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732B1 -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732B1
KR100606732B1 KR1020040092368A KR20040092368A KR100606732B1 KR 100606732 B1 KR100606732 B1 KR 100606732B1 KR 1020040092368 A KR1020040092368 A KR 1020040092368A KR 20040092368 A KR20040092368 A KR 20040092368A KR 100606732 B1 KR100606732 B1 KR 10060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ir conditioner
filter
filter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870A (ko
Inventor
최송
장세동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7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기 및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서로다른 크기의 메쉬를 가진 복수개의 여과망이 냉매에 포함된 오물을 포집(捕集)하도록 상기 냉매가 흐르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은 유로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로에 장착되었을 때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만곡(灣曲)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복수개의 여과망에 크기가 다른게 각각 나뉘어 걸러지게 되므로, 하나의 여과망에 과도하게 많이 쌓이지 않게되어 각 여과망에 작용하게 되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작아지므로,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냉매, 이물질, 슬러지, 스트레이너, 여과장치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Strainer in air-conditioner}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여과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10 : 유로 120 : 여과망 케이스
132 : 제 1 여과망 132a : 제 1 여과망의 메쉬의 크기
134 : 제 2 여과망 134a : 제 2 여과망의 메쉬의 크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주거공간, 레스토랑 또는 사무실등의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 기에 냉매를 순환하게 하는 유로와, 상기 냉매에 압력을 가하는 압축기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거치면서, 상변화에 의한 흡열 및 발열과정을 통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즉,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냉매는 실내기에서 증발하면서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고, 실외기에서 응축되면서 열을 발산한다.
또한, 상기 냉매는 유로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냉매에 슬러지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냉매와 같이 순환하는 경우에는 유로내 특정한 부분에 쌓여서 막히게 하는등 유동을 원할하지 못하게 하거나, 고장이 일어나게 되며, 압축기등의 운동하는 부속에 쌓이게 되면 부품의 마모를 일으키는등 공기조화기의 성능과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상에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여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크기의 메쉬크기(30a)를 가진 망(網)형태로 이루어진 여과망(30)이 유로(10)내부에 위치하여 순환하는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40)중 여과망(30)의 메쉬(30a)크기보다 큰 이물질(40)이 상기 여과망(30)에 걸러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여과망(30)이 설치된 곳의 유로(10)의 내경은 주변의 다른 부분의 유로(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여과망 케이스(20)를 이루고 있다.
이는 상기 여과망(30)에 이물질(40)이 쌓여 냉매의 유동통로가 약간 줄어들경우에도 냉매의 유동저항이 크게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과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이 여과망 케이스의 내경이 주변부의 다른 유로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도, 상기 여과망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포집되어 여과망이 상당부분 막히게 되는 경우, 냉매의 유동저항이 크게 발생하여 공기조화기가 효율적으로 운전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여과망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포집되어 여과망이 상당부분 막히게 되면, 상기 여과망에 과도한 유동압력이 걸리게 되어 상기 여과망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물질이 냉매의 순환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여러부속에 인입되어 고장이나 오동작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장치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쌓이게 되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기 및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서로다른 크기의 메쉬를 가진 복수개의 여과망이 냉매에 포함된 오물을 포집(捕集)하도록 상기 냉매가 흐르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은 유로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로에 장착되었을 때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만곡(灣曲)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들 중 메쉬의 크기가 큰 여과망이 냉매 유동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망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쌓이지 않게되어 여과망이 파손되거나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나뻐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매가 흐르는 유로(110)상에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리지도록 그물형상의 여과망(132, 134)이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망(132, 134)은 제 1 여과망(132)과 제 2 여과망(134)의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여과망(132, 134)은 그물구조로 짜여져 있어 흐르는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여과망(132, 134)에 걸러지게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의 그물눈을 메쉬(mash)라 하는데, 상기 2개의 여과망(132, 134)은 서로 다른크기의 메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여과망의 메쉬의 크기(134a)가 제 1 여과망의 메쉬의 크기(132a)보다 커서 비교적 성기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에 이물질이 쌓여 냉매의 통로가 약간 줄어든 경우에도 냉매의 유동저항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여과망(132, 134)이 설치된 곳의 