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493B1 -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493B1
KR100611493B1 KR1020040070379A KR20040070379A KR100611493B1 KR 100611493 B1 KR100611493 B1 KR 100611493B1 KR 1020040070379 A KR1020040070379 A KR 1020040070379A KR 20040070379 A KR20040070379 A KR 20040070379A KR 100611493 B1 KR100611493 B1 KR 10061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ron
turbulence
air
cooling fin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586A (ko
Inventor
이종수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493B1/ko
Priority to EP05018003A priority patent/EP1641018B1/en
Priority to DE602005018297T priority patent/DE602005018297D1/de
Priority to US11/211,585 priority patent/US20060049766A1/en
Priority to JP2005247786A priority patent/JP2006073519A/ja
Priority to CNA2005101036603A priority patent/CN1744264A/zh
Publication of KR2006002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6Circuit element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and interacting with the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005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2Radiators 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에 관한 것으로, 냉각핀의 평판부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을 유입되는 공기의 주류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공기의 유동에 따라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공기가 난류 촉진형 돌출물 상단에 박리되어 평판부에 재 부착되어, 기존 온도 경계층을 박막화하여 마찰계수를 증가시키고 열전달율을 촉진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마그네트론, 냉각핀, 돌출물, 난류, 평판, 돌출, 열전달, 마찰계수

Description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An cooling fin of magnetr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론 냉각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 촉진형 돌출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 촉진형 돌출물이 평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론 냉각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 평판 151 : 돌출부
150a : 상단 200 : 냉각핀
210,210a,210b,210c,210d,210e,210f : 평판부
211 : 공기유입부 212 : 공기유출부
251 : 난류 촉진형 돌출물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핀의 평판부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을 공가의 흐름 주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공기의 유동에 따라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공기가 난류 촉진형 돌출물 상단에 박리되어 평판부에 재 부착되어 기존 온도 경계층을 박막화하여, 마찰계수를 증가시키고 열전달율을 촉진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론(Magnetron)은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전계와 자계에 의해 2,450㎒의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러한 고주파 에너지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여 목표물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단면도로서, 마그네트론은 양극부, 음극부 및 자기부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양극부는 원통형으로 된 애노드 실린더(11)와, 상기 애노드 실린더(11)의 내벽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베인(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극부는 상기 양극부의 중심축 상에 텅스텐(W)에 토륨(Th)성분을 첨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열전자를 방사하기 위한 필라멘트(13)와, 상기 베인(12)의 끝단과 필라멘트(13)의 사이에 빈공간으로 마련되어 열전자가 회전되도 록 하기 위한 작용공간(14)과, 상기 필라멘트(13)로부터 방사된 열전자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라멘트(13)의 상단과 하단에 마련된 상엔드실드(15)와 하엔드실드(16)와, 상기 필라멘트(13)를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하엔드실드(16)를 관통하여 상엔드실드(15)에 연결되어 있는 센터리드(17)와, 상기 센터리드(17)와 함께 필라멘트(13)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하엔드실드(16)에 접합되어 있는 사이드리드(1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기부는 상기 애노드 실린더(11)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어 자기회로의 통로의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상자극(20)과 하자극(21), 상기 작용공간(14)에 자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자극(20)의 상측과 하자극(21)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그네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요소 외에도 상기 센터리드(17) 및 사이드 리드(18)의 타단이 세라믹 절연체인 세라믹 스템(31)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노이즈 필터회로 역할을 하는 초크코일(32)과, 상기 초크코일(32)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도록 하기 위한 관통형 콘덴서(33)와, 상기 상자극(20)의 상부와 하자극(21)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어 자기회로의 통로 역할을 하는 에이실(41) 및 에프시일(42)과, 상기 작용공간(14)에서 생성된 고주파 에너지를 외부로 방사하기 위하여 상기 베인(12)과 연결되어 상자극(20) 및 에이실(41)의 중앙부를 지나 인출되어 있는 안테나 피더(51)와, 상기 작용공간(14)에서 고주파 에너지로 변환되지 못하고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상기 베인(12)을 통하여 전도된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핀(61) 등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냉각핀(61)을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냉각핀(61)을 통하여 전도된 열이 방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크(19)가 포함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요크(19)는 상측에서 내부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요크 상판(19a)과 하측에서 내부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요크 하판(19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60)은 마그네트론이 조립된 후, 배기 공정시 마그네트론을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마그네트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것으로써, 배기 공정 후 상부를 절단하면서 진공 밀봉되는 부분이다.
