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01B1 -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01B1
KR100609401B1 KR1020050033836A KR20050033836A KR100609401B1 KR 100609401 B1 KR100609401 B1 KR 100609401B1 KR 1020050033836 A KR1020050033836 A KR 1020050033836A KR 20050033836 A KR20050033836 A KR 20050033836A KR 100609401 B1 KR100609401 B1 KR 10060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hose
motor
dru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환
Original Assignee
박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환 filed Critical 박봉환
Priority to KR102005003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는 드럼의 양단부에 드럼축이 프레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해 호스가 권취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이 드럼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스프로킷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래칫휠이 상기 드럼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에 걸리는 래칫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을 회전하기 위한 래칫회전부재가 상기 래칫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래칫회전부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래칫회전부재의 위치를 가변하는 가이드판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정회전시킴과 더불어 모터 정지시에 모터를 역회전시킨 뒤에 정지시키는 제어기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를 구동할 경우에 모터의 동력으로 드럼을 회전하게 되고 모터를 정지할 경우에 드럼이 자유롭게 수동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호스권취기가 설치된 위치로 왕복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를 편리하게 하고,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호스, 호스권취, 권취장치, 호스권취장치

Description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FERING DEVICE FOR HOSE WIND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적용되는 래칫 및 래칫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적용되는 래칫 및 래칫휠, 가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판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1b : 드럼축
11 : 모터 12 : 아이들스프로킷
13 : 래칫휠 14 : 래칫
15 : 래칫회전부재 16 : 가이드판
17 : 제어기
본 발명은 호스를 동력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를 동력으로 권취하고, 권취된 호스를 잡고 당겨서 용이하게 풀 수 있도록 하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넓은 농작물에 농약을 분사하기 위하여 농약을 이송하는 긴 길이의 호스, 세차장에서 물이나 세제를 차량에 분사하기 위하여 물 등을 이송하는 긴 길이의 호스, 주유소에서 기름을 주입할 때에 사용되는 긴 길이의 호스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호스를 가지런하게 정리하기 위하여 호스를 권취하거나 풀어내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양측에 원판을 구비한 드럼 상에 호스를 권취하게 되는 바, 드럼 상에 호스를 동력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드럼에 풀리 또는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상기 풀리에 벨트 또는 체인을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드럼을 회전하게 된 다.
그리고 드럼 상에 권취된 호스를 풀기 위하여,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클러치를 수동으로 조작한 뒤에 동력 전달 상태를 해제하여 호스를 잡고 당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권취장치는 사용자가 클러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동력 전달을 단속하기 때문에, 조작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사용자가 드럼에 권취된 호스를 풀었다가 다시 동력 권취하고자 할 경우, 동력으로 권취하였다가 호스를 다시 풀 경우에 사용자가 권취장치가 위치한 곳에 다가가서 클러치를 조작하게 되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개선한 호스권취장치를 개발하였는 바, 이 호스권취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7066호로 출원된 것으로서, 이는 양단부에 원판을 구비한 드럼을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호스를 드럼에 권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 권취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축 상에 구동스프로킷이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드럼의 축의 한쪽 단부에 아이들스프로킷이 자유 회전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아이들스프로킷이 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축 단부에 래칫휠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근접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단부가 상기 래칫휠에 걸림되는 래칫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개선된 호스권취장치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의 동력으로 드럼을 회전하여 호스를 권취하게 되고, 호스를 풀 때에는 모터를 반대방향으로 회 전시켜서 드럼의 회전수 이하의 속도로 수동으로 호스를 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보다 빠른 속도로 호스를 풀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속도에 맞추지 못하여 보다 신속하게 작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 회전되는 드럼에 호스를 권취함과 더불어 드럼에 호스를 권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드럼이 자유 상태로 가변함으로써, 호스를 동력 권취할 수 있고, 호스를 당겨서 수동으로 간편하게 