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916B1 -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 Google Patents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916B1
KR100614916B1 KR1020060024366A KR20060024366A KR100614916B1 KR 100614916 B1 KR100614916 B1 KR 100614916B1 KR 1020060024366 A KR1020060024366 A KR 1020060024366A KR 20060024366 A KR20060024366 A KR 20060024366A KR 100614916 B1 KR100614916 B1 KR 10061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sheet
reinforcing
lower sheets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치홍
Original Assignee
(주)넥스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컴스 filed Critical (주)넥스컴스
Priority to KR102006002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수 및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보강빔에 있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사다리꼴의 형태로 양측면과 일체화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중공을 가진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상부를 덮는 제 1 상부시트와; 상기 보강부의 양측면과 하부를 감싸면서 다수 적층되는 제 1 하부 시트와;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부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보강부를 감싸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와; 상기 보강빔을 감싸는 제 1 상부 시트와 제 1 하부 시트 상단의 양측에 수평으로 일정폭을 가지며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와;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서로 접합되며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삽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에 관한 것이다.
보강빔, 보조시트, 보강부, 건축용, 시트, 보조시트

Description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Reinforcement Bim for Contruct Building of Insert Part is Formed}
도 1은 보강부가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빔의 사시도,
도 2는 보강부가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부의 정면도,
도3은 삽입부가 형성된 보강빔의 정면도,
도 4는 삽입부가 형성된 보강빔의 사시도,
도 5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된 단면도,
도 6은 제1,2 상부 및 하부 시트 내부층에 보조시트가 부착된 보강빔의 측면도,
도 7은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리벳으로 결합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상부 시트 20 : 제 1 하부 시트
30 : 보강부 40 : 보강부 격벽사이의 중공
50 : 앵커볼트 60 : 삽입부
70 : 콘크리트 구조물 80 : 보조시트
90 : 리벳 100 : 수평접착부위
110 : 제 2 상부 시트 120 : 제 2 하부 시트
본 발명은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수 및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보강빔에 있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사다리꼴의 형태로 양측면과 일체화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중공을 가진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상부를 덮는 제 1 상부시트와; 상기 보강부의 양측면과 하부를 감싸면서 다수 적층되는 제 1 하부 시트와;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부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보강부를 감싸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와; 상기 보강빔을 감싸는 제 1 상부 시트와 제 1 하부 시트 상단의 양측에 수평으로 일정폭을 가지며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와;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서로 접합되며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삽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는 콘트리트의 내하력 보강에 의한 강판빔과와, 여러 장의 탄소 섬유시트를 적층시킨 시트판이 있다. 이 중 강판빔은 표면의 산화로 인한 강판표면에 박리와 부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설계대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내화성을 요구하는 장소에는 피복이 필요하고 또한 강판빔 설치시 그 무게에 따른 강판 매달기의 작업의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협소한 장소에서는 시공성이 매우 좋지 않은 단점이 있어 현재에는 거의 쓰이고 있지 않다.
그리고 시트판은 현재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시트의 적층 개수에 따른 시트판의 무게에 의한 경화중 박리현상, 공기증대 및 보강 내하력의 부족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에 따른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 하기위해 설치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내하력으로부터 인장력 및 굽힘강도를 증대시켜 주기 위해 내설된 연속되는 사각 단면을 갖는 중실축 형상의 보강부재가 폭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어 구성되는 보강부를 두어 종래의 보강빔의 단점을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단열, 방수, 가공성, 시공성, 접착성, 자기부력성, 난연성이 좋은 다공성 구조의 우레탄 및 하니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의 보강부는 폭방향을 따라 균등 배치되는 3개의 보강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내하력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배치 또한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균등 배치 하게된다.
