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050B1 -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 Google Patents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050B1
KR100610050B1 KR1020040110475A KR20040110475A KR100610050B1 KR 100610050 B1 KR100610050 B1 KR 100610050B1 KR 1020040110475 A KR1020040110475 A KR 1020040110475A KR 20040110475 A KR20040110475 A KR 20040110475A KR 100610050 B1 KR100610050 B1 KR 10061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dhesive
bookmark
upper side
protective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967A (ko
Inventor
이종택
Original Assignee
이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택 filed Critical 이종택
Priority to KR102004011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0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33Multiple disc containers
    • G11B33/0444Multiple disc container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42D9/005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clamped on the shee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 G11B33/1453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by moisture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를 책갈피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꽂아 고정시킬 수 있고 CD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개봉하여 빼낼 수 있으며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며 CD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케이스의 정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측에 절취선(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취선의 하부 인접부분에 테어 테이프(11c)(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 하부는 CD가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의 CD 내장부가 되고 절취선 상부에 후방으로 접혀지는 낮은 높이의 접음부(11a)(21a)가 형성되어 있는 정면부(11)(21),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정면부의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배면부(13)(23), 상기 정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 및 후면부와 함께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부직포(12)(22), 그리고 상기 배면부의 후면상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14a)(24a)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보호비닐(14)(24)로 구성되어 있다.
CD, 케이스, 합성수지 필름, 부직포, 테어 테이프, 열융착, 프레스 절단

Description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CD CASE FOR BEING PUTTING BETWEEN THE LEAVES OF BOO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CD(Compact Disk)
10, 20: CD 케이스
11, 21: 정면부 11a, 21a: 접음부
11b, 21b: 절취선 11c, 21c: 테어 테이프
12, 22: 부직포 13, 23: 배면부
14, 24: 상부보호비닐 14a, 24a: 연장부
25: 하부보호비닐 25a: 접착부분
25b: 비접착부분 25c: 연장부
본 발명은 CD를 보관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D를 책갈피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꽂아 고정시킬 수 있고 CD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개봉하여 빼낼 수 있으며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며 CD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각종 정보가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CD 에 저장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CD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CD는 정밀한 것이므로 보관 및 휴대 중에 손상을 입혀서는 안되며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한편, 잡지나 광고서적 등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그 잡지의 내용을 CD 에 기록하여 책갈피에 넣어 함께 판매하고 있다.
종래의 CD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된 것과 종이로 된 것이 있는데, 플라스틱으로 된 CD 케이스는 안정성은 있으나 부피가 커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이로 된 CD 케이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하여야 하는 등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종이의 먼지 및 습기가 많아 CD가 손상을 입 는 등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CD를 책갈피에 꽂아 넣는 경우에는 종이로 된 CD 케이스에 밀봉하여 그대로 책갈피에 꽂아 놓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책갈피에 접착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 CD를 꺼낼 때에 CD 케이스를 책갈피로부터 뜯어내고 CD 케이스를 찢어 개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CD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책갈피에 끼워 넣고 부착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책갈피에서 CD를 빼낼 때 편리하게 개봉할 수 있고 습기 및 손상에 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며 CD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는 케이스의 정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측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취선의 하부 인접부분에 테어 테이프(tear tape)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 하부는 CD가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의 CD 내장부가 되고 절취선 상부에 후방으로 접혀지는 낮은 높이의 접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정면부,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정면부의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배면부, 상기 정면부 와 후면부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 및 후면부와 함께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부직포, 그리고 상기 배면부의 후면상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보호비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또한 상기 배면부의 후면중 보호비닐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도 또한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하부보호비닐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11), 부직포(12), 배면부(13), 그리고 상부보호비닐(14)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부(11)는 케이스의 정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측에 절취선(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취선(11b)의 하부 인접부분에 테어 테이프(1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 하부는 CD가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의 CD 내장부가 되고 절취선 상부에 후방으로 접혀지는 낮은 높이의 접음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13)는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11)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정면부(11)의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부직포(12)는 상기 정면부(11)와 후면부(13)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11) 및 후면부(13)와 함께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상부보호비닐(14)은 상기 배면부(13)의 후면상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14a)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면부(11)의 자재로서는 OPP, PP, PE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고 투명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0.2 내지 0.6 mm 이다.
