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060B1 - 회전식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식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060B1
KR100614060B1 KR1020027013290A KR20027013290A KR100614060B1 KR 100614060 B1 KR100614060 B1 KR 100614060B1 KR 1020027013290 A KR1020027013290 A KR 1020027013290A KR 20027013290 A KR20027013290 A KR 20027013290A KR 100614060 B1 KR100614060 B1 KR 10061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duit
bore
retainer
qui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471A (ko
Inventor
앙드레마이클제이
스자보죠지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parts inside the hos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퀵 커넥터는, 확대된 환상 플랜지를 구비한 도관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도관을 하우징 조립체 내에 잠그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회전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변위할 수 없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강성의 탑 해트가 제1 하우징 내의 보어 내에 고정·장착되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탑 해트 내의 환상 오목부가 도관 상의 플랜지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들은, 가요성 도관의 내부면과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식으로 맞물리는 하나의 하우징의 스템 상의 증분식 표시 가능한 리브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퀵 커넥터 {ROTATABLE 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형 커넥터 구성품과 암형 커넥터 구성품을 결합시키는 유체 퀵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커넥터 구성품을 암형 커넥터 구성품 내에 잠그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유체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스냅 체결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quick connector)는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 또는 공업 용도로서 유체 운반 도관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축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를 구비한 전형적인 퀵 커넥터의 경우, 리테이너는 암형 커넥터 구성품 또는 요소의 하우징 내의 보어 내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이들 다리부는 하우징 내에서 보어의 축방향 중심선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된다. 암형 구성품의 보어 내에 밀봉·장착되는 관 또는 수형 이음부(male fitting)는, 리테이너 다리부의 내부 주위면과 맞닿는 반경 방향 업셋부(upset portion) 또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베어링 또는 탑 해트(top hat)뿐만 아니라 시일(seal) 및 스페이서 부재가 리테이너보다 앞서 보어 내에 장착되어, 수형 이음부가 리테이너 다리부와 맞물려 잠겼을 때 하우징과 수형 이음부 사이에 시일을 형성한다.
하우징 또는 암형 구성품 내의 주요 관통 보어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정렬된 보어 또는 개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반경 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도 공지되어 있다. 이 반경 방향 변위식 리테이너에는, 수형 커넥터 또는 수형 도관이 암형 커넥터의 보어 내에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에만 수형 도관 상의 반경 방향 업셋부 또는 플랜지 뒤에서 미끄러지도록 크기와 위치가 결정된 한 쌍의 부속 다리부가 마련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로 인하여, 도관이 암형 커넥터와 확고하게 맞물려 잠길 수 뿐만 아니라, 도관이 완전히 안착되었다는 표시도 제공되는데, 왜냐하면 이 반경 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는 도관이 암형 커넥터의 보어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만 암형 커넥터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테이너의 형태와는 무관하게, 유체 커넥터의 구성품부 또는 암형 하우징은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환상 바브(barb)를 구비한 세장형 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바브는, 그 바브 위로 압박되는 호스 또는 도관과의 확실한 맞물림을 제공하여, 그러한 호스 또는 도관과 암형 하우징을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도관과 암형 구성품 간의 확실한 맞물림에 의해서, 축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를 갖도록 설계된 유체 커넥터의 암형 커넥터 부분 내의 축방향 관통 보어나, 반경 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암형 커넥터 내의 횡방향 보어의 개방 단부는, 관과 암형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의 관과 암형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둘레 방향의 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어떤 용례에서는 접근성이 제한되어 리테이너를 암형 구성품 내에 삽입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반경 방향식의 리테이너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주위 구성품과의 간섭은, 종종 잠그는 조작과 푸는 조작 모두를 위해 퀵 커넥터에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퀵 커넥터에 대한 리테이너 삽입의 용이성과 관련된 종래 퀵 커넥터의 문제를 극복하는 한편, 도관과 퀵 커넥터 간의 밀봉과 잠금 맞물림 측면에서 유체 퀵 커넥터의 모든 필요한 속성을 여전히 제공하는 유체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검증된 퀵 커넥터 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전술한 잇점을 달성하는, 그러한 유체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용이하게 리테이너를 퀵 커넥터에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쉽게 360°를 초과하여 회전할 수 있는 유체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도관과 제2 도관을 유체가 흐르는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 퀵 커넥터의 리테이너 수용부는, 리테이너를 퀵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함에 있어 리테이너 또는 퀵 커넥터의 리테이너 수용부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60°범위 전체를 초과하여 회전 또는 선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보어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갖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어부에는 제1 하우징을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에 밀봉하기 위한 시일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회전할 수는 있지만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는 없게 제1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보어를 갖는다. 상기 제1 도관을 제1 하우징에 결합시켜 잠그기 위해 제2 하우징 내에 리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환상 어깨부 또는 플랜지와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확대된 단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의 주된 연장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 내의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한 가지 변형례에서는, 상기 플랜지가 어깨부와 맞물릴 때까지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의 제1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또 하나의 변형례에서는, 상기 확대된 플랜지와 제1 하우징의 단부에 복수 개의 슬롯이 마련되고, 이들 슬롯은 상기 확대된 플랜지가 제2 하우징의 단부에 있는 환상 어깨부를 지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공칭 직경에 스냅(snap)될 때까지,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제2 단부를 통한 삽입을 위해 상기 단부 플랜지의 일부와 제1 하우징의 인접 부분이 반경 방향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보어 내에 위치한 강성 부재 또는 탑 해트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탑 해트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데, 이들 다리부의 원위단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와 맞물려 탑 해트가 제2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래치(latch)되게 하는 후크(hook) 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하우징 상의 확대된 플랜지를 상기 탑 해트 상의 플랜지와 제2 하우징 내의 어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억류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탑 해트 상의 확대된 플랜지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잠기는 상태로 압입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 또는 탑 해트는 한쪽 단부로부터 환상 오목부가 연장되는데, 이 오목부는 상기 제1 도관 상의 확대된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도관 플랜지는 제2 하우징으로 통해 축방향으로 횡방향 보어 앞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에는 대체로 편평한 단부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편평한 단부 표면은 상기 제1 도관 상의 플랜지와 맞물려 상기 제1 도관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서 횡방향 보어를 형성하는 큰 개구 중 하나에 웹이 형성되어, 그 큰 개구를, 상기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 중 하나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더 작은 개구로 분할한다. 상기 웹은 상기 리테이너의 제어 중에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부들의 단부가 안쪽으로 휘는 것을 제한하여, 리테이너가 과도하게 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상기 웹은 상기 리테이너의 보통의 삽입 및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현재의 이중 하우징 조립체 또는 단일 하우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의 팁 단부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또는 리브가 형성되어, 그 위에 장착된 가요성 도관의 내부면과 가압 상태로 맞물린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요성 도관과 하우징 간의 누설 경로 형성 및/또는 상기 가요성 도관과 하우징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는, 상기 가요성 도관과 하우징 간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하우징의 팁 단부 상에 캡이 장착되어, 그 하우징의 팁 단부와 가요성 도관의 매끄러운 연결을 촉진시킨다. 상기 캡은 서로 협동하는 돌 출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이들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캡의 보어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팁 단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캡을 하우징 상에 스냅식으로 장착한다.