그리고 보강부의 각 보강부재 표면으로는 보조시트가 다수 권취된 보조보강층이 형성되는데, 보조시트는 적어도 2겹 이상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보강빔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균등 배치되는 각 보강부재의 측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만약 보강부의 각 보강 부재가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게 배치되면, 권취되는 보조시트 또한 권취수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보조 보강층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층은 보조시트를 포함하는 보강부의 표면에 적층되는 제 1시트 및 제 2시트로 구성된다. 이 때 각 시트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중첩식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보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게 제 1시트인데, 제 1시트는 보강부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어 양측이 하향 절곡되다가 수평절곡되도록 상부에 적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 2시트는 보강부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제 2시트는 평편한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되어지도록 각 보강부재를 포함하도록 하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접착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벽면에 접착시킨뒤 앵커볼트로 고정시겼는데, 보강빔에 하중의 적용시 접착제로 접착된 부분이 박리되며, 이로인해 앵커볼트가 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앵커볼트로 인해 앵커볼트가 체결된 벽면에 균열이 생겨 보강빔이 벽에서 분리되어 보강빔이 적절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빔의 양단에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가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를 상향으로 수직되도록 굽혀진 구조로 구성된 삽입부가 형성된 보강빔을 접합하여 벽이나 천정에 삽입부가 삽입 되어지도록 형성된 홈에 삽입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의 외곽층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삽입시 접착력이 극대화 되도록하며, 내부층에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시트가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일정한 경사 각도로 교차되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수 및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보강빔에 있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사다리꼴의 형태로 양측면과 일체화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중공을 가진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상부를 덮는 제 1 상부시트와; 상기 보강부의 양측면과 하부를 감싸면서 다수 적층되는 제 1 하부 시트와;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부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보강부를 감싸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와; 상기 보강빔을 감싸는 제 1 상부 시트와 제 1 하부 시트 상단의 양측에 수평으로 일정폭을 가지며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와;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서로 접합되며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삽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보강부가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보강부가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로 감싸여진 보강부의 정면도이며, 도3은 삽입부가 형성된 보강빔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삽입부가 형성된 보강빔의 사시도이 며, 도 5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 내부층에 보조시트가 부착된 보강빔의 측면도이며, 도 7은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리벳으로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되어 보수 및 보강용 빔 양단에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접합된 수평접착부위(100)를 상향으로 수직되도록 굽혀 삽입부(60)를 형성한 구조의 보강빔을 접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70)에 삽입 되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 2 하부 시트(120) 내부층의 양측면에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시트(80)를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폭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된 형태로 부착하여 제 2 하부 시트(120)를 적층하고,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의 외곽층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는 앵커볼트(50)로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 되어진다.
종래의 보강빔은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되어 보수 및 보강을 하는데, 이 보강빔에 다각형의 형상으로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보강부(30)를 부착하여 보강빔이 제 성능을 발휘 하도록 한다. 그런데 보강부(30)만 부착하였을때 하중이 적용되면 보강부(30)가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보강부(30)의 상부 및 하부에 강화재와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의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를 다수겹 적층하여 보강부(30)를 감싸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는 수평접착부위(100)를 두어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의 내부층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시트(80)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는 알루미늄합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강빔의 보강부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의 양단에 접합되어 보강부(30)에 적층되는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구성되며, 상기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100)를 수직상방으로 굽혀 콘크리트 구조물(70)에 삽입한다.
즉, 상부 및 하부가 평행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절곡된 형태의 판이 상부 및 하부판과 일체화되며 중공에 다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부(30)의 상부 및 하부와 양측면에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를 다수겹 적층하여 보강부(30)를 감싸고,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는 일정폭을 가지며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100)가 상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접착부위(100)에는 앵커볼트(50)가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강화재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계 섬유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는 에폭시계 고분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비닐에스테르계, 폐놀계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로 감싸진 보강부(30)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보강부(30)의 상부 및 하부와 양측면을 감싸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진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다수겹 적층되며,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는 일정폭을 가지며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100)가 상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접착부위(100)에는 수직상방으로 굽혀져 콘크리트 구조물(70)에 삽입되는 삽입부(6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70)에는 삽입부(60)와 동일한 형태의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보강빔의 삽입부(60)가 삽입되어 보강빔이 고정된다.
이러한 보강빔의 구조에서, 보강부(30)를 감싸며 다수겹 적층되는 제 1,2 하부 시트(20,120)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지며, 각층마다 양측면에 보조시트(80)를 부착 하게된다.
