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771B1 -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771B1
KR100606771B1 KR1020030097520A KR20030097520A KR100606771B1 KR 100606771 B1 KR100606771 B1 KR 100606771B1 KR 1020030097520 A KR1020030097520 A KR 1020030097520A KR 20030097520 A KR20030097520 A KR 20030097520A KR 100606771 B1 KR100606771 B1 KR 10060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ixing
moving part
moni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256A (ko
Inventor
최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7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를 지지하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탠드에 기어 형식을 채용하고, 그 구성부품의 재질을 마찰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재료로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의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벽면을 따라서 상하로 래크(rack)기어가 형성 구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둘러감싸고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바(slide bar)가 형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바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리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어지는 피니언(pinion)기어와,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가 제공된다.
모니터, 스탠드, 기어

Description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height adjustment stand for monitor}
도 1은 종래의 모니터용 스탠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스탠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
시도
도 3a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 모니터용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
고 3b는 도 3a의 A-A선을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부 11...래크기어
12...슬라이드홈 20...이동부
22...슬라이드바 23...경사각 조절부
30...피니언기어 31...회전축
40...덮개 50...버튼
55...고정돌기 80...스프링
본 발명은 모니터 등을 지지하는 스탠드의 슬라이드 방식 구조를 개선하여 그 높이조정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에 기어구조를 장착하여 높이 조정 시 구름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마찰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그 작동상태를 더욱 안정되고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찰의 감소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사용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은 모니터를 지지하는 스탠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탠드는 소정 높이를 이루며 받침역할을 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 상단부에는 모니터가 이동부에 연결 부착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모니터가 부착되는 이동부가 스탠드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이동부(2)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도록 이동부(2)를 상하로 슬라이드시켜 나사 등을 이용한 고정장치(미도시)로 고정을 시켰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순히 슬라이드 방식만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부(2)의 이동 시 마찰로 인한 소음 및 그 작동이 유연하지가 못했었다.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 물질로 고정부(1)와 이동부(2)가 제조되어 마찰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마찰로 인한 소음 등으로 그 작동 느낌이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초래하였다.
결국 이렇게 되어, 사용자는 제품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리게 되어 제조사로 서는 소비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신용을 잃어버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방식만으로 움직이던 이동부에 기어방식을 적용함과 동시에 기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그 구조를 이루어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찰을 줄이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벽면을 따라서 상하로 래크(rack)기어가 형성 구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둘러감싸고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바(slide bar)가 형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바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리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어지는 피니언(pinion)기어와,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모니터의 스탠드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벽면을 따라 서 상하로 래크(rack)기어(11)가 형성 구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를 둘러감싸고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바(slide bar)(22)가 형성되는 이동부(20)와, 상기 슬라이드바(22)가 상기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래크기어(11)와 맞물리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20)에 지지되어지는 피니언(pinion)기어(30)와, 상기 이동부(20)가 상기 고정부(10)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가 제공된다.
상기 래크기어(11)는 상기 고정부(10) 자체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된 래크기어가 따로 고정부(10)에 설치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의 좌우 양측 테두리면에는 상하로 장홈 형태의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 LCD 모니터의 높이 조정 스탠드는 고정부(1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부(20)의 좌우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부(10)의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어 이동이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12)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바(22)가 형성된다.
이 때, 슬라이드홈(12), 슬라이드바(22), 래크기어(11), 피니언기어(30)는 결정성이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인 폼(POM)(POLYACETAL)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2)가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 어 고정부(10)를 따라서 이동 시에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30)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30)는 양쪽 측면 중앙에 소정의 돌기(31)가 형성되고, 이동부(20)에는 상기 돌기(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홀(21)이 형성되어 상기 홀(21)에 상기 돌기(31)가 설치되어 피니언기어(30)가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의 외측에는 모니터(미도시)를 부착하고,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힌지어셈블리(2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20)의 조립이 완료된 후, 피니언기어(30)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덮개(40)가 이동부(20)에 덮어 씌워져 이동부(2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20)가 고정부(10)를 따라 상하로 이동 시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어야 되는데, 이를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간단한 버튼장치가 장착된다.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0)의 일면에 관통공(45)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5)에 중앙부분의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동부(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버튼(50)을 설치한다.
이 때, 버튼(50)을 회전 가능하도록 덮개(40)에 설치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하겠다.
한편, 상기 버튼(50)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일측 끝쪽으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돌기(55)가 형성되고, 반대쪽으로는 사용자가 조작이 쉽도록 덮개(40) 외부로 약간 돌출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이동부(20)에도 관통공(2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5)을 통하여 상기 고정돌기(55)가 이동부(20)의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축(51)을 중심으로 버튼(50)의 고정돌기(55)가 형성된 반대쪽 버튼(50)면과 이동부(20) 사이에는 복원력을 지니는 코일스프링(8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이동부(20)가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고정돌기(52)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하를 따라서 다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51)이 형성되는 버튼(50)의 양측면을 이동부(20)가 돌출된 구조로 둘러싸도록 형성하거나 이동부 자체의 굵기를 굵게 하여 덮개(40)가 아닌 이동부(20) 자체에 버튼(5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로 작동 시 단순 슬라이드 방식만이 아닌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 방식을 사용하여 피니언기어(30)가 래크기어(11)에 맞물리어 회전하도록 되어 그 동작이 유연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작동안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차의 폭을 넓게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래크기어(11)의 재질을 폼(POM)으로 구성하고, 피니언기어(30)의 재질도 폼(POM)으로 함으로써 피니언기어(30)가 래크기어(11)에 맞물리어 구름 이동 시 그 소음을 줄이고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POM은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에서 다른 재료에서 볼 수 없는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최근 금속을 대신하는 플라스틱으로 주목받고 있는 재료로서 그 기계적 특성이 고온이나 저온에서 우수하며, stress나 strain의 관계가 금속에 가깝고, 탄성회복도 좋기 때문에 마찰 및 소음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내크립성, 내피로성 등이 다른 수지보다 현저히 우수하며 또한 마멸 및 마모특성도 우수하고, 나아가, 자기 윤활성이 있으므로 접동부재로써 무윤활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기어와 슬라이드에 상당히 적합한 재료이다.
한편, 실질적인 마찰이 좌우측의 슬라이드바(22)와 슬라이드홈(12) 사이에서 발생하지만 이 경우에도, 슬라이드바(22) 및 슬라이드홈(12)이 폼(POM)재질로 이루어져, 결국 폼(POM)과 폼(POM) 사이의 마찰이 되므로 작동 시 소음이 적게 되고, 일반적인 다른 재질보다 마찰력 또한 적게 발생하여 이동부(20)의 이동 시 소음을 작게 하면서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여 진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부(20)를 일정 높이로 이동 시에는 버튼(50)을 누르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버튼(50)이 회전하여 고정돌기(55)가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5)으로 부터 빠져나와 이동부(20)가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이동을 멈추고 손을 떼면 자연스럽게 복원력을 지닌 스프링(80)에 의하여 버튼(50)에 형성된 고정돌기(55)가 고정부(10)의 고정홈(15)에 삽입되어 이동부(2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의 범위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탠드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LCD 모니터의 구동수단을 폼재질로 형성된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 그리고 슬라이드바와 슬라이드홈으로 함으로써 그 이동 시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와 함께, 고정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정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모니터를 임의의 위치에 효과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소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벽면을 따라서 상하로 래크(rack)기어가 형성 구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둘러감싸고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바(slide bar)가 형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바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리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어지는 피니언(pinion)기어와,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기어, 상기 피니언기어, 상기 슬라이드바, 또는 상기 슬라이드홈은 폼(POM)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고정부의 좌우 테두리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부의 좌우측 내부 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대략 중앙부분이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버튼과,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져 이동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버튼을 작동 시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버튼의 미작동 시 다시 고정홈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버튼과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버튼의 반대쪽과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KR1020030097520A 2003-12-26 2003-12-26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KR10060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20A KR100606771B1 (ko) 2003-12-26 2003-12-26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20A KR100606771B1 (ko) 2003-12-26 2003-12-26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256A KR20050066256A (ko) 2005-06-30
KR100606771B1 true KR100606771B1 (ko) 2006-07-31

