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124B1 -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124B1
KR100606124B1 KR1020020075710A KR20020075710A KR100606124B1 KR 100606124 B1 KR100606124 B1 KR 100606124B1 KR 1020020075710 A KR1020020075710 A KR 1020020075710A KR 20020075710 A KR20020075710 A KR 20020075710A KR 100606124 B1 KR100606124 B1 KR 10060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ealth check
message
processor
proce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476A (ko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1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사설 비동기전송모드 망내의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 호 정보의 오류 극복을 위해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동기전송모드 망내의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교환가상회선 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헬스 체크 방식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주 프로세서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주변 프로세서들로 헬스 체크를 명령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체크 명령을 받은 각 주변 프로세서들에서 인접한 다른 프로세서들의 호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호 상태를 파악한 결과 파악한 프로세서에 저장된 호 상태정보와 파악된 프로세서의 호 상태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파악한 프로세서 및 상기 파악된 프로세서에 포함된 호 정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므로 불일치한 호 정보가 계속해서 누적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비동기전송모드, 교환 가상회선, 헬스 체크, 호 정보 해제.

Description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 방법{ Method for call information release of Switched Virtual Circuit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헬스 체크 메시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체크 절차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프로세서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헬스 체크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사설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 호 정보의 오류 극복을 위해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동기전송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는 저속 통신에서부터 고속 광대역 통신에 이르기까지 통신 중에도 대역폭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기술로서, 송신측의 단말에서 수신측의 단말로 보내는 정보를 48바이트씩 나누고 수신처 레벨 정보에 5바이트의 헤더를 붙인 53바이트의 셀(Cell)단위로 보낸다.
상기 셀 헤더는 어떤 가상 패스를 사용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 패스 식별자(VPI:Vritual Paht Identifier)와, 가상 패스 중 어떤 가상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좋을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채널 식별자(VCI : Vritual Channel Identifier)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비동기전송모드(ATM) 망에서는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여러 시스템과 가상 회선을 통해 점대점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회선은 영구 가상회선(Permanent Virtual Connenction ; PVC)과 교환 가상회선(SVC : Switched Virtual Circuit)으로 구분된다.
상기 영구 가상회선(PVC)은 통신경로의 설정/해제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미리 지정된 상대방과 통신경로가 고정적으로 성립되어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는 일률적으로 24비트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 가상회선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 규모가 제한된다. 그리고 해당 회선의 채널은 항상 연결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각 노드에 대한 식별자 정보들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메모리가 필요이상으로 커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교환 가상회선(SVC)은 통신을 행할 때 마다 통신 경로를 설정/해제하는 방식으로 통신에 앞서 정해진 호출 절차에 의하여 논리적인 통신 경로를 성립하고 통신을 모두 수행한 후 통신 경로를 해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환 가상회선(SVC)은 임의의 상대방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통신할 상태 이용자가 많거나 통신 경로의 설정/해제에 의한 오버헤드가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 독립된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는 ATM Forum 및 ITU-T에 의해 제정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예, ATM FORUM의 UN4.0, PNN1.0 및 ITU-T의 Q.2931)를 사용하여 두 망간의 교환 가상회선을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서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중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는 전송로상의 일시적인 장애나 교환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상호 호 정보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STATUS ENQUIRY"와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STATUS"라는 시그널링 메시지 형태를 미리 지정한다. 그러므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에서 발생될 수 있는 호 정보의 불일치에 대한 에러를 극복한다. 이러한 교환 가상회선 호 정보의 불일치에 대한 에러 극복은 망 인터페이스 지점에서 운영되는 표준(ITU-T, ATM-Forum) 프로토콜에 지정되어 있다.
