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409B1 -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409B1
KR100615409B1 KR1020017002311A KR20017002311A KR100615409B1 KR 100615409 B1 KR100615409 B1 KR 100615409B1 KR 1020017002311 A KR1020017002311 A KR 1020017002311A KR 20017002311 A KR20017002311 A KR 20017002311A KR 100615409 B1 KR100615409 B1 KR 10061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video processing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897A (ko
Inventor
비락데이비드에머리
폴릿피터폴
스탈토마스안토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1007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상호 접속성을 정의하기 위해 디지털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복수의 주변 장치와 상호 접속된 텔레비젼의 구성을 자동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탐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소비자가 시스템의 특정 구성을 알아야 할 필요가 없다. 이 시스템은 주변 장치가 비디오 체인 경로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기능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비디오 처리 장치의 복수의 입력부 중 소정의 하나의 입력부에 주변 장치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 비디오 처리 장치는 이하의 체계적인 처리 단계를 채택하고 있는데, 처리 단계로는 (1) 비디오 처리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IEEE 1394 직렬 버스와 같은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주변 장치 각각에 명령하는 단계와; (2) 비디오 처리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를 모니터링하여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입력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3)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 접속된 각각의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상호 접속성의 맵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INPUT VIDEO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의 자동 구성 분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텔레비젼 수신기는 VCR 플레이어 및 비디오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소스 및 비디오 소스로부터 외부 기저밴드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튜너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회로에 의해 튜닝되되고 복조되어 방송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각각의 입력 단자(또는 잭)와 접속된다. 이들 입력 단자(및 내부 튜너/IF 회로의 출력 단자)는 신호 전환 어셈블리를 통해 텔레비젼 수신기의 신호 처리 회로와 접속된다. 복수의 전기적으로 선택 가능한 보조 기저밴드의 신호 입력부를 갖는 하나의 텔레비젼 수신기로는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에 소재한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사에 의해 제조된 모델명 RCA CTC-140이 알려져 있다. 이 텔레비젼 수신기는 각각의 비디오 소스(즉, 튜너, AUX1 또는 AUX2)가 선택되었을 때, 적절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논리를 채택하고 있다.
1989년 4월 11일자로 테스키(Tesk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21,122호에는 "VCR ON" 원격 제어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VCR이 접속되어 있는 텔레비젼 수신기가 신호 소스로서 AUX1 기저밴드 비디오 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AUX1 입력부에서 어떠한 신호도 발견되지 않으면, 텔레비젼 수신기는 튜너로 전환되고, 채널 3을 튜닝한 후, 이어서 채널 4를 튜닝하여, VCR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VCR이 실제적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에 어떻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해도 시청하기 위해 VCR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VCR 이외에, AUX1 입력부에 접속되는 기저밴드 비디오 신호 소스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자동 신호 탐색 기능이 VCR에 설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AUX 입력부에서 활성 신호를 발견할 수 있기에, AUX1 입력부에서 그 활성 신호를 선택하도록 "속인다".
1991년 2월 26일자로 듀필드(Duffiel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번호 제4,996,567호에는 전환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수개의 입력 커넥터 또는 입력 채널 중 어느 것이 수개의 신호 소스 중 어느 소스에 할당될 것인지 특정하여 그 커넥터 할당 데이터 또는 채널 할당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어서, 특정 신호 소스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환 시스템은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선택된 신호 소스와 관련된 입력 커넥터 또는 입력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한다. 상기 전환 시스템은 또한 신호 소스 장치가 선택되었을 때, 텔레비젼 수신기가 적절한 입력부 구성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사용 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고선명 텔레비젼(HDTV)의 출현은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디지털 포맷의 텔레비젼 프로그램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젼으로의 이동이 완결되려면 수년 또는 십수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멀티비디오 서비스 제공자(Multi-Video Service Provider, MVSP)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아날로그 비디오 프로그램과 ATSC 디지털 비디오 프로그램을 조합한 비디오 프로그램을 마찬가지로 제공할 수 있다. 멀티비디오 서비스 제공자는 소비자에게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케이블 셋톱박스는 레거시(legacy) 아날로그 텔레비젼 세트를 갖고 있는 소비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MPEG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객은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식에서 있어서 상이한 점을 찾을 수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버스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고 종래의 아날로그 포트를 통해 아날로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셋톱박스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소비자가 디지털 텔레비젼을 갖고 있다면, 소비자에게 최대 해상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듀얼 모드(Dual-mode)" 시스템은, 소비자가 텔레비젼 세트 또는 컨버터 박스상의 물리적인 입력 포트의 전환을 요구하는 채널 사이에서의 전환을 원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요구를 갖는다. "듀얼 모드" 시스템을 적절하게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텔레비젼 세트에 비디오 소스, 디스플레이 및 보조 장치의 특정 구성에 관해 알 필요가 있다.