그리고 부직포(12)의 두께도 0.2 내지 0.6 mm 의 것을 이용하고 색상은 흰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부드러워서 CD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뿐 아니라 습기를 흡수하는 성능이 양호하여 안전하게 CD를 보호할 수 있다. 부직포는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아 인접 합성수지 필름과 달라붙지 아니하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CD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내부의 넓이는 통상의 CD(C)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이 경우 모서리부분은 여유 공간으로 남는다.
이 실시예의 CD 케이스(10)는 정면부(11), 부직포(12), 그리고 배면부(13)가 일시에 프레스 절단되면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들 세 개의 구성요소들이 3변이 서로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부직포(1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테어 테이프(11c)는 과자봉지 등 비닐 봉지의 개봉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보호비닐(14)은 0.1mm 정도의 매우 얇은 박막으로서 연질로서 배면부(13)와 접착상태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탈취시에는 배면부(13)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부(21), 부직포(22), 배면부(23), 상부보호비닐(24), 하부보호비닐(25)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부(21)는 케이스의 정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측에 절취선(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취선(21b)의 하부 인접부분에 테어 테이프(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 하부는 CD가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의 CD 내장부가 되고 절취선 상부에 후방으로 접혀지는 낮은 높이의 접음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부(23)는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21)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정면부(21)의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부직포(22)는 상기 정면부(21)와 후면부(23)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21) 및 후면부(23)와 함께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다.
상부보호비닐(24)은 상기 배면부(23)의 후면상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24a)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다.
하부보호비닐(25)은 상기 배면부(23)의 후면중 상부보호비닐(24)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도 또한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25c)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CD 케이스(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부보호비닐(25)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CD 케이스(10)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보호비닐(24) 및 하부보호비닐(25)은 각각 0.1mm 정도의 매우 얇은 박막으로서 연질로서 배면부(23)와 접착상태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탈취시에는 배면부(23)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진다.
하부보호비닐(25)은 상하의 접착부분(25a)과 그 사이의 비접착부분(25b)가 있다. 비접착부분(25b)을 둔 이유는 배면부(23)의 중앙부에 접착제를 바르지 않은 부분을 두어 배면부(23)를 책장에 접착시킬 때 주름 없이 용이하게 접착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본 발명의 CD 케이스(10)에 두 개의 CD를 집어넣는다. CD는 정면부(11)와 부직포(12)사이, 그리고 부직포(12)와 배면부(13)사이에 집어넣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면부(13)의 상부보호비닐(14)을 탈취한다. 상부보호비닐(14)을 탈취할 때에는 연장부(14a)를 잡고 탈취한다. 그리고 정면부(11)의 접음부(11a)를 뒤로 젖히면서 접음부(11a)를 배면부(13)의 접착부분에 접착시킨다. 이 상태의 단면도가 도 4이다.
이 상태에서 잡지, 광고서적 등 해당 서적의 책갈피에 미리 마련된 보관부에 는 넣어 유통시킨다. 소비자는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책갈피의 보관부에서 빼낸 후 도 1에서와 같이 테어 테이프(11c)를 절개부를 잡고 떼낸다. 이 때 테어 테이프(11c)는 상부는 절취선(11b)에서 절단되고 하부는 그 인접부분에서 절단되면서 절취된다. 그리고 개봉된 부분을 통하여 내부의 CD를 빼내어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의 CD 케이스(20)는 책갈피에 보관할 때 하부보호비닐(25)을 벗겨내고 책갈피의 책장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는 CD 케이스(10)의 경우와 동일하다.
하부보호비닐(25)을 탈취할 때에는 하단의 연장부(25c)를 잡고 탈취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 상태에서 배면부(23)의 후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면부(23)를 책장에 부착한다.
