 계란에 불빛을 비춰 및/또는 자동적으로 파손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제품이 각 롤러 위에 놓이기 때문에, 제품들의 하나가 오염되면 그 오염은 회전하는 롤러를 통하여 한 제품으로부터 다른 제품으로 전달된다. 실제로 '스미어링(smearing)'이라 부르는 이 현상은 결과적 으로 무한 컨베이어의 롤러를 신속하게 오염시키며, 컨베이어 위에 위치하는 제품들도 서로 간에 신속히 오염된다. 이것은 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미합중국 특허 A2296645호에 더블 롤러를 가지는 롤러 컨베이어가 공개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에는 각 롤러에 단 하나의 제품만 놓이기 때문에, 스미어링 문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이 장치의 단점은 운반되는 제품에 비해 롤러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야 된다는 점이다. 실제로 롤러의 직경이 커지면 제품이 놓이는 연속적인 공간 사이의 중심 거리는 특히 커진다. 이와 같이, 중심 거리가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제품들이 연속적으로 근접되어 공급되며, 따라서 무한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되기 위해서는 서로 조금 떨어져서 운반되야 하기 때문이다. 제품들이 서로 떨어져서 운반되기 위한 아무런 설비가 없기 때문에, 제품 상호 간의 거리가 갑자기 변화하면 제품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결국 단위 시간당 동일한 양의 제품이 이송되어야 하고, 또한 제품이 서로 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해야 한다면, 이것은 제품들 간의 제품들의 속도를 증가함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과 같은 특히 깨지기 쉬운 제품에 있어서 제품 속도의 갑작스런 증가는 바람직하지 않다. 제품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제품의 손실은 물론 컨베이어의 오염으로 이어진다.
미합중국 특허 A2296645호의 또다른 결점은 롤러가 장착되는 축의 길이가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롤러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축의 직경이 매우 가늘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은 그 위에 놓이는 제품 중량의 영향으로 휘어질 것이고, 이것은 특히 회전 롤러의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작동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미어링이 없는 컨베이어, 그리고 제품 이송의 갑작스런 속도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 무한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형식의 무한 컨베이어는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경로부(first pass part)의 연속적인 횡방향 부재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제2 경로부의 그것보다 작으며, 또한 제1 제어 기구가 주어져 있어 제1 경로부로부터 제2 경로부로 옮겨 가는 제1 전이부(移行部)에서 횡방향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제2 제어 기구는 제2 경로부로부터 제1 경로부로 옮겨 가는 제2 전이부에서 횡방향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데, 제2 경로부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운반 방향에서 볼 때, 제1 전이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부재는 운반되는 제품들을 지지하기 위해 연속적인 모래시계형 롤러의 각 쌍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무한 컨베이어는, 제1 경로부에 있는 제품들이 서로 공간적으로 약간만 떨어져 있어, 즉 그 위치에서 연속하는 횡방향 부재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제2 경로부에서보다 작다는 이점이 있다. 무한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놓여 있는 제품들은 제1 경로부에 수용된다. 이 제1 경로부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모래시계형 롤러에 의해 제품들이 지지된다. 이어서 제1 전이부에서 모래시계형 롤러들 사이의 거리가 제2 제어 기구에 의해 증가된다. 동시에 지지 부재는, 운반되는 제품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모래시계형 롤러의 각 쌍 사이에서 이동된다. 그러므로 제1 전이부를 통과한 후, 운반되는 제품들은 모래시계형 롤러 및 지지 부재 위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스미어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한 컨베이어는 제2 경로부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한 부분에, 모래시계형 롤러 또는 모래시계형 롤러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 구동이 가능하고, 한편 제1 경로부에서는 모래시계형 롤러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제1 경로부에서는 스미어링이 일어나지 않으며, 각 모래시계형 롤러는 두 개의 제품을 지지하는데, 그 이유는 모래시계형 롤러가 여기에서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래시계형 롤러는 제2 경로부에서만 회전한다. 그러나 제2 경로부에서 각 모래시계형 롤러는 하나의 제품하고만 접촉되며, 제품들 상호 간에 스미어링이 일어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형태의 제품의 최소 크기의 것이 연속하는 두 개의 모래시계형 롤러 위에 놓일 수 있을 정도로, 제1 경로부의 모래시계형 롤러들 사이의 거리가 작고, 한편 특정 형태의 제품의 최대 크기의 것이, 연속하는 두 개의 모래시계형 롤러를 지나 통과할 수 있을만큼, 제2 경로부의 모래시계형 롤러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것이다.