또한, "듀얼 모드" 장치와 같은 단일 장치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신호 이외에, 복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시스템은 텔레비젼 수신기,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 직접 위성 방송(DBS) 수신기 및 홈 제어 장치(예컨대, 보안 시스템 또는 온도 제어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상호 접속은 Consumer Electronics Bus(CEBus) 및 IEEE 1394 고성능 직렬 버스와 같은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 프로토콜은 통상적으로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양쪽 모두에 대해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CEBus 제어 정보는 미국 전자 공업 협회(EIA) 사양의 IS-60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을 갖는 "제어 채널"상에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IEEE 1394 직렬 버스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일반적으로 직렬 버스의 비동기 서비스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CAL(Common Application Language) 또는 AV/C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텔레비젼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스 신호를 모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텔레비젼은 방송 RF 텔레비젼 신호를 튜닝하는 안테나 입력부와 더불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고품질의 기저밴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입력부를 갖는다. 통상적인 텔레비젼은 케이블 디코더 박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 입력부를 사용하고, DVD 또는 VCR 플레이어를 부착하기 위해 한 쌍의 보조 입력부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텔레비젼 제품에 따라서, 복수의 보조 입력부 세트 가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를 상호 접속한 결과로서 전자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 시스템의 상호 접속에 대해 소비자가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크게 증가한다고 하는 인식에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액세스하는 방법에 대해 혼란스러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시스템의 특정 구성을 몰라도 되도록 비디오 처리 장치(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젼) 및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IEEE 1394 직렬 버스와 같은 디지털 제어 채널은 명령을 주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주변 장치가 비디오 체인 경로(video chain path)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상호 접속한 비디오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주변 장치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 장치는 비디오 처리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 중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상의 주변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입력부 중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데이터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입력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처리 장치의 복수의 아날로그 입력부와 복수의 주변 장치의 상호 접속을 정의하는 방법이 정의된다. 또한, 주변 장치가 디지털 버스를 통해 비디오 처리 장치에 상호 접속된다. 우선, 비디오 처리 장치가 복수의 주변 장치 중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한 후, 디지털 버스를 통해 명령을 선택된 주변 장치에 전송한다. 이 명령은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 아날로그 신호는 선택된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 중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에서 수신된다. 각각의 아날로그 입력부는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된다. 이 처리는 비디오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상호 접속성에 대한 맵(map)을 자동으로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다른 주변 장치에 대해 반복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측면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부를 갖고 디지털 버스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주변 장치에 상호 접속되는 비디오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은, 제1 주변 장치를 동작 모드를 통과하도록 전환화기 위해 디지털 버스를 통해 제1 명령을 제1 주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명령은 제1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버스를 통해 제2 주변 장치로 전송된다. 비디오 처리 장치는 그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그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아날로그 입력부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IEEE 1394 직렬 버스 프로토콜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럭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을 채택한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을 채택한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 및 셋톱박스의 상세한 기능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에 있어서,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가 지정되어 있으면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디오 처리 장치(video processing apparatus)"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통상적으로 텔레비젼 세트라고 알려져 있음)와, 셋톱박스(set-top box, STB's),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 직접 위성 방송(DBS) 수신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텔레비젼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용어 "텔레비젼 수신기"는 RF 튜너 및 기저밴드 신호 입력 회로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모니터/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용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VCR"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DVCR을 포함한다.
IEEE 1394 직렬 버스의 사용이 홈 네트워크 환경내의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제안되었다. IEEE 1394 직렬 버스가 "전체 홈 네트워크"로서 사용하기 위해 비디오 전자 제품 표준 협회(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내에서 논의되었다. IEEE 1394 직렬 버스는 차세대 PC내에 구축되어, 디스크 드라이브 를 구비하는 많은 국부적인 주변 장치를 위해 사용될 것이다. 또한, IEEE 1394 직렬 버스가 디지털 텔레비젼 및 VCR과 같은 디지털 A/V 소비자 전자 장치를 위한 중요한 인터페이스임에는 틀림없다. A/V 소비자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지원하는 수많은 상이한 레벨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IEEE 1394 직렬 버스는 주변 버스 또는 후면 버스(back-plane bus)로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고속이고 저렴한 디지털 직렬 버스이다. 이 직렬 버스의 몇가지 중요한 점으로는 다이나믹 노드 어드레스 할당(Dynamic node address assignment), 100Mbits/sec, 200Mbits/sec 및 400Mbits/sec의 데이터 속도, 비동기식 모드(Asynchronous mode) 및 등시성(等時性: Isochronous) 모드, 적절한 버스 중재 및 ISO/IEC 13213 버스와의 일관성을 포함한다. 도 1은 한 쌍을 이루는 세 개의 적층된 층으로서 IEEE 1394 직렬 버스를 위한 직렬 버스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물리층(18)은 물리적인 시그널링 회로 및 전력 상승 개시, 중재, 버스 리셋 검출 및 데이터 시그널링에 응답할 수 있는 논리를 갖는다. 두 개의 실드된 저 전압 차동 신호쌍과 더불어 전력쌍이 IEEE 1394 케이블에 대해 정의된다. 시그널링이 지터 허용오차를 두 배로 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비트 레벨 인코딩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링크층(20)내의 패킷내로 형성된다. 장치간 데이터 통신에 대해 두 개의 클래스가 지지되는데, 두 개의 클래스는 비동기식 통신 및 등시성 통신이다. 비동기식 통신은 "승인 가능한"으로 특징지어지고, 등시성 통신은 "항상 정각에"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비동기식 서비스는 우선적으로 제어 메시지 및 상태 메시지를 위해 사용되는 반면에, 등시성 서비스는 MPEG 비디오와 같은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사용된다. 등시성 통신의 적절한 특성은 매 125 μsec를 사이클로 하여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등시성 사이클은 비동기식 통신에 비해 우선한다.
