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942B1 -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942B1
KR100608942B1 KR1020050007442A KR20050007442A KR100608942B1 KR 100608942 B1 KR100608942 B1 KR 100608942B1 KR 1020050007442 A KR1020050007442 A KR 1020050007442A KR 20050007442 A KR20050007442 A KR 20050007442A KR 100608942 B1 KR100608942 B1 KR 10060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oor
refrigerator
flow guid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592A (ko
Inventor
구해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942B1/ko
Priority to MX2007008213A priority patent/MX2007008213A/es
Priority to US11/813,421 priority patent/US7665324B2/en
Priority to EP06702096.6A priority patent/EP1834141B1/en
Priority to PCT/KR2006/000068 priority patent/WO2006073288A1/en
Priority to RU2007125466/12A priority patent/RU2378588C2/ru
Priority to CN200680001890A priority patent/CN100575831C/zh
Priority to BRPI0606394A priority patent/BRPI0606394B8/pt
Publication of KR2006008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본체의 냉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덕트(57)를 구비하는 냉기연결부(55)와; 상기 도어(30)의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33)와의 사이에 상기 냉기연결부(55)를 통해 공급된 냉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토출하는 다수개의 냉기통공(61)을 구비하는 유동가이드(60)와; 상기 유동가이드(6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60)와 도어라이너(33)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고정연결부(64)와; 상기 고정연결부(6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정화성분을 가진 장착커버(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냄새제거성분이나 음이온발생성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에 의하면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의 냄새나 나쁜 성분을 제거하여 냉장고 내부를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냄새나 나쁜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유로, 냉기, 음이온, 탈취, 착탈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측면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전방쪽에서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후방쪽에서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연결부와 장착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연결부와 장착커버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걸이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걸이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도어 32: 도어외관판
33: 도어라이너 35: 지지돌출부
36: 수평돌출부 38: 걸이부
39: 스토퍼 40: 도어바스켓
41: 바스켓몸체 41': 수납공간
50: 걸림부 55: 냉기연결부
56: 관통공 57: 연결덕트
60: 유동가이드 61: 냉기통공
62: 유로형성리브 64: 고정연결부
66: 삽입통공 67: 걸이통공
70: 단열유로체 71: 제1유로체
72: 제2유로체 75: 장착커버
76: 전면판 76': 냉기통공
77: 측벽 78: 삽입가이드
79: 걸이후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냉기를 도어에서 냉장실 내부로 토출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 내부로 저온의 냉매가 통과하고, 이 때 증발기 주위 공기는 상기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저온의 냉기로 변하게 된다. 저온으로 변한 냉기는 저장공간인 냉동실과 냉장실로 각각 공급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고, 다시 증발기에서 열교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에서 냉동실과 냉장실에 많은 저장물이 저장되어 있으면 냉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냉기를 다양한 방향에서 냉동실과 냉장실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냉장고본체에서 도어로 냉기를 공급하고, 도어에서 저장공간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이면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2)는 스틸재 강판으로 이루어진 외부케이스(4)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측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인너케이스(6)가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4)와 상기 인너케이스(6)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층(7)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고본체(2)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인 냉동실(8)과 냉장실(9)이 상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8)의 후방에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교환쳄버(10)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쳄버(10)의 내부에는 증발기(11)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쳄버(10)에서 만들어진 냉기는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9)로 공급된다. 일반적 으로 열교환쳄버(10)에서 만들어진 냉기는 냉동실(8)과 냉장실(9)의 후방에서 냉동실(8)과 냉장실(9)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9)의 전면에는 도어(12, 1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도어(12, 14)는 일측이 냉장고본체(2)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9)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12,14)에는 상기 열교환쳄버(10)에서 만들어진 냉기를 공급받아 냉동실(8)과 냉장실(9)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된다. 여기서는 냉장실(9)을 개폐하는, 도 2에 도시된 도어(14)를 참고하여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14)의 이면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된 도어라이너(15)가 형성한다. 그리고, 도어(14)의 이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관은 도어외관판(16)이 형성한다. 상기 도어(14)의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15)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지지돌출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출부(17)는 도어바스켓(20)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돌출부(17)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돌출부(18)가 다수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수평돌출부(18)는 도어바스켓(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9는 도어바스켓(20)의 고정을 위한 걸이부이다.