이렇게 구성된 마그네트론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마그네트(22)에서 형성된 자계가 상자극(20)과 하자극(21)을 따라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베인(12)과 필라멘트(13) 사이의 작용공간(14)에 자계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형 콘덴서(33)를 통한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필라멘트(13)가 약 2000K의 온도에서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고, 방출된 열전자는 필라멘트(13)와 양극부 사이에 인가되어 있는 4.0 ~ 4.4kV의 양극전압과 마그네트(22)의 자계에 의해서 작용공간(14)의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센터리드(17)와 사이드리드(18)를 통해 필라멘트(13)에 전원이 공급되어 베인(12)과 필라멘트(13)사이에 2450MHz의 주파수를 갖는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전계와 자계에 의해서 방사된 열전자는 작용공간(14)에서 사이클로이드 (Cycloid) 운동을 하면서 전자에너지인 고주파 에너지로 변환되게 되고, 이 에너지가 베인(12)으로 전달되어 상기 베인(12)에 연결된 안테나 피더(5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으로 통하여서 모든 열전자의 에너지가 고주파 에너지로 방출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에너지는 열로 소모되게 되고 경우에 따라 이 소모 되는 열은 전체 소비에너지의 30%에 이른다.
한편, 이와 같은 소모열은 상기 베인(12)과 냉각핀(61)을 경유하여 외부에 마련된 팬에서 불어오는 공기유동에 의해서 방열되는데, 이러한 냉각핀(61)은 상기 요크(19)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론 냉각핀의 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의 냉각핀(100)은 평판부(110)와 상기 평판부(110)의 양측에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핀(121a,121b,121c,121d,121e,121f)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부(110)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애노드(Anode)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13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절곡된 절곡편(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부(110) 상의 유체 유입부(151) 양측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에어가이드(161,16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유체 유출부(152) 양측에도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2 에어가이드(163,16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151)와 유체 유출부(152)는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평판부의 영역을 지칭한다.
한편, 마그네트론은 그 출력급에 따라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에 적합한 냉각핀을 사용하며, 냉각핀의 냉각 성능은 마그네트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보다 냉각성능이 우수한 냉각핀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각핀의 평판부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의 세트(Set)를 유입되는 공기의 주류 흐름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적층된 인접 평판에 닿지 않고 떨어져 있는 구조이어야 하고, 공기의 유동에 따라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공기가 난류 촉진형 돌출물 상단에 박리되어 평판부에 재 부착되어 기존 온도 경계층의 두께를 박막화시키면서, 마찰계수를 증가시키고 열전달율을 촉진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부의 중앙에는 원통형 애노드(Anode)가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된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평판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기 흐름의 주류 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의 세트로 배열되고, 인접하여 적층된 핀과 접촉하지 않게 일정거리 떨어진 높이를 갖는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 촉진형 돌출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상부에 돌출부(151)가 돌출되어 있는 평판(150)에 공기가 'A'에서 'B'방향으로 흐를 때, 상기 돌출부(151)는 공기의 흐름에 교란을 일으킨다.
여기서, 평판(150)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51)는 공기의 흐름에 교란을 일으키므로, 이런 돌출부를 본 발명에서는 '난류 촉진형 돌출물' 라 정의한다.
한편, 열전달을 촉진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박막화법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유체와 고체 표면사이의 열전달이 고체 표면에 형성되는 온도 경계층의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
즉, 열전달을 잘하는데는 이 온도 경계층의 두께를 얇게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유체가 층류의 경우에는 식(1)과 같이, 온도 경계층의 두께(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1
)는 주류속도(v)의 평방근에 역 비례하여 변화됨으로, 경계층의 두께를 줄이려면 주류 속도를 상승시켜 주든지 아니면 국부적으로 난류를 형성시켜서 흐름을 교란하여 순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는 수 밖에 없다.
h ∝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2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3
-------- 식(1)
여기서, h는 열전달 계수이고,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4
는 온도 경계층의 두께이고, v는 주류속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류 촉진형 돌출물의 원리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평판(150) 상에 돌출된 돌출부(151)는 2차원적인 공기 흐름에서 돌출부(151) 상단(151a)에서 박리된 흐름이 돌출부(151) 높이 10배 정도의 하류에서 평판(151)에 재부착된다.
여기서, 재부착되는 점은 도 3에 '150a'로 표시하였다.
이 때, 평판 표면 온도와 공기의 온도차가 있는 경우, 박리되어 평판에 재부탁되는 흐름이 기존의 평판 표면 위의 온도 경계층을 박막화시켜서 그 부위의 열전달율을 상승시켜 준다, 그리하여 상기 재부착되는 지점(150a)에서 높은 열전달율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열면상에 적당한 간극으로 돌출물들을 배치하고, 그 돌출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박리된 난류의 공기가 재부착 지점의 높은 열전달율을 이용한 것이다.
여기서, 난류 재부착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돌출물의 돌출 높이는 주류가 박리될 수 있게 인접되어 적층된 핀의 평판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 촉진형 돌출물가 평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평판(150) 상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151)들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경우, 공기의 유동은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의 간격(Pitch)(P)과 난류 촉진형 돌출물의 높이(H)비에 의해 결정된다.