비동기식 전송은 버스가 비어 있는 소정의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매 125 μsec 사이클 중 최소 25 μsec의 사이클이 비동기식 데이터 전송을 위해 등록된다. 등시성 전송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 기구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진행중인 등시성 통신은 채널로서 참조된다. 채널이 우선 확정된 후, 필요한 장치가 버스 타임의 매 사이클의 필요한 양을 갖도록 보장된다. 트랜잭션층(22)은 버스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완료 요구 응답 프로토콜(complete request-reply protocol)을 정의한다. 비록 트랙잭션층(22)이 등시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정의 서비스를 덧붙이지 않더라도, 트랜잭션층(22)은 등시성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자원 관리용 경로를 제공하는 데, 이것은 제어 상태 레지스터(CSR)를 판독하고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트랜잭션층(22)은 또한 통신중 상태인 자원 및 응답 불가능 상태인 자원 상태를 핸들링하기 위한 재실행 기구를 정의한다. 비동기식 데이터가 이하 세 개의 트랜잭션 중 하나의 트랜잭션을 이용하는 IEEE 1394 노드 사이에서 전송된 후, 그 데이터는 원래의 노드로 되돌아온다. 세 개의 트랜잭션으로는, 첫번째가 상이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read-data)"이고, 두번째가 상이한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write-data)"이며, 세번째가 처리를 위한 상이한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록(lock-data)"이다.
직렬 버스 관리부(24)가 프로토콜, 서비스 및 동작 절차를 기술함으로써 하나의 노드가 선택된 후, 관리 레벨이 버스상의 나머지 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EEE 1394 직렬 버스라고 정의된 두 개의 관리 엔티티가 있는데, 등시성 자원 관리자(26) 및 버스 관리자(28)이다. 이들 두 개의 엔티티는 두 개의 상이한 노드상이나 또는 동일한 노드상에 상주할 수 있다. 버스 관리자(28)가 버스상에 부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등시성 자원 관리자(26)는 버스 관리자(28)에 의해 정상적으로 인수받은 관리 책임의 일부를 행사한다. 버스 관리자(28)는 이하의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복수의 서비스로는 속도맵 유지 관리 및 위상맵 유지 관리 및 버스 최적화가 있다. 등시성 자원 관리자는 등시성 밴드폭 할당을 위한 설비, 채널수 할당을 위한 설비 및 사이클 마스터의 선택을 위한 설비를 제공한다. 노드 제어는 모든 노드에서 필요로 하며, 노드 제어기(30)는 모든 직렬 버스 노드에 의해 필요로 하는 CSR을 구현하고, 물리층(18), 링크층(20), 트랜잭션층(22) 및 장치내에 존재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한다. 노드 제어기(30)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CSR 및 구성 ROM 설비가 구성을 위해 사용되고, 개별적인 노드에서 활성을 관리한다.
IEEE 1394 직렬 버스가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26: Isochronous Resource Manager, IRM] 및 버스 관리자[28: Bus Manager, BM]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클러스가 몇몇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IRM 및 BM이 이용가능한 DTV가 요구된다.
IRM(26)은 적절한 등시성 동작을 필요로 하는 등시성 자원(채널 및 밴드폭)에 협력하여 할당 및 비할당하기 위해 직렬 버스에 대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 한다. IRM(26)은 채널 및 밴드폭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그들의 새로운 할당을 등록하기 위해 또 다른 노드에 공통 위치를 제공한다. IRM[26: 그들 공통 위치는 자기 식별 처리 완료시에 바로 알려짐]은 또한 공통 위치가 존재하면, BM(28)의 식별을 결정할 수 있는 직렬 버스 노드의 공통 위치를 제공한다.
BM[28: 존재하면]은 직렬 버스상의 또 다른 노드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사이클 마스터의 활성, 성능 최적화, 전력 관리, 속도 관리 및 위상 관리를 포함한다.
기능성 제어 프로토콜(FCP)은 IEEE 1394 버스를 통해 접속된 제어 장치의 순으로 지정된다. 기능성 제어 프로토콜은 명령 및 응답을 전송하기 위해 IEEE 1394 비동기식 기록 패킷을 사용한다. 데이터 필드내에 내장된 기능성 제어 프로토콜을 갖는 IEEE 1394 비동기식 패킷 구조가 이하에 도시된다. 명령/트랜잭션 세트(Command/Transaction SET, CTS)는 명령 세트(예컨대, AV/C, CAL)를 규정한다.