풀 수 있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의 양단부에 드럼축이 프레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해 호스가 권취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이 드럼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스프로킷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래칫휠이 상기 드럼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에 걸리는 래칫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을 회전하기 위한 래칫회전부재가 상기 래칫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래칫회전부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래칫회전부재의 위치를 가변하는 가이드판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정회전시킴과 더불어 모터 정지시에 모터를 역회전시킨 뒤에 정지시키는 제어기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가 적용되는 호스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호스권취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원판(1a)을 구비한 드럼(1)을 프레임(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드럼(1)이 동력 회전함에 따라 호스(3)를 권취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호스 권취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1)의 축(11a) 상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11b)과 체인(11c)에 의하여 연결되는 아이들스프로킷(12), 상기 드럼(1)과 연동하는 드럼축(1b) 상에 고정되는 래칫휠(13),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14), 상기 래칫(14)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래칫회전부재(15), 상기 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판(16), 상기 모터(11)를 제어하는 제어기(1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11)의 축(11a) 상에는 구동스프로킷(11b)이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드럼축(1b)의 한쪽 단부에는 아이들스프로킷(12)이 아이들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11b)과 아이들스프로킷(12)이 체인(11c)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상기 체인(11c)은 텐셔너(11d)에 의해 지지되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이 자명하며, 상기 모터(11)는 상기 제어기(17)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동한다.
상기 래칫휠(13)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면에 다수의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이들스프로킷(12)과 평행하게 근접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14)의 단부가 래칫휠(13)에 걸림되거나 이격되는 바, 래칫(14)의 단부가 래칫휠(13)에 걸린 상태에서는 도 3에서 모터(11)에 의하여 아이들스크로킷(1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래칫휠(13)이 아이들스프로킷(12)과 함께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래칫휠(13)을 링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14)이 래칫휠(13)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 때 상기 가이드판(16)이 아이들스프로킷(12)을 중심으로 하여 래칫휠(13)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래칫회전부재(15)에 의하여 상기 래칫(14)이 회전되어 이의 단부가 래칫휠(13)에 걸림되거나 이격하게 되는 바, 상기 래칫회전부재(15)는 상기 래칫(14)에 체결되는 볼트체(15a)의 내부에 탄성부재(15b)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15b)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체(15c)의 일부가 상기 볼트체(15a)의 선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지지체(15c)가 상기 가이드판(16)에 밀착됨과 더불어 가이드판(16)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6a)에 착탈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판(16)은 상기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를 안내하여 래칫회전 부재(15)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래칫(14)를 회전하게 하는 바, 도 3의 쇄선과 같이 상기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가이드부(16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16)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장소와 작업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6)의 가이드부(16a)는 연결가이드부(16aa)와 해제가이드부(16ab) 사이가 경사가이드부(16ac)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6aa)는 소직경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칫회전부재(15)를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에 걸리게 한다.
상기 해제가이드부(16ab)는 대직경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칫회전부재(15)를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켜서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16ac)는 상기 연결가이드부(16aa)와 해제가이드부 (16ab)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래칫회전부재(15)가 연결가이드부(16aa)와 해제가이드부(16ab) 사이를 쉽게 상호 이동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부(16a)를 가이드판(16)에 형성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부(16a)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16)에 다수의 가이드부(16a)가 이격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부(16a)의 갯수가 많을수록 아이들스프로킷(12)이 도 3에서 시계방 