즉, (1) P/H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5
0.5이면, 이웃하는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 사이에 완전한 와류가 형성되기 어렵다. 그리고, 공기가 재부착되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2) P/H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6
1이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 사이에 와류가 1개 형성된다.
(3) P/H 〉1이면, 형성된 와류의 형태는 타원형이며,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 내측 양구석에 작은 와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의 재부착되는 지점이 존재하고, 공기의 재부착되는 지점의 마찰계수는 P/H가 1에서 P/H가 1.3까지 점점 감소하여 P/H가 1.3에서 최소가 된 후, P/H가 1.3이상에서 다시 증가한다.
(4) P/H
Figure 112004040049588-pat00007
6 ~ 8이면,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 상단에서 박리되어 난류 재부착되는 마찰계수와 열전달율이 최대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론 냉각핀의 사시도로서, 냉각핀(200)의 평판부에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기 흐름의 주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2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부 상의 공기유입부(211)와 공기유출부(212) 모두 또는 공기유입부(211)와 공기유출부(212)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평판부상의 원통형 애노드가 관통되는 통공(230)을 중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평판부 영역을 공기유입부(211)라 정의하고, 공기가 유출되는 평판부 영역을 공기유출부(212)라 정의한다.
한편, 전술된 도 4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난류 촉진형 돌출물(251) 들은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의 간격(Pitch)(P)과 난류 촉진형 돌출물의 높이(H)비인 P/H가 1 ~ 1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8이다.
또한, 상기 난류 촉진형 돌출물(251)들은 원기둥 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난류 재부착 면으로 보면 원기둥 형상이외의 사각기둥 형상, 엠보싱(Embossing) 형상 및 절개된 평판 영역이 들어올려서 세워진 형상 등도 거의 동일한 효과가 있으나, 난류 생성에 있어 세밀한 원주형 주위의 높은 난류 속도 및 열전달율이 다른 것보다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것도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각의 평판부(210a,210b,210c,210d,210e,210f)들이 적층되는 경우, 하나의 평판부에 형성된 난류 촉진형 돌출물(251)들은 인접하여 적층된 핀의 평판부에 접촉되지 않은 높이를 가지고 있어야만, 유입되는 공기가 난류 촉진형 돌출물(251)의 상단부에서 박리되어 평판부에 재부착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핀의 평판부에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을 형성하여, 공기 흐름의 주류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열하고 돌출물 상단이 인접 냉각핀과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에 따라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공기가 난류 촉진형 돌출물 상단에 박리되어 평판부에 재 부착되어 기존 온도 경계층을 박막화하여, 마찰계수를 증 가시키고 열전달율을 촉진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평판부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핀이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부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애노드가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절곡된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평판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공기 흐름의 주류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세트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인접하여 적층된 핀과 접촉되지 않게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원통형의 난류 촉진형 돌출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의 간격(Pitch)(P) 및 높이(Height) 비인 P/H가 6 ~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촉진형 돌출물들은,
    상기 평판부 상의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 모두 또는,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 중 어느 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5. 삭제
KR1020040070379A 2004-09-03 2004-09-03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KR10061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79A KR100611493B1 (ko) 2004-09-03 2004-09-03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EP05018003A EP1641018B1 (en) 2004-09-03 2005-08-18 Magnetron cooling fin
DE602005018297T DE602005018297D1 (de) 2004-09-03 2005-08-18 Kühlrippe für ein Magnetron
US11/211,585 US20060049766A1 (en) 2004-09-03 2005-08-26 Magnetron cooling fin
JP2005247786A JP2006073519A (ja) 2004-09-03 2005-08-29 マグネトロンの冷却フィン
CNA2005101036603A CN1744264A (zh) 2004-09-03 2005-09-02 磁控管散热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79A KR100611493B1 (ko) 2004-09-03 2004-09-03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86A KR20060021586A (ko) 2006-03-08
KR100611493B1 true KR100611493B1 (ko) 2006-08-10

Family

ID=3613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379A KR100611493B1 (ko) 2004-09-03 2004-09-03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49766A1 (ko)
EP (1) EP1641018B1 (ko)
JP (1) JP2006073519A (ko)
KR (1) KR100611493B1 (ko)
CN (1) CN1744264A (ko)