배면부(23)에는 중앙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부분이 있어서 배면부(23)를 책장에 부착할 때에 책장이 우겨지는 일이 없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CD 케이스(20)의 경우에는 책갈피에 특별한 보관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책갈피에 꽂아 놓는 작업이 편리하고 그에 따라 작업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과 부드럽고 흡수성이 양호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CD 내용을 외부에서 관찰 할 수 있으며 CD의 데이터저장표면을 부직포 쪽을 향하여 하면 습기나 미세한 손상에 대하여 안전하게 CD를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책갈피에 끼워 넣어 보관하기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책갈피의 책장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에 사용되는 부직포(12)(22)는 인접 합성수지 필름과의 관계에서 정전기를 발생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정전기를 흡수하므로 인접한 합성수지 필름과의 관계에서 서로 달라붙지 아니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수납되는 CD(C)에 전기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합성수지 필름과 부직포를 금형에 의하여 프레스 절단과 동시에 열융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으로 그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책갈피에 끼워 넣고 부착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책갈피에서 CD를 빼낼 때 편리하게 개봉할 수 있고 습기 및 손상에 대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며 CD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케이스의 정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측에 절취선(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취선의 하부 인접부분에 테어 테이프(11c)(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 하부는 CD가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의 CD 내장부가 되고 절취선 상부에 후방으로 접혀지는 낮은 높이의 접음부(11a)(21a)가 형성되어 있는 정면부(11)(21),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정면부의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배면부(13)(23),
    상기 정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서 상부변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의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정면부 및 후면부와 함께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되고 CD 내장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부직포(12)(22), 그리고
    상기 배면부의 후면상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14a)(24a)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상부보호비닐(14)(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23)의 후면중 상부보호비닐(24)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 접착되며, 탈취할 때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접착되지 않는 연장부(25c)가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하부보호비닐(25)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호비닐(25)은 상하의 접착부분(25a)과 그 사이의 비접착부분(25b)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KR1020040110475A 2004-12-22 2004-12-22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KR10061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75A KR100610050B1 (ko) 2004-12-22 2004-12-22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75A KR100610050B1 (ko) 2004-12-22 2004-12-22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90U Division KR200380059Y1 (ko) 2004-12-22 2004-12-22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67A KR20060071967A (ko) 2006-06-27
KR100610050B1 true KR100610050B1 (ko) 2006-08-09

Family

ID=3716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475A KR100610050B1 (ko) 2004-12-22 2004-12-22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57Y1 (ko) * 2011-01-28 2012-04-13 김재기 책갈피 삽입형 씨디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67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117A (en) Book insert CD carrier device
KR100610050B1 (ko)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KR200380059Y1 (ko) 책갈피 끼움용 cd 케이스
JP3381552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ボックス、およびその折畳方法
JP3004169U (ja) 書籍添付記憶媒体用ケース
JP3942119B2 (ja) 本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9826B2 (ja) 記録用媒体のケース
JP3006974U (ja) 記録メディア収納用ホルダー
JP3012850U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3030357U (ja) フラットな記録担体の収納体及びそれを綴着した収納帳
JP2510312Y2 (ja) 綴じ込み用包装袋
KR200328338Y1 (ko) 문구나 책의 표지내부에 부착하는 디스크를 보관하는 고기능포켓
JP3193306B2 (ja) 書籍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袋
KR200411683Y1 (ko) 책 및 책 커버
JP3218127B2 (ja) Cdホルダー
JP3745456B2 (ja) Cd付き本
JP3719805B2 (ja) Cdホルダー
JPH09175586A (ja) 綴じ込み用デイスク包装体
JP3148715U (ja) 封筒
JPS6013818Y2 (ja) カセツトテ−プ用ケ−スの見出し用紙
JPH10291384A (ja) ポケットシート付書籍
JP3417604B2 (ja) Cd付き本
JP3046061U (ja) 書籍綴じ込み用cd収容ケース
JP3184152B2 (ja) ディスク状記録担体用パッケージ
KR200412863Y1 (ko) 콤팩트 디스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