본 발명의 회전식 퀵 커넥터는, 퀵 커넥터의 사용 위치가 기타 구성품과 인접함으로 인해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종래의 퀵 커넥터에서 흔히 생기는 불리한 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회전 가능한 하우징 내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퀵 커넥터의 리테이너 수용 하우징이 360°전체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식 퀵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를 독특하게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회전 가능한 특징을 갖춘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도관 삽입의 용이성과, 도관을 퀵 커넥터에 잠그는 큰 당김력(pullout force)의 측면에서 표준 퀵 커넥터의 모든 기능과 잇점을 유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종래의 퀵 커넥터에 비해 다른 잇점도 있다. 하우징 조립체에 장착된 탑 해트는 단일 하우징의 통상적인 퀵 커넥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도관의 확대된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한 환상 오목부를 한쪽 단부에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 상에는 암형 구성품 하우징 내의 횡방향 보어를 통한 삽입과, 도관 상의 확대된 플랜지와의 맞물림을 위한 대체로 편평한 단부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잇점 및 기타 용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조립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른 회전식 퀵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길이 방향 횡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전식 퀵 커넥터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길이 방향 횡단면 사시도.
도 7은 조립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회전식 퀵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립되어 있는 도 7에 도시된 퀵 커넥터의 길이 방향 횡단면 사시도.
도 10은 운반 상태에 있는 도 7에 도시된 회전식 퀵 커넥터의 사시도.
도 11은 조립되어 있는 도 7의 퀵 커넥터의 저면도.
도 12는 조립되어 있는 도 7의 퀵 커넥터의 부분 횡단면 단부도.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따라 구성된 퀵 커넥터(10)의 한 가지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퀵 커넥터(10)는 스냅식 상호 연결에 의해 유체가 새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봉하는 연결 방식으 로, 제1 도관(12)과 제2 도관(14)이 밀봉되어 잠기도록, 하지만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도관(12)은 전형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 형태는, 한쪽 단부에 테이퍼진 팁 단부(18)가 있고, 관통 보어(20) 및 확대된 환상 플랜지(22)가 상기 팁 단부(18)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 도관(14)은 플라스틱, 즉 나일론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제2 도관(1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퀵 커넥터(10)를 통해 연장되는 보어 및 제1 도관(12) 내의 보어(20)와 연통하는 내부 보어가 있다.
퀵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을 포함하며, 이들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대향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26)은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단일 본체로 형성되며,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융기한 환상 플랜지(30)로 형성된 계단식 외부면과, 상기 플랜지(30)로부터 연장되는 확대 직경부(32)와, 중간의 더 작은 직경부(34)와, 그 중간의 더 작은 직경부(34)로부터 제1 하우징(26)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환상 플랜지(38)까지 연장되는 넥다운(neck-down)부 또는 스템(36)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돌출부 또는 바브(40 및 42)가 스템(36)의 외부를 따라 형성되어 제2 도관(14)과 확실하게 맞물리며, 이 제2 도관(14)은 그 위로 활주 가능하게 압박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6)(그 중 네 개를 단지 예로서 사용하고 있음)가 제1 하우징(26)의 중간의 더 작은 직경부(34)와 바브(42) 사이에서 스템(36) 상에 형성된다. 제2 도관(14)이 그 공칭 직경으로 다시 수축하고, 그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제1 하우징(26)의 중간의 더 작은 직경부(34)와 바브(4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리브(46)가 제2 도관(14)의 내부면과 맞물려 제1 하우징(26)과 제2 도관(14)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게 된다.
환상 단부와 매끄럽게 합체되는 원뿔형 단부를 구비한 캡 형태의 단부 형상을 갖는 간섭 부재(50)가 제1 하우징(26)의 스템(36)의 단부 위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O링 형태인 시일 부재(52)가 바브(40)와 캡(50)의 환상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단부 형상의 간섭 부재 또는 캡(50)의 구조 및 작동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309,979호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 공동 계류 중인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독특한 양태에 따르면, 캡(50)에는 그 캡(50)의 환상 단부의 단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내부 환상 오목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50)에는 작은 직경의 보어, 보다 큰 직경의 보어 및 이들 두 보어를 연결하는 어깨부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51)의 크기는 캡(50)을 제1 하우징(26)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1 하우징(26)의 스템(36)의 단부 상의 환상 플랜지(38)와 맞물리도록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냅온(snap-on)식 구성을 캡(50)에 사용하는 것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26)과 함께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28)은, 예를 들면 나일론과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단일 본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28)은 환상의 제1 링 부재(60) 및 환상의 제2 링 부재(62)를 각각 포함한다. 이들 제1 링 부재(60) 및 제2 링 부재(62)는, 그들 제1 링 부재(60) 및 제2 링 부재(62)의 주위 엣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 다리부(64 및 66)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측부 다리부(64 및 66)의 한쪽 엣지를 따라 노치(67)가 형성되어 리테이너에 있는 상호 연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부 다리부(64 및 66)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제1 링 부재(60) 및 제2 링 부재(62)와 접합되어,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68 및 70)를 형성한다. 이들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68 및 70)는, 제1 링 부재(60) 내의 제1 보어로부터 제2 링 부재(62) 내의 제2 보어까지 제2 하우징(28)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보어와 연통한다.
