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75B1 - 조립형 깁스 - Google Patents

조립형 깁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75B1
KR100606875B1 KR1020040066977A KR20040066977A KR100606875B1 KR 100606875 B1 KR100606875 B1 KR 100606875B1 KR 1020040066977 A KR1020040066977 A KR 1020040066977A KR 20040066977 A KR20040066977 A KR 20040066977A KR 100606875 B1 KR100606875 B1 KR 10060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assembly
moving
adjusting n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560A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04006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이나 인대가 늘어나는 경우 팔이나 다리에 시술되는 깁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자상 파이프체로 된 결합체를 단면상 반원형으로 대향 분할하여 형성하고, 상기 대향된 결합체의 측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구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체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게 하면서도 그 결합체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구는 높이 조절이 가능케 하여, 상기한 결합체를 시술부위에 대응하여 결합하고 그 고정구에 의해 견고한 고정 지지력을 갖게 함으로서,
시술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 종래의 갑갑함이나 가려움,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교적 경량체이므로 이동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제거된 석고깁스와 같은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조립형 깁스에 관한 것이다.
깁스, 결합체, 체결구, 압착고정구, 지지고정구

Description

조립형 깁스 {Knokdown cast}
도 1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착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일측 결합체 내측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결합구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의 분리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의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단부 고정수단을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고정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고정수단에 의해 착용상태 평면 작동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내부 고정수단을 보인 것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고정수단의 좌우 작동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고정수단의 상하 작동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길이 조절 작동도로서,
도 7a는 조립형 깁스의 길이방향 작동도
도 7b는 조립형 깁스의 길이방향 조절부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를 이용한 short leg용 깁스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를 이용한 long arm용 깁스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를 이용한 short arm용 깁스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삽입관 2 : 축소관
3 : 고정볼트 5 : 장공
10,10' : 결합체
20,20' : 체결구 21 : 절곡구
22 : 경첩 23 : 걸이구
24 : 절곡고정판
30,30' : 압착고정구 31 : 나사핀
32 : 조절너트 33 : 압지구
34 : 나사축 35 : 통기층
40,40' : 지지고정구 41 : 이동나사핀
42 : 이동조절너트 43 : 이동압지구
44 : 이동나사축 45 : 이동통기층
46 : 이동구 47 : 고정너트
48 : 이동장공
100 : 패드
a : 허벅지부 b : 무릎부
c : 발목부 d : 정강이부
e : 상박부 f : 팔꿈치부
g : 손목부 h : 하박부
본 발명은 골절이나 인대가 늘어나는 경우 팔이나 다리에 시술되는 깁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자상 파이프체로 된 분할체를 부상부분에 조립하여 시술함은 물론 전체적인 길이조절 및 고정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신체적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이며, 특히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비교적 가볍고 시술 및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반복 사용이 가능한 조립형 깁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깁스라 함은, 소석고(燒石膏)의 분말에 물을 가하면 신속하게 굳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골절이나 인대가 늘어난 경우의 정형외과적 치료에 사용된다.
깁스는 독일어로 석고(石膏)라는 뜻으로서, 붕대에 분말석고를 묻혀 두고 사용 직전에 소명반(燒明礬)을 가한 42~43 ℃의 온수에 담근 후 신체의 필요한 곳에 약 0.5 cm 두께로 감는 것이며, 약 20분 후에는 붕대가 단단하게 굳는데, 이것을 깁스 붕대라고 한다.