즉, 제 1 하부 시트(20) 각층의 하측면과 양측면에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폭을 가지는 보조시트(80)가 수평으로 부착되고, 제 2 하부 시트(120) 각층의 양 측면에는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폭을 갖는 보조시트(80)가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어 부착된 형태로 부착되며, 제 2 하부 시트(120)의 하측면에는 제 1 하부 시트(20)의 하측면에 부착된 보조시트(80)가 연장되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의 단면과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의 단면이 접합되는 부위는 접착제로 접합되며,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의 단면이 접합된 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의 상,하측면과 내부에 위치한 보강부(30)의 상판과 하판에 수직으로 홀을 뚫어 리벳(Rivet)(90)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는 다수겹 적층이 되는데 각층마다 접착제가 도포되어 각층이 접착되고, 각층의 층수는 사용되는 곳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의 외곽층은 접착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강부(30)는 사용되는 곳에 따라 그 중공의 격벽 수를 조절하여 제작 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의 각층과 각층의 양측면과 하측면에 보조시트(80)와 삽입부(60) 및 제 1,2 상부 시트(10,110)가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될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 되는데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계 고분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비닐에스테르계, 폐놀계 고분자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는 여러번 도포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120)만으로 구성된 보강빔을 설치 했을시 하중이 적용되면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가 박리되거나 보강빔의 끝부분과 앵커볼트(50)가 콘크리트 구조물(7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로인해 벽이나 천정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보강부(30)가 연장된 부분에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를 적층하여 보강부(30)를 감싸고,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100)를 수직상방으로 굽힌 삽입부(60)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70)에 삽입함으로서 보강빔의 끝부분과 앵커볼트(50)가 분리되는 현상과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가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 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하부 시트(20)의 하측면과 양측면에 부착되는 보조시트(80)로 인해 하중의 적용시 보강빔에 적용되는 인장력과 압축응력 및 전단력등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빔의 인장력 및 굽힘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부 시트(20)의 하측면에 부착된 보조시트(80)가 제 2 하부 시트(120)의 하측면까지 연장되어 부착되고, 제 2 하부 시트(120)의 양측면에 일정폭을 갖는 보조시트(80)가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어 부착된 구조 배치되어 부착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에 하중의 적용시 발생하는 인장력과 압축응력 및 전단력등을 견디는 인장력 및 굽힘강도를 강화하여 보강빔이 콘크리트 구조물(70)에서 분리되거나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과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이 접합되는 부위는 접착제로 접합되며,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단면이 접합된 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와 내부의 보강부(30)의 상판에 수직으로 홀을 뚫어 리벳(Rivet)(90)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접합된 부위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보강부와 결합되어 보강부와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보강빔의 양단에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가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를 상향으로 수직되도록 굽혀 삽입부를 형성한 구조의 보강빔을 접합하여 벽이나 천정에 삽입부가 삽입 되도록 형성된 홈에 삽입하는 구조 구성되어 하중의 적용시 보강빔의 양끝단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상부 및 하부 시트의 외곽층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삽입할시 접착력이 극대화 되도록하며, 제 2하부 시트의 내부층에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져 일정폭을 갖는 보조시트가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어 부착된 구조 부착시키는 구조로 인장력을 극대화하여 하중의 적용시 상부 및 하부 시트가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수 및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보강빔에 있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사다리꼴의 형태로 양측면과 일체화되며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보강부(30)와;
    상기 보강부(30)의 상부를 덮는 제 1 상부시트(10)와;
    상기 보강부의 양측면과 하부를 감싸면서 다수 적층되는 제 1 하부 시트(20)와;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로 감싸여진 보강부(30)가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보강부(30)를 감싸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의 단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와;
    상기 보강빔을 감싸는 제 1 상부 시트(10)와 제 1 하부 시트(20) 상단의 양측에 수평으로 일정폭을 가지며 서로 접합되는 수평접착부위(100)와;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가 서로 접합되며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내삽되는 삽입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는 50%~80% 중량의 강화재 및 20%~50% 중량의 모재가 혼합된 FRP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재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계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는 에폭시계 고분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비닐에스테르계, 폐놀계 고분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시트(110,120)의 외곽층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 시트(120)는 다수겹으로 적층되되, 적층되는 각층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평방향을 기점으로 일정폭을 갖는 보조시트(80)가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의 단면이 접합된 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와 내부에 위치 한 보강부(30)의 상판이 연결되는 홀을 수직으로 뚫어 리벳(Rivet)(90)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60)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대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 1 상부 및 하부 시트(10,20)의 수평접착부위(100)에는 앵커볼트(50)가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접착부위(100)는 앵커볼트(50)로 콘크리트 구조물(7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60)와 제 1 상부 시트(10)는 콘크리트 구조물(70)에 부착될시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되며, 상기 제 1,2 상부 및 하부 시트(10,20, 110,120)의 각층은 접착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8.