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591B1 -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591B1
KR100608591B1 KR1020050004220A KR20050004220A KR100608591B1 KR 100608591 B1 KR100608591 B1 KR 100608591B1 KR 1020050004220 A KR1020050004220 A KR 1020050004220A KR 20050004220 A KR20050004220 A KR 20050004220A KR 100608591 B1 KR100608591 B1 KR 10060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ltimedia
minutes
participant
m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501A (ko
Inventor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5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는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관리부, 회의 참석자 정보, 상기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의 대응 정보 및 상기 개별 기기 세트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참석자 선택 신호 입력시, 상기 대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참석자의 마이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종류별, 참석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는 회의록 생성부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회의록(multimedia meeting reports), 자동 생성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media meeting reports}
도 1은 종래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데이터 수집부 170 : 외부 사용자 단말기
400 :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 410 : 입력부
420 : 디스플레이부 430 : 음성 인식부
440 : 메모리부 445 : 저장부
450 : 제어부 460 : 통신부
465 : 인증부 470 : 파싱부
480 : 회의록 생성부 490 : 기준 관리부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회의 시스템이 보급되면서, 회의 내용을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되었고 기록된 내용을 편집하여 영상, 음성 및 텍스트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화상 회의 시스템을 통한 회의록 생성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상 회의 시스템은 회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영상 및 음성을 각각 녹화, 녹음하여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각각 종류별로 저장한다(S110).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을 기준으로 취합하여(S120), 취합된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라우징한다(S130). 데이터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언 내용, 키워드 등을 편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시계열적으로 취합된 데이터가 데이터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라우징되면, 사용자는 데이터를 편집하여(S140) 키워드 리스트, 이벤트 리스트, 중요도 리스트 등을 생성함 으로써, 회의록을 생성한다(S150).
그러나 종래와 같은 화상 회의 시스템은 회의록 생성 방법에 있어 자동화의 정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는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편집하여 회의록을 작성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는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관리부, 회의 참석자 정보, 상기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의 대응 정보 및 개별 기기 세트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참석자 선택 신호 입력시, 상기 대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참석자의 마이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종류별, 참석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는 회의록 생성부를 포함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은 참석자 정보, 상기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의 대응 정보를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종류별, 상기 참석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회의록 생성 기준 및 태그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정렬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집부(110),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 및 회의 참석자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회의 참석자로부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태깅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부분으로 크게 개별 기기 세트(120)와 촬영부(130)로 이루어진다.
개별 기기 세트(120)는 회의 참석자를 구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회의 참석자 각자에게 부여되며, 개별 기기 세트(120)와 회의 참석자 간의 매칭은 회의 진행자가 회의 참석자를 화상 회의 시스템(100)에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별 기기 세트(120)는 회의 참석자의 음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마이크(150),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중요 데이터로 기록하기 위한 기록 버튼 및 회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텍스트 기록 수단(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텍스트 기록 수단(160)은 회의 참석자가 기록한 내용 즉, 회의 참석자의 필체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장치를 의미한다.
마이크(150)의 온(ON)/오프(OFF) 동작은 회의 진행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회의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420)에는 회의실 내부의 구조와 회의 참석자 정보를 비쥬얼적인 요소로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회의 진행자는 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자리에 회의 참석자를 등록한다. 그리고 회의 진행자는 회의가 진행되는 중 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를 선택함으로써,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의 마이크 (150)가 온(on)되도록 한다. 이 때, 다른 참석자들의 마이크(150)는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하여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의 음성만이 수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개별 기기 세트(120)는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중요 데이터로 기록하기 위한 기록 버튼을 포함한다. 즉, 기록 버튼이 인가된 시점부터 기록버튼이 재인가된 시점 사이의 음성 데이터는 중요 데이터로 인식되고,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기록 버튼 사용에 따른 태깅 정보를 반영하여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한다.