더욱 상세한 것은 청구범위의 종속항에서 설명되며, 이후는 실시예를 근거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념적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컨베이어의 개념적 측면도;
도 3은 제1 단계에서 제1 경로부 및 제1 및 제2 전이부의 개념적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제2 및 제3 단계에서의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세부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세부 우측면도;
도 8은 제2 경로부 아래의 수집 기구 위치에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 컨베이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전이부의 부분적 및 개념적 평면도;
도 10은 도 9 평면도의 세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 컨베이어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념적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제1 전이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 평면도의 세부 측면도;
도 15는 각각 무한 컨베이어(101)의 링크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6은 각각 제1 제어 체인의 링크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 및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한 켠베이어의 제2 제어 체인의 링크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대체로 대칭적이며 회전 가능한 제품(P), 특히 계란(P)을 운반하기 위한 무한 컨베이어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무한 컨베이어는 계란(P)의 분류 및 포장 장치의 피드-인(feed-in) 부분으로부터 나오는 전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놓여 있는 계란(P)이 무한 컨베이어로 이송된다. 무한 컨베이어의 주기능은 계란(P)들 사이의 상호 거리를 증가하는 것이며, 이 거리의 증가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무한 컨베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무한 운반 부재(1, 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는 두 개의 무한 운반 부재(1, 2)가 주어진다. 또한 운반 방향과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횡방향 부재(3)가 주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두 개의 무한 운반 부재(1, 2)들을 서로 연결하는 축(3)으로 설계되어 있다. 무한 컨베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래시계형 롤러(4)가 각 횡방향 부재(3)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여섯 개의 모래시계형 롤러(4)가 각 횡방향 부재(3)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횡방향 부재(3)에 장착된 모래시계형 롤러(4)는 차례로 나란히 배열되어 여섯 개의 열(R1-R6)을 이루며, 이 열(R1-R6)은 운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경로부(A)의 연속하는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제2 경로부(B1-B4)에서보다 작다. 본 발명의 경우, 무한 컨베이어의 실제 운반부는 경로부(A), 경로부(B1-B4)의 일부(B1) 및 전이부(O1)에 의해 형성된다. 제2 경로부(B1-B4)의 다른 부분(B2-B4)은 복귀 경로(B2-B4)를 형성하며, 그것을 따라, 횡방향 부재(3)는 무한 컨베이어의 입구측에서 다시 이동하기 위해 움직인다. 무한 컨베이어는 제1 제어 기구(5a)를 포함하며, 이 제어 기구는 제1 경로부(A)로부터 제2 경로부(B)까지의 제1 전이부(O1)의 위치에서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의 증가를 실행한다. 또한 제2 경로부(B1-B4)로부터 제1 경로부(A)까지의 제2 전이부(O2)의 위치에서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의 감소를 실행한다. 제2 경로부(B1-B4)의 적어도 한 부분(B1)에서, 이 부분(B1)은 제1 전이부로부터 연장되며, 대칭적이며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는 운반되는 계란(P)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하는 각 모래시계형 롤러(4)의 쌍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가이드(14)가 각 열(R1-R6)에 배열되어 있다. 이 가이드는 제1 전이부(O1)에서 곡선부 경로(20, curve path)를 포함하는데, 지지 부재(6)는 점차적으로 이 곡선부을 따라 위로 선회한다.
