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531B1 -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531B1
KR101065531B1 KR1020050001378A KR20050001378A KR101065531B1 KR 101065531 B1 KR101065531 B1 KR 101065531B1 KR 1020050001378 A KR1020050001378 A KR 1020050001378A KR 20050001378 A KR20050001378 A KR 20050001378A KR 101065531 B1 KR101065531 B1 KR 10106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ow path
refrigerator
refrigerating chamb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795A (ko
Inventor
김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531B1/ko
Priority to PCT/KR2006/000068 priority patent/WO2006073288A1/en
Priority to US11/813,421 priority patent/US7665324B2/en
Priority to EP06702096.6A priority patent/EP1834141B1/en
Priority to MX2007008213A priority patent/MX2007008213A/es
Priority to RU2007125466/12A priority patent/RU2378588C2/ru
Priority to CN200680001890A priority patent/CN100575831C/zh
Priority to BRPI0606394A priority patent/BRPI0606394B8/pt
Publication of KR2006008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덕트구조에 의하면 냉장실도어(40) 이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도어바스켓(50)이 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도어바스켓(50)의 저면에는 소정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부(62)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가이드부(62)의 이면과, 도어바스켓(50)의 저면 및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은 하나의 덕트구조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도어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는 수직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돌출된 도어측벽(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측벽(41)에 상기 도어바스켓(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42)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바스켓(50)의 이면에도 도어측벽(41)의 걸림부(42)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58)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50)의 측벽(56)에는 상기 도어유로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냉기통과공(60)이 천공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62)에는 냉장실과 상기 도어유로가 연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냉기통공(64)이 천공된다.
냉장고, 냉장실도어, 도어바스켓, 도어덕트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A door duct structure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측면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덕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보인 도어덕트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어덕트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냉장실도어 41: 도어측벽
42: 걸림부 44: 안내돌기
46: 걸림돌기 48: 가로돌출부
50: 도어바스켓 52: 몸체부
54: 수납공간 56: 측벽
58: 걸림부 60: 냉기통과공
62: 유로가이드부 64: 냉기통공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가 통과하고, 이 때 증발기 주위공기는 상기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저온의 냉기로 변하게 된다. 상기 저온으로 변한 냉기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각각 공급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고, 다시 증발기측으로 유입되는 반복 순환을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 내부로만 냉기가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도어측으로는 냉기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의 냉장고에서는 도어측으로 분기유로를 형성하여 별도의 도어유로로서 도어바스켓부에 충분한 냉기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측면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2)는 스틸재 강판으로 이루어진 외부케이싱(4)과, 상기 외부케이싱(4)의 내측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인너케이스(6)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싱(4)과 상기 인너케이스(6)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본체(2) 내부에는 냉동실(8)과 냉장실(10)이 상하에 형성되 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10)의 전면에는 도어(12, 1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도어(12, 14)는 일측이 냉장고본체(2)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8)의 후방에는 열교환챔버(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챔버(16) 내부에는 증발기(18)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18)의 내부에는 냉매관로(도시되지 않음)가 성형되며, 냉매관로의 내부에는 액상의 냉매가 흐르게 된다. 상기 액상냉매는 상기 증발기(18)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며, 상기 증발기(18)의 표면과 접촉하는 공기가 냉기로 변환되는 것이다. 상기 냉기는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10)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냉동실(8)과 냉장실(10) 사이에는 베리어(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리어(20)는 상기 냉동실(8)과 상기 냉장실(1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고, 배리어(20)의 내부에는 단열재로 충진된다.
상기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는 냉장실도어(14)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도어측벽(2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측벽(22)은 도어바스켓(32)이 상기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바스켓(32)을 양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측벽(22)의 양측내벽에는 걸림부(2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3)는 도어바스켓(32)의 걸림부(38)와 결합되어 도어바스켓(32)이 상기 냉장실도어(14)에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는 상기 냉장실(10) 의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된 가로돌출부(24)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가로돌출부(24)는 상기 냉장실도어(14)의 가로방향으로 양측의 도어측벽(22)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로돌출부(24)는 도어바스켓(32)이 장착되도록 도어바스켓(32)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장실도어(14)의 가로돌출부(24)중에서 상대적으로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가로돌출부(24)에 인접한 도어측벽(22)에는 냉기통과공(26)이 천공된다. 상기 냉기통과공(26)은,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도어(14)를 닫았을 때, 냉장고본체(2)에서 생성된 냉기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유로로 전달되도록 냉장실(10)의 측벽에 대응되게 구비된 분기유로공(도시되지 않음)과 연통된다.