도어바스켓(20)은 상기 도어(14)의 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바스켓몸체(21)의 대략 상부로 개구되게 수납공간(22)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바스켓(20)의 후면 양단부에는 상기 걸이부(19)에 걸어지는 걸림부(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돌출부(17)중 일측에는 냉기연결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연결부(26)는 도어(14)가 닫혔을 때, 냉장고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냉기덕트(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되어 냉기를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냉기연결부(26)가 구비된 위치의 지지돌출부(17)와 인접한 수평돌출부(18)의 하단에는 유동가이드(28)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가이드(28)의 이면과 상기 수평돌출부(18)의 저면 및 도어(14)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15)의 일부는 하나의 덕트를 이루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도어(14)에서 냉장실(10)의 전방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가이드(28)에는 다수개의 냉기통공(29)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가이드(28)의 중앙 하부에는 별도의 냉기커버(28')가 구비되는데, 상기 냉기커버(28')에도 다수개의 냉기통공(29)이 천공되어 상기 유로 내부로 전달된 냉기가 냉장실(10)의 전방으로 전달된다. 상기 냉기커버(28')는 전방에서 볼 때, 원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유동가이드(28)의 중앙 하부로 연장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냉기가 토출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냉장고의 저장공간 내부는 거의 밀폐되고 단지 도어(12,14)가 개폐될 때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의 내부에 보관된 보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그 외의 나쁜 성분이 냉기와 함께 냉장고 내부를 반복하여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저장공간 내부의 다른 보관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저장공간 내부에서 냄새가 나거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의 냄새나 나쁜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의 냄새나 나쁜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사용자가 교체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본체의 냉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구비하는 냉기연결부와; 상기 도어의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와의 사이에 상기 냉기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냉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토출하는 다수개의 냉기통공을 구비하는 유동가이드와; 상기 유동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와 도어라이너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고정연결부와; 상기 고정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정화성분을 가진 장착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커버는 냄새제거성분이나 음이온발생성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유동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의 걸이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커버는 상기 고정연결부 내부를 차폐하고 다수개의 냉기통공이 천공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삽입가이드와 걸이후크가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에 의하면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기의 냄새나 나쁜 성분을 제거하여 냉장고 내부를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냄새나 나쁜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전방쪽에서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후방쪽에서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연결부와 장착커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걸이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30)는 냉장고본체(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30)의 전면 및 양측면과 상하면 외관을 도어외관판(32)이 형성하고, 도어(30)의 이면을 도어라이너(33) 가 형성한다. 상기 도어외관판(32)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이고, 상기 도어라이너(33)는 합성수지재질이다.
상기 도어(30)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3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지지돌출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출부(35)는 도어(30)의 이면 가장자리에서 소정 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양단에는 꼭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출부(35)의 높이는 도어라이너(33) 양단의 중간부분과 상하단이 서로 달리 형성된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될 냉기연결부(55)가 구비되는 부분의 지지돌출부(35)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출부(35)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수평돌출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돌출부(36)는 상기 도어라이너(33)의 이면에 좌우로 길게 돌출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바스켓(4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지지돌출부(35)중 상기 수평돌출부(36)와 평행하게 형성된 상대적으로 하단의 것은 수평돌출부(36)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돌출부(36)가 상기 지지돌출부(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돌출부(36)의 양단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돌출부(35)의 내면에는 걸이부(3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38)는 상기 지지돌출부(35)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38)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바스켓(40)의 크기에 따라 그 형성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8)의 상단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스토퍼(3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9)는 도어바스켓(40)이 임의로 분리되 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스토퍼(39)는 상기 도어바스켓(40)이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걸이부(38)보다는 낮은 높이로 돌출된다.
도어바스켓(40)은 도어(30)의 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저장물을 보관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바스켓(40)을 구성하는 바스켓몸체(4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41')이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몸체(4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41')은 일반적으로 상기 바스켓몸체(41)의 상부로 개구된다. 상기 바스켓몸체(4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41')은 구획판(4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에 의해 구획된 일측 수납공간(41')은 바스켓커버(4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커버(4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커버(45)는 일측 수납공간(41')을 저장공간 내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스켓커버(45)는 상기 바스켓몸체(41)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수납공간(4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바스켓몸체(4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서는 냉기연결부(55)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연결부(55)는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본체에 형성된 냉기덕트와 연통되어 냉기를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냉기연결부(55)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바스켓몸체(41)의 일단부중 상대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56)이 천공되고, 상기 관통공(56)에는 연결덕트(57)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덕트(57)는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덕트(57)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스켓몸체(41)의 하단에는 좌우로 길게 유동가이드(60)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가이드(60)는 상기 도어라이너(33)와의 사이에서 실제로 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유동가이드(60)는 상기 바스켓몸체(41)와 별개로 형성되어 조립되거나 바스켓몸체(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가이드(60)가 바스켓몸체(41)와 별개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바스켓몸체(41)의 양단부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 사이에 상기 유동가이드(60)가 위치된다. 상기 유동가이드(60)와 바스켓몸체(41)의 결합은 그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바스켓몸체(41)의 양단부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연장된 부분을 상기 유동가이드(6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기연결부(55)를 상기 유동가이드(60)에 형성하면 된다.