각 측부 다리부(64 및 66)의 내부면을 따라 내부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홈(6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 부재(60) 및 제2 링 부재(62)를 통해 계속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독특한 특징에 의하면,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은 선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한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은, 제2 하우징(28) 내의 제1 링 부재(60)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80)와, 제1 하우징(26) 상의 확대된 단부 플랜지(30) 및 탑 해트(84) 상의 환상 플랜지(8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공된다.
탑 해트(84)는 일체형 부재 형태이며, 이 일체형 부재는 플랜지(82)로부터 돌출하는 환상 슬리브(86)를 구비한 강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전형적이 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보어(88)가 슬리브(86) 및 플랜지(82)를 통해 연장되어 제1 도관(12)의 단부를 수용하고, 제1 도관(12)의 팁 단부(18)가 그 관통 보어(88)를 통해 활주하게 한다.
도 3을 간략히 참조하면, 탑 해트(84) 상의 슬리브(86)의 단부면(90)은, 제1 하우징(26)을 관통하는 계단식 보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확대 직경 보어부와 제2의 더 작은 직경의 보어부(103)의 사이에 형성된 어깨부(98)에 인접한 위치에서 O링(92), 환상 스페이서(94) 및 다른 하나의 O링(96)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시일 및 스페이서 요소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계단식 보어는 제3의 더 작은 직경의 보어(105)도 포함하며, 이 보어는 제1 하우징(26)의 한쪽 단부에 있는 환상 플랜지(38)까지 스템(36)을 통해 연장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및 스페이서 요소(92, 96 및 94)는 제1 도관(12)의 팁 단부(18)가 탑 해트(84)를 통해 하우징(26) 내의 계단형 보어 내로 삽입되었을 때 제1 도관(12)의 외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린다. 탑 해트(84)의 슬리브(86)를 통해 형성된 보어(88)는 제1 도관(12)의 단부에 대한 지지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탑 해트(84)는 단부 돌출부 또는 후크(102)로 각각 종결되는 한 쌍의 다리부(100)에 의해 제1 하우징(26) 내에 제위치에 고정되게 유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리부(100) 상의 후크(102)는 제2 하우징(28) 내의 제1 링 부재(60)의 벽부 내에 형성된 개구(104)를 통해 활주한다. 탑 해트(84) 상의 다리부(100)는 제2 하우징(28)의 측부 다리(64 및 66) 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홈(65)을 통해 활주하여, 각 다리부(100)의 단부에 있는 후크(102)를 제2 하우징(28)의 제1 링 부재(60) 내의 개구(104) 중 하나와 정렬시킬 수 있다. 후크(102)는 제2 하우징(28) 상의 제1 링 부재(60)의 단부면 둘레에 스냅되어 탑 해트(84)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잠기게 한다.
이 위치에서, 탑 해트(84)는 제1 하우징(26) 상의 환상 플랜지(30)로부터 인접해서, 그러나 작은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6) 상의 환상 플랜지(30)는 제2 하우징(28)의 제1 링 부재(60) 내의 환상 오목부(80) 내에 위치한다. 이는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2 하우징(28)은 리테이너(110)를 횡방향 개구(68, 70)로부터 제2 하우징(28) 내로 삽입 또는 분리하기 위해, 제2 도관(14)이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26) 및 제1 도관(12) 모두를 중심으로 360°범위 이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테이너(110)는, 퀵 커넥터(10)에 사용될 수 있는, 미국 특허 제5,542,716호, 제5,730,481호, 제5,782,502호, 제5,863,077호 및 제5,951,068호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형상의 리테이너 중 단지 하나이다. 리테이너(110)는, 그 리테이너(110)가 먼저 제2 하우징(28) 내로 다리부를 삽입함에 따라, 리테이너(110)의 다리부(112 및 114)가 제1 도관(12)의 노출된 단부의 양측을 따라 지나가도록, 제2 하우징(28) 내의 횡방향 개구(68 및 70) 내에 수용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10)의 다리부(112 및 114)는 중간 교량부 또는 만곡부(bight)(116)의 양측에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다리부(112 및 114)는 내측 엣지(118)를 포함하며, 이 내측 엣지는, 리테이너(110)가 제2 하우징(28)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제1 도관(12)의 업셋 비드(upset bead) 또는 플랜지(22)의 한쪽 측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잠금"면을 형성한다. 이 방식으로, 각 리테이너의 다리부(112 및 114) 상의 잠금면(118)은 업셋 비드 또는 플랜지(22)가 제2 하우징(28)의 축방향 보어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 다리부(112 및 114) 상의 외팔보부(120)는 다른 다리부(114 또는 112)와 마주하고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는 탄성적으로 항복 가능한 표면을 형성한다. 이들 대향하는 반경 방향 표면(120)은, 리테이너(110)가 제2 하우징(28) 내로 완전 삽입되면 제1 도관(12)의 노출된 길이 방향 단부와 간섭하며 맞물려서 리테이너(110)가 제1 도관(12)에 잠기게 한다.
각 다리부(112 및 114)의 바닥부 상에는 한 쌍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엣지 또는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개구(70)를 통해 연장되고 제2 하우징(28)의 제1 링 부재(60) 및 제2 링 부재(62)의 외부면 주위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리테이너(110)가 제2 하우징(28) 내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잠기게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8)의 측부 다리부(64 및 66)의 내부면 상의 내부 홈(65)과도 맞물려서 리테이너(110)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끼운 상태(shipping position)에서 일시적으로 잠기게 한다.