특히 계란(P)이 파손 또는 피자욱에 대한 검사를 거쳐야 한다면, 운반 동안 계란이 회전되면 유리하다. 이 회전은 모래시계형 롤러(4)의 오염의 스미어링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제2 경로부(B1-B4)의 상기 부분(B1)의 적어도 일부(C)에서, 모래시계형 롤러(4) 또는 모래시계형 롤러(4)들 사이에서 이동된 대칭적이며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 중 어느 한 쪽이 회전 구동 가능하고, 한편, 제1 경로부(A)에서 모래시계형 롤러(4)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결론적으로 계란은 그것들이 모래시계형 롤러(4) 및 지지 부재(6) 위에 있을 때만 회전된다. 따라서, 오염된 계란(P)의 회전은 단 하나의 모래시계형 롤러(4) 및 지지 부재만 오염시키며 다른 모래시계형 롤러(4)에 대한 오염의 스미어링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어랙(16)이 주어진 경로(C)에서 회전이 실행된다. 각 횡방향 부재(3)는 경로(C)에서 기어랙(16)과 협력하는 기어(17)을 포함한다. 이 협력을 통해 관련 횡방향 부재(3) 및 모래시계형 롤러(4)가 그것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경로부(A)에서 모래시계형 롤러(4) 사이의 거리는 34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계란이 그 위에 얹히도록 설정된다. 제2 경로부(B1-B4)에서 모래시계형 롤러(4) 사이의 거리는 52mm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계란이 롤러들 사이로 떨어지도록 설정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경로부(A)에서는 가장 작은 계란일지라도 모래시계형 롤러(4) 사이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반면에 제2 경로부(B1-B4)에서는 가장 큰 계란일지라도, 그것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6)가 일시적으로 선회해버리면, 두 개의 연속하는 모래시계형 롤러(4) 사이로 떨어질 수 있다.
무한 컨베이어의 제1 제어 기구(5a)는 제어 슬롯(8)을 구비한 다수의 제어 부재(7)들을 포함하며, 이 제어 슬롯(8)은 각각 슬롯 바닥부 및 대향하는 개구된 자유단(free end)을 가지며, 각각은 슬롯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제어 슬롯(8)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제어 부재(7)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횡방향 부재(3)와도 대체로 직각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제1 전이부(O1)에서 제1 제어 부재(7)는 제1 곡선부(9)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각 횡방향 부재(3) 또는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부품은, 관련 제어 슬롯(8)의 슬롯 바닥부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슬롯(8)을 떠나 제1 전이부 속으로 통과한다. 이 분리 운동 동안,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증가한다. 제2 제어 기구(5b)는 마찬가지로 제어 슬롯(8)을 가지는 다수의 제어 부재(7)를 포함하는데, 이 제어 슬롯(8)은 각각 슬롯 바닥부 및 대향하는 개구된 자유단을 가지며, 각각은 슬롯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정의한다. 제2 제어 기구(5b)에서 각 제어 슬롯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마찬가지로 제어 부재(7)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횡방향 부재(3)와 대체로 직각이다. 제2 제어 기구에서도 역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제2 전이부(O2)에서 제어 부재(7)는 제2 곡선부(10)을 추종하며, 따라서 각 횡방향 부재(3) 또는 그것과 연결되는 부품은 관련 제어 슬롯(8)의 개방단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슬롯(8)으로 진입하여 제2 전이부(O2) 속으로 통과한다. 한편, 이 진입 운동 동안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감소한다. 운반 부재(1, 2)가 운반 체인으로 설계되어 있으면,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의 감소가 생길 수 있는데 여기서는 체인의 링크가 서로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거리의 감소는 다른식으로도 가능함이 쉽게 이해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횡방향 부재(3)가 무한 운반 부재(1, 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제어 기구(5a, 5b)는 각각 일체 구조의 단일 제어 기구(5)로 설계되어 있으며, 단일한 무한 제어 운반 부재(11)에 장착된 제어 부재(7)는 각각 제1 및 제2 곡선부(9 및 10)을 지나 이동한다. 횡방향 부재(3)가 중심을 벗어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한 컨베이어에는 두 개의 제어 기구(5, 5')가 주어져 있으며, 이것들은 운반면(conveying face)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은 제1 및 제2 곡선부(9, 10)를 각각 추종하고 있다. 