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660B1 - Foldable bed - Google Patents

Foldable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660B1
KR100613660B1 KR1020030063046A KR20030063046A KR100613660B1 KR 100613660 B1 KR100613660 B1 KR 100613660B1 KR 1020030063046 A KR1020030063046 A KR 1020030063046A KR 20030063046 A KR20030063046 A KR 20030063046A KR 100613660 B1 KR100613660 B1 KR 10061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mounting frame
auxiliar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1581A (en
Inventor
도루 하라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Publication of KR2004003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2Folding bedsteads foldable head to foot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Abstract

긴 침대면을 확보하면서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베드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folding bed that can be stored compactly while securing a long bed surface.

침구를 재치하는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S1)에 제 1 지지다리부(4A)를 설치한 제 1 베드 프레임체(5A)와, 침구를 재치하는 제 2 재치 프레임(3B)의 일단측(S1)에 제 2 지지다리부(4B)를 설치한 제 2 베드 프레임체(5B)를 가지고, 또한 제 1 재치 프레임(3A)과 제 2 재치 프레임(3B)을, 각 재치 프레임(3A,3B)이 수평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와, 각 지지다리부(4A,4B)가 접근하여 각 재치 프레임(3A,3B)을 역V자 형상으로 접은 수직상태 사이에서 접기와 전개가 가능하게 연결한 접이식 베드(1)이다. 적어도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S1)에,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상기 일단측(S1)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10)이 연결된다. 보조 프레임(10)은, 수직상태에서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대해 구부릴 수 있다. 1st bed frame body 5A which provided the 1st support leg part 4A in one end side S1 of the 1st mounting frame 3A which mounts bedding, and the 2nd mounting frame 3B which mounts bedding. It has 2nd bed frame body 5B which provided the 2nd support leg part 4B in the one end side S1 of the 1st frame, and also puts the 1st mounting frame 3A and the 2nd mounting frame 3B into each mounting frame. Folding and unfolding are possible between the unfolded state in which 3A and 3B are developed horizontally and the vertical state in which each supporting leg 4A and 4B approaches and each mounting frame 3A and 3B is folded in an inverted V shape. It is a folding bed (1) connected. The auxiliary frame 10 which receives at least one end S1 of the first placing frame 3A horizontally in the unfolded state so as to receive the bedding protruding from the one end S1 of the first placing frame 3A. This is connected.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bent relative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in the vertical state.

침구, 재치 프레임, 지지다리부, 베드 프레임, 이음 부재, 보조 프레임, 맞닿음부, 차륜. Bedding, mounting frame, supporting leg, bed frame, joint member, auxiliary frame, abutment, wheel.

Description

접이식 베드{FOLDABLE BED}Foldable Bed {FOLDABLE 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접이식 베드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eloped state of a folding bed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그 평면도, 2 is a plan view thereof;

도 3은 그 저면도, 3 is a bottom view thereof;

도 4는 그 측면도, 4 is a side view thereof;

도 5는 제 1 지지다리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first support leg;

도 6은 중간 지지다리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n intermediate support leg;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베드의 모식도, 7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ing bed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8의 (A), (B)는 보강재의 단면도, (A),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material,

도 9는 일으켜 세우기 수단의 부착 금구를 설명하는 측면도,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bracket of the raising means;

도 10은 도 2의 부분확대 평면도, 10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 2;

도 11은 도 10의 A부 확대도,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0;

도 12는 도 11의 B방향으로 본 도면, 12 is a view in the direction B of FIG. 11;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베드의 수직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vertical state of the folding bed of this embodiment;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베드의 전체 사시도, 1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ed showing another embodiment;

도 15는 그 보조 프레임 부근의 확대 사시도,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near the auxiliary frame;

도 16은 그 단면도,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접이식 베드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deployed state of the foldable bed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8은 그 접기도중의 측면도, 18 is a side view during the folding;

도 19는 그 수직상태의 측면도, 19 is a side view of the vertical state;

도 20은 보조 프레임 근방의 확대 사시도, 2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auxiliary frame;

도 21은 종래의 접이식 베드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21 is a side view showing a deploy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도 22는 그 접기도중의 측면도, 22 is a side view during the folding;

도 23은 종래의 접이식 베드의 수직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23 is a side view showing a vertical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접이식 베드 2A,2B: 침구1: folding bed 2A, 2B: bedding

3: 재치 프레임 3A: 제 1 재치 프레임3: wit frame 3A: first wit frame

3B: 제 2 재치 프레임 4: 지지다리부3B: 2nd mounting frame 4: support leg part

4A: 제 1 지지다리부 4B: 제 2 지지다리부4A: 1st support leg part 4B: 2nd support leg part

5A: 제 1 베드 프레임체 5B: 제 2 베드 프레임체5A: first bed frame 5B: second bed frame

7: 중간 지지다리부 8: 이음 부재7: middle support leg 8: joint member

9: 일으켜 세우기 수단 10: 보조 프레임9: raising means 10: auxiliary frame

55: 맞닿음부 92: 제 1 차륜55: contact portion 92: first wheel

100: 보조 차륜100: auxiliary wheel

본 발명은, 긴 침대면을 확보하면서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베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bed that can be stored compactly while securing a long bed surface.

도 21에는, 종래의 접이식 베드(a)의 전개 상태의 1예를 도시한다. 21 shows an example of a develop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a.

이 접이식 베드(a)는, 제 1 베드 프레임(b1)과, 제 2 베드 프레임(b2)의 마주 대하는 타단측을, 중간 지지다리부(f)를 구비하는 이음 부재(e)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This foldable bed (a) is rotatable freely by a joint member (e) having an intermediate support leg (f) on the other end side facing the first bed frame (b1) and the second bed frame (b2). It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상기 제 1 베드 프레임체(b1)는, 침구의 대략 반을 재치(載置)할 수 있는 제 1 재치 프레임(c1)과, 이 제 1 재치 프레임(c1)의 일단측에 설치된 제 1 지지다리부(d1)를 포함한다. 동일하게, 제 2 베드 프레임체(b2)는, 침구의 타방의 대략 반을 재치할 수 있는 제 2 재치 프레임(c2)과, 이 제 2 재치 프레임(c2)의 일단측에 설치된 제 2 지지다리부(d2)를 포함한다. The said 1st bed frame body b1 is the 1st mounting frame c1 which can mount about half of bedding, and the 1st support leg provided in the one end side of this 1st mounting frame c1. Section d1. Similarly, the 2nd bed frame body b2 has the 2nd mounting frame c2 which can mount about half of the other of bedding, and the 2nd support leg provided in the one end side of this 2nd mounting frame c2. Part d2.

각 지지다리부(d1,d2)는 차륜(k)을 구비한 이동 다리이며, 제 1, 제 2 지지다리부(d1,d2)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이 접이식 베드(a)는,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V자 형상으로 수직상태까지 접을 수 있다. Each support leg part d1 and d2 is a moving leg provided with the wheel k, and this folding bed a is fold | folded by folding in the direction which approaches the 1st and 2nd support leg parts d1 and d2. As shown in FIG. 22, FIG. 23, it can be folded to a vertical state in inverted V shape.

그런데, 근년에는, 키가 큰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 이러한 사용자에 맞추어서 길이가 큰 소위 롱 사이즈(예를 들면 표준길이를 200cm로 할 때, 210cm, 220cm 등)의 침구(요 등)가 판매되고 있다. 그렇지만,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롱 사이즈의 침구(m)는, 종래의 표준적인 접이식 베드(a)에서 사용하면, 일단 측에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고, 벗어나 떨어지기 쉬워지는 등 외관과 사용성 모두 나쁘다. 그래서, 상기 제 1 내지 제 2 재치 프레임(c1,c2)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각각 크게하여, 롱 사이즈의 침구(m)에 대응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수직상태로 접었을 때에 접힌 높이(h)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수납 모양이 대형화 하는 등 수납성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By the way,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all users is increasing. In addition, according to such a user, a so-called long size (such as 210cm, 220cm, etc.) having a large length (for example, a standard length of 200cm) is sold. However, as shown in FIG. 21, when the long-sized bedding m is used in a conventional standard folding bed a, it is often protruded to the side, and it is easy to fall off. Both bad and usability. Therefore, it is also conceivable to increase the lengths of the first to second mounting frames c1 and c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correspond to the long-size bedding m. In this case, however, the folded height h tends to increase when folded in the vertical state shown in FIG.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어도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는 동시에, 이 보조 프레임을, 베드를 접는 수직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에 대해 구부릴 수 있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긴 침대면을 확보하면서도 수납시에는 높이를 줄여서 소형화가 가능한 접이식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to receive bedding protruding from the one end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being held horizontally in an unfolded state.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frame can be bent relative to the first mounting frame in a vertical state in which the bed is folded, thereby providing a folding bed that can be reduced in size by reducing its height during storage while ensuring a long bed surface. It is aimed at.

본 발명중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침구를 재치하는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제 1 지지다리부를 설치한 제 1 베드 프레임체와, 침구를 재치하는 제 2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제 2 지지다리부를 설치한 제 2 베드 프레임체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과 제 2 재치 프레임의 마주 대하는 타단을, 이 제 1, 제 2 재치 프레임이 수평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와, 제 1, 2의 지지다리부가 접근하여 상기 제 1, 제 2 재치 프레임을 역V자 형상으로 접은 수직상태 사이에서 접기와 전개가 가능하게 연결한 접이식 베드로서, 적어도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지지다리부에는,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수직상태로의 접기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과 맞닿고, 이 보조 프레임을 제 1 재치 프레임에 대하여 구부러지게 하는 맞닿음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베드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ncludes a first bed frame body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leg on one end of a first placing frame on which bedding is placed, and a second on one end of a second placing frame on which bedding is placed. The second bed frame body provided with the support leg part,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1st mounting frame and the 2nd mounting frame, the expanded state in which this 1st, 2nd mounting frame spreads horizontally, A folding bed in which the support legs of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can be folded and developed between the vertical states of folding the inverted V-shape, and at least at one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The auxiliary frame which receives the bedding which protrudes from the said one end side of this 1st mounting frame by maintaining horizontal in the said expanded state is connected, and the said 1st support leg part is a said, It abuts with the auxiliary frame by the folding operation in the vertical position from the one state, a folding bed to the auxiliary frame, wherein the abutment portion is installed to be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frame.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에 피벗지지 핀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동시에, 스토퍼에 의해 상기 수평으로 유지되게 되고, 게다가, 상기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수평 상태로의 전개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맞닿음부로부터 이간하여 그 자중에 의해 피벗지지 핀 주위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접이식 베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s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by a pivot support pin, and is held horizontally by a stopper, and further, from the vertical state to the horizontal state. The auxiliary frame is a foldable b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rotated about its pivot support pin by its own weight to be held horizontally by the stop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보조 프레임은, 그 상면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면과 대략 동일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접이식 베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folding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in the expanded state.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 1 베드 프레임체는, 상기 일단측에, 전개 상태에서 마룻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또한 수직상태에서 상기 수직상태로 마룻바닥면에 접지하여 제 1 재치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차륜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전개 상태에서 보조 차륜의 상부에 보조 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접이식 베드이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first bed frame body floats on the one end side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deployed state and is grounded on the floor surface in the vertical state in the vertical state to support the first mounting frame. The auxiliary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s provided and an auxiliary fram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wheel in the deployed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베드는, 적어도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연속인 긴 침대면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이 큰 사용자가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길이가 큰 소위 롱 사이즈의 침구를 사용한 경우라도, 그 벗어나 떨어짐 등을 방지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베드는 접을 때 제 1 재치 프레임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조 프레임이 자동적으로 접혀 수납되어 사용에 상당히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which the auxiliary frame which receives the bedding protru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being horizontally held in the deployed state, As a result, a substantially continuous long bed surface can be secured. Therefore, a user with a large elongation can suitably use, and even when a so-called long-size bedding with a large length is used,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bed of claim 1 is folded, the auxiliary frame protruding from the first mounting frame is automatically folded and received, which is quite convenient for use.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과 같이, 수직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베드를 전개하면, 보조 프레임이 스스로의 자중에 의해 수평이 되고, 또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when the bed is deployed in a horizontal state from a vertical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xiliary frame is leveled and maintained by its own weight.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베드의 미관을 손상시키기 쉬운 보조 차륜의 전부 내지 주요부를, 보조 프레임으로 덮음으로써 눈가림 할 수 있다. 따라서, 베드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Moreover, in invention of Claim 4, it can be blinded by covering all or main part of the auxiliary wheel which is easy to damage the aesthetics of a bed with an auxiliary frame. Therefore, the aesthetics of the bed can be improv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1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베드(이하, 단지 「베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1)의 전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그 평면도, 도 3은 동 저면도, 도 4는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FIG. 1: is a whole perspective view of the foldable bed (henceforth only a "bed") of this embodiment (1). FIG. 2 is a top view, FIG. 3 is a bottom view, FIG. 4 is a side view. Are shown respectively.

도면에서, 본 실시형태의 베드(1)는, 침구를 재치할 수 있는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S1)에 제 1 지지다리부(4A)를 설치한 제 1 베드 프레임체(5A)와, 침구를 재치할 수 있는 제 2 재치 프레임(3B)의 일단측(S1)에 제 2 지지다리부(4B)를 설치한 제 2 베드 프레임체(5B)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3A)과 제 2 재치 프레임(3B)의 마주 대하는 타단측(S2,S2)은, 상기 각 재치 프레임(3A,3B)이 수평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도 1∼4에 도시한다.)와, 각 지지다리부(4A,4B)가 접근하여 각 재치 프레임(3A,3B)이 역V자 형상으로 접히는 수직상태(도 13에 도시한다.) 사이에서 접기와 전개 가능하게 피벗결합 되어 있다. In the drawing, the be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ed frame body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on one end side S1 of the first placing frame 3A on which bedding can be placed ( 5A) and the 2nd bed frame 5B which provided the 2nd support leg part 4B in the one end side S1 of the 2nd mounting frame 3B which can mount a bedding. The other end side S2, S2 which opposes the said 1st mounting frame 3A and the 2nd mounting frame 3B is in the development state in which each said mounting frame 3A, 3B is developed horizontally (FIGS. 1-4). And the support legs 4A and 4B approaching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mounting frames 3A and 3B can be folded in an inverted V shape (shown in FIG. 13) to allow folding and deployment. Pivoted.

본 형태의 제 1, 2 재치 프레임(3A,3B)은, 예를 들면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주위 프레임(21)과, 이 주위 프레임(21)의 본 예에서는 중앙부에 고착되고 또한 베드 중심선(X) 방향으로 뻗는 하(下)개방의 홈형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재(21a)와, 주위 프레임(21)이 둘러싸는 비어있는 곳에 본 예에서 툇마룻바닥 형상으로 이격하여 설치된 나무성질의 재료(22…)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드(1)는, 도 2에 도시하는 각 재치 프레임(3A,3B)의 길이의 길이(상기 X방향의 길이)(L1,L1)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전개 상태에서, 예를 들면 길이 치수가 200cm의 소위 표준 사이즈의 침구를 재치할 수 있는 연속된 침대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3A and 3B of this embodiment are fixed to the center part in the peripheral frame 21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using a pipe material, and in this example of this peripheral frame 21, Reinforcement material 21a which consists of a lower opening groove shape extended in the bed center line X direction, and the wood-like material which is spaced apart in this example in the shape of a hardwood floor in the empty place which the surrounding frame 21 surrounds. (22 ...) is illustrated. As for the bed 1 of this embodiment, the length (length in the said X direction) L1, L1 of the length of each mounting frame 3A, 3B shown in FIG. 2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reby, in the expanded state, for example, the continuous bed surface which can mount the so-called standard size bedding of length 200cm can be formed.

또 주위 프레임(21)에는, 베드 중심선(X)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부(21b)의 상기 각 일단측(S1)에, 각각 제 1, 제 2 지지다리부(4A,4B)가 피벗식 부착 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제 2 재치 프레임(3B)의 주위 프레임(21)에는, 그 일단측(S1)에 위치하는 후측 프레임부(21c)에 궁(宮)형상 프레임(21d)이 기립해 있다. 이 베드(1)는, 보통, 이 궁형상 프레임(21d)측을 사용자의 머리부측으로 하여 사용된다. In the peripheral frame 21, first and second supporting leg portions 4A and 4B, respectively, on the one end side S1 of the side frame portion 21b forming both sides with the bed center line X interposed therebetween. Is pivotally attached. In the present example, the arch frame 21d stands up in the peripheral frame 21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3B at the rear frame portion 21c located at one end side S1. The bed 1 is usually used with the arched frame 21d side as the user's head side.

제 1, 제 2 지지다리부(4A,4B)는, 본 예에서는 베드 중심선(X)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치된 L자 형상의 L자 프레임(24)과, 베드 폭방향으로 뻗어 이 좌우의 L자 프레임(24)을 일체로 연결하는 이음재(23)와, 이 이음재(23)에 고착된 보조 다리(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L자 프레임(24)은, 예를 들면 수직으로 뻗는 지주부(24a)와, 그 하단에서 일단측(S1)에 구부러져서 뻗어 있고 또한 선단 하면에 캐스터(C1)가 설치된 연장부(24b)로 구성된다. 또 보조 다리(25)는, 본 예에서는 이음재(23)의 길이의 거의 중간위치에 고착되고 또한 타단측(S2)을 향해서 작은 길이로 구부러지는 L자 형상의 보조편(25a)과, 그 선단부에 설치된 접지(接地)가능한 캐스터 륜(C2)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leg portions 4A and 4B extend in the bed width direction with the L-shaped L-shaped frame 24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bed center line X interposed therebetween. The joint member 23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L-shaped frame 24 and the auxiliary leg 25 fixed to the joint member 23 are illustrated. The L-shaped frame 24 is, for example, a support portion 24a extending vertically, and an extension portion 24b which is bent from the lower end to one end side S1 and extends, and the caster C1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urface. It is composed.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auxiliary leg 25 is L-shaped auxiliary piece 25a, which is fixed at an almost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length of the joint member 23 and is bent in a small length toward the other end side S2, and its tip portion. The caster wheel C2 which can be grounded is provided in the.

또 L자 프레임(24)의 각 지주부(24a)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28)가 고착되어 있다. 이 부착 금구(28)는, 지주부(24a)의 외측면 또한 상방에 부착하는 상부착부(26)와, 내측면 또한 하방에 부착하는 하부착부(27)를 포함한 다. 상부착부(26)와, 주위 프레임(21)의 좌우의 측면 프레임부(21b)의 내주면은, 피벗결합 핀(Ps)을 사용하여 경동(傾動)가능하게 피벗식 부착 된다. 또 전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부(21b)의 투과구멍(42)과, 지주부(24a)의 투과구멍(43)에 핀(45)을 꽂아 넣음으로써, 제 1 재치 프레임(3A)과 제 1 지지다리부(4A)가 경동하는 것을 막아, 이 전개 상태를 구속할 수 있다. 또, 하부착부(27)에는, 링크편(19)(후술)이 연결된다. 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bracket 28 is fixed to each support part 24a of the L-shaped frame 24. As shown in FIG. The attachment bracket 28 includes an upper attachment portion 26 attached to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4a, and a lower attachment portion 27 attached to the inn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upper attachment portion 2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 portions 21b of the circumferential frame 21 are pivotally attached by pivoting pins Ps. In the expanded state,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the first frame are inserted by inserting the pin 45 into the permeation hole 42 of the side frame portion 21b and the permeation hole 43 of the support portion 24a. 4 A of support leg parts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and this expanded state can be restrained. Moreover, the link piece 19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mounting portion 27.

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2 재치 프레임(3A,3B)의 상기 타단측(S2)은, 이음 부재(8)를 통하여 핀(P1,P2)(도 4에 도시함)에서 피벗결합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음 부재(8)는, 측면 프레임부(21b)가 마주 대하는 단부인 돌출부(21f,21f)를 피벗식 부착하는 좌우 양측의 연결 금구(29,29)와, 이 연결 금구(29,29)사이를 잇는 결합판(30)을 포함한다. 또한 이 결합판(30)에는, 하방으로 수하(垂下)하여 전개 상태로 마룻바닥면에 접지할 수 있는 중간 지지다리부(7)가 고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other end side S2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3A and 3B is connected to the pins P1 and P2 (shown in FIG. 4) through the joint member 8. Pivoted. The joint member 8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connecting brackets 29 and 29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pivotally attach the protrusions 21f and 21f, which are end portions facing the side frame portion 21b, and the connecting bracket 29 , 29) is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30). In addition, the coupling plate 30 illustrates that the intermediate support leg 7 which can be grounded downward and grounded to the floor surface in a deployed state is fixed.

연결 금구(29)는, 바닥편(29a)와, 그 양측에서 기립하는 측편(29b,29b)을 갖는 상방 개방의 홈형상을 이루고 있다. 바닥편(29a)은, 그 전단, 후단을 절결함으로써, 측면 프레임부(21b,21b)를 수직하게 아래로 구부리기 위한 절결부(29a1)가 형성된다. 또 연결 금구(29)는, 예를 들면 하방 개방의 홈형 형상의 커버(35)에 의해 상면이 덮힘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전성을 높인다. 또한 도 6에서는, 돌출부(21f)를 피벗식 부착하는 핀이 도시 생략되어 있다. The connecting bracket 29 forms the groove shape of the upper opening which has the bottom piece 29a and the side pieces 29b and 29b which stand up from both sides. The bottom piece 29a is formed with notches 29a1 for bending the side frame portions 21b and 21b vertically downward by notching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racket 29 is covered by, for example, a groove-shaped cover 35 having a downward opening, thereby improving appearance and increasing safety. 6, the pin which pivotally attaches the protrusion part 21f is abbreviate | omitted.

중간 지지다리부(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지주부(32,32)와, 이 사이를 잇는 다리받침 프레임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받침 프레임부(34)는, 중앙에서 위로 볼록하게 만곡하는 융기부(33)를 갖는다. 본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지지다리부(7)의 지주부(32)의 상부측에, 부착 금구(36)가 고착된다. 이 부착 금구(36)는, 본 예에서는 전후로 뻗는 판형상을 이루고, 지주부(32)에 용착되어 있다. 부착 금구(36)에는, 지주부(32)의 양측에서 개구하는 투과구멍(37b,37b)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leg part 7 is comprised with the strut parts 32 and 32 arrange | positioned at both sides, and the leg support frame part 34 which connects between these. The legrest frame portion 34 has a ridge portion 33 that curves convexly upward from the cent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attachment bracket 36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32 of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leg part 7.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is mounting bracket 36 forms the plate shape which extends back and forth, and is welded to the support part 32. As shown in FIG. The mounting brackets 36 are provided with transmission holes 37b and 37b that are open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32.

제 1 베드 프레임(5A)측에서, 투과구멍(37b)에는, 제 1 링크편(19A)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 제 1 링크편(19A)의 타단은 제 1 지지다리부(4A)에 설치한 하부착부(27)의 투과구멍(37a)에 연결된다(도 5). 동일하게, 제 2 베드 프레임(5B)측에서, 투과구멍(37b)에는, 제 2 링크편(19B)의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제 2 지지다리부(4B)의 하부착부(27)의 투과구멍(37a)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piece 19A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hole 37b on the side of the first bed frame 5A.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piece 19A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hole 37a of the lower mounting portion 27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Fig. 5). Similarly, at the side of the second bed frame 5B, one end of the second link piece 19B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hole 37b,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lower attachment portion 27 of the second support leg 4B.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37a.

이것에 의해 도 7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베드 프레임(5A)에서, 제 1 지지다리부(4A)와, 제 1 재치 프레임(3A)과, 상기 중간 지지다리부(7)와, 제 1 링크편(19A)으로 평행 크랭크 기구(Ka)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제 2 베드 프레임(5B)에서, 제 2 지지다리부(4B)와, 제 2 재치 프레임(3B)과, 상기 중간 지지다리부(7)와, 제 2 링크편(19B)으로 평행 크랭크 기구(Kb)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베드(1)는, 중간 지지다리부(7), 지지다리부(4)의 지주부(24a)의 방향을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전개 상태로부터 수직상태까지 접을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재치 프레임(3A 또는 3B)의 일방의 재치 프레임에만 이러한 평행 크랭크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As a result,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7, in the first bed frame 5A,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the first placing frame 3A, and the intermediate supporting leg portion 7 are provided. The parallel crank mechanism Ka is formed of the first link piece 19A. Similarly, in the second bed frame 5B, the second supporting leg portion 4B, the second placing frame 3B, the intermediate supporting leg portion 7 and the second link piece 19B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crank mechanism Kb is formed. Thereby, the bed 1 can be folded from an expanded state to a vertical state, keep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 middle support leg part 7 and the support part 24a of the support leg part 4 vertically. Moreover, you may provide such a parallel crank mechanism only to one mounting frame of 1st, 2nd mounting frame 3A or 3B.

또 본 예의 베드(1)는, 전개 상태로부터 수직상태로의 접기를 용이하게 하는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Moreover, the bed 1 of this example is provided with the raising means 9 which makes it easy to fold from an expanded state to a vertical state.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은, 여러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상기 평행 크랭크 기구(Ka 또는 Kb)에서, 중간 지지다리부(7)와 제 1 재치 프레임(3A)(또는 제 2 재치 프레임(3B))이 이루는 각도(α)(도 4에 도시함)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고무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The raising means 9 can be realiz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n the parallel crank mechanism Ka or Kb, the intermediate supporting leg portion 7 and the first placing frame 3A (or the second placing frame) are provided. It can be realized by pressing means such as a spring, rubber or the like which presses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angle α (shown in FIG. 4) formed by the section (3B).

본 예의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은, 제 1 재치 프레임(3A) 및 제 2 재치 프레임(3B)에, 중간 지지다리부(7)로부터 상기 일단측(S1)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도르레(11)와, 이 도르레(11)로 가이드되는 인장부재(12)로 구성된 것이 예시된다. The raising means 9 of this example is provided in the pulley 11 provided in the 1st mounting frame 3A and the 2nd mounting frame 3B in th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support leg part 7 to the said one end side S1. And a tension member 12 guided by the pulley 11 is illustrated.

상기 도르레(11)는,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재치 프레임(3A,3B)에 설치된 보강재(21a)의 하면에 고정된 축받이 금구(40)로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르레(11)는, 베드(1)의 측면으로부터 보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된다. 또 인장부재(12)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이 중간 지지다리부(7)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도르레(11)에 안내되는 끈 형상체(13)와, 이 끈형상체(13)를 끌어 당기는 코일 스프링(고무체 등 다른 탄성재도 이용할 수 있음) 등의 탄성재(14)로 이루어진다. 끈형상체(13)는, 중간 지지다리부(7)의 상기 융기부(33)에 일단이 고정되고 또한 상기 도르레(11)의 상면에 감겨진다. 끈형상체(13)의 타단에는, 본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재(14)를 통하여 재치 프레임(3)의 적소에 고정된다. The pulley 11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bearing bracket 4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1a provided in each mounting frame 3A, 3B, for example as shown to FIG. 8 (A). . For this reason, the pulley 11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hard to se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ed 1.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sion member 12 has a string 13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leg 7 and guided to the pulley 11. ) And an elastic material 14 such as a coil spring (another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body can be used) for pulling the string-like body 13. The string body 13 has one end fixed to the raised portion 33 of the intermediate support leg 7 and woun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lley 11. The other end of the string-like body 13 is fixed in place of the mounting frame 3 via the elastic material 14 made of a coil spring in this example.

또 본 형태에서는, 끈형상체(13)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융기 부(33)를 관통하고 그 상하에서 너트고정되는 아이볼트 형상의 부착 금구(15)에서 고정 볼트(16)에 의해 고정된다. 또 끈형상체(13)는, 이것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인장부재(12)을 제 1, 2 재치 프레임(3A,3B)에 걸쳐서 설치할 때는, 부착 금구(15)의 구멍에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고착하지 않아도 좋다. 또, 끈형상체(13)를, 상기 부착 금구(15)의 구멍을 통과시켜서 한바퀴 감음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ing-shaped body 13 is fixed to the fixing bolt 16 by an eye bolt-shaped mounting bracket 15 which penetrates the ridge 33 and is fixed by nuts above and below, as shown in FIG. 9. Is fixed by. In addition, the cord-like body 13 can be attached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is, and when the tension member 12 is installed over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3A and 3B, it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15. You do not have to stick to it just to let it do it. Moreover, the string-like body 13 can also be fixed by winding one round through the hole of the said mounting bracket 15. FIG.

도르레(11)는, 끈형상체(13)의 일단을, 융기부(33)에 부착함으로써 이 끈형상체(13)의 수직에 대해 이루는 각도(θ)(도 4에 도시함)가, 전개 상태에서, 베드측면에서 보아 30∼60°, 바람직하게는 40∼55°정도, 본 형태에서는 약 45°로 되도록 위치결정 되어 있다. 또 끈형상체(13)는 도르레(11)를 후방(이 도르레(11)가 부착되는 재치 프레임의 지지다리부측)으로 지나친 위치에서 상기 탄성재(14)와 결합된다. 또 끈형상체(13) 및 탄성재(14)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재(21a)의 홈부내를 통과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눈가림, 외관상 보기좋음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As for the pulley 11, the angle (theta) (shown in FIG. 4) made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of the string-shaped object 13 by attaching the one end of the string-shaped body 13 to the ridge part 33 is in a developed state. From the bed side, it is positioned so that it is 30 to 60 degrees, preferably 40 to 55 degrees, and about 45 degrees in this embodiment. The string body 13 is engaged with the elastic member 14 at a position beyond the pulley 11 to the rear (the side of the support leg of the mounting frame to which the pulley 11 is attached). In addition, the string 13 and the elastic material 14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1a as shown in FIG. 8 (B), thereby helping to improve the blinding from the outside and the visual appearance.

이러한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은, 베드(1)의 접기가 진행함에 따라서, 수직상태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경미한 힘으로 접을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은, 본 예의 제 1, 제 2 재치 프레임(3A,3B)의 쌍방에 설치할 경우와 다른, 일방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제 1, 제 2 재치 프레임(3A,3B)의 일방만이 평행 크랭크 기구를 이루는 경우에는, 그 기구를 갖는 측에 일으켜 세우기 수단(9)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Such raising means 9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 pressing force to press in the vertical state increases as the folding of the bed 1 proceed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spect. Moreover, the raising means 9 can also be provided only in one case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in both the 1st, 2nd mounting frames 3A, 3B of this example. Moreover, when only one of the 1st, 2nd mounting frames 3A, 3B comprises a parallel crank mechanism, it is good to arrange | position the lifting means 9 on the side which has this mechanism.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S1)에, 보조 프레임(10)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조 프레임(10)은, 제 1 재치 프레임(3A)과 대략 동일한 폭을 이루고 또한 길이 방향의 길이(L2)(도 2에 도시함)가 제 1 재치 프레임(3A)의 길이(L1)보다도 작게, 예를 들면 10∼20cm의 길이 치수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frame 10 is connected to one end S1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The auxiliary fram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the length L2 (shown in FIG.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length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 Smaller than L1), for example, it is formed in a length dimension of 10 to 20 cm.

본 예의 보조 프레임(10)은, 도 1, 도 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10a)과, 이 외부 프레임(10a)에 고착된 가로대재(10b)와, 외부 프레임(10a)의 내부에 배분된 툇마루 형상의 나무성질의 재료(10c)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그 상면에서 침구의 일부를 재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10a)은, 본 예에서는 1개의 중공 파이프재를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고, 그 도중에 끊어진 단(E,E)은, 제 1 재치 프레임(3A)의 후단 프레임(21c)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2 and 10, the auxiliary frame 10 of this example has an outer frame 10a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cross member 10b fixed to the outer frame 10a, and And the wood-like material 10c of the ridge shape distributed in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10a. Thereby, a part of bedding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present example, the outer frame 10a is formed by bending one hollow pipe member, and the stages E and E broken in the middle of the outer frame 10a are arranged on the rear end frame 21c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Location.

또 보조 프레임(10)은, 본 예에서는 연결부(50)를 통하여 제 1 재치 프레임(3A)의 후방 프레임부(21c)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 연결부(50)는, 도 10의 A부 확대도인 도 11 및 그 B방향으로 본 도면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본 예에서는 나사 고착된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인 지지 금구(51)를 포함한다. 이 지지 금구(51)는, 제 1 재치 프레임(3A)의 후방 프레임부(21c)를 따르고 또한 나사(60)로 고착된 설치편(51a)과, 이 설치편(51a)으로부터 보조 프레임(10)측을 향해서 돌출한 지지편(5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나사(60) 는, 예를 들면 궁형상 프레임(21d)의 부착용 구멍과 겸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프레임(10)이 불필요할 때에는, 이것을 궁형상 프레임(21d)에 다른 것으로 바꾸어 붙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auxiliary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rear frame part 21c of the 1st mounting frame 3A via the connection part 5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1 which is the enlarged view of the A part of FIG. 10, and FIG. 12 which is the figure seen from the B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50 is seen from the plane which was screwed in this example to the 1st mounting frame 3A. The support bracket 51 which has a magnetic shape is included. The supporting bracket 5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iece 51a along the rear frame portion 21c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secured with a screw 60 and an auxiliary frame 10 from the mounting piece 51a. It consists of the support piece 51b which protruded toward the side. In addition, the screw 60 can also serve as the attachment hole of the arch-shaped frame 21d, for example. In this case,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unnecessary, i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one by the arched frame 21d.

또, 지지편(51b)에는 투과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프레임(10)의 도중에 끊어진 단(E,E)은, 지지 금구(51)의 지지편(51b)의 외면에 마주 대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뻗은 핀 구멍(63)이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편(51b)의 투과구멍(52)으로부터, 꽂아 넣어지는 단부착 형상의 피벗지지 핀(64)을 외부 프레임(10a)의 도중에서 끊어진 단(E)의 나사 구멍에 나사식 부착하고 있다. 피벗지지 핀(64)은, 비나사부인 단부착부(64a)와 상기 투과구멍(52)을 간극이 있는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보조 프레임(10)은,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S1)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된다. 또한 본 예의 피벗지지 핀(64)의 위치는, 보조 프레임(10)이 수평상태일 때에, 이 보조 프레임(10)과 제 1 재치 프레임(3A)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In addition, a transmission hole 52 is formed in the support piece 51b. The ends E and E broken in the middle of the auxiliary frame 10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51b of the support bracket 51, and are provided with pin holes 63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n, from the transmission hole 52 of the support piece 51b, the end-fitting pivot support pin 64 to be inserted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end E broken in the middle of the outer frame 10a. have. The pivot support pin 64 makes the end attachment portion 64a, which is a non-threaded portion, and the transmission hole 52 with a gap therebetween. For this reason, the auxiliary frame 10 of this exampl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ne end side S1 of a 1st mounting fram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ivot support pin 64 of this example is set so that this auxiliary frame 10 and the 1st mounting frame 3A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a horizontal state.

또 베드(1)에는, 전개상태에서 보조 프레임(1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65)가 설치된다. 본 예의 스토퍼 기구(65)는, 보조 프레임(10)의 외부 프레임(10a)에 고착된 스토퍼 핀(65a)과, 전개 상태에서 이 스토퍼 핀(65a)과 맞닿아 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6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핀(65a)은, 일단이 보조 프레임(10)(본 예에서는 그 외부 프레임(10a))에 고착되는 동시에, 거의 90°로 구부려 그 타단이 지지편(51b)의 상부로 뻗는 L자 형상의 축체가 사용된다. 또 규제 기구(65b)는, 본 예에서는,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보조 프레임(10)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스토퍼 핀(65a)이 맞닿을 수 있도록 절결된 지지편(51b)의 상부 가장자리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전개 상태에서는, 보조 프레임(10)은 자중과, 스토퍼 기구(65)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In addition, the bed 1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chanism 65 for holding the auxiliary frame 10 in a horizontal state in a deployed state. The stopper mechanism 65 of this example is a stopper pin 65a fixed to the outer frame 10a of the auxiliary frame 10, and a regulating mechanism that abuts against the stopper pin 65a in a deployed state and regulates its movement ( 65b). The stopper pin 65a has one end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10 (in this example, the outer frame 10a), and at the same time, bent at approximately 90 °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51b. Shaped shafts are used.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restricting mechanism 65b is cut out so that the stopper pin 65a can abut at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rame 10 is horizontal in the deployed state as shown in FIGS. 11 and 12. It consists of the upper edge of the support piece 51b. For this reason, in the unfolded state, the auxiliary frame 10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its own weight and the stopper mechanism 65.

이러한 보조 프레임(10)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3A)과 대략 동일 높이에서 수평으로 유지되고, 제 1, 제 2 재치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10)으로 종래보다도 긴 실질적으로 연속된 침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롱 사이즈의 침구(m)(예를 들면 요) 등을 사용한 경우라도,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S1)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부분을 이 보조 프레임(10)에 재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침구(m)의 벗어나 떨어짐 등을 막아, 외관상 보기좋음과 사용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보조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1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auxiliary frame 10 is held horizontally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mounting frame 3A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and the auxiliary frame 10 ), It is possible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bed surface longer than conventional.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4, even when the so-called long-size bedding m (for example, yaw) etc. are used, th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one end side S1 of the 1st mounting frame 3A is removed. It can be mounted in this auxiliary frame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off of the bedding m and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ease of u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frame 10 is preferably 10 cm or more.

또 보조 프레임(10)은, 본 예에서는 제 1 재치 프레임(3A)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대해 구부릴 수 있다. 특히 적합하게는, 베드(1)의 전개 상태로부터 수직상태로의 접기와 함께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대해 보조 프레임(10)을 V자 형상으로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auxiliary frame 10 is free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in a vertical state. . Particularly suitably, it is preferable to bend the auxiliary frame 10 in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with the folding from the expanded state of the bed 1 to the vertical state.

예를 들면 접기 동작시에, 도 13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0)은, 자중에 의해 제 1 재치 프레임(3A)과 일자로 정렬된 상태에서 수직상 태로 되어 간다. 그리고, 접기가 진행하면, 본 예에서는 보조 프레임(10)의 일단측이 제 1 지지다리부(4A)의 연장부(24b)와 맞닿는다. 그리고, 접기를 더 진행시키면, 피벗지지 핀(64)을 지지점으로 하여 보조 프레임(10)이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대해 구부러져, 연장부(24b)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다리부(4A)의 L자 프레임(24)의 연장부(24b)가, 보조 프레임(10)을 구부리는 역활을 수행하는 맞닿음부(55)로 된다. 또한 이 때, 연결부(50)는, 제 1 지지다리부(4A)의 L자 프레임(24,24)보다도 베드 중심선(X)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기시에 간섭하지 않는다. For example, at the time of folding operation, as shown by the virtual line in FIG. 13, the auxiliary frame 10 becomes vertical in the state aligned with the 1st mounting frame 3A by date by self weight. Then, when folding progresses, in this example, one end side of the auxiliary frame 10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portion 24b of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Further, if the folding further proceeds,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bent relative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with the pivot support pin 64 as a supporting point, and can be positioned on the extension 24b.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part 24b of the L-shaped frame 24 of the first supporting leg part 4A serves as the contact part 55 which serves to bend the auxiliary frame 10. do.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bed center line X side than the L-shaped frames 24 and 24 of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it does not interfere with folding.

이와 같이, 접을 때, 보조 프레임(10)은 맞닿음부(55)에 맞닿으면서 구부러지고, 본 예에서는 수직상태에서 제 1 지지다리부(4A)의 연장부(24b)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접은 높이 등의 증가를 막아서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수납성이 양호하다. 또, 특별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접기 동작에 의해 보조 프레임(10)을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도 좋다. In this way, when folded, the auxiliary frame 10 is bent while contacting the abutting portion 55, and in this example, does not protrude from the extension portion 24b of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in the vertical stat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ld compactly 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folding height and the like, so that the storage properties are good.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bent by the folding operation without requiring any special operation, ease of use is also good.

또, 베드(1)를 수직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개할 때에는, 보조 프레임(10)은, 제 1 지지다리부(4A)의 맞닿음부(55)로부터 이간(離間)하면, 자기의 중량에 의해 피벗지지 핀(64)의 둘레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어, 전개 상태에서는 다시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보조 프레임(10)을 수평으로 할 때에도 특별한 조작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In addition, when the bed 1 is developed from the vertical state to the unfolded state,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separated from the abutting portion 55 of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the auxiliary frame 10 has a weight of its own. It can rotate by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pivot support pin 64, and is maintained horizontal again in an expanded state. In this way, even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leveled,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프레임(10)은, 제 1 재치 프레임(3A)에만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데, 제 2 재치 프레임(3B)에도 설치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보조 프레임(10)을, 항상 수평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auxiliary frame 10 installed in only the 1st mounting frame 3A is illustrated, you may provide also in the 2nd mounting frame 3B. Moreover, for example, the spring means which presses the auxiliary frame 10 to the horizontal state always may be provided.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베드(1)에서는, 제 1, 2 재치 프레임(3A,3B)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주위 프레임(21)과, 이 주위 프레임(21)에 일체로 고착된 매트리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예시된다. 주위 프레임(21)은,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이 주위 프레임(21)이 둘러싸는 공간에는 예를 들면 격자형상의 네트재(71) 등이 배열 설치되고, 그 위에 상기 매트리스(70)가 지지되어 있다. In the bed 1 of this embodiment, the 1st, 2nd mounting frames 3A and 3B are the said surrounding frame 21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mattress 70 which was integrally fixed to this surrounding frame 21.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peripheral frame 21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grid net material 71 or the like is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peripheral frame 21, for example, and the mattress ( 70) is supported.

본 형태의 보조 프레임(10)은, 도 15, 도 16에 확대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3A)과 대략 동일한 폭이고 또한 작은 길이의 판형상을 이루고, 본 예에서는 이것을 나무성질의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이 도시된다. 보조 프레임(10)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연결부(50)을 통하여 제 1 재치 프레임(3A)의 후방 프레임부(21c)에 연결된다. 본 형태의 연결부(50)는 상기 후방 프레임부(21c)에 고착된 지지 브래킷(73)과, 이 지지 브래킷(73)에 경동 가능하게 피벗식 부착되고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10)이 고착되는 경동 암(74)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S. 15 and 16, the auxiliary fram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a small length. The one formed by the material of the nature is shown. The auxiliary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rear frame portion 21c of the first placing frame 3A via the connecting portion 50 similarly to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50 of this embodiment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support bracket 73 secured to the rear frame portion 21c and the support bracket 73 so as to be pivotable, and the auxiliary frame 10 is secured. Arm 74 is included.

지지 브래킷(73)은, 본 예에서는 후방 프레임부(21c)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작은 높이로 기립하는 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설치한 구멍부(75)를, 후방 프레임부(21c)에 부착한 부착 구멍(76)에 예를 들면 볼트(77) 등의 나사 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착된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10)의 불필요시에는, 이것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더욱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 단, 부착은, 나사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브래킷(73)을 용접 등에 의해 탈착 불능으로 제 1 재치 프레임(3A)에 고착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In this example, the support bracket 73 is made of a pipe member which stands up at a small height almost vertically from the rear frame portion 21c, and attaches the hole portion 75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to the rear frame portion 21c.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attached attachment hole 76 by screw means, such as the bolt 77, for example.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not necessary, this can be easily separated, which also helps to further increase the ease of use. However, the attachment is not limited to the screw means, and needless to say, the support bracket 73 may be fix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without detachment by welding or the like.

또 지지 브래킷(73)의 상단부측에는, 경동 암(74)을 피벗결합하기 위한 피벗결합 구멍(79)이 설치된다. 피벗결합 구멍(79)의 축 중심선은, 베드의 폭방향에 평행하다. 또 지지 브래킷(73)의 상단부의 윤곽은, 상기 피벗결합 구멍(79)의 축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73a)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Moreover, the pivot engagement hole 79 for pivotally engaging the tilting arm 74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support bracket 73. As shown in FIG. The axis centerline of the pivotal engagement hole 79 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Moreover, the outline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support bracket 73 is shown by the circular arc surface 73a centered on the axial center of the said pivotal coupling hole 79. As shown in FIG.

상기 경동 암(74)은, 본 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그 일단부에는 연결 구멍(80)을 갖는 좌우의 내뻗은 조각(82, 8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뻗은 조각(82,82)은, 지지 브래킷(73)의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연결 구멍(80)과 지지 브래킷(73)의 상기 피벗결합 구멍(79)은, 피벗축(81)을 사용하여 경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경동 암(74)에는, 나사(83)를 사용하여 보조 프레임(10)이 고착된다. As shown in Fig. 15, the tilt arm 74 has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and one end portion of the tilting arms 74 having right and left extending holes 82 and 82 having a connection hole 80 is provided. have. These extended pieces 82 and 82 ar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7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ivoting hole 79 of the connection hole 80 and the support bracket 73 pivots. It is connected tiltably using the shaft 81. In addition, the auxiliary frame 10 is fixed to the tilting arm 74 using the screw 83.

또 경동 암(74)에는, 베드(1)의 전개 상태에서 보조 프레임(10)이 수평상태로 될 때에, 상기 지지 브래킷(73)에 맞닿고, 상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닿음편(8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닿음편(85)과 지지 브래킷(73)의 후면으로 상기 스토퍼 기구(65)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보조 프레임(10)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베드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한 경동 암(74,74)은 이음재(8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강성이 높혀져 있다. Further, the tilting arm 74 has a contact piece 85 which abuts on the support bracket 73 and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when the auxiliary frame 10 is in a horizontal state in a deployed state of the bed 1.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mechanism 6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ct piece 85 and the support bracket 73. As a result,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kept horizontal. In this embodiment, the rigid arms 74 and 74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joint member 87 to increase rigidity.

이러한 보조 프레임(10)은, 도 16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상면(즉 매트리스(70)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 1, 제 2 재치 프레임(3A,3B) 및 보조 프레임(10)의 각 상면에서 종래보다도 긴 실질적으로 연속한 침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형태에서도, 수직상태로 베드(1)를 접을 때는, 도 13 및 도 16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리스(70)측으로 치켜올려서 접을 수 있어,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 접기시에, 경동 암(74)의 닿음편(85)은, 지지 브래킷(73)의 상기 원호면(73a)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접기를 가능하게 한다.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6, such an auxiliary frame 10 can be held horizontally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70),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3A and 3B and the auxiliary frame 10, a substantially continuous bed surface lon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can be formed. Moreover, also in this form, when folding the bed 1 in a vertical state,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13 and FIG. 16, it can be raised by folding to the mattress 70 side, and can be accommodated compactly. At the time of this folding, the contact piece 85 of the tilting arm 74 moves along the arc surface 73a of the support bracket 73, thereby enabling smooth folding.

도 17∼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17 to 21 show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형태의 베드(1)는, 제 1 재치 프레임(3A)의 일단측에 제 1 지지다리부(4A)를 설치한 제 1 베드 프레임체(5A)와, 제 2 재치 프레임(3B)의 일단측에 역T자 형상의 제 2 지지다리부(4B)를 설치한 제 2 베드 프레임체(5B)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제 2 재치 프레임(3A,3B)은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The bed 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bed frame body 5A provided with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on one end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3B. The second bed frame body 5B provided with an inverted T-shaped second supporting leg portion 4B on one end side is included. The 1st, 2nd mounting frame 3A, 3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aid embodiment.

상기 제 1 지지다리부(4A)는, 제 1 재치 프레임(3A)에 일체로 고착되고 또한 난간부(90)로부터 매끄러운 원호로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암체(91)와, 그 선단부에 설치된 하나의 캐스터 륜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차륜(92)을 갖는다. 이 형태의 제 1 지지다리부(4A)는, 암체(91)가 제 1 재치 프레임(3A)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베드(1)의 전개 내지 접기시에는 제 1 재치 프레임(3A)에 대해 회전할 수 없이 일체로 이동한다.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is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and arm body 91 bent downward with a smooth arc from the handrail portion 90, and one caster provided at the distal end thereof. It has a first wheel 92 made of wheels. Since the arm 91 is fix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3A integrally,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4A of this form is the first mounting frame 3A when the bed 1 is deployed or folded. It moves in unison with no rotation.

또 제 2 지지다리부(4B)는, 역T자 형상을 이루는 다리 프레임부(94)에, 베드 길이 방향으로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된 2개의 캐스터 륜(95,95)이 설치되어 있다. 다리 프레임체(94)는, 핀(Ps2)으로 제 2 재치 프레임(3B)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다리부재(4B)는, 베드(1)의 전개 내지 접기시에는 제 2 재치 프레임(3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드(1)는 수직상태로 접혀진다. Moreover, the 2nd support leg part 4B is provided with the caster wheels 95 and 95 provided in the leg frame part 94 which forms an inverted T shape at the distance of a bed length direction. The leg frame 94 is fixed with the pin Ps2 so that relative rotation movement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2nd mounting frame 3B. Therefore, the 2nd leg member 4B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2nd mounting frame 3B at the time of spreading | folding of the bed 1, and folding. Therefore, as shown in FIG. 18, FIG. 19, the bed 1 is folded in a vertical state.

보조 프레임(10)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연결부(50)를 통하여 제 1 재치 프레임(3A)의 후방 프레임부(21c)에 부착되어 있다. 본 형태의 연결부(50)는, 상기 후방 프레임부(21c)에 고착된 좌우의 지지 브래킷(73)과, 이 지지 브래킷(73)에 경동 가능하게 피벗식 부착되고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10)이 고착된 경동 암(74)을 포함한다. The auxiliary frame 10 is attached to the rear frame portion 21c of the first placing frame 3A via the connecting portion 5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part 50 of this form pivotally attaches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 brackets 73 fixed to the said rear frame part 21c, and this support bracket 73 so that the said auxiliary frame 10 can be tilted. Fixed tilting arm 74.

지지 브래킷(73)은, 본 예에서는 수평부(73a)와 수직부(73b)를 일체로 갖는 L자 형상의 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수평부(73a)의 일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부(21c)에 고착되어 있다. 또 지지 브래킷(73)의 수직부(73b)의 상단부에는, 경동 암(74)의 일단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고착된다. 경동 암(74)의 타단부에는 이음 프레임(99)을 통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10)이 고착되어 있다. 경동 암(74)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부를 개방한 단면 ㄷ자 형상이며, 상기 스토퍼 기구(65)(상세도시 생략) 등에 의해 도 17에 도시하는 수평상태가 유지된다(즉, 보조 프레임(10)은 그것보다도 하방으로는 회전운동 하지 않는다). 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0)은 본 예에서는 상향으로 치켜 올려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베드(1)는, 수납시에 소형화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upport bracket 73 is made of an L-shape pipe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portion 73a and the vertical portion 73b integrally,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73a is provided with the rear frame portion 21c. Stuck in In addition, one end of the tilting arm 74 is free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73b of the support bracket 73. The auxiliary frame 1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tilt arm 74 via a joint frame 99. The tilt arm 74 has a cross-sectional c-shape with an open bottom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horizontal state shown in FIG. 17 is maintained by the stopper mechanism 65 (not shown in detail) or the like (ie, auxiliary The frame 10 does not rotate downward than that). As shown in Fig. 20, the auxiliary frame 10 can be folded upward by lifting upwards in this example. Therefore, the bed 1 can be downsized at the time of storage.