한편, 사설 비동기 전송모드 시스템 내부에서의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 방식은 확실한 메시지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인 접속지향 프로토콜(connection-oriented protocol)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접속 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정확한 메시지 전송을 보장받을 수 없으므로 여전히 시그널링 포인트간 호 정보가 불일치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불일치한 호 정보는 계속해서 누적될 수 있으므로, 추후에는 리소스의 부족을 초래하여 운영 중인 서비스에 오류를 남기고, 전체적인 시스템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메시지 전송을 보장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 내부에 발생되는 호 정보의 불일치에 대한 에러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헬스 체크를 수행하여 교환 가상회선의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기 위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비동기전송모드 망내의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교환가상회선 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헬스 체크 방식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주 프로세서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주변 프로세서들로 헬스 체크를 명령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체크 명령을 받은 각 주변 프로세서들에서 인접한 다른 프로세서들의 호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호 상태를 파악한 결과 파악한 프로세서에 저장된 호 상태정보와 파악된 프로세서의 호 상태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파악한 프로세서 및 상기 파악된 프로세서에 포함된 호 정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메시지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100)은 제1 내지 제4의 프로세서들(SP : Signalling Processor)(120, 130, 140, 150)과 모든 프로세서들과 항상 통신이 가능한 주 프로세서(MSMP : Main Signalling Management Processor)(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 프로세서(110)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100)내의 모든 프로세서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프로세서들(120, 130, 140, 150)들은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기 위해 헬스 체크를 수행하는 메시 지들을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헬스 체크 메시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주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주 프로세서(110)는 20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헬스 체크 수행 시간임을 알려주는 타이머 신호를 수신 대기한 후 210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타이머 신호의 메시지임을 확인한다. 이때 메시지가 아니면 200단계로 돌아가서 타이머 신호를 수신 대기한다. 반면, 타이머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220단계에서 헬스 체크를 위한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주 프로세서(110)의 주변에 위치한 모든 프로세서들(120, 130, 140, 150등)로 전송한 다음 200단계로 되돌아가서 타이머 신호를 대기한다.
헬스 체크는 비동기전송모드에서 설정된 호의 상태를 파악하고, 헬스 체크를 명령하는 주 헬스 체크 메시지와, 해당 호가 설정된 프로세서들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 및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들의 송수신을 통해 헬스 체크를 수행한다.
주 헬스 체크 메시지 및 그에 따른 메시지들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주 헬스 체크 메시지(MHCM : Main Health Check Message)는 주 프로세서(110)와 통신하는 모든 주변 프로세서들로 주 프로세서(110)로부터 전송되는 헬스 체크를 위한 명령 메시지이다. 이는 하기 <표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Information Element 설 명
Messge Type 해당 시스템의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프로세서들에 보내어지는 헬스 체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주 프로세서(MSMP)로부터 전송된다.
상기 주 프로세서(110)의 주변 프로세서들이 주 프로세서(110)로부터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수신한다라고 하면, 주변 프로세서들은 관리하고 있는 교환 가상회선 호 정보들 중 시그널링이 이미 완료된 호에 대해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HCEM : Health Check Status Enquiry Message)를 발생한다. 이러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HCEM)는 하기 <표 2>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Information Element 설 명
Messge Type 시스템 내부의 상태 질문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Near End Call Reference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이다.
Near End Call State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에 대한 호 상태이며, 이미 시그널링이 완료된 호에 대해 전송되므로 항상 "ACTIVE"이다.
Far End Call Reference 주변 프로세서에서의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와 관련되는 주변 프로세서의 호 참조 아이디로서, 이 메시지를 수신한 프로세서에서의 호 참조 아이디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는 메시지 형태(Messge Type),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Near End Call Reference) 및 상태(Near End Call State),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수신한 인접 프로세서의 호 참조 아이디 정보(Far End Call Reference)를 포함한다.
그리고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수신한 주변 프로세서들은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HCSM : Health Check Status Message)를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 프로세서에 다시 전송한다. 이러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HCSM)는 하기 <표 3>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Information Element 설 명
Messge Type 시스템 내부의 상태 질문에 대한 응답의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Near End Call Reference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이다.