두 개의 단일 제어 기구(5, 5') 대신에 네 개의 독립적 제어 기구(5a, 5b, 5a', 5b')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어 부재(7)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에 장착될 수 있으며, 관련 디스크들의 원주가 각각 제1 및 제2 곡선부(9, 10)을 정의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암(12, 13)을 경유하여 선행하는 횡방향 부재(3)에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선회암(12, 13)이 제2 지지 부재(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굽힘부(21a)를 가지는 봉으로 설계된 이 제2 지지 부재(21)는 모래시계형 롤러(4)와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들 사이에 매우 작은 계란들이 수직 위치를 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래시계형 롤러(4)에 대해 지지 부재(6)들의 위치를 정의하는 가이드웨이(14)가 주어져 있다. 각 가이드웨이(14)에는 부품(15)이 주어져 있는데, 이것은 바깥쪽으로 선회될 수 있고 그 위치가 제어 가능함으로써, 모래시계형 롤러(4) 및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 위에 놓인 계란(P)는, 원하는 바에 따라 배출 또는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가이드웨이(14)의 선회 부품(15)의 위치는 관련 선회 부품(15)과 결합된 액추에이터(18; 도 1 및 2)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모래시계형 롤러(4)의 각 열(R1-R6) 아래, 가이드웨이(14)의 선회 부품(15)의 위치에는 수납 기구가 배치되어야 하며, 이 수납 기구에 의해 무한 컨베이어로부터 제거된 제품들이 방출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간단한 트레이(19; tray)가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모래시계형 롤러(4)의 각 열(R1-R6) 아래, 가이드웨이(14)의 선회 부품(15)의 위치에, 제거된 계란(P)들을 방출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수납 케이지(22; cage)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러한 회전 가능한 수납 케이지(22)의 작동을 보여준다. 케이지(22)는 축(24)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가능한 일종의 블레이드휠(23)을 포함한다. 블레이드휠(23)의 외측 원주의 일부 둘레로 가이드 섹션(25)이 연장된다. 블레이드휠(23)의 회전은, 제거된 계란이 가이드 섹션을 따라 안내되어 방출로(26)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블레이드휠(23)은 세(細)분할을 제공하는 다수의 간막이 또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이것들이 모래시계형 롤러의 각 열 아래에서, 그곳으로 제거되는 계란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케이지(22)를 형성한다.
도 3-5에는 무한 컨베이어의 작동을 다른 조건에서 도시하고 있다. 제1 전이부(O1)에서 횡방향 부재(3)가 제어 슬롯 바닥부으로부터 제어 슬롯의 개구된 자유단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3-5에서 제1 곡선부(9)을 지나 이동되는 제어 부재(7)의 제어 슬롯에 대한, 횡방향 부재(3)에 의해 연속적으로 설정되는 여러가지 다른 위치들이 도면 번호(3a, 3b, 3c, 3d, 3e 및 3f)로 표시되어 있다.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분명하다. 도면 번호 (3g, 3h, 3i, 3j, 3k 및 3l)는, 제2 곡선부(10)을 지나 이동되는 제어 부재(7)의 제어 슬롯(8)에 대한 횡방향 부재(3)들의 연속적인 위치들을 가리킨다. 여기서 또한, 관련 횡방향 부재(3)가 제어 슬롯(8)의 개구된 자유단으로부터 슬롯 바닥부 쪽으로 점차적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감소되는 것은 분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 컨베이어의 제1 전이부(O1) 위치에서, 제2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같은 위치에서 도 9의 측면도이다. 도면 번호들은 대응하는 도면 번호를 가진 도 1-8의 부품들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들을 가리킨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제어 기구(5)가 두 개의 무한 제어 운반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각각은 제어 부재(7)를 가지고 있다. 이들 제어 운반 부재(11)는 운반면의 대향하는 측면이 아니라 운반면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운반면의 역할은 전체 시스템의 폭이 이 운반면의 폭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이다. 제어 기구(5)가 운반면 아래 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어 기구(5)의 폭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폭이 추가로 증가되지는 않는다. 제어 부재(7)는 무한 운반 부재(1, 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부재(3)의 연장부가 아니라 횡방향 부재(3)와 직접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는 이 무한 컨베이어의 전체 폭이 상당히 제한을 받는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1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 컨베이어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모래시계형 롤러(104)가 장착된 횡방향 부재(103)를 가지고 있는 무한 운반 부재(101)는, 제어 슬롯(108)을 가진 체인 링크(114)를 갖추고 있다. 