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31B1 -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31B1
KR100610531B1 KR1020050031801A KR20050031801A KR100610531B1 KR 100610531 B1 KR100610531 B1 KR 100610531B1 KR 1020050031801 A KR1020050031801 A KR 1020050031801A KR 20050031801 A KR20050031801 A KR 20050031801A KR 100610531 B1 KR100610531 B1 KR 10061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forest fire
stopper
operating rod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기
Original Assignee
(주)월드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비텍 filed Critical (주)월드비텍
Priority to KR102005003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1Passive solar heat collectors, e.g. operated without external energ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산속에 설치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집수판을 상측부에 결합하고 있는 저장탱크의 하측 주연부로 숫나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관을 연결시키고 배수관의 숫나사부에는 다수개의 마개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의 마개들을 마개의 개방수단에 의해 개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우수(雨水)를 저장탱크 내부로 모아 두었다가 산불이 발생하면 지면으로 저장탱크 내부의 우수를 배수시킴으로서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산불이 다른 곳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저지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효과적인 산불의 진화 및 예방이 가능하고 건조기에는 저장탱크 주변의 나무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어 초목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저장탱크,집수판,배수관,태양열,집열판,축전지,감속모우터,운동편,고정핀,제1.제2,제3,제4작동로드,동력전달용 경사면,마개,너얼링부,유도관,중량체,납링

Description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effective in fighting forest fires water tank}
도 1은 본 발명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우수 저장탱크의 배수관과 마개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우수 저장탱크의 집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우수저장 탱크의 주변으로 결합된 작동로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작동로드들이 감속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면
도 6은 본 발명 작동로드들이 감속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면
도 7은 본 발명 작동로드들이 중량체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작동로드의 작동에 의해 배수관으로 부터 마개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저장탱크 102-집수판
103-집수공 104-배수관
105-숫나사부 106-안내판
111-태양열 집열판 112-축전지
113-감속모우터 114-회전축
115-운동편 116-고정핀
121-제1작동로드 122-제1경사면
123-동력전달용 경사면 124-요홈
125-너얼링부 126-제2작동로드
127-제2경사면 128-제3작동로드
129-제3경사면 130-제4작동로드
131-마개 132-너얼링부
133-암나사부 141-유도관
142-중량체 143-납링
본발명은 산속에 설치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집수판을 상측부에 결합하고 있는 저장탱크의 하측 주연부로 숫나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관을 연결시키고 배수관의 숫나사부에는 다수개의 마개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의 마개들을 마개의 개방수단에 의해 개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우수(雨水)를 저장탱크 내부로 모아 두었다가 산불이 발생하면 지면으로 저장탱크 내부의 우수를 배수시킴으로서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산불이 다른 곳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저지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효과적인 산불의 진화 및 예방이 가능하고 건조기에는 저장탱크 주변의 나무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어 초목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불은 삼림,목야,들판의화재, 임야화재라고도 한다. 주로 농작업의 모닥불,등산객의 담배꽁초,숲을 조성하기 위한 풀태우기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일어난다. 계절적으로는 지표식물이 말라죽는 건조한 시기에 위험성이 높고 3-4월경이 가장 많다.
상기의 산불은 물사정이 나쁘고 소화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해서 퍼져나가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토록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그리고, 산불 예방은 건조기에 화기나 인화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서 산림법에서는 산림의 보호를 위해 산불예방등을 위한 금지행위와 산불조심기간등의 설정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는 산불예방 및 진화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며 허가 없이 산림 또는 산림에 근접한 지역에 불을 놓거나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만약,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미리 산불을 예방하는 시설을 하고 근접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그 밖의 예방적 조치로서 방화선의 설정, 방화림대(防火林帶)의 조성, 유령림(幼齡林)의 풀베기와 밑가지치기, 숲길이나 보도의 정비,저수시설,흡연장소설치, 입산규제, 망이나 순찰에 의한 조기발견체제의 확립등이 있다.
또한,소방대를 편성하여 훈련시키는것, 통보시설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의 소화법으로는 흙이나 물을 끼얹기도하고 생나무 가지등으로 두들겨 직법 불을 끄는 직접소화법이 사용되지만 타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위험하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되는 방향의 삼림을 벌채하여 가연물을 제거하고 방화선을 만들어 불을 멈추게하는 간접소화가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큰화재의 경우에는 주로 간접소화로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불을 놓아 끄기도 한다.