퀵 커넥터(10)를 조립함에 있어, 제1 하우징(26)의 한 단부에 있는 플랜지(30)의 한쪽 엣지가 링 부재(60) 내의 오목부(80)에 의해 형성된 어깨부와 맞물릴 때까지, 제1 하우징(26)을 제2 하우징(28)의 제2 링 부재(62) 내의 보어(70)를 통해, 그리고 제1 링 부재(60) 내의 보어(68)를 통해 제1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한다. 그 후, O링(92 및 96)과 스페이서(94)를 제1 하우징(26)의 확대된 부분(32) 내의 제1 보어(101) 내로 삽입한다. 그 후, 플랜지(82)가 제1 하우징(26) 상의 플랜지(30)와 인접해서 위치할 때까지, 탑 해트(84)의 슬리브(86)를 제1 하우징(26) 내의 제1 보어부(101)를 통해 삽입한다. 이 때, 탑 해트(84)의 다리부(100) 상의 후크(102)는 보어(104)를 통해 활주하여 제1 링 부재(60)의 단부면 둘레에 걸리게 되어, 탑 해트(84)가 제2 하우징(28)에 잠기게 된다.
그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관(12)을 탑 해트(84) 내의 보어(88)를 통해 O링(92 및 96)과 스페이서(94)를 지나 제1 하우징(26) 내의 제2 보어부(103)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제1 도관(12)은 환상 플랜지(22)가 탑 해트(84)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 하우징(26) 내에 완전히 삽입된 위치임을 나타낼 때까지, 제1 도관(12)을 제1 하우징(26) 내로 삽입한다.
그 후, 리테이너(110)를 끼운 상태로부터 제2 하우징(28) 내의 횡방향 개구(68 및 70) 내로 밀어서 제1 도관(12)이 제1 하우징(26) 내에 고정되게 하며, 이 때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리테이너(116)의 다리부(112) 중 하나가 연장되어 그 자유 단부에 로킹 플랩(locking flap)(122)을 형성한다. 이 로킹 플랩(122)은 리빙 힌지(living hinge) 또는 더 얇은 두께의 유사한 교량 부재에 의해 다리부(112)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로킹 플랩(122)은 리테이너(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형성,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성형하고 난 후, 일체로 형성된 힌지 또는 별도의 결합 요소를 사용하여 다리부(112 또는 114) 중 하나와 힌지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플랩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로킹 플랩(122)은 리빙 힌지에서 선회하여 나머지 다리부(114)의 자유 단부와 서로 맞물려 잠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다리부(114) 내측부 상의 경사진 잠금 돌출부(ramped locking projection)가 다리부(112)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로킹 플랩(122)에 형성된 상보적인 슬롯과 서로 맞물려 잠김으로써 리테이너(110) 내에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다리부(112)뿐만 아니라, 로킹 플랩(122)이 축선 둘레로 선회하여 나머지 다리부(114)와 맞물려 잠기게 되면, 로킹 플랩(122) 상의 표면이, 제2 하우징(28)의 축방향 보어 내에 안착된 제1 도관의 업셋 비드(22)와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업셋 비드와 축방향으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로킹 플랩(122)은, 만곡부(116) 상의 잠금면(118)과 축방향으로 맞물린 원주 방향 측부 엣지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업셋 비드(22)의 원주 방향 측부 엣지부를 따라 그 업셋 비드(22)와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각 다리부(112 및 114) 에서 잠금면(118)과 축방향으로 맞물린 업셋 비드(22)의 원주 방향부에다 부가되었을 때, 퀵 커넥터(10)는, 업셋 비드(22)의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축방향 맞물림을 제공하여, 그 결과로 얻어지는 연결부의 누설 및 구조적 파괴를 야기할 수 있는 불리한 굽힘 모멘트의 생성을 제거할 수 있다.
리테이너(110)의 구조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미국 특허 제5,782,502호(이 특허의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함)를 참조하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10)의 제1 하우징(26)과 제2 하우징(28)은, 미국 특허 제5,542,716호 및 제5,951,063호에 개시되어 있는 다른 형태의 반경 방향 변위식 리테이너와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퀵 커넥터의 두 부분 간의 회전 가능한 연결은 미국 특허 제5,542,712호 및 제5,456,6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축방향 변위식 리테이너를 구비한 퀵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들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873,610호 및 제5,568,946호에 개시되어 있는 소위 "압착 해제(squeeze-to-release)"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템 또는 단부(128)가 변형된 제1 하우징(126)을 구비하는, 퀵 커넥터(10)와 유사한 퀵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1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스템(128)은 대체로 둥근 확대부(130)를 포함하여, 이 둥근 확대부는 도시하지 않은 제2 도관(14)의 한쪽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단부(132)로부터 떨어져 있다. 캡(50)과 유사하고, O링(52)을 포함하지만 내부 환상 오목부(51)는 갖지 않는 캡도 제1 하우징(126)에 채용될 수 있다.
그 외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퀵 커넥터(10)의 구조, 조립 및 작동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며, 제2 하우징(28)과, 제1 도관(12)을 수용하는 탑 해트(84)를 포함한다.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따라 구성된 퀵 커넥터의 또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퀵 커넥터(1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술한 퀵 커넥터(10)와 동일한 요소를 일부 공유하지만 약간 변형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퀵 커넥터(10)에서의 요소와 동일한 퀵 커넥터(140) 요소들에 대해서는 간략하게만 설명하며,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42)은 계단식 보어를 구비하며, 이 계단식 보어는 제1 하우징(142)의 확대된 단부 내의 확대 직경 보어부에서부터 제1 하우징(142)의 중간부(146) 내의 제2의 더 작은 직경의 보어부를 지나, 제1 하우징(142)의 제3 부분(148)을 통해 연장되는 제3의 더 작은 직경의 단부로 연장되어 제1 하우징을 관통한다. 비록 제1 하우징(142)이 90°엘보우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 하우징(142)은, 45°엘보우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26)에 대해 앞서 도시한 것과 유사한 통상적인 축방향 직선형 하우징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 내의 제1 보어부는 전술한 O링(92), 스페이서(94) 및 O링(96)을 수용한다.