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계 고분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비닐에스테르계, 폐놀계 고분자 어느 한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KR1020060024366A 2006-03-16 2006-03-16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KR10061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366A KR100614916B1 (ko) 2006-03-16 2006-03-16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366A KR100614916B1 (ko) 2006-03-16 2006-03-16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916B1 true KR100614916B1 (ko) 2006-08-28

Family

ID=3760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366A KR100614916B1 (ko) 2006-03-16 2006-03-16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9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7763A (zh) * 2014-12-27 2015-04-29 华北水利水电大学 基于bim系统的钢结构检测方法
CN106703279A (zh) * 2017-03-16 2017-05-24 天津三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填充墙的管线暗埋施工的改进方法
CN106836806A (zh) * 2017-01-03 2017-06-1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用bim技术构筑异形混凝土结构及其过程中精度控制方法和装置
CN107463733A (zh) * 2017-07-20 2017-12-12 东易日盛家居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吊顶龙骨的排布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199A (en) * 1994-04-04 1996-01-30 Nelson; John Vandalism prevention device for highway bridges
JPH10231627A (ja) * 1997-02-19 1998-09-02 Shimizu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角柱の補強工法
KR20020073130A (ko) * 2000-01-13 2002-09-19 이모 에머고, 남로체 벤누트삽 보, 기둥, 판 등에 사용되는 외부 보강재
KR20040031757A (ko) * 2004-03-25 2004-04-13 김기태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공법
KR100478113B1 (ko) * 2003-11-19 2005-03-24 (주)넥스컴스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199A (en) * 1994-04-04 1996-01-30 Nelson; John Vandalism prevention device for highway bridges
JPH10231627A (ja) * 1997-02-19 1998-09-02 Shimizu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角柱の補強工法
KR20020073130A (ko) * 2000-01-13 2002-09-19 이모 에머고, 남로체 벤누트삽 보, 기둥, 판 등에 사용되는 외부 보강재
KR100478113B1 (ko) * 2003-11-19 2005-03-24 (주)넥스컴스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KR20040031757A (ko) * 2004-03-25 2004-04-13 김기태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7763A (zh) * 2014-12-27 2015-04-29 华北水利水电大学 基于bim系统的钢结构检测方法
CN104567763B (zh) * 2014-12-27 2017-04-26 华北水利水电大学 基于bim系统的钢结构检测方法
CN106836806A (zh) * 2017-01-03 2017-06-13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用bim技术构筑异形混凝土结构及其过程中精度控制方法和装置
CN106836806B (zh) * 2017-01-03 2022-05-06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用bim技术构筑异形混凝土结构及其过程中精度控制方法和装置
CN106703279A (zh) * 2017-03-16 2017-05-24 天津三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填充墙的管线暗埋施工的改进方法
CN107463733A (zh) * 2017-07-20 2017-12-12 东易日盛家居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吊顶龙骨的排布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51B2 (en) Self supportive panel system
CA2485804C (en) Wood-concrete-composite systems
US6588172B2 (en) Building panels with plastic impregnated paper
US20090205285A1 (en) Composite floor system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crete floor
US8516762B1 (en) Composite floor system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crete floor
CN101769030A (zh) 一种预制带钢骨肋混凝土底板
WO1998009034A1 (en) Modular building floor structure
KR100614916B1 (ko) 삽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보강빔
JP6281713B2 (ja) 高断熱の建物を構築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り構築された建物
US8776448B2 (en) Composite cantilevered balcony
AU3152593A (en) Reinforced composite building panel
US6324805B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ystem and reinforcing method at joint between structural members
JP4739032B2 (ja) 既存建物におけるスラブの補強構造
US20190257108A1 (en) Insulating and storm-resistant panels
JP2009155868A (ja) 建築構造物
JP2020165174A (ja) 木造建物の床パネル
CN215054128U (zh) 一种一体式保温墙板
JP7401377B2 (ja) 木造建物の床パネル
KR20034276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US7886873B2 (en) Panel-type construction element
KR1004781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EP2743423A1 (en) Bracing element
SE534802C2 (sv) Byggelement innefattande en trapetskorrugerad profil och fyllningar
WO2009131547A1 (en) Composite panel assemblies including separation prevention shear connectors
JP2000120227A (ja) Frp製屋根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