종래의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방차는 차량의 구조상 산악지형 주행에 부적합하므로 화재장소에 진입이 어렵고 노즐 및 호스등의 진화장비의 구조가 산림지역에서는 용이한 진화작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압 대용량으로 물이 방수 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여 장시간 진화작업을 하거나 분사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산속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우수(雨水)를 저장탱크 내부로 모아 두었다가 산불이 발생하면 지면으로 저장탱크 내부의 우수를 배수시킴으로서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산불이 다른 곳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저지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효과적인 산불의 진화 및 예방이 가능하고 건조기에는 저장탱크 주변의 나무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어 초목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집수판을 상측부에 결합하고 있는 저장탱크의 하측 주연부로 숫나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관을 연결시키고 배수관의 숫나사부에는 다수개의 마개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체결시킨 다음 상기의 마개들을 마개의 개방수단에 의해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수를 모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집수공(103)이 형성된 집수판(102)을 상측부에 결합하고 있는 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101)내부로 저장되는 우수를 산불 발생시 외부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저장탱크(101)의 하측 주연부로 연결되는 숫나사부(105)가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관(104)과,
상기 배수관(104)들을 막고 있다가 산불 발생시 배수관(104)을 개방할 수 있도록 배수관(104)의 숫나사부(105)로 암나사부(133)를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마개(131)와,
상기 마개(131)들을 산불 발생시 개방하기 위한 마개의 개방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마개의 개방수단은 마개(131)의 외주면부로 형성되는 너얼링부 (132)와,
상기 너얼링부(132)와 맞물리는 너얼링부(125)를 저부에 형성하고 있고 너얼링부(125)의 일측부에는 마개(131)가 저장탱크(101)의 수압에 의해 탈거되기 쉽도록 요홈(12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장탱크(101) 하측면에 부착된 안내판(106)내부로 전,후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제1,제2,제3,제4작동로드(121)(126)(128)(131)들과,
상기 제1작동로드(121)의 이동에 의해 제2,제3,제4작동로드(126)(128)(131)들이 연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제2,제3작동로드(121)(126)(128)의 일측부로 형성되어 앞쪽 작동로드(126)(128)(131)의 후측부와 접촉하고 있는 제1,제2,제3경사면(122)(127)(129)들과,
상기 제1작동로드(1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은 제1작동로드(121)의 일측부로 고정된 고정핀(116)에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운동편(115)과,
상기 운동편(115)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114)을 운동편(115)하측부로 결합시키고 있는 감속모우터(113)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감속모우터(113)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감속모우터(113)와 연결되는 축전지(112)와,
상기 축전지(112)에 탱양열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를 축전시킬 수 있도록 축전지(112)와 연결되고 저장탱크(101)의 상측부로 장착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집열판(111)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은 제1작동로드(121)의 후측부로 형성되는 동력전달용 경사면(123)과,
상기 동력전달용 경사면(123)으로 충격을 가해 제1작동로드(12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탱크(101)의 유도관(141)내부 상측에 위치되는 중량체(142)와,
상기 중량체(142)를 지지하고 있다가 산불에 의해 저장탱크(101)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면 용융되면서 중량체(142)를 떨어트리기 위해 유도관(141)내부로 결합되는 납링(143)으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우수 저장탱크(101)는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산속 등산로 주변등이나 햇볕이 잘드는 양지 지점등을 선택하여 다수개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저장탱크(101)는 평상시, 집수판(102)으로 우수를 모으게 되는바, 상기 집수판(102)에 형성된 다수개의 집수공(103)을 통해 우수는 저장탱크(101)의 내부로 흘러들어 모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01) 상측에 장착되는 태양열집열판(111)은 태양의 열을 집열하여 발전을 한뒤 발전된 전기를 저장탱크(101)하측부로 안착된 축전지 (112)에 충전을 시켜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101)내부에 우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관리자는 저장탱크(101)에 장착되는 시작보턴(도시안됨)을 직접 누르거나 원 거리에서 원격조정기(도시안됨)를 누르면 축전지(112)의 전원이 감속모우터 (113)로 전달되면서 감속모우터(113)가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감속모우터(112)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14)에 하측부를 결합하고 있는 운동편(115)이 일정각도를 회전한뒤 정지를 하게 되고 아울러 운동편(115)과 결합된 고정핀(116)이 일정 거리를 직선 이동하면서 저장탱크(101)의 안내판(106)에 결합되어 있는 제1작동로드(121)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로드(121)의 이동을 저장탱크(101)의 배수관(104)을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막고 있는 마개(131)를 개방하는 작용과 동시에 제2작동로드 (126)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작동로드(121)의 이동에 의해 제1작동로드(121)의 저부에 형성되어 마개(131)들의 너얼링부(132)와 맞물림되어 있는 다수개의 너얼링부(125)가 도3에서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을 하면서 마개(13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개(131)들의 회전에 의해 마개(131)의 암나사부(133)가 배수관(104)의 숫나사부(105)로 부터 풀리는 상태가 되고 상기 마개(131)의 상측부에는 제1작동로드(121)의 요홈(124)이 위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개(131)의 상측부로 제1작동로드(121)의 요홈(124)이 위치 되고 상기 마개(131)의 암나사부(133)는 이미 풀려 있는 상태에서 저장탱크(101)에 저장되어 있는 우수의 수압을 받게 되므로 상기 마개(131)는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배수관(104)으로 부터 탈거되어진다.