Figure 112001003960913-pct00001
기능성 제어 프로토콜 프레임은 명령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으로 분류된다. 명령 프레임은 주변 장치상의 명령 레지스터내로 기록되고, 응답 프레임은 제어기상의 응답 레지스터내로 기록된다. 명령 및 응답을 위한 두 개의 어드레스가 표준으로서 규정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 언어
IEEE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다른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소비자 전자 장치를 위해서는, 공통 제품 모드 및 공통 명령 세트가 정의되어야 한다. 현재, 장치 모델링 및 제어를 위해 세 개의 표준이 존재하는데, 세 개의 표준으로는 CAL, AV/C 및 USB에 대해 적응된 접근 방식이 있다.
CAL 및 AV/C는 논리 엔티티 및 물리 엔티티 사이를 식별하는 제어 언어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즉, 물리 엔티티)은 튜너, 오디오 증폭기 등과 같은 복수의 기능성 구성 요소(즉, 논리 엔티티)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언어는 두 개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는데, 두 개의 주요 기능으로는 자원 할당 및 자원 제어가 있다. 자원 할당은 일반적 네트워크 자원(Generic Network resource)을 요구하고, 사용하며, 배포하는 것과 관련된다. 메시지 및 제어는 IEC-61883에서 정의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성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CAL은 그것의 명령 구문에 대해 객체 기저형 방법론(object base methodology)에 적응된다. 객체는 인스턴트 변수(IV)로서 알려진 쌍을 이루는 내부값을 포함하고 단독으로 액세스한다. 각각의 객체는 방법에 대한 내부 리스트를 유지한다. 방법은 객체가 메시지 수신의 결과로서 취하는 동작이다. 방법이 호출된 경우, 하나 이상의 인스턴트 변수가 통상적으로 갱신된다. 방법 식별자로 이루어진 메시지에 0개 이상의 파라미터가 뒤따른다. 객체가 방법을 수신한 경우, 메시지에 있어서의 식별된 방법과 일치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 리스트를 통해 찾는데, 방법이 발견되면 이 방법이 실행된다. 파 라미터는 방법의 정확한 실행을 결정하는 메시지에 의해 공급된다.
제어 언어의 설계는 모든 소비자 전자 제품이 공통 부분이나 기능에 대해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CAL은 각각의 제품을 콘텍스트라고 불리우는 하나 이상의 이들 공통 부분의 집합으로서 취급한다. 이들 콘텍스트는 기능성을 균등한 방법으로 생성하기 위해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콘텍스트 데이터 구조는 각각의 장치에서 정의된 소프트웨어 모델로, 모든 장치 기능의 동작을 모델링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지는 콘텍스트는 장치의 특정 기능성 서브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된다. 객체와 마찬가지로, 콘텍스트는 기능성 서브유닛의 모델이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콘텍스트에 의해 정의된다. CAL은 여러 유형의 소비자 전자 장치를 모델링하기 위해 많은 콘텍스트 세트를 정의한다. 각각의 콘텍스트는 그와 같이 생성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어기(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젼)와 목표 장치 또는 주변 장치(예컨대, 디지털 VCR) 사이의 상호 작용은 주로 이하 두 개의 주된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ⅰ) 하나는 제어기와 주변 장치 양쪽 모두가 기계인 기계 대 기계 상호 작용이다. 이 유형의 상호 작용에 있어서, 실제 상호 작용시에 사용자 개시가 없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특정 시점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프로그램된 제어기를 허락할 수 있다.
ⅱ) 다른 하나는 사람이 제어기상의 동작을 개시하는 사용자 대 기계 상호 작용이다.
발견 처리는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장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처리는 버스 리셋에 의해 활성화되고, 검색하도록 지원하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장치를 발견한다. 버스 리셋은 장치, 소프트웨어 개시형 리셋 등과 접속/비접속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장치 구성 ROM상에 저장된 몇가지 정보에 따라 모듈화된다. 이 정보는 자기 기술 장치(Self Description Device, SDD)로서 참조되며, 모델 #, 메뉴의 위치, URL 및 EUI 벤더 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제어기의 SDDT는 장치의 디스플레이 능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블럭에 포인터를 포함한다. 이 정보 블럭은 디스플레이의 유형(비월 또는 순차), 라인당 최대 바이트, 트루 칼라 표현력, 지원된 해상도 모드(full, 1/2, 1/3), 파렛트 모드(2, 4, 6)에 대해 지원된 최대 비트/픽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발견 방법은 또한 CAL에 대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홈 플러그 앤드 플레이(Home Plug and Play) 또는 AV/C에 대해 정의된 서브유닛 기술자와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버스 초기화가 완료된 후, 발견 관리자는 각각의 접속된 장치의 ROM내에 위치하는 SDD 정보를 판독한다. 이 정보는 레지스트리 테이블내로 구축된다.