깁스 붕대에는 직접 몸에 감는 깔개 없는 깁스 붕대와 미리 깔개로 솜이나 헝겊을 감아서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하는 깔개 있는 깁스 붕대가 있는데, 전자는 골절 등 환부를 조금이라도 움직여서는 안 되는 경우에 쓰이고, 일반적으로는 후자가 쓰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석고 깁스는 시술과정이 복잡하고, 이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속의 회전컷터에 의해 절단 제거하므로 환자에게 심리적인 공포감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며,
시술 후에는 갑갑함을 호소하면서도 통기가 원활치 못하여 가려움증과 땀으로 인한 악취 등으로 그 착용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석고에 의한 깁스는 비교적 중량체이므로 이동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시술 후 제거되는 깁스는 재활용이 되지 않는 폐기물로 분류되므로 처리비용이 발생하면서도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격자상 파이프체로 된 결합체를 단면상 반원형으로 대향 분할하여 형성하고, 상기 대향된 결합체의 측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구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체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게 하면서도 그 결합체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구는 높이 조절이 가능케 하여, 상기한 결합체를 시술부위에 대응하여 결합하고 그 고정구에 의해 견고한 고정 지지력을 갖게 함으로서,
시술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 종래의 갑갑함이나 가려움,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교적 경량체이므로 이동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제거된 석고깁스와 같은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조립형 깁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착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내측면도이다.
파이프체가 교차 연결된 격자상 결합체(10)(10')를 단면상 반원형으로 대향 분할 형성하고, 상기 결합체(10)(10')의 측단부에는 분할된 상기 결합체(10)(10')를 서로 고정케 하는 별도의 체결구(20)(2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10)(10')의 선단과 하단의 내측에는, 상기한 결합체(10)(10')에 고정된 복수개의 압착고정구(30)(30')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체(10)(10')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한 결합체(10)(10')에 이동가능케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고정구(40)(40')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복수 분할 연결하여 길이 조절케하되, 분할 일측에 형성된 삽입관(1)과 대향 분할측에 형성된 축소관(2)의 삽탈 및 상기한 삽입관(1)의 장공(5)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축소관(2)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볼트(3)에 의해 길이 조절된 삽입관(1) 및 축소관(2)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체결구(20)(20')는 일측 결합체(10)에 형성된 절곡구(21)와 타측 결합체(10')에 형성된 경첩(2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첩(22)의 걸이구(23)에 의해 절곡구(21)를 걸어 회전되는 경첩(22)에 의해 분할된 결합체(10)(10')가 서로 결합되게 하되, 상기한 절곡구(21)와 경첩(22)은 결합체(10)(10')의 중심측으로 밴딩 고정된 절곡고정판(24) 상에 형성되므로 결합체(10)(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압착고정구(30)(30')는, 결합체(10)(10')의 각 단부에 고정된 나사핀(31)과 그 나사핀(31)에 결합된 조절너트(32) 및 상기 조절너트(32)에 나사 결합되어 하단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압지구(33)를 갖는 나사축(34)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압지구(33)의 저면에는 일정두께의 섬유재로 된 통기층(35)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너트(32)의 내부 나사산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나사산 형성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나사핀(31)과 나사축(34)은 조절너트(32)와 대응되는 나사산 방향을 갖게 형성하여, 조절너트(32)의 회전시 나사핀(31)과 나사축(34)의 상호 동시 회전에 의해 그 조절량이 배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고정구(40)(40')는, 결합체(10)(10')의 내측 전면에 형성 되는 것으로서, 결합체(10)(10')로부터 이동 가능케 결합된 이동나사핀(41)과 그 이동나사핀(41)에 결합된 이동조절너트(42) 및 상기 이동조절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하단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이동압지구(43)를 갖는 이동나사축(44)으로 되며, 상기한 이동압지구(43)의 저면에는 일정두께의 섬유재로 된 이동통기층(45)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조절너트(42)의 내부 나사산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나사산 형성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이동나사핀(41)과 