상기 냉기통과공(26)이 구비된 도어측벽(22)과 인접한 가로돌출부(24)의 하단에는 유로가이드(28)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가이드(28)의 이면과 상기 가로돌출부(24)의 저면 및 냉장실도어(14) 이면은 하나의 덕트형상을 이루어,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인 도어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유로는 냉장실(10)의 전방으로 냉기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냉기가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는 통로이다.
상기 유로가이드(28)에는 다수개의 냉기통공(30)이 구비된다. 상기 냉기통공(30)은 상기 도어유로와 냉장실(10)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도어유로와 냉장실(10)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는 음료수 또는 캔 등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바스켓(32)이 다수개 장착된다. 상기 도어바스켓(32)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34)에 상방이 개구되어 소정의 수납공간(36)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바스켓(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측벽(22)의 걸림부(28)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38)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32)의 걸림부(23)와 상기 도어측벽(22)의 걸림부(23)가 결합되고, 도어바스켓(32)의 저면이 상기 가로돌출부(24)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도어바스켓(32)이 상기 냉장실도어(14)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유로가이드(28)를 설치하여 상기 냉장실도어(14)의 이면과 유로가이드(28) 사이에 도어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유로로 상기 냉장고본체(2)의 냉기가 전달되도록 냉장고본체(2)의 분기유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냉기통과공(26)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냉기통과공(26)은 상기 도어측벽(22)을 천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천공하기 위한 추가공정 및 발포시 발포액의 누설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기통과공(26) 및 유로가이드(28)가 도어측벽(22)에 고정되어, 다양한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구조를 채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통과공을 도어측벽에 천공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과의 사이에 도어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도어바스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바스켓 및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과의 사이에 도어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가이드부의 측벽에는 상기 도어유로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된 냉기통과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가이드부의 전면에는 냉장실과 상기 도어유로와 연통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냉기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세로로 평행하게 돌출된 도어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측벽에 상기 유로가이드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에도 상기 도어측벽의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에 의하면 냉기통과공을 도어측벽에 천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냉기통과공의 천공을 위한 추가공정 및 발포시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되고 도어덕트가 설치된 도어바스켓이 분리되어 다양한 도어덕트를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덕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요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보인 도어덕트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어덕트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냉장실(도시되지 않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는 냉장실도어(40)의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도어측벽(41)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측벽(41)은 도어바스켓(50)이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바스켓(50)을 양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측벽(41)은 상기 냉장실도어(40)이면, 즉 도어라이너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측벽(40)의 양측내벽에는 걸림부(42)가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42)는 도어바스켓(50)의 걸림부(58)와 결합되어 도어바스켓(50)이 상기 냉장실도어(40)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측벽(41)의 걸림부(42)에는 돌출된 안내돌기(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44)의 최선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홈에 걸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6)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는 상기 각각의 걸림부(4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상기 냉장실의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된 가로돌출부(48)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가로돌출부(48)는 상기 냉장실도어(40)의 가로방향으로 양측의 도어측벽(41)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로돌출부(48)는 도어바스켓 (50)이 장착되도록 도어바스켓(50)을 저면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는 음료수 또는 캔 등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바스켓(50)이 다수개 장착된다. 상기 도어바스켓(50)은 직육면체의 몸체부(52)에 상방이 개구되어 소정의 수납공간(54)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바스켓(50)의 양측벽(56)의 후단에는 상기 도어측벽(41)의 걸림부(42)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58)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58)는 상기 안내돌기(44)가 안내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안내홈(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걸림돌기(46)가 걸릴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바스켓(50)의 걸림부(42)와 상기 도어측벽(41)의 걸림부(58)가 결합됨으로써 도어바스켓(50)이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이면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도어바스켓(50)의 걸림부(58)에 안내돌기와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측벽(41)에 안내홈과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바스켓(50)중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최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도어바스켓(50)은, 도어바스켓(50)의 측벽(56) 일측에 냉기통과공(60)이 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냉장고본체에서 냉기가 배출되는 분기유입구(도시되지 않음)와 밀착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도어바스켓(50)의 측벽(56)에 냉기통과공(60)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통과공(60)은 도어유로(도시되지 않음)에 냉기가 유입되도록 냉장고본체에 마련된 분기유입구(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된다. 즉 상기 냉기통과공(60)은,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이 밀폐되도록 냉장실도어(14)를 닫았을 때, 냉장고본체 (2)에서 생성된 냉기가 도어유로로 전달되도록 냉장실의 측벽에 대응되게 구비된 분기유입구와 연통된다.
상기 도어바스켓(50)의 하방에 유로가이드부(62)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바스켓(50) 바닥면의 하방에 유로가이드부(62)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가이드(62)의 이면과 상기 도어바스켓(50)의 저면과 냉장실도어(40)의 이면은 하나의 덕트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도어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유로는 냉장실에 전방으로 냉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드부(62)에는 다수개의 냉기통공(64)이 구비된다. 상기 냉기통공(64)은 상기 도어유로와 냉장실을 연통하여 냉기가 냉장실로 유동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가이드부(62)를 냉장실도어(40)의 이면 즉 도어라이너에 설치하여 도어덕트를 구성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유로가이드부(62)가 도어바스켓(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덕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가이드부(62)는 냉장실도어(40)의 이면 즉 도어라이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덕트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장실도어(40) 최상단에 형성된 걸림부(42)에 유로가이드부(62)가 장착된 도어바스켓(50)의 걸림부(58)를 삽입한다. 즉 상기 도어바스켓(50)의 안내홈에는 상기 도어측벽(41)의 안내돌기(44)가, 걸림홈에는 상기 도어측벽(41)의 걸림돌기 (46)가 각각 삽입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도어(40)의 열면 내부의 저온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장실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냉장실의 온도가 상승한 것을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본체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냉장실로 공급한다.
상기 본체유로를 따라 유동된 냉기의 일부는 냉장고본체의 전방으로 유동되어 냉장고 측벽의 분기유로공으로 유동된다. 상기 분기유로공은 상기 냉장실도어(40)가 닫혀 있을 때, 냉장실도어(40)의 냉기통과공(60)과 상기 분기유로공이 연통되게 되며, 분기유로공에서 토출된 공기는 냉기통과공(60)을 통하여 도어유로로 유입된다.
상기 도어유로로 유입된 냉기는 유로가이드부(62)의 냉기통공(64)을 통하여 냉장실)의 전방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의 전방으로 유입된 냉기는 냉장실의 음식물을 전방에서 냉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대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덕트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냉기통과공을 도어측벽에 천공할 필요를 없게 되어 도어측벽에 냉기통과공을 설치함에 따른 천공을 위한 추가공정 및 발포시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바스켓의 측벽에 냉기통과공을 형성함으로써 도어바스켓을 달리 사용하거나 유로가이드부를 달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과의 사이에 도어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도어바스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바스켓 및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과의 사이에 도어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의 측벽에는 상기 도어유로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된 냉기통과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의 전면에는 냉장실과 상기 도어유로와 연통될 수 있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냉기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세로로 평행하게 돌출된 도어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측벽에 상기 유로가이드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에도 상기 도어측벽의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KR1020050001378A 2005-01-03 2005-01-06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KR10106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78A KR101065531B1 (ko) 2005-01-06 2005-01-06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PCT/KR2006/000068 WO2006073288A1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US11/813,421 US7665324B2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EP06702096.6A EP1834141B1 (en) 2005-01-06 2006-01-06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MX2007008213A MX2007008213A (es) 2005-01-06 2006-01-06 Ensamble de ducto de puerta para refrigerador.
RU2007125466/12A RU2378588C2 (ru) 2005-01-03 2006-01-06 Узел канала дверцы холодильника
CN200680001890A CN100575831C (zh) 2005-01-06 2006-01-06 用于冰箱的门管道组件
BRPI0606394A BRPI0606394B8 (pt) 2005-01-06 2006-01-06 conjunto de duto de porta para refrigera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78A KR101065531B1 (ko) 2005-01-06 2005-01-06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795A KR20060080795A (ko) 2006-07-11
KR101065531B1 true KR101065531B1 (ko) 2011-09-19

Family

ID=3717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378A KR101065531B1 (ko) 2005-01-03 2005-01-06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5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458A (ja) 1998-06-08 200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010047665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20010047667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20050004926A (ko) * 2003-06-2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냉기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458A (ja) 1998-06-08 200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20010047665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20010047667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20050004926A (ko) * 2003-06-2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냉기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795A (ko)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US9581377B2 (en) Refrigerator
KR101332018B1 (ko) 냉장고
KR101706961B1 (ko) 냉장고
KR101821813B1 (ko) 냉장고
KR101835336B1 (ko) 냉장고
KR101658998B1 (ko) 냉장고
WO2012008092A1 (ja) 冷蔵庫
KR101065531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KR20080079107A (ko) 냉장고
US20110072843A1 (en) Refrigerator
JP2017101873A (ja) 冷蔵庫
KR19990030104A (ko) 냉장고
JP2011133151A (ja) 冷蔵庫
JP3600579B2 (ja) 冷蔵庫
JP2011202909A (ja) 冷蔵庫
KR20070016320A (ko) 야채실 독립 온도 제어가 가능한 냉장고
KR100235440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549080B1 (ko) 냉장고
KR100582069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1156255B1 (ko) 냉장고의 홈바 냉기공급장치
JP2002098463A (ja) 冷蔵庫
KR100582058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KR101263437B1 (ko) 냉장고
KR20060056897A (ko) 냉동실의 공기 분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