또한, 제1 하우징(142)은 확대 직경 단부 플랜지(150)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슬롯(152)이 플랜지(150)를 관통하고 제1 단부(144)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142)에 형성되어 있다. 슬롯(152)은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가 제2 하우징(28) 내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될 때,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와 플랜지(15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퀵 커넥터(140)는, 제1 도관(12)을 제1 하우징(26) 내로 삽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하우징(142)을 제2 하우징(28) 내에 밀어 넣어(slide-in) 삽입한다는 점과, 커넥터(10)에서와 같이 밀어 넣음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사이에 스냅식 연결(snap-in connection)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커넥터(10)와 다르다.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의 연결 중에, 플랜지(150)의 주위 엣지가 먼저 제2 하우징(28)의 링 부재(60) 내의 보어의 단부와 맞물리게 된다. 이는, 플랜지(150)가 링 부재(60) 내에 형성된 오목부(106)에 들어갈 때까지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와 플랜지(150)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압박하게 된다. 그 후, 플랜지(150)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스냅되어, 제1 하우징(142)이 제2 하우징(28) 내에 잠기게 되어,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O링(92 및 96)과 스페이서(94)는, 제1 하우징(142)을 제2 하우징(28) 내에 삽입하기 전에 제1 하우징(142) 내에 미리 조립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플랜지(150)가 제2 하우징(28) 내의 오목부(106) 내에서 360° 회전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탑 해트(154)는 확대된 단부 플랜지(156)와, 그로부터 돌출하는 더 작은 직경의 환상 슬리브(158)를 포함한다. 그 슬리브(158)의 외경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의 제1 보어부 내에서 활주해서 O링(96)과 맞물림으로써, O링(92 및 96)과 스페이서(94)를 제1 하우징(142)의 제1 보어부 내의 제위치에 유지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플랜지(156)와 슬리브(158) 사이에서 탑 해트(154) 상에 형성된 어깨부(160)가, 제1 하우징(142) 상의 플랜지(150)의 엣지면과 인접해서 작은 틈새를 두고 위치하며, 플랜지(150)를 오목부(06)와 인접한 링 부재(60)의 내측 엣지와 어깨부(1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가두게 된다. 탑 해트(154)의 플랜지(15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8)의 링 부재(60)에 형성된 보어(106) 내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그러한 억지 끼워맞춤은, 플랜지(156)의 외경을 적절한 크기로 함으로써, 또는 플랜지(156)의 주위 측부 엣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변경 가능한 리브(16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리브(162)는 제2 하우징(28)에서의 링 부재(60)의 내부면과 맞물려 변형하여, 탑 해트(154)가 제2 하우징(28) 내의 소정 위치에 제1 하우징(142)의 플랜지(150)로부터 작은 틈새를 두고 압입되게 한다. 그렇게 해서, 제2 하우징(28) 내의 오목부(106)와 탑 해트(15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하우징(142)이 제2 하우징(28) 내에 가두어지게 되지만, 여전히 360°회전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166)의 삽입 또는 분리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제2 하우징(28) 내의 횡방향 개구(68 및 70)가 임의 위치로 회전하게 한다.
도 8에 도시한, 전술한 탑 해트(154)와 리테이너(166)의 특징들은, 제1 도관(12) 상의 플랜지(22)를 탑 해트(154) 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퀵 커넥터(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탑 해트(154)의 플랜지(156)의 단부에 환상 오목부(164)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오목부(164)의 외경과 깊이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내에 제1 도관(12)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제1 도관(12) 상의 환상 플랜지(22)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166)는 중간 만곡부(172)에 종속된 한 쌍의 다리부(168 및 17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미국 특허 제5,730,481호에 개시되어 있는 리테이너와 유사하다.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74 및 176)는 인접한 다리부(168 및 170)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떨어져 있는 자유 단부를 구비하며, 제1 도관(12)이 제2 하우징(28) 내에 완전 삽입되었을 때에만 제1 도관(12)의 원통부 둘레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려서 끼워지도록 치수가 결정되어 있다.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78 및 180)가 각 다리부(168 및 170)의 하측 부분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10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운반 위치에서 제2 하우징(28)의 측부 다리부(64 및 66) 내의 내부 홈(65)의 엣지와 맞물리거나,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측부 다리부(64 및 66)의 하부 엣지와 맞물림으로써, 결합된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내에 제1 도관(12)이 잠기게 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르면, 리테이너(166)에는, 제1 도관(12)이 제1 하우 징(142)과 제2 하우징(28) 내로 완전 삽입되었을 때 제1 도관(12) 상의 확대된 플랜지(22)의 측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형성하는 언더컷이 없다. 대신에, 리테이너(166)의 내부가 다리부(168 및 170)의 측부 엣지와 대체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그러나, 제1 도관(12)이 제1 하우징(142)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면, 리테이너(166)가 제2 하우징(28) 내로 완전 삽입되지 않도록 돌출부(174 및 176)가 여전히 저항할 것인데, 왜냐하면 확대된 플랜지(22)가 돌출부(174 및 176)와 간섭 위치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탑 해트(154) 내에 오목부(164)를 사용하는 것은, 커넥터가 회전 불가능한 하나의 하우징만을 포함하는, 앞서 제시한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른 퀵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퀵 커넥터(140)의 몇몇 독특한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 부재(60)와 제2 링 부재(62) 사이에서 웹 또는 플랜지(186)가 제1 하우징(26) 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86)는 횡방향 개구(70)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186)는 횡방향 개구(70)를 도면 부호 188로 지시된 두 개의 작은 슬롯형 개구로 분할한다. 각 개구(188)는 리테이너(166)의 측부 다리부(168 및 170)의 하측 단부를 수용하지만, 리테이너(166)를 제2 하우징(28)으로부터 분리하는 중에, 측부 다리부(168 및 170)의 하측 단부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크게 휘어 다리부(168 및 170)가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웹(186)은 앞서 제시한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커넥터에도 채 용될 수 있다.
도 10에는 제2 하우징(28)의 측부 다리부(64 및 66) 내에 각각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홈(65)도 도시되어 있다. 이 내부 홈(65)은 리테이너(166)의 측부 다리부(166 및 170) 상의 돌출부(178 및 180)를 스냅식 연결 방식으로 수용하여, 리테이너(166)를 도 10에 도시된 부분적으로 삽입된 끼운 상태로 유지한다.
리테이너(166)는 그 끼운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 결합된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내로 제1 도관(12)을 삽입하는 중에도 리테이너(166)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 제1 도관(12)이 제1 하우징(142)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라야, 전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66)가 제2 하우징(28) 내의 횡방향 개구(70)를 통해 완전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 커넥터(140)에는 제2 하우징(28)의 한쪽 단부와 인접해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90)가 형성되어 있는 독특한 표시(indexing)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90)에는 그 돌출부(190)가 휠 수 있게 하는 언더컷 측부 엣지(192)가 있다.