이동나사축(44)은 이동조절너트(42)와 대응되는 나사산 방향을 갖게 형성하여, 이동조절너트(42)의 회전시 이동나사핀(41)과 이동나사축(44)의 상호 동시 회전에 의해 그 조절량이 배가 되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한 이동나사핀(41)은 이동장공(48)이 형성된 결합체(10)(10')의 내측에 삽입된 이동구(46)에 고정되고, 상기한 이동나사핀(41)에는 별도의 고정너트(47)가 삽입되어 이동나사핀(41)을 결합체(10)(10')에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형 깁스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허벅지부(a)와 무릎부(b), 발목부(c)로 분할하여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케 하며, 발목부(c)의 하단 저면에는 별도의 패드(100)를 부착 형성하여 long leg용 깁스로 사용되게 하거나,
상기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정강이부(d)와 발목부(c)로 분할하여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케 하며, 발목부(c)의 하단 저면에는 별도의 패드(100)를 부착 형성하여 short leg용 깁스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상박부(e)와 팔꿈치부(f), 손목부(g)로 분할하고 이를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되게 하여 long arm용 깁스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하박부(h)와 손목부(g)로 분할하고 이를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되게 하여 short arm용 깁스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조립형 깁스는 다수의 파이프체가 격자상으로 연결된 형태의 단면상 반구형의 결합체(10)(10')가 서로 대향 결합되는 것으로서,
각각 분할된 반구체의 결합체(10)(10')가 신체의 필요부에 서로 대향 결합되어 환부를 감싸고, 그 결합체(10)(10') 내측의 압착고정구(30)(30') 및 지지고정구(40)(40')에 의해 상기한 결합체(10)(10')가 환부 및 그 주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결합체(10)(10')는 환자의 팔이나 다리의 형상에 알맞도록 다양한 길이조절 및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어느 특정 환자의 신체구조에 알맞도록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 및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된 결합체(10)(10')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구(20)(20')는 도 4a의 분리 단면도와 같이, 일측 결합체(10)의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고정판(24)에 돌출상의 절곡구(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 결합체(10')의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또다른 절곡고정판(24) 상에 형성된 걸이구(23)를 갖는 경첩(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4b의 도시와 같이, 일측 결합체(10)의 측단에 돌출 형성된 절곡구(21)에 타측 결합체(10')의 경첩(22)에 형성된 걸이구(23)를 걸은 상태에서 그 경첩(22)을 회전시켜 양측으로 분할된 결합체(10)(10')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결합체(10)(10')를 환부의 하측 및 상측에 덧대어 마주한 다음, 상기한 체결구(20)(20')에 의해 분할된 결합체(10)(10')를 체결하면 그 결합체(10)(10')는 단면상 원형이 형성되면서 환부 주연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체(10)(10')는 환자의 팔이나 다리에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으로는 결합체(10)(10')의 상,하단에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된 압착고정구(30)(30')와, 결합체(10)(10')의 내측 전면에 고르게 분할 형성된 지지고정구(40)(40')에 의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한 압착고정구(30)(30')는, 상기한 결합체(10)(10')의 선단과 하단에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된 것으로서, 도 5a의 도시와 같이 결합체(10)(10')에 직접 고정된 나사핀(31)과 그 나사핀(31)이 결합되어 있는 조절너트(32), 상기한 조절너트(32)에 나사축(34)이 결합되고 그 나사축(34)의 하단에는 거즈 등의 통기층(35)이 형성된 압지구(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압지구(33)는 상기한 조절너트(32)의 회전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상기한 조절너트(32)를 회전시켜 그 압지구(33)가 승강되게 함으로서, 환자의 환부에 압착 밀착되게 하여 그 결합체(10)(1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착고정구(30)(30')는 상기한 결합체(10)(10')의 선단과 하단에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압착고정구(30)(30')에 의해 상기한 결합체(10)(10')와 환부의 일체적 결합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조절너트(32)는 파이프체로 된 결합체(10)(10')의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상기한 조절너트(32)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의 조절 및 용이한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한 결합체(10)(10')가 환부 주변에 고정되면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면서도 압박감을 분산시키기 위한 지지고정구(40)(40')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한 압착고정구(30)(30') 만으로 그 결합체(10)(10')를 환부에 고정하면 보행이나 자체 중량에 의한 압박감이 매우 클 것이므로 이를 분산시키면서도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지지고정구(40)(40')는,