따라서, 마개(131)의 탈거에 의해 배수관(104)으로는 저장탱크(101)의 물이 배수되면서 지면으로 공급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작동로드(121)의 이동에 의해 제1작동로드(121)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122)도 이동을 하면서 도4에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작동로드(126)의 후측부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로드(126)가 이동되면서 마개(131)들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개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로드(126)의 이동에 의해 제2작동로드(126)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127)도 이동을 하면서 도4에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3작동로드(128)의 후측부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작동로드(128)도 이동되면서 마개(131)들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개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작동로드(128)의 이동에 의해 제3작동로드(128)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3경사면(129)도 이동을 하면서 도4에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4작동로드(130)의 후측부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4작동로드(130)가 이동되면서 마개(131)들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개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101)의 하측 4개면에 형성된 배수관(104)들을 통해 배수된 우수는 산의 내리막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산불을 진압할 수 있는 동시에 불길을 차단하여 산불이 다른 장소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술한 내용은 관리자의 의도에 의해 저장탱크(101)내의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시킨 것이고 때로는 관리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산불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에따라, 본발명은 산불이 발생되어 상기 저장탱크가 설치된 부위까지 접근을 할 경우 관리자의 명령없이도 자동으로 배수관(104)의 마개(131)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저장탱크(101)의 물을 지면으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저장탱크 표면으로 온도가 산불의 복사열에 의해 70℃가 넘으면 저장탱크(101)의 유도관(141)내부에서 중량체(142)를 지지하고 있는 납링(143)이 용융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납링(143)이 용융되므로써 중량체(142)를 지지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상기의 중량체(142)는 유도관(141)의 유도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을 하여 도7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작동로드(121)의 타측부에 형성된 동력전달용 경사면 (113)으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체(142)의 충격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용 경사면(113)은 일측으로 밀리면서 제1작동로드(121)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로드(121)의 이동에 의해 너얼링부(125)가 이동을 하면서 다수개의 마개(131)들을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제3,제4작동로드(126)(128)(130)들을 연쇄적으로 이동시켜 저장탱크(101)하측 4개면에 형성된 배수관(104)들을 통해 우수를 지면으로 흘러보낼 수 있어 산불의 진압 및 예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은, 산불의 진압외에도 메마른 건조기에 상기 저장탱크(101)의 우수를 배수관(104)을 통해 지면으로 흘려보내면 주위의 초목들에 물을 주는 결과에 의해 초목들의 성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산속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우수(雨水)를 저장탱크 내부로 모아 두었다가 산불이 발생하면 지면으로 저장탱크 내부의 우수를 배수시킴으로서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산불이 다른 곳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저지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효과적인 산불의 진화 및 예방이 가능하고 건조기에는 저장탱크 주변의 나무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어 초목들의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우수를 모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집수공이 형성된 집수판을 상측부에 결합하고 있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저장되는 우수를 산불 발생시 외부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하측 주연부로 연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들을 막고 있다가 산불 발생시 배수관을 개방할 수 있도록 배수관의 숫나사부로 암나사부를 결합하고 있는 다수개의 마개와,
    상기 마개들을 산불 발생시 개방하기 위한 마개의 개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개방수단은 마개의 외주면부로 형성되는 너얼링부와,
    상기 너얼링부와 맞물리는 너얼링부를 저부에 형성하고 있고 너얼링부의 일측부에는 마개가 저장탱크의 수압에 의해 탈거되기 쉽도록 요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장탱크 하측면에 부착된 안내판 내부로 전,후진이 용이토록 결합되는 제1, 제2,제3,제4작동로드들과,