돌출부(1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42)이 제2 하우징(2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었을 때, 제1 하우징(142) 내의 슬롯(152) 중 임의의 것과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돌출부(190)가 슬롯(152) 중 하나와 맞물릴 때까지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중 하나가 나머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중 하나가 계속 회전하면 돌출부(190)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휘게 되어 슬롯(152) 중 하나로부터 해제되며, 돌출부(190)가 다음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슬롯(152)에 도달하여 그 안으로 스냅될 때까지 돌출부(192)가 제1 하우징(142)의 제1 단부(144)의 외부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의 상대 각도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설치자에게 촉감을 제공한다.
슬롯(152)과 돌출부(190)는 제 하우징(142)과 제2 하우징(28) 상에서 반대로 구성되어도 효과가 동일하다.
요약하면,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지만 축방향으로는 변위할 수 없는 두 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 중 하나는 리테이너를 수용해서 결합된 하우징부 내에 제1 도관을 연결시켜 잠기게 하여, 나머지 하우징부에 밀봉 장착된 밀봉된 도관과 유체 연통시키는 독특한 회전식 퀵 커넥터를 개시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테이너를 하우징으로부터 삽입 또는 분리하기에 더 편리한 위치로 리테이너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양태는 많은 상이한 퀵 커넥터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양태에 있어서, 하나의 하우징의 팁 단부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들 리브 또는 돌출부는 그 위에 장착된 가요성 도관의 내부면에 가압되게 맞물려서 관과 하우징 간의 회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매끄럽게 만곡 형상이거나 원뿔 형상인 외측 단부면을 구비한 캡이, 캡의 내부 보어 내에, 그리고 암형 하우징의 팁 단부 상에 형성된 서로 잠기는 방식의 플랜지와 오목부에 의해 고정·장착된다. 캡은 암형 하우징의 팁 단부와 가요성 관 또는 도관의 활주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 내의 횡방향 개구 중 하나 안에 웹이 형성되어 그 개구를 두 개의 더 작은 개구들로 분할하며, 이들 더 작은 개구는 리테이너의 한 측부 다리부의 단부를 각각 수용한다. 웹은, 리테이너를 암형 하우징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측부 다리부에 분리력을 인가하는 동안,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부들의 다리부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는 양을 제한한다. 이는 리테이너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우징 내에서의 보통의 삽입 위치 및 저장 위치 사이에서 리테이너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 내의 계단식 보어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일 요소를 따라 탑 해트가 장착된다. 이 탑 해트는 수형 도관의 확대된 플랜지를 수용하는 단부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수형 도관이 암형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에 수형 도관 상의 플랜지와 맞물리기 위한 편평한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33)

  1.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확대된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제2 도관을 유체가 흐르는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축방향 보어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관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할 수는 있지만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는 없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도관을 수용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시켜 잠그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상에 협동적으로 지지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이 장착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융기되어 있는 환상 플랜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환상 어깨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어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장착 수단은 탑 해트를 포함하고, 이 탑 해트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한 결합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환상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환상 어깨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인 퀵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해트를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탑 해트가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와, 이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개구와 맞물려 걸릴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내의 고정 위치에 압입된 상기 탑 해트를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해 삽입될 수 있는 것인 퀵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한쪽 단부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인 퀵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한쪽 단부 상의 플랜지 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을 더 포함하고, 이들 슬롯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중에 상기 제1 하우징의 한쪽 단부 상의 플랜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한쪽 단부 내의 어깨부를 빠져나올 때까지 상기 제1 하우징의 한쪽 단부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굴곡되게 하는 것인 퀵 커넥터.
  8.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확대된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제2 도관을 유체가 흐르는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축방향 보어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관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할 수는 있지만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는 없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도관을 수용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시켜 잠그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서로에 대해 증분식으로 잠금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협동적으로 배치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하나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게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나머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과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각각 복수 개의 슬롯과 복수 개의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것인 퀵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그 제2 하우징의 관통 보어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대향 개구에 의해 형성된 제2 보어를 포함하고, 이 제2 보어를 통해 상기 리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는 중간의 만곡부(bight)로부터 연장되는 대향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 상에는 돌출부가 상기 제2 하우징에서의 대향 개구에 인접한 엣지와 맞물리 도록 마련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잠기게하며,
    상기 대향 개구 중 하나만을 통해 웹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개구를, 상기 리테이너의 한쪽 다리부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더 작은 개구로 분할하며, 상기 웹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상기 리테이너의 다리부들이 안쪽으로 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인 퀵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관통 보어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방향 보어부에는 시일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 부재와 인접한 상기 제1 축방향 보어부 내에는 탑 해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탑 해트의 한쪽 단부로부터 환상 오목부가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 해트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보어에서 개방되며, 상기 환상 오목부는 상기 제1 도관 상의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도관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도관 상의 플랜지와 인접한 상기 제2 보어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측부 엣지를 구비하는 것인 퀵 커넥터.
  13.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확대된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제2 도관을 유체가 흐르는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축방향 보어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관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할 수는 있지만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는 없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도관을 수용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시켜 잠그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도관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하는 중에 상기 제2 도관의 내부면을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위로 매끄럽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캡과,
    상기 제2 도관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도관의 내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바브(barb)와 상기 캡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장착되는 시일과,
    상기 캡이 상기 제2 도관을 상기 시일 위로 안내하도록 상기 캡을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스냅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 수단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오목부 중 하나를 구비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와,
    매끄러운 외부면과 관통 보어가 있는 원뿔형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 상의 오목부와 돌출부 중 하나와 스냅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상기 캡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돌출부 중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관통 보어는 직경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보어의 직경 이상인 것인 퀵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관통 보어는,
    상기 캡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보어부와,
    상기 캡의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어부는 상기 제1 보어부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인 퀵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제1 보어와 제2 보어의 연결부에 형성된 어깨부를 더 포함하고, 이 어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위로의 상기 캡의 장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인 퀵 커넥터.