도 6a의 도시와 같이 중공상의 파이프체로 된 결합체(10)(10')에 삽입 고정된 이동나사핀(41)과, 그 이동나사핀(41)이 체결되어진 이동조절너트(42) 및 상기한 이동조절너트(42)에 나사 결합된 이동나사축(44)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한 이동 나사축(44)의 하단에는 거즈 등에 의한 이동통기층(45)이 형성된 이동압지구(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상기한 이동조절너트(42)를 회전시키면 상기한 이동압지구(43)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통기층(45)에 의해 인체에 밀착되는 부분의 통기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지지고정구(40)(40')는 상기한 압착고정구(30)(30')와 같이 그 위치가 고정되면 아니되는 것으로서, 골절이나 인대 부상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형성되는 깁스의 특성상 실제환부에 상기한 지지고정구(40)(40')가 위치하여 고정되면 그 고통이 매우 심할 뿐더러 치료를 요하는 경우에는 치료가 불가능 할 것이므로, 상기한 지지고정구(40)(40')는 좌우 방향(시각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케 형성하여, 상기한 지지고정구(40)(40')가 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동시켜 환부 이외의 신체에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6b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이동나사핀(41)은 중공상의 파이프체로 된 결합체(10)(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구(46)에 부착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이동구(46)가 내장된 결합체(10)(10')에는 이동장공(48)을 형성하여 그 장공을 따라 이동이 가능케 하는 것이며, 목적하는 위치로 지지고정구(40)(40')가 이동되면 상기한 이동구(46)로부터 연결된 이동나사핀(41)에 별도의 고정너트(47)를 견고하게 나사 결합하여 그 이동구(46)와 결합체(10)(10')가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압착고정구(30)(30')와 지지고정구(40)(40')에 의해 상기한 결합체(10)(10')는 신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그 결합체(10)(10')는 복수 개의 파이프체가 서로 망체상으로 연결 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 종래와 같이 갑갑함을 호소하거나 가려움 및 냄새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절너트(32) 및 이동조절너트(42)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압지구(33) 및 이동압지구(43)가 각각 승강하는 것이며, 상기한 조절너트(32) 및 이동조절너트(42)의 내측 나사산을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게 하고, 이들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상기한 나사핀(31) 및 나사축(34) 또는 이동나사핀(41) 및 이동나사축(44)의 나사산 방향을 형성함으로서,
각기 다른 나사산 방향을 갖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조절너트(32) 및 이동조절너트(42)를 회전시키게 되면 보다 많은 이동량을 갖게 되므로 상기한 압지구(33) 및 이동압지구(43)의 간격 조절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결합체(10)(10')의 체결 및 분리가 매우 신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조립형 깁스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인 신장차에 따라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결합체(10)(10')가 그 길이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한 것인데,
도 7a의 도시와 같이, long leg용으로 제작되어진 깁스는 상기한 결합체(10)(10')를 허벅지부(a)와 무릎부(b) 및 발목부(c)로 삼분하여 제작함으로서, 각각의 분할 연결부에서 길이 조절을 가능케 하므로 환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조절 착용할 수 있는 것인데, 그 연결부는 도 7b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결합체(10)(10')의 대응단부에 각기 형성된 삽입관(1) 및 축소관(2)의 삽입에 의해 이루 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축소관(2)이 삽입관(1)으로부터 삽탈되어 그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삽입관(1)에는 장공(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5)을 통해 내측의 축소관(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3)는 그 고정볼트(3)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한 삽입관(1)과 축소관(2)이 결합 고정되므로,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길이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한 고정볼트(3)를 견고하게 조여 분할된 결합체(10)(10')가 고정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조립형 