촬영부(130)는 발언권이 주어진 참석자를 촬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촬영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예로 들 수 있다. 카메라는 회의실 내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움직임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의해 제어된다. 즉, 회의 진행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를 선택하게 되면,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위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참석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개별 기기 세트(120) 및 촬영부(13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음성, 텍스트 및 태그 정보 등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로 전송된다.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는 회의 참석자가 화상 회의 시스템(100)이 설치된 건물 외에 있는 경우,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수단으로 PDA나 휴대 전화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및 촬영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를 예로 들 수 있 다.
회의 참석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별 기기 세트(120)나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화상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기기 세트(120)와 회의 참석자의 매칭은 회의가 시작되기 전, 회의 진행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회의 진행자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장치의 입력부(410)를 통해 회의 참석자 정보 및 각 참석자와 대응되는 개별 기기 세트(120)의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메모리부(440)에 저장되므로 회의 참석자에 따른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한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회의 진행자에 의해 등록된 회의 참석자들을 인증하고, 개별 기기 세트(120)와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 등을 통해 수집된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깅 정보를 취합하여,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작성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100)은 회의 참석자 간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 화상 회의를 위한 모니터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동작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입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메모리부(440), 통신부(460), 인증 부(465), 기준 관리부(490), 파싱부(470), 제어부(450), 회의록 생성부(480), 저장부(445) 및 음성 인식부(43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회의 참석자에 대한 정보, 각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120)의 대응 정보 및 마이크(15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여기서 마이크(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은 회의 진행자에 의해 입력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참석자 등록 또는 마이크(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개별 기기 세트(120)의 위치 및 각 개별 기기 세트(120)에 대응되는 참석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회의 진행자가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참석자의 마이크(150)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20)는 디스플레이부(420) 단독으로 구현되거나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되어 입력부(410)와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430)는 미리 정의된 음성 인식 어구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요약하자면, 입니다'라는 어구가 회의 결론 관련 어구로 지정된 경우, 회의 진행자가 '요약하자면, ***입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되면, 음성 인식부(430)는 결론 관련 어구를 인식하여, '***'에 해당하는 음성을 텍스트로 전환한다. '***'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는 추후 멀티미디어 회의록이 생성시에 반영된다.
메모리부(440)에는 회의 참석자에 대한 정보 및 회의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 트(120)의 대응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440)에는 각 개별 기기 세트(12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다. 이 위치 정보 테이블은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메모리부(440)는 캐쉬,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460)는 복수의 개별 기기 세트(120)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수집부(110) 및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회의록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회의록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며, 회의 종료 후 참석자의 요청에 따른 추가 사항 등이 회의록에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한다.
인증부(465)는 회의 참석자가 외부에서 화상 회의 시스템(100)에 로그인할 때, 회의 참석자를 인증하는 부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에 있는 회의 참석자는 PDA나 휴대 전화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 때 인증부(465)는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가 회의 참석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참석자에 해당하는 사람이라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여 화상 회의 시스템(100)에 로그인될 수 있도록 한다.
기준 관리부(490)는 회의록 생성 기준 및 태그 규칙을 정의하거나 생성하는 부분이다.
파싱부(470)는 통신부(460)를 통해 수신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분석하 고 분리하며, 분리된 각 로우 데이터(raw data)의 세션에 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한다.
제어부(450)는 회의록 생성 기준과 태그 정보에 따라 메타 데이터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클리핑한다. 또한 제어부(450)는 회의 진행자 선택한 참석자의 마이크(150)를 온(ON)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 카메라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회의 진행자가 입력부(410)를 통해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참석자와 대응되는 개별 기기 세트(120)의 마이크(150)로 마이크(150) 온(on)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테이블에 따라 카메라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가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회의록 생성부(480)는 저장부(445)에 저장되어 있는 회의록 생성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고,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한다.