IEEE 1394 직렬 버스상의 각각의 장치는 버스 및 버스의 능력상에 다른 장치의 트랙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트리 테이블을 갖는다. 버스상의 모든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 레지스트리(레지스트리 테이블)는 버스 리셋상의 발견 처리시에 일정하게 갱신된다. 이 레지스트리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비휘발성 식별 기구에 IEEE 1394 node_ID 및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휘발성 특성을 맵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IEEE 1394 직렬 버스상의 소정의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비휘발성 64 비트 EUI(Extended Unique Identifier)를 사용한다. 레지스트리 서비스는 이 비휘발성 64 비트 EUI를 휘발성 IEEE 1394 node_ID 또는 IP에 맵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레지스트리" 모듈은 시스템 서비스 모듈이다. "레지스트리" 시스템 모듈은 홈 네트워크 내측에 있는 그들의 위치를 추출함으로써 홈 네트워크내의 노드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케 한다.
레지스트리 테이블은 각각의 장치내에 있는 레지스트리 관리자에 의해 유지되고, 이전에 특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노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레지스트리 테이블은 버스 리셋상의 발견 관리자에 의해 일정하게 갱신된다. 각각의 레지스트리 테이블의 행은 이하와 같을 수 있다.
64 비트 EUI 1394 node_ID IP 어드레스 Manufacturer/Model # 장치 유형
레지스트리 테이블의 필드는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 64 비트 EUI는 세계 공통으로 제조되는 모든 직렬 버스 노드 중 하나의 노드를 독자적으로 식별하는 64 비트수이다.
Figure 112001003960913-pct00002
· 1394 node_ID는 1394 부분망내에 있는 직렬 버스 노드를 독자적으로 식별하는 64 비트수이다. 최상위 10 비트가 버스 ID이고, 최하위비트가 물리 ID이다. 버스 ID는 한 그룹의 브리지형 버스내에 있는 특정 버스를 독자적으로 식별한다. 물리 ID는 자기 식별 처리 기간동안 동적으로 할당된다.
· IP 어드레스는 동적으로 할당된 32 비트의 전용 IP 어드레스이다.
· Manufacturer/Model #은 장치의 SDDT로부터 얻어지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가능성을 갖는 소비자를 정보로 하기 위해 사용된다.
· 장치 유형은 또한 장치의 SDDT로부터 얻어지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가능성을 갖는 소비자를 정보로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필드는 또한
스트림 포맷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는 출력 포맷으로서 MPEG2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그 노드의 64 비트 EUI을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상의 소정의 노드를 위한 IEEE 1394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레지스트리를 사용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버스 리셋이후 발견 처리 기간동안 구축된다. 노드 어드레스가 버스 리셋 기간동안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EUI와 같은 안정된 식별자에 대한 상관 관계가 중요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디지털 "버스" 유형의 시스템은 로컬 네트워크내에 있는 소정의 다른 장치와 "의사 전달"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내의 통신 채널 및 제어 채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발견 처리는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를 정의하는 IEEE 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되는 장치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IEEE 1394 직렬 버스는 전력 상승시에 모든 장치 및 그들의 일반적인 능력이 버스상의 다른 장치에 통지되는 기구를 갖음.) 디지털 입력부(또는 디지털 텔레비젼)를 갖는 텔레비젼 수신기 또는 디지털 입력부를 갖고 텔레비젼 수신기로서 동작하는 셋톱박스는 로컬 네트워크상의 다른 장치의 유형 및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시에 있어서, 텔레비젼은 DVCR 및 디지털 케이블 디코더 박스가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은 주변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이 구성(즉, 주변 장치 및 디지털 텔레비젼 사이의 아날로그 신호 경로의 구성)내에서 어떻게 경로지어지며, 경로지어졌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DVCR은 텔레비젼의 보조 입력부 1(Aux 1) 또는 보조 입력부 2(Aux 2)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갖을 수 있다. DVCR이 텔레비젼의 입력 포트를 인식하면, DVCR의 출력부는 디지털 버스 명령을 통해 텔레비젼으로 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텔레비젼의 입력 포트에 꽂혀진다. 불행하게도, DVCR은 이용 가능한 이러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텔레비젼이 소스 재료를 선택하기 위한 여러개의 입력부를 갖을 수 있는 사실에 의해 주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도 2는 디지털 텔레비젼[42: DTV], 셋톱박스[44: STB] 및 디지털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46: DVCR]를 구비하는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40)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디지털 버스(48)는, 예를 들어 IEEE 1394 직렬 버스이며, 세 개의 장치[즉, DTV(42), STB(44) 및 DVCR(46)]와 함께 상호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디지털 버스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STB(44)는 또한 아날로그 출력부를 갖는다. STB(44)의 아날로그 출력부는 아날로그 케이블(50)을 통해 DTV(42)의 아날로그 입력부(예컨대, AUX1) 중 하나의 입력부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DVCR(46)은 또한 아날로그 출력부를 갖 고, 또한 개별적인 아날로그 케이블(52)을 통해 DTV(42)의 아날로그 입력부(예컨대, AUX2) 중 하나의 입력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DTV(42)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디지털 입력부로부터 아날로그 입력부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면, 텔레비젼은 현재의 디지털 입력 스트림과 결합된 특정 아날로그 입력부(예컨대, AUX1 또는 AUX2)를 알 수 있어야 한다. 