깁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허벅지부(a)와 무릎부(b) 및 발목부(c)로 그 결합체(10)(10')를 분할 형성하고, 상기한 발목부(c)의 저면에는 별도의 패드(100)를 덧대어 보행이 편리한 long leg용 깁스로 사용되게 하거나,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결합체(10)(10')를 정강이부(d) 및 발목부(c)로 분할하여 short leg용으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long leg용 깁스의 무릎부(b)는 통상적인 깁스와 마찬가지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조립식 깁스는 도 9 내지 도 10의 도시와 같이 long arm용 또는 short arm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long arm용 깁스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결합체(10)(10')를 상박부(e), 팔꿈치부(f), 손목부(g)로 각각 분할 형성하여 길이 조절되게 하고, short arm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결합체(10)(10')를 하박부(h)와 손목부(g)로 분할 형성하여 길이 조절되게 함으로서 이를 short arm용 깁스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조립형 깁스는, 압착 및 지지고정구에 의해 견고한 고정 지지력을 갖게 함은 물론 시술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 종래의 갑갑함이나 가려움,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교적 경량체이므로 이동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제거된 석고깁스와 같은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파이프체가 교차 연결된 격자상 결합체(10)(10')를 단면상 반원형으로 대향 분할 형성하고, 상기 결합체(10)(10')의 측단부에는 분할된 상기 결합체(10)(10')를 서로 고정케 하는 별도의 체결구(20)(20')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10)(10')의 선단과 하단의 내측에는, 상기한 결합체(10)(10')에 고정되고 시술 상하부를 압박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착고정구(30)(30')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체(10)(10')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한 결합체(10)(10')에 이동가능케 고정되고, 시술 전체부를 압박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고정구(40)(40')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복수 분할 연결하여 길이 조절케하되, 분할 일측에 형성된 삽입관(1)과 대향 분할측에 형성된 축소관(2)의 삽탈 및 상기한 삽입관(1)의 장공(5)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축소관(2)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볼트(3)에 의해 길이 조절된 삽입관(1) 및 축소관(2)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구(20)(20')는, 일측 결합체(10)에 형성된 절곡구(21)와 타측 결합체 (10')에 형성된 경첩(2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첩(22)의 걸이구(23)에 의해 절곡구(21)를 걸어 회전되는 경첩(22)에 의해 분할된 결합체(10)(10')가 서로 결합되게 하되, 상기한 절곡구(21)와 경첩(22)은 결합체(10)(10')의 중심측으로 밴딩 고정된 절곡고정판(24) 상에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3. 제 1항에 있어서,
    압착고정구(30)(30')는, 결합체(10)(10')의 각 단부에 고정된 나사핀(31)과 그 나사핀(31)에 결합된 조절너트(32) 및 상기 조절너트(32)에 나사 결합되어 하단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압지구(33)를 갖는 나사축(34)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압지구(33)의 저면에는 일정두께의 섬유재로 된 통기층(35)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4. 제 3항에 있어서,
    조절너트(32)의 내부 나사산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나사산 형성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나사핀(31)과 나사축(34)은 조절너트(32)와 대응되는 나사산 방향을 갖게 형성하여, 조절너트(32)의 회전시 나사핀(31)과 나사축(34)의 상호 동시 회전에 의해 그 조절량이 배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5. 제 1항에 있어서,
    지지고정구(40)(40')는, 결합체(10)(10')의 내측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체(10)(10')로부터 이동 가능케 결합된 이동나사핀(41)과 그 이동나사핀(41)에 결합된 이동조절너트(42) 및 상기 이동조절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하단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이동압지구(43)를 갖는 이동나사축(44)으로 되며, 상기한 이동압지구(43)의 저면에는 일정두께의 섬유재로 된 이동통기층(45)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6. 제 5항에 있어서,
    이동조절너트(42)의 내부 나사산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나사산 형성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이동나사핀(41)과 이동나사축(44)은 이동조절너트(42)와 대응되는 나사산 방향을 갖게 형성하여, 이동조절너트(42)의 회전시 이동나사핀(41)과 이동나사축(44)의 상호 동시 회전에 의해 그 조절량이 배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7. 제 5항에 있어서,