Near End Call State 상기 호 참조 아이디의 호 상태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는 메시지 형태(Messge Type),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Near End Call Reference) 및 상태 정보(Near End Call State)를 포함한다. 이러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통해 응답을 받은 프로세서는 수신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실질적인 복구를 위해 헬스 체크 진행 모듈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헬스 체크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체크 절차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주 프로세서(110)는 주기적으로 헬스 체크 수행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명령 메시지를 모든 프로세서들(120, 130, 140, 150등)에 전송한다. 주 프로세서(110)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100)내의 모든 프로세서들과 통신이 가능하므로 모든 프로세들로 시작 메시지인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수신한 프로세서들 중 제2프로세서(130)의 메시지 송수신 동작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00단계에서 제2프로세서(130)는 주 프로세서로부터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미 시그널링이 완료된 모든 호 정보에 대해 해당 프로세서들을 파악한다.
제2프로세서와 인접한 프로세서들이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인 것으로 파악되면, 310단계에서 제2프로세서는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의 호 상태가 "active"임을 알린다.
310단계에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는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에 포함된 호 참조 아이디를 확인하고 320단계에서 자신의 호 상태 정보를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2프로세서(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320단계에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제2프로세서(130)는 해당 호 참조 아이디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상태와 비교한다. 이때 제2프로세서(130)의 상태 정보도 "ACTIVE"이고,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가 "ACTIVE"이면 두 프로세서(120, 130)간의 호 정보는 일치하므로 헬스 체크 처리 모듈이 수행되지 않는다. 반면, 제2프로세서(130)의 상태 정보는 "ACTIVE"이고 제1프로세서 및 제3프로세서(140) 중 어느 한 프로세서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가 "ACTIVE"가 아니면 상기 프로세서들(120, 130, 140)간의 호 정보는 불일치한다. 이에 따라 330단계에서 제2프로세서(130)는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의 호에 관련한 호 정보를 해제하고, 제1프로세서(120) 및 제3프로세서(140)로 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여 시그널링의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시그널링의 호 해제 절차는 개별 망의 내부 규약에 따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헬스 체크에 관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헬스 체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들 중 제2프로세서에서의 메시지 수신에 따른 동작을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400단계에서 임의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410단계에서 제2프로세서(13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주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주 헬스 체크 메시지인 경우 제2프로세서(130)는 421단계에서 설정된 호를 차례로 파악하기 위해 호 참조 아이디를 "1"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422단계에서 호 참조 아이디(#1)에 해당하는 자신의 호 상태가 "ACTIVE"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ACTIVE"일 경우 423단계에서 상기 호 참조 아이디(#1)에 관련된 주소 및 호 참조 아이디를 파악한 후 424단계에서 해당 호에 관련된 상기 주변 프로세서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422단계에서 "ACTIVE"가 아닌 경우에는 425단계를 수행한다.
425단계에서 제2프로세서(130)는 다음 설정된 호의 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호 참조 아이디를 증가한 후 426단계에서 호 참조 아이디가 최대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호 참조 아이디가 최대값보다 크면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프로세서의 호 상태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422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410단계에서 분석결과 주변 프로세서들로부터 수신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인 경우 제2프로세서(130)는 431단계에서 상기 호 참조 아이디(#1)에 관련한 호 상태 정보를 파악한다. 그런 다음 432단계에서 제2프로세서(130)는 상기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파악된 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상기 질문한 프로세서에 전송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다른 한편, 410단계에서 분석결과 주변 프로세서들로부터 호 상태 정보를 포 함하는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441단계에서 제2프로세서는 자신의 호 상태 정보와 호 참조 아이디(#1)에 관련된 주변 프로세서들로부터 수신된 호 상태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모든 프로세서들의 상태 정보가 모두 일치하면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의 호 상태 정보와, 자신의 호 상태 정보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에는 442단계에서 불필요한 호 정보로 판단하여 호 참조 아이디(#1)의 호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해제하고, 443단계에서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로 호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도 현재 호 참조 아이디에 해당하는 호의 정보들도 모두 해제한다.