무한 컨베이어에 의해 정의되는 운반면의 대향하는 측면에 제1 경로부(A1-A3)가 위치하고, 제1 무한 제어 부재(105)는 제어 슬롯(108)과의 결합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제어캠(109)을 갖추고 있다. 제어캠(109)은 제어 부재(105)의 일부를 형성하는 체인 링크(115)에 배치되어 있다. 캠(109)은 무한 제어 부재(105)와는 이격되어 있고, 제1 경로부(A1-A3)의 모래시계형 롤러(4)들 사이의 거리가, 직경이 34mm가 넘는 계란은 그 위에 계속 남아 있을 정도가 된다. 또한 무한 컨베이어는 제어캠(110, 111)을 가진 두 개의 제2 무한 제어 부재(106)를 포함하는데, 이 제어캠은 제어 슬롯(108)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2 제어 부재(106)는 무한 컨베이어의 제2 경로부(B1-B3)의 위치에서, 무한 운반 부재(101, 102)를 따라 운반면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무한 제어 부재(106)는 크로스바(1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크로스바에 지지 부재(107)가 장착된다. 제1 전이부(O1)에서 캠(110)은 무한 운반 부재(101, 102)의 제어 슬롯(108) 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무한 운반 부재(101, 102)의 체인 링크(114)는 이탈되어, 모래시계형 롤러(104) 사이의 상호 거리가 증가한다. 이 증가는 직경 52mm의 계란이 모래시계형 롤러(104) 사이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를 위해, 제어 부재(106)를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바(112) 위에 지지 부재(107)가 장착되며, 이 지지 부재는 제1 전이부(O1)에서 횡방향 부재(3)들 사이로 이동된다. 이런식으로, 제품(P)들은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없이 모래시계형 롤러(4)의 상호 거리가 작은 곳으로부터 큰 곳으로 점차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 경로부(B1)의 각 모래시계형 롤러(104) 위에는 단 하나의 제품만이 놓이며, 따라서 롤러(104)의 회전 동안 제품들 사이에 스미어링이 일어나지 발생하지 않는다. 제2 전이부(O2)에서, 캠(111)은 무한 운반 부재(101, 102)의 체인 링크(114)를 하나씩 밀며, 이에 따라, 제1 무한 제어 부재(105)의 제어 캠(109)이 쉽게 제어 슬롯(108)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상호 거리를 다시 유지하게 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의 제1 전이부(O1)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동일 부분의 측면도이다. 제1 캠(110) 및 제2 캠(111)은 둘다 무한 운반 부재(101, 102)의 체인 링크(114; 도 16에 도시됨)의 제어 슬롯(108)과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제1 제어 부재(105)의 체인 링크(115)는 도 17에 구체적으로 도시되며, 마찬가지로, 측면도는 물론 평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캠(109)의 모양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제3 실시예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관련 무한 컨베이어의 제조비 관점에서 특히 이점이 있음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4)

  1. 대체로 대칭적이며 회전 가능한 제품(P)을 운반하기 위한 무한 컨베이어로서,
    무한 운반 부재(1, 2; 101, 102) 및 운반 방향과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는(extending) 다수의 횡방향 부재(3; 103)를 포함하며,
    상기의 무한 컨베이어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모래시계형 롤러(4; 104)가 각 횡방향 부재(3; 103)에 장착되는데, 상기 횡방향 부재(3; 103)에 장착된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4; 104)는 차례로 나란히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열(row)(R1-R6)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고, 상기 열(R1-R6)은 운반 방향(T)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 경로부(A)에서, 연속되는 상기 횡방향 부재(3; 103) 사이의 상호 거리는 제2 경로부(B1-B4)에서보다 작고,
    제1 제어 기구(5a; 105)가 주어져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 경로부(A)에서 상기 제2 경로부(B)까지의 제1 전이부(O1)에서 상기 횡방향 부재(3; 103)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며, 제2 제어 기구((5b; 106)는 상기 제2 경로부(B)에서 상기 제1 경로부(A)까지의 제2 전이부(O2)에서 상기 횡방향 부재(3; 103)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경로부(B1-B4)의 한 부분(B1)은 운반 방향(T)에서 볼 때, 상기 제1 전이부(O1)로부터 연장되며, 운반되는 제품(P)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6; 107)가 연속하는 모래시계형 롤러(4)의 각 쌍 사이를 이동하는