    이동나사핀(41)은 이동장공(48)이 형성된 결합체(10)(10')의 내측에 삽입된 이동구(46)에 고정되고, 상기한 이동나사핀(41)에는 별도의 고정너트(47)가 삽입되어 이동나사핀(41)을 결합체(10)(10')에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8.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허벅지부(a)와 무릎부(b), 발목부(c)로 분할하여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케 하며, 발목부(c)의 하단 저면에는 별도의 패드(100)를 부착 형성하여 long leg용 깁스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9.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정강이부(d)와 발목부(c)로 분할하여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케 하며, 발목부(c)의 하단 저면에는 별도의 패드(100)를 부착 형성하여 short leg용 깁스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10.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상박부(e)와 팔꿈치부(f), 손목부(g)로 분할하고 이를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되게 하여 long arm용 깁스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11. 제 1항에 있어서,
    결합체(10)(10')를 길이방향으로 하박부(h)와 손목부(g)로 분할하고 이를 삽입관(1)과 축소관(2)에 의해 길이 조절되게 하여 short arm용 깁스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깁스.
KR1020040066977A 2004-08-25 2004-08-25 조립형 깁스 KR10060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77A KR100606875B1 (ko) 2004-08-25 2004-08-25 조립형 깁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77A KR100606875B1 (ko) 2004-08-25 2004-08-25 조립형 깁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60A KR20060018560A (ko) 2006-03-02
KR100606875B1 true KR100606875B1 (ko) 2006-08-01

Family

ID=3712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977A KR100606875B1 (ko) 2004-08-25 2004-08-25 조립형 깁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37B1 (ko) * 2016-11-16 2017-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캐스트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50B1 (ko) 2014-06-30 2016-03-04 (주)제이앤엘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분할조립형 깁스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915474B1 (ko) * 2018-03-23 2019-01-30 (주)예담메디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KR102218212B1 (ko) 2019-09-03 2021-02-22 장해룡 자동 압박이 가능한 조립식 깁스 장치
CN111759569A (zh) * 2020-09-01 2020-10-13 路来成 一种骨科临床应用活动型复位支架
KR102442983B1 (ko) 2021-06-18 2022-09-14 김영규 착용감과 보조기능이 향상된 사출 반깁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37B1 (ko) * 2016-11-16 2017-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캐스트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60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3603B1 (en)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s
EP2670365B1 (de) Verbesserte patellapelotte
CN211705213U (zh) 一种骨科膝关节护理活动器
US5897517A (en) Fabric reinforced elastomer materials
KR20130056220A (ko) 무지외반증의 기계적 치료를 위한 교정기
KR20030056766A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KR100606875B1 (ko) 조립형 깁스
DE202013004834U1 (de) Gel-Seitenkissen
Wong Management of stiff hand: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KR200444034Y1 (ko) 손가락 보조기
US9149392B2 (en) Casting apparatus
CN206315169U (zh) 一种低温热塑康复支具
RU90985U1 (ru) Ортез для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208958464U (zh) 一种足踝多功能康复支具
US11278438B2 (en) Cushion for orthopedic casts
CN209884450U (zh) 可调式足部多功能固定器
CN205697969U (zh) 一种机械调节骨关节固定装置
JP5660988B2 (ja) 手関節固定具
CN208259817U (zh) 一种医用膝关节夹板
KR200494421Y1 (ko) 의료용 부목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JP2007162192A (ja) 身体に装着されるサポーター
CN216257714U (zh) 3d打印的腕手矫形器
JPS6344029Y2 (ko)
CN219323836U (zh) 多功能锻炼沙袋
CN213526122U (zh) 一种医用石膏包扎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