상기 유동가이드(60)에는 다수개의 냉기통공(6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냉기통공(61)은 상기 유동가이드(60)를 관통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실제로 상기 냉기통공(61)중 상대적으로 하부의 것을 통해서만 냉기가 토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의 냉기통공(61)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유로형성리브(62)가 두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유로형성리브(62)는 상기 유동가이드(6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동가이드(60)가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유동가이드(60)의 선단은 상기 도어라이너(33)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가이드(60)의 유로형성리브(62)와 도어라이너(33)에 의해 유동가이드(60) 내부에 냉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전체 유로형성리브(62)는 유동 가이드(60)를 배면도로 볼 때, 좌우로 길게 연장된 'ㄷ'자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유로형성리브(62)의 구조상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있는 냉기통공(61)을 통해서는 냉기가 저장공간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형성리브(62)는 상기 유동가이드(60)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유동가이드(60)가 도어(30) 이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유로의 형성을 위해 도어라이너(33)와의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동가이드(60)가 견고하게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로형성리브(62)가 상기 도어라이너(33)에 지지됨에 의해 유동가이드(6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리브(62)중 냉기가 유동되는 상류부의 선단에는 수렴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수렴부(62')는 냉기의 유동단면적을 냉기의 유동방향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측 유로형성리브(62)에만 수렴부(62')가 형성되어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양측 모두나 또는 반대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60)의 하단부 중간에는 고정연결부(6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부(64)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유동가이드(60)를 전면에서 볼 때,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부와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연통부(64')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연통부(64')는 일측 유로형성리브(62)를 일부 제거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연결부(64)에는 대략 그 중심에 삽입통공(66)이 관통되어 형성된 다. 상기 삽입통공(66)과 연통되게 걸이통공(67)이 상기 고정연결부(64)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통공(66)과 걸이통공(67)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통공(66)에 비해 상기 걸이통공(67)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통공(6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걸이구(80)의 연결목(85)이 걸어진다.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슬롯(6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68)은 본 실시예에서 총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슬롯(68)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커버(75)의 삽입가이드(78) 및 걸이후크(79)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냉기연결부(55)와 상기 유로형성리브(62)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단열유로체(70)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냉기연결부(55)와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된 유로 사이는 상기 유동가이드(60)의 구조상 직접 연통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단열유로체(70)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EPS재질, 일명 스티로폼이 사용된다. 상기 단열유로체(70)는 상기 냉기연결부(55)를 통해 들어온 냉기를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된 유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냉기연결부(55) 근처의 유동가이드(60)에 이슬맺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단열유로체(70)는 제1유로체(71)와 제2유로체(7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유로체(71)에는 상기 냉기연결부(55)와 연통되는 유로입구(7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체(72)에는 상기 유로입구(71') 및 상기 유로형성리브(62)사이를 연통시키는 연통로(7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유로체(71)와 제2유로체(72)의 결합 에 의해 상기 입구(71')와 연통로(72')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단열유로체(70)는 반드시 2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유로체(70)의 외관형상은 상기 유동가이드(6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로 상기 단열유로체(70)의 입구(71')와 연통로(72')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냉기연결부(55)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기가 유동되는 단면적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냉기의 유동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연결부(64)에는 장착커버(75)가 장착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상기 유동가이드(6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상기 고정연결부(64)에 안착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그 자체에, 예를 들면 음이온 발생성분이나 탈취성분이 함유된다. 이와 같은 성분을 본 발명에서는 냉기정화성분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커버(75)를 냉기가 통과하면서 음이온 발생성분이나 탈취성분이 냉기에 전달되어 냉기에 음이온이 섞여 함께 유동되거나,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성분이나 탈취성분은 장착커버(75)를 사출성형할 때, 함께 투입되어 장착커버(75)를 형성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함몰형성된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원형의 전면판(76)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판(76)에는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부로 유동된 냉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냉기통공(76')이 형성되어 있 다.