    무한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B1-B4)의 상기 부분(B1)의 한 부분(C)에서는 모래시계형 롤러(4; 104) 또는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4; 104)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 구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경로부(A)에서는 모래시계형 롤러(4)가 회전하지 않는
    무한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A)에서의 모래시계형 롤러(4; 104) 사이의 거리는, 운반되는 제품 중 최소 크기의 것이 두 개의 연속하는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좁으며, 상기 제2 경로부에서의 모래시계형 롤러 사이의 거리는, 운반되는 제품 중 최대 크기의 것이 두 개의 연속하는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 사이를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무한 컨베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부(A)에서의 연속하는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4; 104) 사이의 거리는 약 34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계란이 상기 롤러(4; 104)들 사이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이며, 상기 제2 경로부(B)에서의 상기 모래시계형 롤러(4; 104) 사이의 거리는 약 52mm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계란이 상기 롤러(4; 104)들 사이로 떨어질 정도인
    무한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기구(5a)가 제어 슬롯(8)을 가진 다수의 제어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슬롯(8)은 각각 슬롯 바닥부 및 대향하는 개구된 자유단을 가지며 이 바닥부와 개구된 자유단은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전이부(O1)에서 상기 제어 부재(7)는 제1 곡선부(9)를 지나감으로써, 상기 각 횡방향 부재(3) 또는 그것에 연결된 부분은 제1 전이부(O1)를 통과하여, 제어 슬롯(8)의 슬롯 바닥부로부터 점차적으로 벗어나고, 이 분리 운동 동안 상기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증가하는
    무한 컨베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기구(5b)가 제어 슬롯(8)을 가진 다수의 제어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슬롯(8)은 각각 슬롯 바닥부 및 대향하는 개구된 자유단을 가지며, 이 바닥부와 개구된 자유단은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전이부(O2)에서 상기 제어 부재(7)는 제1 곡선부(10)를 지나감으로써, 상기 각 횡방향 부재(3) 또는 그것에 연결된 부분은 제2 전이부(O2)를 통과하여 제어 슬롯(8)의 개방단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슬롯(8)으로 진입하며, 이 진입 운동 동안 상기 횡방향 부재(3)들 사이의 상호 거리가 감소하는
    무한 컨베이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기구 및 상기 제2 제어 기구(각각 5a, 5a' 및 5b, 5b')는 일체 구조의 단일 제어 기구(5, 5')로서 설계되고, 상기 제어 부재(7)는 단일 무한 제어 운반 부재(11)에 장착되어 제1 곡선부 및 제2 곡선부(각각 9, 10)를 지나가는
    무한 컨베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6)는 선회암(12, 13)을 경유하여 선행 또는 후행의 횡방향 부재(3)와 연결되며, 가이드웨이(14)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웨이가 모래시계형 롤러(4)에 대한 지지 부재(6)의 위치를 정의하는
    무한 컨베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가이드웨이(14)에, 선회 부품(15)이 제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이것에 의해 모래시계형 롤러(4) 및 대칭적인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6) 위에 놓이는 제품(P)이 제거 또는 이송될 수 있는
    무한 컨베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부(B1-B4)의 부분(B1) 하측, 가이드웨이(14)의 선회 부품(15)의 레벨에 수납 케이지(22)가 배치되고, 블레이드휠(23) 및, 상기 블레이드휠(23)의 외주 일부의 둘레로 연장되는 가이드 섹션(25)을 구비하고 있는
    무한 컨베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는 제어 슬롯(108)을 가지는 체인 링크(114)를 구비하며, 제1 무한 제어 부재(105)는, 상기 제어 슬롯(108)과의 결합을 위해 배치되는 제어캠(109)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무한 제어 부재(105)가 상기 제1 경로부(A1-A3)의 위치에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를 따라 연장되는