이와 같은 헬스 체크 수행은 주 프로세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헬스 체크 명령 메시지인 주 헬스 체크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시스템내의 모든 프로세서들과 통신이 가능하면 다른 프로세서들도 주 프로세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 시스템내의 주 프로세서이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는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스 체크 방식을 이용하여 불일치한 호 정보를 해제하므로 불일치한 호 정보가 계속해서 누적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리소스가 증가되지 않으며, 원활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교환 가상회선의 호를 처리하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상기 프로세서들중 주 프로세서와 통신을 하는 복수의 프로세서들 각각이 불필요한 호 정보를 해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임의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주변 프로세서들에 해당하는 호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임의의 메시지가 상기 주 프로세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주 헬스 체크 메시지인 경우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로 호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임의의 메시지가 상기 헬스 체크 상태 질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인 경우 상기 주변 프로세스들의 호 상태가 자신의 호 상태와 일치하는지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의 호 상태와 상기 자신의 호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과 관련된 호 정보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메시지가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로부터 수신된 헬스 체크 질문 메시지인 경우, 상기 헬스 체크 질문 메시지에 포함된 호 참조 아이디에 상응하는 주소 및 자신의 호 참조 아이디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프로세서들로 헬스 체크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참조 아이디는 헬스 체크 질문 메시지를 보낸 프로세서에서 헬스 체크를 수행할 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로 부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75710A 2002-11-30 2002-11-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KR10060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10A KR100606124B1 (ko) 2002-11-30 2002-11-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710A KR100606124B1 (ko) 2002-11-30 2002-11-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76A KR20040047476A (ko) 2004-06-05
KR100606124B1 true KR100606124B1 (ko) 2006-07-28

Family

ID=3734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710A KR100606124B1 (ko) 2002-11-30 2002-11-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1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085A (ko) * 1998-12-03 2000-07-05 이계철 비동기 전송 방식 교환기에서 대기측 로딩 후 상태 불일치 복구방법
KR100288547B1 (ko) * 1998-09-18 2001-05-02 이계철 비동기전달모드교환시스템에서의호자원및호처리데이터감사방법
KR20010059644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와디바이스의 상태와 장애내역 불일치 해결방법
JP2002232482A (ja) * 2001-02-07 2002-08-16 Nec Corp Atm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コネクション状態不一致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547B1 (ko) * 1998-09-18 2001-05-02 이계철 비동기전달모드교환시스템에서의호자원및호처리데이터감사방법
KR20000038085A (ko) * 1998-12-03 2000-07-05 이계철 비동기 전송 방식 교환기에서 대기측 로딩 후 상태 불일치 복구방법
KR20010059644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와디바이스의 상태와 장애내역 불일치 해결방법
JP2002232482A (ja) * 2001-02-07 2002-08-16 Nec Corp Atm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コネクション状態不一致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76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6074B (zh) 保护倒换方法、网络设备及系统
US6775706B1 (en) Multi-protocol switching system, line interface and multi-protocol processing device
US4962497A (en) Building-block architecture of a multi-node circuit-and packet-switching system
US6404740B1 (en) System for testing internal connectivity in ATM switching equipment
JP3871895B2 (ja) 階層異種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ポート識別発見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11349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ort identity discovery in heterogenous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JPH05507605A (ja) Atmスイッチ用コネクションレス交換方法
KR19980086350A (ko) 쇼트 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67352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ort identity discovery in heterogenous systems
KR100606124B1 (ko)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US7710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protection of service interruption in switch network
US75615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crankback handling in multi-peer group networks
KR1999006146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19990087607A (ko) Atm 네트워크를 통한 atm 셀의 전송 방법
US7486668B2 (en) Communicating an identification parameter of a network node
US78559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ndling signaling messages for scaling communication networks
US6717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resource management
JP2000134258A (ja) コネクション設定型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経路制御方式
US6256316B1 (en) Communication method in centralized supervisory system
JPH05191434A (ja) Atmマルチリンク通信方式
JP2845189B2 (ja) