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518B1 -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518B1
KR100613518B1 KR1020040096517A KR20040096517A KR100613518B1 KR 100613518 B1 KR100613518 B1 KR 100613518B1 KR 1020040096517 A KR1020040096517 A KR 1020040096517A KR 20040096517 A KR20040096517 A KR 20040096517A KR 100613518 B1 KR100613518 B1 KR 10061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im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373A (ko
Inventor
최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5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16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with means for out-of-range ale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해가는 경우 이를 자체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새 배터리의 교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잔여 배터리량이 바(bar)로 구현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표시부와, 상기 잔여 배터리량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통화시간을 체크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감소에 따른 잦은 배터리 교체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로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부족으로 인한 상기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소모감지, 인디케이터, 바, 충전량,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the lifetime of Battery}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가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제어부 22: 표시제어부
23: 주제어부 24: 배터리 소모감지부
25: 메모리 26: 타이머
본 발명은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장기간 사용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해가는 경우 이를 자체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새 배터리의 교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 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망을 통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타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기존에 사용되는 음성통화 및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 GPS를 통한 네비게이션 기능, mp3 재생기능 등의 기능 등으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이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전원이 소모되므로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력소모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입력된 상기 외부전원을 자체 충전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어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기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되면 다시 상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잔여 전력량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도시된 도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잔여전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통 바(bar)의 형태로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량이 일정비율로 감소하게 되면 상기 인 디케이터에 나타난 바가 하나씩 감소하며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된 경우 상기 바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인식함으로써 충전된 배터리로의 교체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장기간 충방전을 계속하여 사용함에 따라 그 충전량이 감소하며 따라서 방전되는 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현재 잔여전력량을 표시하여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배터리 자체의 수명이 감소하는 것은 나타내지 못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최초 사용시의 배터리 충전량에 비해 크게 감소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기로 공급되어야 하는 동작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다수 부품들이 오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방전소요시간 및/또는 통화시간을 통해 상기 배터리가 장기간 충방전 사용으로 그 충전량이 감소하였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감소하였으면 새 배터리로의 교체 메시지를 외부에 나타내도록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잔여 배터리량이 바(bar)로 구현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표시부와, 상기 잔여 배터리량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통화시간을 체크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선, 제어명령이 입력되며 그에 따른 결과데이터 등이 외부로 나타나는 UI부(10)와, 이동통신 망을 통해 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30)과, 상기 UI부(10) 또는 통신모듈(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UI부(10)는 제어명령 또는 전화번호, 일정, 메모 등 사용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11)와, 상기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른 결과 데이터가 외부로 나타나는 표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12)는 다수의 숫자/문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여 누름입력에 따라 키버튼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2)는 전달되는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상기 데이터와 대응되는 별도의 음원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는 상기 단말기 각 부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 아이콘이 표시되며, 특히 잔여 전력량이 바(bar)로 표시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되어 나타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잔여 배터리량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통화시간을 체크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새 배터리의 교체를 상기 표시부(12)에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잔여 배터리량이 일정 비율로 단계적으로 감소하면 이를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소모감지부(24)와, 상기 배터리 소모감지부(24)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산출된 소모시간 데이터를 통해 사용가능한 방전 소요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정상동작 유무를 판별하는 주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소모감지부(24)로부터 전달된 상기 감지신호의 시간간격을 체크하여 상기 주제어부(23)로 전달하는 타이머(26)와, 정상상태인 배터리를 사 용함에 있어서 통화시간에 따른 배터리 방전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25)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며, 완충된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되기까지 일정비율에 따라 소요되는 방전시간 데이터 또는 통화시간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제어부(21)와,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방전소요시간이 상기 표시부(12)에서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주제어부(23)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오동작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배터리 교체 메시지를 외부에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제어부(22)는 상기 배터리 소모 감지부(24)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잔여 배터리량이 단계적으로 일정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12)에 나타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각 바가 하나씩 사라지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의 소모 정도가 상기 표시부(12)를 통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부(23)는 상기 타이머(26)를 통해 산출된 방전 소요예상시간 데이터를 상기 배터리 방전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방전 소요예상시간이 상기 배터리 방전 데이터에 비해 짧은 경우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배터리 정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제어부(22)는 상기 주제어부(23)로부터 전달되는 방전소요 예상시간 데이터 및 배터리 정보 신호가 별도의 메뉴 또는 상기 표시부(12)를 통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1)의 키버튼을 누름입력함으로써 별도로 구현된 메뉴화면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소요 예상시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제어부(23)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정상 충전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배터리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23)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 소요 예상시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배터리 정보제어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와 함께 상기 배터리 정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나는 배터리 정보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가 정상임을 나타내거나 상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구현되어 상기 배터리 인디케이터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방법 뿐 아니라, 상기 입력부(11)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 상기 배터리 교체 메시지는 소정의 음원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단계별 배터리 방전소요시간을 통해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수명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별 배터리 방전소요시간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수명을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가 수명을 다한 경우 상기 배터리의 교체 메시지를 외부로 나타냄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감소에 따른 잦은 배터리 교체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로 인가되는 동작전원의 부족으로 인한 상기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잔여 배터리량이 바(bar)로 구현되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표시부와;
    상기 잔여 배터리량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통화시간을 체크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정상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잔여 배터리량이 일정 비율로 단계적으로 감소하면 이를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소모감지부와;
    상기 배터리 소모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감지신호의 시간간격을 체크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의해 산출된 소모시간 데이터를 통해 사용가능한 방전 소요 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정상동작 유무를 판별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상태인 배터리를 사용함에 있어서 통화시간에 따른 배터 리 방전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에 있어서, 완충된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되기까지 일정 비율에 따라 소요되는 방전시간 데이터 또는 통화시간 데이터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산출된 방전 소요예상시간 데이터를 상기 배터리 방전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방전 소요예상시간이 상기 배터리 방전 데이터에 비해 짧은 경우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방전소요시간이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오동작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배터리 교체 메시지를 외부에 나타 내도록 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방전소요 시간 또는 배터리 교체 메시지가 상기 표시부의 배터리 인디케이터와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6517A 2004-11-23 2004-11-23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17A KR100613518B1 (ko) 2004-11-23 2004-11-23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17A KR100613518B1 (ko) 2004-11-23 2004-11-23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73A KR20060057373A (ko) 2006-05-26
KR100613518B1 true KR100613518B1 (ko) 2006-08-17

Family

ID=3715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17A KR100613518B1 (ko) 2004-11-23 2004-11-23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5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73A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0195A1 (en) Battery life monitor system and method
KR20180088245A (ko) 충전 어웨이크닝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차량
JP5439715B2 (ja) 携帯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660614B2 (ja) バッテリ駆動携帯型デバイスとその使用方法
JP2001036639A (ja) 携帯電話機の電気供給方法及びその電気供給装置
EP1686780B1 (en)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JPH0538057A (ja) 携帯用通信機器
JP47219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010055986A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0613518B1 (ko) 배터리 수명을 나타내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11556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電源供給装置
KR1011764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전원절약방법
EP20125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larm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01094661A (ja) 通信端末装置
KR20030009775A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JP2003101466A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18423A (ko)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8154434A (ja) 携帯端末用充電器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8026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표시 방법
JPH0752893B2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通話可能時間表示装置
JP2867003B2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の充電装置
KR20060008064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교환 시기 알림 방법
KR2006003520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레벨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방법
JP4126486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