    무한 컨베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는 제어 슬롯(108)을 가지는 체인 링크(114)를 구비하며, 제2 무한 제어 부재(106)는, 상기 제어 슬롯(108)과의 결합을 위해 배치되는 제어캠(110, 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무한 제어 부재(106)가 상기 제2 경로부(B1-B3)의 위치에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를 따라 연장되는
    무한 컨베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에 인접해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무한 제어 부재(106)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무한 제어 부재(106)는 상기 지지 부재(107)가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바(1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무한 컨베이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한 제어 부재(106)는 체인 링크(1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체 인 링크(113)는 이격되어,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2, 102)의 체인 링크(114)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캠(110)을 가지고, 제2 무한 제어 부재(106)의 체인 링크(113)는, 상기 제2 전이부(O2)에서 상기 무한 운반 부재(101, 102)의 체인 링크(114)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111)을 가지는
    무한 컨베이어.
KR1020017000115A 1998-07-06 1999-07-05 무한 컨베이어 KR100617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9569 1998-07-06
NL1009569A NL1009569C2 (nl) 1998-07-06 1998-07-06 Eindloze transpor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741A KR20010071741A (ko) 2001-07-31
KR100617374B1 true KR100617374B1 (ko) 2006-08-29

Family

ID=1976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115A KR100617374B1 (ko) 1998-07-06 1999-07-05 무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54101B1 (ko)
EP (1) EP1094700B1 (ko)
JP (1) JP4375904B2 (ko)
KR (1) KR100617374B1 (ko)
AT (1) ATE212185T1 (ko)
DE (1) DE69900822T2 (ko)
DK (1) DK1094700T3 (ko)
ES (1) ES2172342T3 (ko)
NL (1) NL1009569C2 (ko)
TW (1) TW466098B (ko)
WO (1) WO2000001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761A2 (en) * 2002-01-29 2003-08-07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System and method for washing eggs
CN1839077A (zh) * 2003-08-18 2006-09-27 Fps食品加工系统公司 用于传输物体的设备
NL1028090C2 (nl) * 2004-01-22 2006-01-25 Food Processing Systems Aanvoertransporteur.
NL1026727C2 (nl) 2004-07-26 2006-02-02 Patrick Franciscus J Loosbroek Parasol.
WO2007117140A1 (en) 2006-04-07 2007-10-18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Apparatus for feeding eggs
DE602007012495D1 (de) 2006-09-01 2011-03-31 Food Processing Systems Dosiervorrichtung
EP2178777A4 (en) * 2007-07-17 2013-05-29 Food Processing Systems SYSTEM FOR ORIENTING AND COLLECTING EGGS WITH FORWARD AND REVERSE CONVEYOR BELTS FOR PREVENTING PREPARATIONS / RESULTS OF EGGS FROM THEIR OUTPUT IN THE FORM OF INDIVIDUAL ROWS ON WINDING BARS
FR2948926B1 (fr) * 2009-08-06 2011-10-21 Michelin Soc Tech Transitique adaptee au transfert et au stockage des carcasses de pneumatiques
TW201138652A (en) * 2010-05-05 2011-11-16 jie-wen Zhan Egg yolk centralizing, aging and cooling device
KR101140085B1 (ko) * 2011-08-12 2012-05-07 공정식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 자동 세척장치
CA2839335C (en) * 2013-01-16 2016-11-01 Crary Industries, Inc. Agricultural article sizer
US9521831B2 (en) * 2013-12-17 2016-12-20 Zoetis Services Llc Apparatus for removing eggs from egg carriers, and associated method
NL2013911B1 (en) * 2014-12-03 2016-10-11 Aweta G&P B V Apparatus for singulating products.