유로는 그 내경이 주변의 다른 부분의 유로(1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여과망 케이스(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은 그 지름이 상기 여과망 케이스(12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만곡(彎曲)되며,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의 중앙부근에 쌓이게 되고, 냉매는 각 여과망(132, 134)의 가장자리 부근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중 메쉬의 크기가 큰 제 2 여과망(134)이 유로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매에 포함되어 냉매와 같이 유동하던 이물질중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은 상기 제 1 여과망(132)과 제 2 여과망(134) 중 메쉬의 크기가 크고 상류측에 설치된 제 2 여과망(134)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여과망의 메쉬의 크기(134a)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이물질 은 상기 제 2 여과망(134)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여과망(132)에서 걸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여과망(132) 및 제 2 여과망(134)은 동일한 단일 여과망 케이스(120)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다른 여과망 케이스(120)내에 따로 설치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에 의하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 1 여과망(132)과 제 2 여과망(134)에 크기가 다른게 각각 나뉘어 걸러지게 되므로, 한 여과망에 많이 쌓이지 않게되어 각 여과망(132, 134)에 걸리게 되는 유동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 1 여과망과 제 2 여과망에 크기가 다른게 각각 나뉘어 걸러지게 되므로, 하나의 여과망에 과도하게 많이 쌓이지 않게되어 각 여과망에 작용하게 되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작아지므로,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여과망에 과도한 유동압력이 걸려 여과망이 찢어지게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공기조화기의 여러 부속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므로 공기조화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내기 및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서로다른 크기의 메쉬를 가진 복수개의 여과망이 냉매에 포함된 오물을 포집(捕集)하도록 상기 냉매가 흐르는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은 유로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로에 장착되었을 때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만곡(灣曲)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이 설치된 부분의 유로는 주변의 유로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여과망 케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망은 동일한 여과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망은 서로다른 여과망 케이스내에 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들 중 메쉬의 크기가 큰 여과망이 냉매 유동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KR1020040092368A 2004-11-12 2004-11-12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KR10060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368A KR100606732B1 (ko) 2004-11-12 2004-11-12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368A KR100606732B1 (ko) 2004-11-12 2004-11-12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870A KR20060046870A (ko) 2006-05-18
KR100606732B1 true KR100606732B1 (ko) 2006-08-01

Family

ID=3714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368A KR100606732B1 (ko) 2004-11-12 2004-11-12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88B1 (ko) * 2007-07-02 2008-07-30 (주)삼원산업사 냉동 공조용 필터구조
CN103900305A (zh) * 2014-03-26 2014-07-02 苏州永博电气有限公司 一种空调制冷剂的过滤装置
KR102268284B1 (ko) * 2020-02-17 202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체 정화 장치
KR102633266B1 (ko) * 2023-05-24 2024-02-05 주식회사 에코트라 폐수열 회수 열교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870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6950B2 (ja) 空気調和装置用ストレーナ
JP2004333107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室外機
JP2005249336A (ja) 空気調和機
EP1659353B1 (en) Refrigerant bypassing and filter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606732B1 (ko) 공기조화기의 여과장치
CN104717855B (zh) 具有过滤功能的机箱
US7716942B2 (en) Service valv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05249336A5 (ko)
KR100565696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여과장치
JP5601764B2 (ja) 気液分離器並びにこれを搭載した空気圧縮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H10300286A (ja) スラッジ捕捉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スラッジ捕捉装置を備えた冷凍空調機器
JP200628399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9274059A (ja) 油水分離システムおよび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
TW201923780A (zh) 用於過濾核能發電中之流體之方法及設備
EP2679931B1 (en) Air conditioner
EP3388772B1 (en) Plate-shaped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2005214542A (ja) 冷凍装置
KR100595268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여과장치
DE10220673C1 (de) Filtertrocknerpatrone
US20200256585A1 (en) Air intake filter assemblies with a multi-level fine filter for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hvac) systems
KR20060055825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여과장치
US10279299B2 (en) Air compressor dryer filter
JP6832744B2 (ja) 空気調和機
JP2007292340A (ja) 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蓄冷器式冷凍機用圧縮機
KR200289033Y1 (ko) 에어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