  18. 제1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확대된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제2 도관을 유체가 흐르는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축방향 보어부가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관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할 수는 있지만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는 없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도관을 수용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시켜 잠그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관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위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도관을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도관의 내부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비환상의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퀵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반경 방향 외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20. 제1 단부와 인접한 외부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축방향 보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제1 축방향 보어와 교차하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횡방향 보어와;
    단부벽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측부 다리부와, 상기 제1 도관이 상기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로부터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도관 상의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측부 다리부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1 표면을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의 횡방향 보어 내에 수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1 축방향 보어 내에 위치한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와 인접하여 상기 축방향 보어 내에 위치한 탑 해트와;
    상기 탑 해트의 한쪽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 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횡방향 보어에서 개방되며, 상기 제1 도관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도관 상의 플랜지를 수용하는 환상 오목부
    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탑 해트의 환상 오목부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도관 상의 확대된 플랜지의 축방향 길이와 대체로 동일하여, 상기 제1 도관 상의 확대된 플랜지의 거의 전부가 상기 탑 해트의 환상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것인 퀵 커넥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잠기도록 상기 횡방향 보어와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엣지와 맞물릴 수 있는 상기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부 상의 돌출부와,
    상기 횡방향 보어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개구 중 하나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개구를, 상기 리테이너의 한쪽 측부 다리부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더 작은 개구로 분할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리테이너의 측부 다리부들이 안쪽으로 휘는 양을 제한하는 웹
    을 더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 상에 형성된 비환상의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며, 이들 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와 제2의 가요성 도관 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 위로 압박되는 상기 제2 가요성 도관의 내부면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인 퀵 커넥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매끄러운 외부면과 관통 보어가 있는 원뿔형 캡과,
    상기 캡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의 돌출부와 스냅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상기 캡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퀵 커넥터.
  25. 제20항에 있어서,
    매끄러운 외부면과 관통 보어가 있는 원뿔형 캡과,
    상기 원뿔형 캡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 중 하나 상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중 하나가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퀵 커넥터.
  26. 제1 단부와 인접한 외부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상기 제1 도관의 제2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제1 축방향 보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이 상기 하우징 내의 제1 축방향 보어로부터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보어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을 제2 도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도관의 내부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비환상의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환상 바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퀵 커넥터.
  28. 제1 단부와 인접한 외부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상기 제1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축방향 보어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이 상기 하우징의 제1 축방향 보어로부터 축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횡방향 보어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매끄러운 외부면과 관통 보어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 위로 도관을 안내하는 원뿔형 캡과,
    상기 캡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의 돌출부와 스냅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상기 캡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
    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27013290A 2000-04-06 2001-04-06 회전식 퀵 커넥터 KR100614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493800P 2000-04-06 2000-04-06
US60/194,938 2000-04-06
US09/748,959 US6612622B2 (en) 2000-04-06 2000-12-27 Rotatable quick connector
US09/748,959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471A KR20020087471A (ko) 2002-11-22
KR100614060B1 true KR100614060B1 (ko) 2006-08-23

Family

ID=2689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290A KR100614060B1 (ko) 2000-04-06 2001-04-06 회전식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12622B2 (ko)
EP (1) EP1272789B1 (ko)
JP (1) JP3723505B2 (ko)
KR (1) KR100614060B1 (ko)
CN (1) CN1322263C (ko)
AU (1) AU2001251405A1 (ko)
BR (1) BR0109860B1 (ko)
DE (1) DE60134729D1 (ko)
ES (1) ES2379638T3 (ko)
WO (1) WO20010775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1885B2 (ja) * 2001-01-09 2007-01-24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FR2831217B1 (fr) * 2001-10-24 2004-04-09 Wecosta Filtre a air, conduit d'admission et ensemble constitue d'un filtre et d'un conduit d'admission de ce genre
US7708714B2 (en) * 2002-02-11 2010-05-04 Baxter International Inc. Dialysis connector with retention and feedback features
US8113547B2 (en) * 2002-03-22 2012-02-14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nap mount fluid quick connector
US7029036B2 (en) * 2004-03-09 2006-04-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US6905143B2 (en) * 2002-03-22 2005-06-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nduit quick connector and stuffer pack
US6824471B2 (en) 2002-09-06 2004-11-30 S. A. Armstrong Limited Motor and pump shaft connecting assembly with shaft locating jack ring
DE20213806U1 (de) * 2002-09-06 2004-01-15 Veritas Ag Steckkupplung
US7316428B2 (en) * 2002-10-07 2008-01-08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ion verifying device and connection verifying structure for a pipe and a connector
NO20040441L (no) * 2004-01-30 2005-08-01 Raufoss United As Koblingsdel til bruk i et system med strommende fluid, med i det minste þn koppformet hunndel.
KR100442993B1 (ko) * 2004-02-07 2004-08-05 (주)첨단엔프라 급수관 연결구
DE102004020505B4 (de) * 2004-04-22 2009-05-28 A. Raymond Et Cie Kupplung für ein Fluidleitungssystem
US7314209B2 (en) 2004-08-06 2008-01-01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tub out fluid quick connector with shut off valve interface
US7121592B2 (en) * 2004-09-10 2006-10-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valve
DE102004054467A1 (de) * 2004-11-11 2006-05-24 A. Raymond & Cie Sicherungsteil für eine Schnellkupplung
DE102006062894B4 (de) * 2005-06-30 2011-12-1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chutzkappe
US20070126232A1 (en) * 2005-12-05 2007-06-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upling with non-protective coated endform tip
US20070222214A1 (en) * 2006-03-24 2007-09-27 Gary Klinger Spin weld water attachments
DE102006047267B4 (de) * 2006-10-04 2010-02-04 A. Raymond Et Cie Kupplungsteil für eine Fluidleitungskupplung
US20090058082A1 (en) * 2007-09-05 2009-03-05 Green Ronald D Two-part quick connect retention attachment for flexible tubing in a water supply system
AT506088B1 (de) * 2007-12-14 2009-06-15 A & S Umwelttechnologie Ag Muffe zum verbinden von zumindest zwei rohren
US9555180B2 (en) 2008-11-21 2017-01-31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air from the patient's peritoneal cavity
US20100240007A1 (en) * 2009-03-19 2010-09-23 Joe Bria Dental Equipment Connection Joint
CN103429945A (zh) * 2011-02-11 2013-12-04 A·雷蒙德公司 快速接头
EP2686599B1 (en) 2011-03-18 2016-08-24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WO2012166546A2 (en) 2011-06-02 2012-12-06 A. Raymond Et Cie Connectors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US8371620B1 (en) * 2011-09-22 2013-02-12 Tsai-Chen Yang Quick connector
DE202011106817U1 (de) * 2011-10-18 2013-01-21 Neoperl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NO337626B1 (no) * 2013-11-15 2016-05-09 Maritime Promeco As Stigerørkonnektorsammenstilling
FR3017686B1 (fr) * 2014-02-14 2016-09-30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coulisse de verrouillage.