DE202016102333U1 (de) * 2016-05-03 2016-06-02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Geflügelhaltungssystem
NL2023787B1 (nl) * 2019-09-06 2021-05-17 Hedipack Tech Beheer B V Verpakkingsinrichting voor het verpakken van eieren
CN110844190A (zh) * 2019-11-14 2020-02-28 广东敬昌中药饮片有限公司 中药饮片分级分量包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6645A (en) 1941-07-17 1942-09-22 Fmc Corp Melon aligning and spacing conveyer
US2417921A (en) * 1944-02-04 1947-03-25 Fmc Corp Flexibly suspended ball means for advancing articles over transverse assorting rollers
US4195736A (en) * 1978-01-18 1980-04-01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Egg grading system
FR2588842B1 (fr) * 1985-10-21 1987-12-31 Regie Autonome Transports Dispositif de transport en continu a vitesse variable
US4872564A (en) 1987-06-30 1989-10-10 Staalkat B.V.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ecking eggs for flaws and blemishes, such as cracks, blood, dirt, a leak, aberrant form and the like
US4979624A (en) * 1989-02-24 1990-12-25 Ellis Malcolm P Sizing apparatus and proportional spacing mechanism
NL8901225A (nl) * 1989-05-17 1990-12-17 Staalkat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controleren en verder verwerken van eieren.
US5181596A (en) * 1990-10-19 1993-01-26 Warkentin A James Off-loading convey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72342T3 (es) 2002-09-16
US6454101B1 (en) 2002-09-24
KR20010071741A (ko) 2001-07-31
EP1094700B1 (en) 2002-01-23
WO2000001229A1 (en) 2000-01-13
DK1094700T3 (da) 2002-05-06
TW466098B (en) 2001-12-01
EP1094700A1 (en) 2001-05-02
JP2002519268A (ja) 2002-07-02
DE69900822T2 (de) 2002-08-29
ATE212185T1 (de) 2002-02-15
NL1009569C2 (nl) 2000-01-10
JP4375904B2 (ja) 2009-12-02
DE69900822D1 (de)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374B1 (ko) 무한 컨베이어
US10150618B2 (en) Endless egg conveyor
US4846337A (en) Arrangement for manipulating eggs
EP0098733B2 (en) Egg processing system
US4273234A (en) Conveyor storage system
EP0098734B1 (en) Egg handling system
US4519505A (en) Egg transfer system
US5255773A (en) Accumulator for conveyor system
US5002016A (en) Device for collecting eggs
US4345682A (en) Egg transporting system
US4195736A (en) Egg grading system
US4293066A (en) Egg transporting system
EP4025507B1 (en)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eggs
US40699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er positioning lumber and the like
US4361221A (en) Film transporting apparatus
GB2087336A (en) Carton collating and transfer apparatus
EP3303191A1 (en) Chain conveyor with free-rotating rollers and retractable flights
EP0519486A1 (en) A device for diverting a moving flow of products, particularly for packaging machines
NL8104746A (nl) Inrichting voor het ordenen van eieren.
US3339699A (en) Article feeding means for conveyors
SU12897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борки пакетов изделий
GB2064459A (en) Positioning apparatus and conveying apparatus
SU1531952A1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 аппаратам дл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родуктов в банках
MXPA99007703A (en) Conveyor
JPH0651524B2 (ja) 物品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