즉, 디지털 셋톱박스(44)가 꽂혀지며, 디지털 셋톱박스의 디지털 스트림이 DTV(42)의 디지털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고, 셋톱박스의 아날로그 내용이 DTV(42)의 AUX1 입력부를 통해 제공되면, 텔레비젼은 전환을 적절하게 실시하기 위해 이 정보를 알아야 한다. 그후 사용자가 셋톱박스에 지시하여, 원하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텔레비젼 및 케이블 디코더 박스를 구성한다. 소비자가 아날로그 케이블 출력부를 부주위로 AUX2 입력부 또는 안테나 입력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면, 시스템은 정확하게 기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디지털 통신 링크(즉, IEEE 1394 직렬 버스)는 시스템의 구성을 자동으로 결정할 때에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텔레비젼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작은 명령 세트(예시적인 이러한 기능성 의사 코드의 세트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정의됨)를 사용하면, DTV는 DTV의 아날로그 출력부상의 알려진 패턴을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 디코더 박스에 명령할 수 있다. 그후 텔레비젼은 모든 텔레비젼의 이용 가능한 입력부를 스캐닝하여, 이 장치가 접속되는 아날로그 포트를 자동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귀선 소거 신호는 사전결정된 비디오 테스트 신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텔레비젼은 아날로그 비디오 귀선 소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디 지털 디코더에 명령을 내린 후, 모듈화된 RF 튜너 입력부를 구비하는 모든 텔레비젼의 여러개의 아날로그 입력부상의 이러한 입력 신호에 대한 검색을 개시한다. 그후, 텔레비젼은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지털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치를 통해 체계적으로 단계를 거쳐, 시스템의 아날로그 신호 구성의 내부맵을 만든다.
구성이 직접, 즉 디지털 케이블 디코더 박스가 텔레비젼 세트의 디지털 입력부 및 아날로그 입력부에 직접 연결되면, 텔레비젼은 아날로그 플러그로부터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 소스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고, 소비자 상호 작용이 필요치 않게 된다. 그러나, 소비자가 디지털 신호를 보고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기를 원하면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케이블 디코더 아날로그 출력부가 텔레비젼 세트 입력부내로 직접적으로 경로지어지는 대신에 DVCR과 같은 박스(즉, 간접 접속)를 통해 경로지어진다. 디지털 입력부로부터 아날로그 입력부로의 전이는 케이블 디코더 박스의 아날로그 내용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패스스루 모드(passthrough mode)를 활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구성을 인식해야 하며, 시스템이 적절하게 수행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하므로, 해결책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DVCR이 패스스루 모드에 있으면, 신호는 텔레비젼에 대한 개별적인 케이블 입력부보다는 텔레비젼에 대한 DVCR 아날로그 입력부에서 발생된다. 이와 달리, DVCR이 패스스루 모드에 있지 않으면, 아날로그 신호는 텔레비젼 입력부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DVCR이 또한 디지털 제어 버스상에 있으면, DVCR은 수정되지 않은 채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DVCR를 자동으로 구성하는 "패스스루" 명령에 응답한다. 텔레비젼은 디지털 케이블 디코더 박스 및 DVCR이 동일 아날로그 비디오 체인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이 정보가 알려지면, 그후 텔레비젼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부터 디지털 케이블 디코더 박스로부터 제공된 듀얼 모드 서비스를 위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자동으로 사용자가 개입하는 일없이 전환하기 위해 DVCR 패스스루 명령에 관련된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 텔레비젼[42: DTV], 셋톱박스[44: STB] 및 디지털 비디오카세트 레코더[46: DVCR]를 갖는 엔터테인먼트 클러스터(400)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세 개의 장치를 함께 상호 접속하기 위해 디지털 버스(48)가 채택된다. STB(44)는 또한 아날로그 접속(54)을 통해 DVCR(46)의 아날로그 입력부에 접속된다. DVCR(46)은 또한 아날로그 접속(52)을 통해 DTV(42)의 아날로그 입력부(AUX2)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STB(4)의 아날로그 입력부는 DVCR(46)을 통해 DTV(42)로 전달된다.
도 4는 디지털 텔레비젼[42: DTV] 및 본 발명을 정의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셋톱박스[44: STB]를 도시하는 기능성 블럭도이다. STB(44)는 당해 신호를 복조하는 튜너/수신기 모듈(60)과, 주 제어 및 박스내 자원의 협조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2) 및 메모리(64)와, 데이터가 다른 장치로 전송되거나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방법을 관리하는 디지털 버스 제어기(68)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중첩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비디오 믹서를 갖는 NTSC 인코더(68)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튜닝되고, 복조되며, 튜너/복조기내의 합성 비디오(composite video) 및 좌우측 오디오내로 분해된다.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는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디코딩하기 위한 직렬 버스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셋톱박스의 아날로그 오디오-비디오 출력부는 좌측 오디오 신호 및 우측 오디오 신호(C-L-R)를 갖는 합성 비디오로 구성된다.