상기 전면판(7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후방으로 측벽(77)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77)은 상기 연통부(64')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상기 측벽(77)의 일측에는 삽입가이드(78)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78)는 상기 장착커버(75)가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77)에는 또한 상기 장착커버(75)를 상기 고정연결부(64)에 고정하기 위한 걸이후크(79)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79)는 상기 측벽(77)의 일부를 잘라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동가이드(60)의 고정연결부(64)를 도어라이너(33)에 결합시키는 지지걸이구(8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걸이구(80)는 상기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되어 유동가이드(60)의 중간 하부를 걸어서 지지한다. 상기 지지걸이구(80)는 본 실시예에서 나사로 도어라이너(33)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도어라이너(3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걸이구(80)는 장착판(82)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판(82)은 상기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판(82)의 전방에는 걸이판(84)이 연결목(85)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판(84)은 상기 고정연결부(64)의 삽입통공(66)을 통과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통공(66)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상이므로 상기 걸이판(84)도 상기 삽입통공(66)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이다. 상기 연결목(85)은 상기 고정연결부(64)의 걸이통공(67)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면 되고, 상기 연결목(85)의 길이, 즉 상기 걸이판(84)과 장착판(82)사이의 간격은 상기 걸이통공(67) 가장자리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면 된다. 도면부호 85'는 지지걸이구(80)를 도어라이너(33)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가이드(60)는 상기 바스켓몸체(41)에 결합된 상태로 바스켓몸체(41)와 함께 상기 도어(30)의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된다. 즉, 상기 걸이부(38)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바스켓몸체(41)의 걸림부(50)가 있도록 도어(30)의 이면에서 도어라이너(33)에 바스켓몸체(41)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연결부(64)의 삽입공(66)을 상기 지지걸이구(80)의 걸이판(84)이 통과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0)가 상기 걸이부(38)에 걸어지도록 상기 바스켓몸체(41)의 후단을 도어라이너(33)에 밀착한 상태로 바스켓몸체(41)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스켓몸체(41)가 하부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걸림부(50)는 상기 스토퍼(39)를 타고 넘고 상기 걸이부(38)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토퍼(39)의 존재에 의해 상기 바스켓몸체(41)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해야만 상기 걸림부(50)가 스토퍼(39)를 타고 넘어 도어라이너(3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바스켓(40)은 임의의 힘에 의해서는 쉽게 도어라이너(33)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걸이구(80)의 연결목(85)은 상기 걸이공(67)에 걸어지고, 상기 걸이판(84)은 상기 고정연결부(6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가이드(60)가 바스켓(40)과 함께 상기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되면, 상기 유동가이드(60)의 배면에 형성된 유로형성리브(62)의 선단은 상기 도어라이너(33)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형성리브(62)와 상기 도어라이너(33)에 의해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덕트 조립체는 도어(30)가 냉장고본체의 저장공간을 닫도록 되었을 때, 상기 냉기연결부(55)가 냉장고본체의 냉기덕트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냉기연결부(55)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단열유로체(70)를 통해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된 유로로 전달된다.
즉, 상기 단열유로체(70)가 상기 유동가이드(60)의 배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입구(71')는 상기 연결덕트(57)와 연결되고, 상기 입구(71')와 연통된 연통로(72')는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된다. 따라서, 냉장고본체의 냉기덕트에서 연결덕트(57)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단열유로체(70)를 통해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로 유동된다.
상기 단열유로체(70)를 냉기가 통과하는 입구(71')와 연통로(72')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연결덕트(57)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이들을 통과하는 냉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로형성리브(62)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역시 그 상류부의 수렴부(62')에서 유동단면적이 잠시 작아지면서 유동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유로체(7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기가 유동가이드(60) 의 표면 등에 영향을 미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단열유체(70)는 단열성능이 상대적으로 좋으므로, 유동가이드(50)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한다.