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가이드부(16a)에 의하여 이동하는 래칫회전부재(15)가 아이들스프로킷(12)가 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되어 래칫회전부재(15)의 위치를 가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칫휠(13)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래칫(14)의 단부가 신속하게 이격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17)는 모터(1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바, 상기 모터(11)에 정방향 즉 드럼(1)에 호스(3)를 권취하는 방향(도 3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정회전시키며, 전원이 오프될 때 즉 상기 모터(11) 정지되는 시점에 모터(11)를 역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모터(11)를 정지시킬 때에 역회전하는 이유는 도 3과 도 5에서 아이들스프로킷(12)이 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내로 회전되면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 즉 지지체(15c)가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에 삽입되어 해제가이드부(16ab)로 이동시켜서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의 둘레면 즉 치형으로부터 이격되어 래칫휠(13)을 자유 상태로 만들게 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판(16)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아이들스프로킷(12)의 좌측에 배치됨과 더불어 프레임(2)에 설치되어 드럼축(1b)를 지지하는 베어링(4)의 외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아이들스프로킷(12) 주위의 구성 요소를 커버(5)로 쉽게 감싸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11)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17)에 내장되어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7a), 원거리에서 전원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17)의 수신기(17a)로 출력하 는 송신기(18a)를 내장한 리모콘(18)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수신기(17a)는 전파, 원적외선 신호 등을 수신하는 통상적인 것이고, 상기 송신기(18a)는 전파, 원적외선 신호 등을 송신하는 통상적인 것이며, 상기 리모콘(18)에는 전원의 온,오프 버튼만이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호스권취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권취되는 호스(3)를 드럼(1) 상에 정렬 권취하기 위하여 도 1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 상에 가이드바(6)가 상기 드럼(1)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두 개의 가이드롤러(7a)를 구비하여 호스(3)를 안내하는 호스안내부재(7)가 상기 가이드바(6)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스안내부재(7)를 왕복시키는 가이드캡(8a)을 구비한 캠축(8)이 상기 가이드바(6)와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럼축(1b)의 다른쪽 단부에 제1스프로킷(9a)이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캠축(8)의 단부에 제2스프로킷(9b)이 고정 설치되어 체인(9c)으로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드럼(1)이 회전할 때에는 캠축(8)이 회전되고, 캠축(8)의 회전에 따라 호스안내부재(7)가 드럼(1)의 회전에 맞추어서 호스(3)를 도면상 좌우로 왕복하게 되어 호스(3)가 드럼(1) 상에 가지런하게 권취되며, 호스(3)가 풀릴 때에는 호스(3)의 위치에 맞추어서 드럼(1) 상의 호스(3)가 원활하게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는 바,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리모콘(18)을 조작하여 전원을 온하면 리모콘(18)의 송신기(18a)에 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기(17)의 수신기(17a)가 받아서 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3에서 아이들스프로킷(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모콘(18)이 없는 경우에는 제어기(17)에 연결된 전원스위치를 온(on)하게 된다.
아무튼 상기와 같은 리모콘(18)의 신호에 의해 모터(11)가 작동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 상기 아이들스프로킷(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해제가이드부(16ab)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에 구비된 해제가이드부(16ab)에 위치한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6a)에 구비된 경사가이부(16ac)를 따라 이동하여 연결가이드부(16aa)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래칫회전부재(15)와 함께 회전되는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연결가이드부(16aa)에 위치하면서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의 둘레면에 형성된 치형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스프로킷(12)와 함께 회전되는 래칫휠(1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칫휠(13)과 연동하는 드럼(1)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호스안내부재(7)의 가이드롤러(7a)에 의하여 지지되는 호스(3)가 드럼(1) 상에 권취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드럼(1)의 회전에 따라 제1스프로킷(9a), 제2스프로킷(9b) 및 체인(9c)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캠축(8)이 회전되면서 상기 호스안내부재(7)가 가이드바(6)와 캠축(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드럼(1) 상에 호스(3)가 가지런하게 권취된다.
물론 래칫(14)와 래칫회전부재(15)가 계속해서 회전되므로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연결가이드부(16aa)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의 치형에 밀착되어서 연속적으로 래칫휠(13)을 구동하기 때문에 호스 권취 작동중에 래칫(14)의 선단부가 래칫휠(13)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호스(3)를 드럼(1)으로부터 풀기 위하여, 리모콘(18)을 조작하여 전원 오프하면 상기 제어기(17)가 모터(11)를 정지시키기 전에 모터(11)를 역회전으로 작동하게 한다.