DE (1) DE6020050182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6381B (zh) * 2006-09-15 2011-1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磁控管的铜垫圈结构
CN101640153B (zh) * 2008-08-01 2013-0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磁控管的散热片
CN101640154B (zh) * 2008-08-01 2013-0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磁控管的正极散热片
CN101728175A (zh) * 2008-10-29 2010-06-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磁控管正极的散热片
CN101728180A (zh) * 2008-10-31 2010-06-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磁控管的散热结构
JP5424478B2 (ja) * 2009-11-30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及びマイクロ波利用機器
DE112015003178T5 (de) * 2014-07-07 2017-03-23 Nordson Corporation Systeme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Eignung von RF-Quellen in Ultraviolett-Systemen
JP2018530895A (ja) * 2015-09-22 2018-10-1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冷却特性が向上した3d印刷マグネトロン
KR102468161B1 (ko) * 2016-02-23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그네트론 냉각 핀 및 이를 가지는 마그네트론
US9991083B2 (en) 2016-02-23 2018-06-05 Samsung Electrnoics Co., Ltd. Magnetron cooling fin and magnetron having the same
CN106764982A (zh) * 2017-02-16 2017-05-31 厦门市博朗精密工业有限公司 照明设备散热鳍片的改进结构及其隧道灯
CN108091532B (zh) * 2017-12-19 2020-03-17 广东威特真空电子制造有限公司 磁控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8237A (en) * 1955-10-27 1957-12-31 Carlton G Lehr Cooling means
US3780797A (en) * 1972-02-28 1973-12-25 Gebelius Sven Runo Vilhelm Convectors
JPS6247166Y2 (ko) * 1978-06-16 1987-12-25
JPS5721050A (en) * 1980-07-14 1982-02-03 Hitachi Ltd Magnetron
JPS57158925A (en) * 1981-03-27 1982-09-30 Hitachi Ltd Magnetron
JPS58201229A (ja) * 1982-05-19 1983-11-24 Hitachi Ltd マグネトロン
US4923002A (en) * 1986-10-22 1990-05-08 Thermal-Werke, Warme-Kalte-Klimatechnik GmbH Heat exchanger rib
KR930006439Y1 (ko) * 1991-05-03 1993-09-24 주식회사 금성사 마그네트론의 방열장치
KR930014699A (ko) * 1991-12-16 1993-07-23 이헌조 마그네트론의 방열장치
KR970000281B1 (ko) * 1991-12-30 1997-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US5361828A (en) * 1993-02-17 1994-11-08 General Electric Company Scaled heat transfer surface with protruding ramp surface turbulators
US5514327A (en) * 1993-12-14 1996-05-07 Lsi Logic Corporation Powder metal heat sink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6067712A (en) * 1993-12-15 2000-05-30 Olin Corporation Heat exchange tube with embossed enhancement
US5957194A (en) * 1996-06-27 1999-09-28 Advanced Thermal Solutions, Inc. Plate fin heat exchanger having fluid control means
DE19963374B4 (de) * 1999-12-28 2007-09-13 Alstom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r, einen Strömungskanal umgebenden Strömungskanalwand mit wenigstens einem Rippenelement
US6802362B2 (en) * 2002-02-21 2004-10-12 Thermal Corp. Fin with elongated hole and heat pipe with elongated cross section
TW587902U (en) * 2002-07-26 2004-05-11 Hon Hai Prec Ind Co Ltd Heat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1018A1 (en) 2006-03-29
US20060049766A1 (en) 2006-03-09
CN1744264A (zh) 2006-03-08
EP1641018B1 (en) 2009-12-16
JP2006073519A (ja) 2006-03-16
KR20060021586A (ko) 2006-03-08
DE602005018297D1 (de)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493B1 (ko)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US8342234B2 (en) Plasma-driven cooling heat sink
US5676873A (en) Microwave oven and magnetron with cold cathode
TW201008651A (en) Ionic fluid flow accelerator
WO2008136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a gas
CN206574669U (zh) 具有增强的冷却特性的3d打印的冷却组件及磁控管
CN101170039B (zh) 磁控管
CN107887242A (zh) 一种基底开槽的微带线型慢波结构
JP3038830B2 (ja) 伝導冷却形多段コレクタ
US3443146A (en) Conductive elements interconnecting adjacent members of the delay structure in a traveling wave tube
KR100609963B1 (ko)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KR100611492B1 (ko) 마그네트론의 냉각핀
US2976455A (en) High frequency energy interchange device
Dong et al. Optimal design and thermal analysis of undepressed collectors for 35-GHz gyro-TWTs
CN111430203A (zh) 一种一体化制冷相对论磁控管
US2860277A (en) Traveling-wave tube collector electrode
CN210118728U (zh) 一种led散热装置
US20040021421A1 (en) Magnetron for microwave ovens
RU2307421C1 (ru) Лампа бегущей волны миллиметрового диапазона длин волн
RU2291514C1 (ru) Многоэлектродный коллектор электровакуумного свч-прибора о-типа
JPH11219661A (ja) マグネトロン
KR200162643Y1 (ko) 마그네트론
KR0139348Y1 (ko) 클라이스트론
KR100279872B1 (ko) 전자레인지용마그네트론
JPH06267441A (ja) マイクロ波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