상기 유로형성리브(62)의 사이로 유동된 냉기는 상기 유로형성리브(62)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유로형성리브(62)에 의해 구획된 영역내에 있는 냉기통공(61)을 통해 냉장고의 저장공간 내부로 토출된다. 참고로 상기 고정연결부(64)로도 상기 연통부(64')를 통해 냉기가 유동되는데, 상기 고정연결부(64)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장착커버(75)의 냉기통공(76')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장착커버(75)를 통과하는 냉기는 냉기정화성분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거나 음이온이 공급된 상태로 저장공간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성분에 의해 정화된 냉기가 저장공간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물에 음이온을 공급하여 보다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커버(75)를 상기 고정연결부(24)에 착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장착커버(75)는 그 측벽(77)에 형성된 삽입가이드(78)를 먼저 상기 걸이슬롯(68)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후크(79)가 남은 걸이슬롯(68)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걸이후크(79)는 상기 걸이슬롯(68)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커버(75)는 상기 걸이후크(79)중 하나를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고정연결부(24)에서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커버(75)와 고정연결부(64)사이의 틈새로 긴 막대를 집어 넣어, 상기 걸이후크(79)가 상기 걸이슬롯(68) 에서 분리되게 하면 상기 장착커버(7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착커버(75)의 냉기정화성분이 소진되면 이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대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위에서도 잠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연결부(55)는 상기 바스켓몸체(41)외에도 유동가이드(6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바스켓몸체(41)의 냉기연결부(55)가 구비되는 부분이 상기 유동가이드(60)에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가이드(60)는 상기 바스켓몸체(41)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라이어(33)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걸림부 등을 구비하여 도어라이너(33)에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기정화성분을 가진 장착커버가 유동가이드의 고정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덕트 조립체를 통과하여 나오는 냉기중 일부는 냄새가 제거되거나 음이온을 함께 함유한 상태로 저장공간으로 제공된다. 결국 저장공간의 냄새가 제거되거나 보관물이 보다 신선하게 보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장착커버는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교환할 수 있고, 특히 장착 커버를 사용자가 사용을 시작하는 시점에 고정연결부에 장착할 수 있어 냉기정화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냉장고본체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본체의 냉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구비하는 냉기연결부와;
    상기 도어의 이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와의 사이에 상기 냉기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냉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토출하는 다수개의 냉기통공을 구비하는 유동가이드와;
    상기 유동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와 도어라이너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고정연결부와;
    상기 고정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정화성분을 가진 장착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는 냄새제거성분이나 음이온발생성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유동가이드를 정면에서 볼 때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의 걸이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는 상기 고정연결부 내부를 차폐하고 다수 개의 냉기통공이 천공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삽입가이드와 걸이후크가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20050007442A 2005-01-03 2005-01-27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060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442A KR100608942B1 (ko) 2005-01-27 2005-01-27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MX2007008213A MX2007008213A (es) 2005-01-06 2006-01-06 Ensamble de ducto de puerta para refrigerador.
US11/813,421 US7665324B2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EP06702096.6A EP1834141B1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PCT/KR2006/000068 WO2006073288A1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RU2007125466/12A RU2378588C2 (ru) 2005-01-03 2006-01-06 Узел канала дверцы холодильника
CN200680001890A CN100575831C (zh) 2005-01-06 2006-01-06 用于冰箱的门管道组件
BRPI0606394A BRPI0606394B8 (pt) 2005-01-06 2006-01-06 conjunto de duto de porta para refrigera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442A KR100608942B1 (ko) 2005-01-27 2005-01-27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92A KR20060086592A (ko) 2006-08-01
KR100608942B1 true KR100608942B1 (ko) 2006-08-08

Family

ID=3717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442A KR100608942B1 (ko) 2005-01-03 2005-01-27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9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92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122B2 (en) Refrigerator
US10598422B2 (en) Refrigerator
JP6543131B2 (ja) 冷蔵庫
US7665324B2 (en)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US8850844B2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KR100608942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20070066394A (ko)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KR100608944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0608943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장착구조
KR0152804B1 (ko) 냉장고의 강화유리 부착형 선반 덕트 구조
KR100582058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0582069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1149231B1 (ko) 냉장고용 냉기공급구조
JP2009068800A (ja) 冷蔵庫
KR20060086587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EP4001804A1 (en) Refrigerator
KR100651308B1 (ko) 냉장고
JP6294101B2 (ja) 冷蔵庫
JP6371563B2 (ja) 冷蔵庫
KR101065531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KR100621038B1 (ko) 냉장고
KR100547428B1 (ko) 냉장고용 도어덕트
KR100235440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JP2020034208A (ja) 冷蔵庫
KR2008010488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