Family

ID=3725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520A KR100606771B1 (ko) 2003-12-26 2003-12-26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2369A (zh) * 2019-10-31 2020-02-07 苏州赛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示教器用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467A (ko) 2006-03-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441313B1 (ko) * 2022-01-26 2022-09-06 주식회사 모건시스템 반도체 비전 검사용 산업용 컴퓨터
CN115046097B (zh) * 2022-06-22 2023-11-1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2369A (zh) * 2019-10-31 2020-02-07 苏州赛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示教器用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256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557B2 (en) Furniture drive embodied as a double drive
KR100602639B1 (ko) 액정표시기의 회전장치
CN101601285A (zh) 用于显示设备的支撑装置
US7864262B2 (en) Supporting bracket
WO2017016433A1 (zh) 键盘开关
KR100606771B1 (ko) 모니터용 높이 조정 스탠드
EP1403579B1 (en) Display apparatus
US5376765A (en) Key leveler apparatus
GB2524766A (en) Armrest assembly for a chair
US6540296B1 (en) Chair back height-adjustment mechanism
FR2894764A1 (fr) Bandeau de commande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KR200402223Y1 (ko)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JP3748613B2 (ja) 収納部昇降支持装置
CN100386008C (zh) 可调整高度的显示器支架
KR100461641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6773348B1 (ja) 角度調整機構、卓上機器及び角度調整機構の組み立て方法
NL2018161A (en) Cord drive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with a braking member and associated biasing element
KR200396803Y1 (ko) 서랍의 수평조절장치
JP3220775U (ja) 弾性片を伴う弁構造
KR2005006625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KR20050122879A (ko) 모니터의 이동을 위한 스탠드 구조
JP4371904B2 (ja) ヒンジレス及びガイドレス運動機構
KR100487123B1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JPH02248987A (ja) 電子機器の回転傾斜機構
KR200316643Y1 (ko) 슬라이드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