저장부(445)에는 통신부(46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그(tag) 데이터 등의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종류별, 참석자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445)에는 파싱부(470)를 통해 생성된 메타 데이터, 기준 관리부(490)에 의해 생성된 회의록 생성 기준 정보, 회의록 생성부(480)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회의록 및 회의 참석자에 의해 수정된 멀티미디어 회의록 등이 구분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445)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멀티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의 진행자는 회의 진행에 필요한 규칙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어구나 태깅 방법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태깅 방법을 예로 들면, 기록 버튼의 인가/재인가 여부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발언이 태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회의 진행자 및 A, B, C라는 참석자 중에서 참석자 B가 발표하는 중 참석자 A가 참석자 B의 발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기록 버튼을 인가하게 되면,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기록 버튼이 인가된 순간부터 재인가 되기까지에 해당하는 B의 음성 데이터가 중요 음성 데이터로 태깅되도록 한다.
또한 음성 인식이 가능한 특정 어구를 지정하여 회의 참석자들이 지정된 음성 인식 어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정된 어구 사이의 음성이 텍스트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안건은, 입니다', '요약하자면, 입니다', '이상으로 회의를 마치겠습니다' 등의 음성 인식 어구를 각각 개회사 관련 어구, 안건 관련 어구, 결론 관련 어구, 폐회사 관련 어구로 지정한다. 그리고 회의 진행자가 '요약하자면 *****입니다'라고 말하는 경우, 해당 음성이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에 인식되어, *****에 해당하는 음성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결론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음성 인식 어구는 추가, 삭제, 변경 가능하다.
위와 같이, 회의 진행에 필요한 규칙이 정의되면, 회의 진행자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에 회의 참석자를 등록하고, 각 참석자에 대응되는 개별 기기 세트(120)를 지정한다(S500). 회의 진행자에 의해 등록된 참석자 정보 및 참석자와 대응되는 개별 기기 세트(120) 정보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메모리부(440)에 저장된다.
한편,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를 이용하는 참석자의 경우,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외부 사용자 단말기(170)를 통해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의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면,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인증부(465)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참석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참석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여, 해당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회의 진행자 및 참석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회의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미리 정의된 음성 인식 어구를 사용하여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회의 진행자의 경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를 선택할 수 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회의가 진행되면,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하여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그 정보 등을 수집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제어부(450)는 입력부(410)로부터 참석자 선택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참석자 선택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었다면(S510, 예), 제어부(450)는 마이크(150) 온(ON)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참석자의 마이크(150)로 전송한다(S512). 동시에 다른 참석자들의 마이크(150)에는 오프(OFF) 신호를 전송하여 선택된 참석자의 음성 데이터만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제어부(450)는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참석자가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S514). 예를 들어, 회의 진행자 및 A, B, C라는 참석자 중에서 참석자 A가 발언권을 얻은 경우, 회의 진행자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참석자 A를 선택한다. 이 후, 제어부(450)는 마이크(150) 온(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참석자 A와 대응되는 개별 기기 세트(120)의 마이크(150)로 전송한다. 또 동시에 마이크(150)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여 참석자 B, C의 마이크(150)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참석자 A의 음성 데이터만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테이블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참석자 A가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400)는 발언권을 얻은 참석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이외에도, 각 참석자의 개별 기기 세트(12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태깅 명령 등을 수집한다. 즉, 기록 버튼 인가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S520), 기록 버튼 인가에 따른 신호가 수신된 경우(S520, 예), 기록 버튼이 인가된 시점부터 기록버튼이 재인가된 시점 사이의 음성 데이터를 태깅하여(S522), 해당 부분의 음성 데이터가 추후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상, 음성, 텍스트 및 태깅 명령 등의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수집되면, 수집된 데이터는 종류별, 참석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부(445)에 저장된다(S540). 이 후, 파싱부(470)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분석/분리하며, 분리된 각 로우 데이터(raw data)의 세션에 대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한다(S550). 이 때,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XML 파일로 생성된다.
이 후, 제어부(450)는 기준 관리부(490)로부터 회의록 생성 기준과 태깅 정보를 수신한 후,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우 데이터 중에서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클리핑한다(S560).