    상기 제1작동로드의 이동에 의해 제2,제3,제4작동로드들이 연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제2,제3작동로드의 일측부로 형성되어 앞쪽 작동로드의 후측부와 접촉하고 있는 제1,제2,제3경사면들과,
    상기 제1작동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은 제1작동로드의 일측부로 고정된 고정핀에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운동편과,
    상기 운동편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을 운동편 하측부로 결합시키고 있는 감속모우터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모우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감속모우터와 연결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탱양열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를 축전시킬 수 있도록 축전지와 연결되고 저장탱크의 상측부로 장착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태양열집열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로드의 이동수단은 제1작동로드의 후측부로 형성되는 동력전달용 경사면과,
    상기 동력전달용 경사면으로 충격을 가해 제1작동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유도관 내부 상측에 위치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고 있다가 산불에 의해 저장탱크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면 용융되면서 중량체를 떨어트리기 위해 유도관 내부로 결합되는 납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KR1020050031801A 2005-04-18 2005-04-18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KR10061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01A KR100610531B1 (ko) 2005-04-18 2005-04-18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01A KR100610531B1 (ko) 2005-04-18 2005-04-18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531B1 true KR100610531B1 (ko) 2006-08-09

Family

ID=3718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01A KR100610531B1 (ko) 2005-04-18 2005-04-18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83B1 (ko) 2007-04-18 2007-12-07 강현녀 야외용 석재 음수대
CN107780463A (zh) * 2016-08-25 2018-03-09 邬惠林 便携式科学分析用雨水收集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031A (ja) 1998-05-08 1999-11-26 Katsuji Ando 初期消火ホース付き雨水貯留容器
KR200207774Y1 (ko) 2000-06-26 2000-12-15 이경환 산불 진화용 물 방벽
JP2002371597A (ja) 2001-06-15 2002-12-26 Toru Shibatani 雨水集水方法
KR200387716Y1 (ko) 2005-03-31 2005-06-21 이훈재 산불 진화용 우수받이 물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031A (ja) 1998-05-08 1999-11-26 Katsuji Ando 初期消火ホース付き雨水貯留容器
KR200207774Y1 (ko) 2000-06-26 2000-12-15 이경환 산불 진화용 물 방벽
JP2002371597A (ja) 2001-06-15 2002-12-26 Toru Shibatani 雨水集水方法
KR200387716Y1 (ko) 2005-03-31 2005-06-21 이훈재 산불 진화용 우수받이 물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83B1 (ko) 2007-04-18 2007-12-07 강현녀 야외용 석재 음수대
CN107780463A (zh) * 2016-08-25 2018-03-09 邬惠林 便携式科学分析用雨水收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604B1 (en) Multi-zone firewall detection system
EP3613472B1 (de) Brandschutzsystem und -verfahren
US9656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fficiency and safety
KR100610531B1 (ko)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
CN207261036U (zh) 一种用于高速公路隧道的消防节水结构
CN204709681U (zh) 森林防火、灭火新设施装备
KR100669069B1 (ko)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의 물 분사장치
CA236866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lting ice on roofs
JP2005083180A (ja) 雨水循環式屋根消雪装置
KR101965254B1 (ko)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CN102784445A (zh) 自集水灭火树
KR20090012746A (ko) 산불방지 장치
CN114566017A (zh) 一种森林安全防火系统
CN103170077A (zh) 林区集雨储水或高原高山管道引水储水防火灭火防虫施肥新方案
CN217311694U (zh) 光伏电站用主动式灭火和组件清洗的装置
KR100656873B1 (ko) 물의 낙차를 이용한 펌핑시스템
CN111840856A (zh) 一种森林防火隔离带
KR20100118094A (ko) 도로 및 임도를 이용한 산불진화용 빗물 저수시스템
CN202699911U (zh) 自集水灭火树
KR20240071688A (ko) 산불 예방 및 진화시스템
KR200390191Y1 (ko) 산불 방화용 물 저장 주머니 설치 구조
CN111346320B (zh) 一种适用于电力塔架或山中设施的山火扑灭装置
KR102561269B1 (ko)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CN219847902U (zh) 一种用于森林防火的智能灭火装置
JPH05272116A (ja) 高所除雪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