그러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들스프로킷(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아이들스프로킷(12)와 함께 래칫(14)과 래칫회전부재(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연결가이드부(16aa)에 삽입되면서 해제가이드부(16ab)로 이동하면서 래칫(14)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래칫(14)의 단부가 래칫휠(13)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래칫회전부재(15)의 선단부가 가이드판(16)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래칫(14)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스(3)를 잡고 당기면 상기 모터(11)와 아이들스프로킷(12)에 관계없이 드럼(1)이 래칫휠(13)과 함께 회전되면서 호스를 풀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호스 권취장치는 호스(3)를 간편하게 풀 수 있음과 더불어 동력으로 호스(3)를 간편하게 권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는 모터를 구동할 경우에 모터의 동력으로 드럼을 회전하게 되고 모터를 정지할 경우에 드럼이 자유롭게 수동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호스권취기가 설치된 위치로 왕복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를 편리하게 하고,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드럼의 양단부에 드럼축이 프레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해 호스가 권취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아이들스프로킷이 드럼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스프로킷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래칫휠이 상기 드럼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에 걸리는 래칫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을 회전하기 위한 래칫회전부재가 상기 래칫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래칫회전부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래칫회전부재의 위치를 가변하는 가이드판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정회전시킴과 더불어 모터 정지시에 모터를 역회전시킨 뒤에 정지시키는 제어기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회전부재는 상기 래칫에 체결되는 볼트체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 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체의 일부가 상기 볼트체의 선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가이드판에 밀착됨과 더불어 가이드판의 가이드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부는 소직경의 원호 형상의 연결가이드부, 대직경의 원호 형상의 해제가이드부, 상기 연결가이드부와 해제가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가이드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다수의 가이드부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내장되어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원거리에서 전원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의 수신기로 출력하는 송신기를 내장한 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0050033836A 2005-04-23 2005-04-23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60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836A KR100609401B1 (ko) 2005-04-23 2005-04-23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836A KR100609401B1 (ko) 2005-04-23 2005-04-23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401B1 true KR100609401B1 (ko) 2006-08-08

Family

ID=3718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836A KR100609401B1 (ko) 2005-04-23 2005-04-23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179U (ja) * 1992-01-22 1993-08-10 北越物産株式会社 散水装置
JP2004043058A (ja) 2002-07-09 2004-02-12 Takoman Corp ホース巻き取り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179U (ja) * 1992-01-22 1993-08-10 北越物産株式会社 散水装置
JP2004043058A (ja) 2002-07-09 2004-02-12 Takoman Corp ホース巻き取り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239Y1 (ko) 릴상태의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
JP2018532906A (ja) 第1の車両部品および第2の車両部品を互いに手動および/または電動で調節または固定するための装置
RU2007146261A (ru)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катушки в сборе
KR100788867B1 (ko) 비틀림 벨트 구동기를 갖는 스트래핑 기계
US5022184A (en) Manual window regulator
KR100609401B1 (ko) 호스권취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981652B1 (ko) 가변 가능한 호스 권치장치
US6295740B1 (en) Power-movement measuring tape
KR200391098Y1 (ko) 호스 권취장치
JPH106278A (ja) 移動体の反転機構およびその反転機構を利用したシート材切断装置の刃物台往復動機構
US20050236117A1 (en) Sun screen device with a flexible screen body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RU2005133002A (ru) Обвязывающая машин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подачии натяжения ленты
CN202609704U (zh) 一种移动式机动灌溉设备绕管器
KR200344812Y1 (ko) 농약 살포용 호스 권취기
KR101811563B1 (ko) 호스 자동 권취 장치
KR200337585Y1 (ko) 농약호스 권취기
KR101598648B1 (ko) 롤스크린의 구동장치
KR200339596Y1 (ko) 생력형 방제용 호스 권취장치
JPH0515506Y2 (ko)
KR200249428Y1 (ko) 낚시줄 권취기
JP3936882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321840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327787Y1 (ko) 권취기구용 정열장치
JPH027660Y2 (ko)
KR100603152B1 (ko) 방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