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099B1 -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099B1
KR100610099B1 KR1020040059224A KR20040059224A KR100610099B1 KR 100610099 B1 KR100610099 B1 KR 100610099B1 KR 1020040059224 A KR1020040059224 A KR 1020040059224A KR 20040059224 A KR20040059224 A KR 20040059224A KR 100610099 B1 KR100610099 B1 KR 10061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vehicle speed
length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499A (ko
Inventor
우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0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섹터 축과 드래그 링크를 연결시키면서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길이조절수단과, 이 가변길이조절수단을 차속에 상응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기계식 조향 장치에서 피트먼 아암의 역할을 하는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차속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속에 따라 운전조작이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안정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Speed Responsive Power Stee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핸들 2 - 조향축
3 - 기어박스 4 - 유압실린더
5 - 드래그 링크 6a,6b - 유압라인
7 - 조절밸브 8 - 유압공급원
9 - 차속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속도에 따라 피트먼 아암의 역할을 하는 실린더의 길이를 가변시켜 동력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된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 장치는 운전자가 차륜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수 있도록 장착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 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각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조향 휠과 조향 축 및 칼럼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하는 기어기구 및, 이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피트먼 암과 드래그 링크 및 너클 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 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크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력이 크게 되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안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가볍고 신속한 조향 조작을 하기 위해 동력 조향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동력 조향 장치는 동력원이 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압력조절밸브 및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등으로 구성된 동력장치와,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조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사용하는 작동장치 및, 이 작동장치에 이르는 유로를 개폐하고 핸들의 조작에 상응해서 유로를 바꾸어 동력실린더의 작동방향과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조향 장치나 동력 조향 장치에서는 차속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 감각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속 주행시에 필요한 무거운 조향 감각이나 저속주행시의 가벼운 조향 감각을 동시에 느끼도록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차속에 따라 조향 감각이 달라지도록 하는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조향 핸들이 장착된 조향축이 조향 기어 박스와 연결되고, 이 조향 기어 박스의 상부에는 제어밸브가 설치되 면서 이 제어밸브를 통해 유압펌프에 의해 펌핑된 오일탱크의 오일이 공급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밸브는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전류를 인가 받아 작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어유닛에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기계식 조향 장치에서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이 크게 되어 운전 피로를 가중시키는 결점이 있었고, 상기 기계식 조향 장치와 동력 조향 장치에서는 차속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 감각이 일정하여 안정된 조작감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으며, 상기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에서는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계식 조향 장치에서 피트먼 아암의 역할을 하는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차속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속에 따라 운전조작이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안정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한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섹터 축과 드래그 링크를 연결시키면서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길이조절수단과, 이 가변길이조절수단을 차속에 상응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변길이조절수단이 신축가능한 유압실린더를 갖추고; 상기 제어장치가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유압실린더로의 오일을 공급 및 드레인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조절밸브가 2개의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어느 한쪽 유압라인으로 오일을 공급하면서 다른 쪽 유압라인으로 오일을 드레인시켜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가 차속이 저속일 때는 상기 가변길이조절수단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반면에 차속이 고속일 때는 상기 가변길이조절수단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고, 차속에 비례하여 상기 가변길이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형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의 구성도인 바, 즉 조향 핸들(1)이 조향축(2)을 매개로 기어박스(3)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향 핸들(1)을 조작하게 되면, 그 조작력이 상기 조향축(2)을 매개로 기어박스(3)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어박스(3)의 내부에는 상기 조향축(2)의 선단에 일체로 구비된 웜기어와, 이 웜기어에 치합되는 섹터 축을 일체로 구비되는 데, 이와 같은 기어박스(3)의 구성은 공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3)의 섹터 축에는 유압실린더(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4)내에서 유압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로드(4a)의 선단부는 드래그 링크(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조향시 상기 섹터 축의 회전운동이 상기 유압실린더(4)를 통해 상기 드래그 링크(5)로 전달되게 되는 바, 상기 유압실린더(4)가 기존의 피트먼 아암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기계식 조향 장치에서는 피트먼 아암이 그 길이를 가변시킬수 없는 로드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4)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2)에는 2개의 유압라인(6a,6b)을 통해 조절밸브(7)가 연결되어 있고, 이 조절밸브(7)를 통해 오일을 공급하거나 드레인 시키도록 유압공급원(8)이 상기 조절밸브(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유압라인 중에 어느 한쪽의 유압라인(6a)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4a)의 하부로 오일을 공급하면서 다른 쪽 유압라인(6b)을 통해 오일을 드레인시키면, 상기 피스톤로드(4a)가 신장되면서 유압실린더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반면에, 상기 한쪽 유압라인(6a)의 오일을 드레인시키면서 다른 쪽 유압라인(6b)으로 오일을 공급하면 상기 유압실린더(4)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4)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에 상기 조절밸브(7)를 예컨대 중립위치로 위치시키면, 상기 유압라인(6a,6b)을 통한 오일의 유동이 없으므로 상기 유압실린더(4)는 그 조절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밸브(7)는 예컨대 엔진제어유니트(ECU)와 연결되어, 이 엔진제어유니트(ECU)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게 되며,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에는 차속을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9)가 그 입력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가 상기 차속센서(9)를 매개로 차속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7)를 제어하게 되는 바, 예 컨대 차량이 저속운전중이거나 혹은 주차 중일 때에는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가 차속센서(9)를 매개로 차속을 감지함과 더불어 감지한 차속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절밸브(7)에 인가한다.