DTV(42)는 합성 비디오의 그룹화된 집합과 좌측 오디오 신호 및 우측 오디오 신호를 구비하는 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기저밴드 오디오/비디오 입력부(72a 및 72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은 신호의 논리 그룹을 추론하기 위해 컬러 코딩되고 물리적으로 위치된다. 많은 텔레비젼 세트가 프로그램에서 실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갖는다. 이들 복수의 입력부 그룹은 입력 선택기(74)로 경로지어진다. 입력 선택기는 수상관(76)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특정 입력 그룹 및 오디오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선택한다. DTV(42)는 또한 텔레비젼 세트내의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78) 및 메모리(82)와, 다른 장치와 상호 접속하기 위한 디지털 버스 제어기(84)로 구성된다.
DTV(42)는 텔레비젼 세트를 갖는 셋톱박스의 설치를 자동으로 구성하기 위한 마스터 제어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STB(44) 및 DTV(42)가 우선 결합될 때, DTV(42)는 DTV가 비디오 신호를 찾아야 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결정할 수 없다. 간단한 처리가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텔레비젼은 사전결정된 비디오 신호를 갖는 텔레비젼의 입력부를 이용하기 위해 디지털 버스(48)를 통해 셋톱박스로 명령을 전송한다. 이 신호는 귀선 소거 신호, 블랙 레벨, 컬러 바(color bar) 또는 표준 NTSC 인코더 IC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셋톱박스가 비디오상의 출력된 신호를 개시하면, 케이블이 텔레비젼 세트상의 비디오 입력 소 켓 중 하나내로 꽂혀진다. 텔레비젼 세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그후 사전결정된 비디오 패턴을 찾기 위해 여러개의 비디오 입력 포트를 스캐닝할 수 있다. 일단 사전결정된 비디오 패턴을 발견하면, 텔레비젼은 셋톱박스가 접속되고 이후에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내에 사전결정된 비디오 패턴을 기록하는 포트의 정보를 갖는다. 동작의 간단한 스크립트는 이하와 같다.
텔레비젼 : 직렬 버스 명령: Enable_Video_Test_Pattern
셋톱박스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입력부상의 비디오 테스트 신호를 확정함
텔레비젼 : 비디오 입력 포트 중 신호에 대해 스캐닝
텔레비젼 : 비디오 신호가 발견되면 - 메모리내에 포트를 기록함
텔레비젼 : 비디오 신호가 발견되지 않으면 - 사용자에게 케이블을 검사하도
록 에러 메시지를 발부함
텔레비젼 : 직렬 버스 명령: Disable_Video_Test_Pattern
셋톱박스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비디오 테스트 신호를 소거하고 정상 모드로
되돌아간다.
상기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사용하기 위한 요구되는 것이 없다는 것을 주목하자.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논리 그룹이 존재하기 때문에, 오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가 설정되고 테스트되는 것과 같은 절차로 비디오 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합성 좌우측 오디오/비디오 신호는 동축 케이블 전반에 걸쳐 모듈화된 케리어를 포함하는 또 다른 표준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변경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간단한 온-오프-온-오프(ON-OFF- ON-OFF) 플래싱 패턴이 또 다른 잠재적인 장치의 비디오 출력부로부터의 테스트시에 장치상의 비디오 출력부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비디오 신호가 입력 포트의 테스트시에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가 텔레비젼일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자. 예를 들어, 신호의 축적기로서 동작하는 공통 오디오/비디오(A/V) 증폭기는 신호 출력을 최종 텔레비젼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A/V 증폭기는 A/V 증폭기의 입력 포트의 자동 구성을 위한 제어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장치(예컨대, 상기한 STB)는 독립적인 비디오의 복수의 출력부를 갖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독립적인 비디오 출력부는 비디오 입력부 및 비디오 출력부의 배열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수신 장치상의 특정 입력 포트로 경로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상기한 실시예에 대한 복수의 대체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해 실시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이러한 대체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한 바를 읽고 이해할 수 있으리라는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오디오 주변 장치 및 홈 제어 장치에까지 확장할 수 있다.

Claims (13)

  1. 비디오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 접속된 주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단계와;
    (b)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의 복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 상에서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어느 입력부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d)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단계는 상기 비디오 장치와 상기 주변 장치를 상호 접속시키는 디지털 버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의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각각의 아날로그 입력부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어느 아날로그 입력부가 상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가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명령, 수신 및 저장 단계는 상기 주변 장치들 각각이 처리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변 장치와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 사이의 아날로그 상호 접속성의 맵(a map of the analog interconnectivity)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아날로그 비디오 귀선 소거(blanking) 신호인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젼인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는 디지털 셋톱박스인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버스는 IEEE 1394 직렬 데이터 버스인 것인 비 디오 처리 장치 제어 방법.
  10. 비디오 처리 장치의 복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에 대한 복수의 주변 장치들 ― 상기 주변 장치는 또한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 상호 접속되어 있음 ― 의 상호 접속성을 규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는,
    (a) 상기 복수의 주변 장치들 중 하나의 주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b)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가 그의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상에 상기 선택된 주변 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들 각각을 검사하여 상기 복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어느 것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에 접속된 각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상호 접속성의 맵을 자동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주변 장치들 중 다른 주변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단계 (a), 단계 (b), 단계 (c) 및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상호 접속 규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버스는 IEEE 1394 직렬 데이터 버스인 것인 상호 접속 규정 방법.