그 다음, 회의록 생성부(480)는 제어부(450)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를 정렬하여 진행자의 음성 인식 어구가 텍스트로 전환된 회의 요약, 주제, 결론 및 기록 버튼에 의해 태깅된 내용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한다(S570). 그리고 이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저장부(445)에 저장하여, 추후 참석자로부터 회의록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회의록이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미리 설정된 회의 진행 방법에 따라 회의를 진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참석자별로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음성, 영상, 텍스트 및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관리부;
    회의 참석자 정보, 상기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의 대응 정보 및 상기 개별 기기 세트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참석자 선택 신호 입력시, 상기 대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참석자의 마이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종류별, 참석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는 회의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기기 세트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중요 데이터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음성 인식 어구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장치.
  4. 참석자 정보, 상기 참석자와 개별 기기 세트의 대응 정보를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종류별, 상기 참석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회의록 생성 기준 및 태그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정렬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회의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참석자 선택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참석자의 마이크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참석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개별 기기 세트의 기록 버튼 인가에 따른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KR1020050004220A 2005-01-17 2005-01-17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60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20A KR100608591B1 (ko) 2005-01-17 2005-01-17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20A KR100608591B1 (ko) 2005-01-17 2005-01-17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501A KR20060083501A (ko) 2006-07-21
KR100608591B1 true KR100608591B1 (ko) 2006-08-03

Family

ID=3717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20A KR100608591B1 (ko) 2005-01-17 2005-01-17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60B1 (ko) * 2010-07-30 2011-07-22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회의용 시스템의 확장컨트롤러를 이용한 회의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90B1 (ko) * 2009-06-09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981049B1 (ko) * 2017-09-13 2019-08-28 (주)에어사운드 멀티 커넥션을 통한 회의록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6668B1 (ko) * 2020-01-30 2022-01-03 (주)아큐플라이에이아이 회의 통역 장치
KR102549882B1 (ko) * 2022-05-23 2023-06-30 브레인소프트주식회사 다수의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반의 회의록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598304B1 (ko) * 2022-06-09 2023-11-03 주식회사 엘솔루 Stt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2539256B1 (ko) * 2022-12-07 2023-06-02 주식회사 하이 음성 데이터에서 특정 화자의 음성을 구분하는 모델을 학습시키는 기법
KR102526173B1 (ko) * 2022-12-07 2023-04-26 주식회사 하이 음성 데이터에서 특정 화자의 음성을 추출하는 기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60B1 (ko) * 2010-07-30 2011-07-22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회의용 시스템의 확장컨트롤러를 이용한 회의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501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591B1 (ko) 멀티미디어 회의록 생성 방법 및 장치
EP2055088B1 (en) Interaction based on facial recognition of conference participants
US8406608B2 (en) Generation of composited video programming
US201901909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meeting management using identity database
US20100085415A1 (en) Displaying dynamic caller identity during point-to-point and multipoint audio/videoconference
US8553067B2 (en) Captur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muted content from a conference session
JP5079686B2 (ja) 会議参加者を電話呼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14634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collecting device to carry out a target location
JP2005341015A (ja) 議事録作成支援機能を有するテレビ会議システム
CN101860713A (zh) 为不支持视频的视频电话参与者提供非言辞通信的描述
JPH08316953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JP2009188809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JP2007241130A (ja) 声紋認識を利用するシステムと装置
CN103108234B (zh) 一种通过手写内容对电视进行控制的方法及系统
JP4718567B2 (ja) 遠隔会議管理システム、遠隔会議管理方法及び遠隔会議管理プログラム
CN106326804B (zh) 一种录音控制方法和装置
JP2002251393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US20230231973A1 (en) Streaming data processing for hybrid online meetings
US20220360635A1 (en) Intelligent configuration of personal endpoint devices
JP4728357B2 (ja) 遠隔会議管理システム、遠隔会議管理方法及び遠隔会議動作確認プログラム
KR102345666B1 (ko) Ai를 이용한 무인 회의 영상 제공 시스템
JP2015142193A (ja) 伝送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0936830B1 (ko) 화상 회의 중계 시스템
KR20070056747A (ko) 웹을 이용한 화상회의 개설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7351642B2 (ja) 音声処理システム、会議システム、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