즉, 차속이 저속일 때에는 피트먼 아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조향 기어비가 커져서 조향 조작감이 가벼워지므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가 상기 유압라인(6a)을 통해 오일이 드레인되게 하면서 다른 유압라인(6b)을 통해 오일이 공급되도록 상기 조절밸브(7)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유압실린더(4)의 전체 길이를 짧아지도록 조절밸브(7)를 제어한다.
그리고, 차속이 고속일 때에는 피트먼 아암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조향 기어비가 작아져서 조향 조작감이 무거워지므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ECU)가 상기 유압라인(6b)을 통해 오일이 드레인되게 하면서 다른 유압라인(6a)을 통해 오일이 공급되도록 상기 조절밸브(7)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유압실린더(4)의 전체 길이를 길어지도록 상기 조절밸브(7)를 제어한다.
물론, 차속에 비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의 길이를 선형적으로 조절해서 차속에 따라 최적의 조향 조작감을 항상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압을 사용하여 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에 의하면, 차속에 따라 피트먼 아암의 역할을 하는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상응되게 조절하 여 운전자가 항상 최적의 조향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 조작의 편리성과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조향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웜기어와 치합되어 조향시 회동되는 섹터 축을 갖춘 기어박스;
    상기 섹터 축과 드래그 링크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피스톤로드를 갖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2개의 유압라인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의 경로를 조정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조절밸브의 작동을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차속의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엔진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가 차속이 저속일 때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반면에, 차속이 고속일 때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가 차속에 비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선형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감응형 동력 조향 장치.
KR1020040059224A 2004-07-28 2004-07-28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061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24A KR100610099B1 (ko) 2004-07-28 2004-07-28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24A KR100610099B1 (ko) 2004-07-28 2004-07-28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99A KR20060010499A (ko) 2006-02-02
KR100610099B1 true KR100610099B1 (ko) 2006-08-08

Family

ID=3712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224A KR100610099B1 (ko) 2004-07-28 2004-07-28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0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99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053B2 (ja) 自動車用運転システム及び運転動的制御方法
KR19980043831A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50107873A (ko)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
KR100610099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JP376356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09800569U (zh) 一种汽车离合器操纵力随工况调整装置
KR20000015824U (ko) 자동차의 독립형 동력조향장치
KR100259525B1 (ko) 차량의 코너링 자동보정장치
KR100610100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0276710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200192429Y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9980035574A (ko) 밴드식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JPH05310023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KR20070040230A (ko) 자동차의 조향력 제어장치
KR100534906B1 (ko) 피니언밸브를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1020538B1 (ko) 차량용 조타 토크 저감장치
KR100268086B1 (ko) 속도감응형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KR100613774B1 (ko) 조향비 가변 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장치
KR100339215B1 (ko) 인테그럴 타입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9990059214A (ko) 조향력 조절수단을 갖춘 동력조향장치
KR20020052267A (ko) 차량의 가변조향시스템
KR0136249Y1 (ko)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의 파워조절구조
KR100259536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9980038318U (ko)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KR19990059204A (ko) 조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