US10085750B2 (en) * 2014-10-22 2018-10-02 Covidien Lp Adapter with fire rod J-hook lockout
JP2016084842A (ja) * 2014-10-24 2016-05-19 ニッタ株式会社 バルブと継手の接続機構
US10085744B2 (en) * 2014-12-08 2018-10-02 Covidien Lp Loading unit attachment band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0117655B2 (en) * 2015-07-22 2018-11-06 Covidien Lp Loading unit locking band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0039913B2 (en) * 2015-07-30 2018-08-07 Carefusion 303, Inc. Tamper-resistant cap
US10458583B2 (en) 2015-08-31 2019-10-29 A. Raymond Et Cie Unlocking tool for a quick connector assembly
US9980730B2 (en) * 2015-09-21 2018-05-29 Covidien Lp Loading unit locking collar with rotational actuated release
KR101855014B1 (ko) * 2016-12-28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US10612707B2 (en) *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DE202018101116U1 (de) 2018-02-28 2019-05-31 Neoperl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EP3884195A1 (en) * 2018-11-23 2021-09-29 Oetiker Schweiz AG Multi-part connector assembly
JP6592686B1 (ja) * 2019-03-18 2019-10-23 株式会社ニチリン パイプ同士の接続用コネクタ
CN114585849B (zh) * 2019-10-08 2023-07-14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具有可更换限流孔板的快速连接件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357A (en) * 1974-11-13 1975-12-30 Gen Motors Corp Quick connect coupling with tandem snap rings
GB2077377A (en) 1980-06-11 1981-12-16 Craig Med Prod Ltd A tube connector
US4423892A (en) 1980-10-29 1984-01-03 Bartholomew Donald D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GB2165604B (en) 1984-10-11 1988-04-07 Guest John Ltd Releasable pipe couplings
US4664427A (en) 1985-04-01 1987-05-12 Master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fitting
US5165733A (en) * 1988-02-19 1992-11-24 Sampson Richard K Apparatus for connecting an elastic hose to a system
US5542712A (en) 1991-12-18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US5423577A (en) * 1992-01-17 1995-06-13 Bundy Corporation Tubing connector
DE69320545T2 (de) 1992-05-29 1999-03-18 Tokai Rubber Industries, Ltd., Komaki, Aichi Schlauchverbindung
US5275443A (en) * 1992-09-15 1994-01-04 Itt Corporation Sliding collar quick connect
US5456600A (en) 1992-11-09 1995-10-10 Ormco Corporation Coordinated orthodontic archwi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95140A (en) *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730481A (en) 1994-11-04 1998-03-24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542716A (en) 1994-11-04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568946A (en) 1994-12-14 1996-10-29 Itt Corporation Squeeze-to-release quick connector with snap-in retainer
US5951063A (en) 1995-06-07 1999-09-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having enhanced engagement
US5683117A (en) * 1995-12-14 1997-11-04 Flex Technologies, Inc.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US5782502A (en)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DE19619026A1 (de) 1996-05-10 1997-11-13 Trinova Gmbh Schnellkupplung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73610A (en) 1996-12-19 1999-02-23 Itt Automotive, Inc. Female connector member for large tolerance male member endforms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DE19722842C2 (de) * 1997-05-30 2001-04-12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US5853202A (en) * 1997-06-17 1998-12-29 Teleflex Incorporated Hose end fitting assembly
DE19735491C1 (de) * 1997-08-16 1998-07-1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US6155612A (en) 1997-11-17 2000-12-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ybrid quick connector
DE19831897C2 (de)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9860B1 (pt) 2010-06-15
KR20020087471A (ko) 2002-11-22
BR0109860A (pt) 2005-01-11
JP2004518911A (ja) 2004-06-24
WO2001077562A2 (en) 2001-10-18
US20010048225A1 (en) 2001-12-06
AU2001251405A1 (en) 2001-10-23
EP1272789B1 (en) 2008-07-09
DE60134729D1 (de) 2008-08-21
EP1272789A2 (en) 2003-01-08
CN1422372A (zh) 2003-06-04
CN1322263C (zh) 2007-06-20
ES2379638T3 (es) 2012-04-30
JP3723505B2 (ja) 2005-12-07
WO2001077562A3 (en) 2002-05-16
US6612622B2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060B1 (ko) 회전식 퀵 커넥터
US8282139B2 (en)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EP0868626B1 (en) Improved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US4943091A (en) Quick connector
US6371529B1 (en) Quick connector with swivelable retainer housing
JP4180567B2 (ja) 薄型の流体用クイックコネクタ
US7029036B2 (en)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JP2004518911A5 (ko)
US5570911A (en) Alignment system for hub connector
JP3674390B2 (ja) クィックコネクターカップリング及び雌ハウジング
KR100892014B1 (ko) 삽입 및 잠금형 라인 커넥터
US20030137148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non-rotation conduit engaging ribs
JP2008163976A (ja) コネクタ
US6010160A (en) Quick connector having ring for confirming proper connection
JP2003232481A (ja) 管継手
US1121530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JP2008281190A (ja) ヘッダーと管継手との接続構造
EP1724511B1 (en) Quick connector with a retainer
WO2024067572A1 (en) Connector assembly
EP0824646A1 (en) Quick connector having ring for confirming proper connection
US20060087118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JP2023100088A (ja) 接続構造
JP2019086155A (ja) 管継手
CN112096991A (zh) 用于连接阳接头和柔性管的快速连接器
JPH0413658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