  12. 아날로그 입력부를 구비하고, 디지털 버스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주변 장치와 상호 접속되는 비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 방법으로서,
    (a) 제1 주변 장치를 패스스루(passthrough)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제1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와;
    (b) 제2 주변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디지털 버스를 통해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제2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와;
    (c) 상기 비디오 처리 장치의 아날로그 입력부들 중 하나의 아날로그 입력부 상에 상기 제2 주변 장치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들 각각을 검사하여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 중 어느 것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버스는 IEEE 1394 직렬 데이터 버스인 것인 비디오 처리 장치의 구성 방법.
KR1020017002311A 1998-08-26 1999-08-26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 KR100615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91698P 1998-08-26 1998-08-26
US60/097,916 199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897A KR20010072897A (ko) 2001-07-31
KR100615409B1 true KR100615409B1 (ko) 2006-08-25

Family

ID=2226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311A KR100615409B1 (ko) 1998-08-26 1999-08-26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10384B1 (ko)
JP (1) JP4663119B2 (ko)
KR (1) KR100615409B1 (ko)
CN (1) CN1132414C (ko)
AU (1) AU6131699A (ko)
DE (1) DE69902475T2 (ko)
MX (1) MXPA01001975A (ko)
WO (1) WO2000013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5047B2 (ja) 1999-11-17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出力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接続関係特定方法
EP1354266B1 (en) * 2000-09-27 2020-11-04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Architecture for optimizing audio and video output states for multimedia devices
JP4114783B2 (ja) * 2002-09-20 2008-07-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DE10324122B4 (de) * 2003-05-26 2007-08-30 Smsc Europe Gmbh Distributionssystem für Satellitenrundfunk
EP1573942A1 (de) 2002-12-12 2005-09-14 Oasis Silicon Systems AG Distributionssystem für satellitenrundfunk
JP2005017817A (ja) * 2003-06-27 2005-01-20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信号供給装置と映像表示端末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信号入力端子選択方法
JP4317851B2 (ja) * 2003-08-11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外部機器
US20060176290A1 (en) * 2005-02-09 2006-08-10 Dell Products L.P. Display device featuring a reduced amount of time for detecting video input signals
KR100761140B1 (ko) 2005-12-01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JP4971005B2 (ja) * 2007-03-29 2012-07-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接続情報認識システム及びその認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122A (en) * 1987-01-21 1989-04-11 Rca Licensing Corporation TV receiver with automatic RF/baseband signal
US4996597A (en) * 1989-04-20 1991-02-26 Rca Licensing Corporation User programmable switching arrangement
JPH04172881A (ja) * 1990-11-07 1992-06-19 Sony Corp 映像音声信号処理装置
JPH05236378A (ja) * 1991-12-17 1993-09-10 Sony Corp 画像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制御装置ならびにアドレス確認方法
JP3228381B2 (ja) * 1993-10-29 2001-11-12 ソニー株式会社 Avセレクタ
JP3567438B2 (ja) * 1993-12-28 2004-09-2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
US5592234A (en) * 1994-12-22 1997-01-07 U.S. Philips Corporation Interface system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213048B1 (ko) * 1995-09-29 1999-08-02 윤종용 아날로그와 디지탈 비디오 모드를 갖는 수신기와 그 수신방법
JP3528480B2 (ja) * 1996-11-19 2004-05-17 ソニー株式会社 Epg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24931A (ja) 2002-08-06
DE69902475D1 (de) 2002-09-12
KR20010072897A (ko) 2001-07-31
CN1132414C (zh) 2003-12-24
WO2000013408A1 (en) 2000-03-09
AU6131699A (en) 2000-03-21
EP1110384B1 (en) 2002-08-07
EP1110384A1 (en) 2001-06-27
DE69902475T2 (de) 2003-01-09
MXPA01001975A (es) 2002-04-24
JP4663119B2 (ja) 2011-03-30
CN1313006A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13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input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0771386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통신 채널 확립 방법 및 osd 신호 발생 방법
KR100560549B1 (ko) 디지털 버스를 통해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텔레비전 장치
US9137572B2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KR100615409B1 (ko) 다중 입력 비디오 처리 장치 구성 자동 판정 방법
KR100581603B1 (ko) 디지털 tv에 연결된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동작 방법, 및 디지털 tv
EP13454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20050235087A1 (en) Method, article of manufacture and apparatuses for establishing an isochronous signal for transmission to a signal receiving device
US20080133782A1 (en) Recep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nterface information
US20020016882A1 (en) Digital device, data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data input-output control system
US7068920B1 (en) Digital baseband interface for a DVD player
MXPA00002742A (en)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via a digital bus
MXPA00002741A (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is device via a digital bus
MXPA00007587A (es) Interfaz de banda base digital para una reproductora de discos de video digi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