또 본 실시형태의 베드(1)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에서는, 제 1 지지다리부(4A)에 설치된 제 1 차륜(92)은 마룻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한다. 이 때문에, 제 1 베드 프레임체(5A)는, 수직상태로 마룻바닥면에 접지하여 제 1 재치 프레임(3A)을 지지하는 보조 차륜(100)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차륜(100)은, 접기를 원활하게 하고, 또 수직상태에서 베드(1)를 마룻바닥면(F)을 따라서 안정성 좋게 주행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 Moreover, in the bed 1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in the vertical state, the 1st wheel 92 provided in 4A of 1st support legs rises from the floor surface. For this reason, the 5 A of 1st bed frame bodies are provided with the auxiliary wheel 100 which supports the 1st mounting frame 3A by grounding to the floor surface in a vertical state. The auxiliary wheel 100 facilitates folding and also helps to stably run the bed 1 along the floor surface F in a vertical state.

본 실시형태의 보조 차륜(100)은, 제 1 베드 프레임(5A)의 일단측(S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 브래킷(73,73) 사이에 가설된 이음재(102)에 지지 막대(101)를 통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보조 차륜(100)은, 외부에서 보이면, 베드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베드(1)에서는, 전개 상태에서 보조 차륜(100)의 상부에 보조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 차륜(100)의 전부 내지 주요부,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보조 차륜(100)의 전부를 보조 프레임(10)으로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 차륜(100)의 외부로에서 눈에 잘 띄지 않아, 베드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The auxiliary wheel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t one end side S1 of the first bed frame 5A.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0, the joint member 102 is fixed to the joint member 102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73 and 73 through the support rod 101. This auxiliary wheel 100, when seen from the outside, tends to damage the beauty of the bed. However, in the bed 1 of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frame 1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wheel 100 in a developed state. Thereby, the whole to main part of the auxiliary wheel 100, In this example, the whole of the auxiliary wheel 100 can be covered with the auxiliary frame 10 in plan view. Thereby, it is hard to stand out from the exterior of the auxiliary wheel 100, and the aesthetics of a bed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보조 프레임(10)은, 그 상면에 쿠션재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specific embodiment, Needless to say that it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auxiliary frame 10 may be mix | blended with a cushion material etc. in the upper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베드는, 적어도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연속인 긴 침대면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이 큰 사용자가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길이가 큰 소위 롱 사이즈의 침구를 사용한 경우라도, 그 벗어나 떨어짐 등을 방지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베드는 접을 때 제 1 재치 프레임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조 프레임이 자동적으로 접혀 수납되어 사용에 상당히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which the auxiliary frame which receives the bedding protru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being horizontally held in the deployed state, As a result, a substantially continuous long bed surface can be secured. Therefore, a user with a large elongation can suitably use, and even when a so-called long-size bedding with a large length is used,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bed of claim 1 is folded, the auxiliary frame protruding from the first mounting frame is automatically folded and received, which is quite convenient for use.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과 같이, 수직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베드를 전개하면, 보조 프레임이 스스로의 자중에 의해 수평이 되고, 또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when the bed is deployed in a horizontal state from a vertical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xiliary frame is leveled and maintained by its own weight.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베드의 미관을 손상시키기 쉬운 보조 차륜의 전부 내지 주요부를, 보조 프레임으로 덮음으로써 눈가림 할 수 있다. 따라서, 베드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Moreover, in invention of Claim 4, it can be blinded by covering all or main part of the auxiliary wheel which is easy to damage the aesthetics of a bed with an auxiliary frame. Therefore, the aesthetics of the bed can be improved.

Claims (6)

침구를 재치하는 제 1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제 1 지지다리부를 설치한 제 1 베드 프레임체와, A first bed frame body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ing leg on one end of a first placing frame on which bedding is placed; 침구를 재치하는 제 2 재치 프레임의 일단측에 제 2 지지다리부를 설치한 제 2 베드 프레임체를 가지고,Having a 2nd bed frame body which provided the 2nd support leg part in the one end side of the 2nd mounting frame which mounts bedding, 또한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과 제 2 재치 프레임의 마주 대하는 타단을, 이 제 1, 제 2 재치 프레임이 수평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와, 제 1, 2 지지다리부가 접근하여 상기 제 1, 제 2 재치 프레임을 역V자 형상으로 접은 수직상태 사이에서 접기와 전개가 가능하게 연결한 접이식 베드로서, In addition, the other end facing the first mounting frame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has a develope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are horizontally developed,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legs are approached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frames to approach each other. It is a foldable bed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between vertical states where the frame is folded in an inverted V shape. 적어도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전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이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침구를 받는 보조 프레임이 연결되는 동시에,At least one end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is connected with an auxiliary frame which receives bedding protruding from the one end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by being horizontally held in the deployed state, 상기 제 1 지지다리부에는,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수직상태로의 접기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과 맞닿고, 이 보조 프레임을 제 1 재치 프레임에 대하여 구부러지게 하는 맞닿음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베드. The first supporting leg portion is provided with abutting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frame by a folding operation from the expanded state to the vertical state, and which makes the auxiliary frame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frame. B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 1 재치 프레임에 피벗지지 핀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동시에, 스토퍼에 의해 상기 수평으로 유지되게 되고, 게다가, 상기 수직 상태로부터 상기 수평 상태로의 전개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맞닿음부로부터 이간하여 그 자중에 의해 피벗지지 핀 주위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베드. The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s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frame by a pivot support pin, and is held horizontally by a stopper, and furthermore, from the vertical state to the horizontal state. In operation, the auxiliary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abutment and rotated about its pivot support pin by its own weight to be held horizontally by the stopp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그 상면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제 1 재치 프레임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베드. The foldable be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has an upper surface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in the deployed st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드 프레임체는, 상기 일단측에, 전개 상태에서 마룻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또한 수직상태에서 상기 수직상태로 마룻바닥면에 접지하여 제 1 재치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차륜을 갖는 동시에, The first tact fram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bed frame body floats on the one end side from the floor surface in a deployed state and is grounded to the floor surface in the vertical state in a vertical state. At the same time having a secondary wheel supporting 상기 전개 상태에서 보조 차륜의 상부에 보조 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베드. Folding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fram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wheel in the deployed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63046A 2002-10-07 2003-09-09 Foldable bed KR1006136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4082 2002-10-07
JPJP-P-2002-00294082 2002-10-07
JPJP-P-2003-00015075 2003-01-23
JP2003015075 2003-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581A KR20040031581A (en) 2004-04-13
KR100613660B1 true KR100613660B1 (en) 2006-08-21

Family

ID=373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46A KR100613660B1 (en) 2002-10-07 2003-09-09 Foldable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6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74B1 (en) * 2021-02-19 2022-05-20 조주임 folding b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651A (en) * 1989-07-25 1991-03-13 Nec Corp Ink jet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651A (en) * 1989-07-25 1991-03-13 Nec Corp Ink je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581A (en)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411A (en) Collapsible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20050284701A1 (en) Step stool with elevated tray
KR20070018401A (en) Stand of an image display divice
EP0426742A1 (en) Collapsible table.
JP5945215B2 (en) Folding bed
JP3140955U (en) bed
KR200389881Y1 (en)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KR100613660B1 (en) Foldable bed
US20230404275A1 (en) Adjustable bed
JP3782408B2 (en) Folding bed
JP3038327B1 (en) Folding bed
KR100622155B1 (en)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JP3802436B2 (en) Folding bed
JP4643943B2 (en) Chair
CN219206403U (en) Infant bed frame
GB2402616A (en) A bed convertible between a bunk bed and a convertible bed
JP3384445B2 (en) Foldable tent frame structure
JP4338503B2 (en) bed
JP2003259941A (en) Folding bed
CN209750496U (en) Novel folding bed
US6517152B1 (en) Folding chair enabling reduced collapse height and volume
JP3147034U (en) Folding bed
GB2097252A (en) Fold-away beds
JP3015012B1 (en) Folding bed
JP2840649B2 (en) Retractabl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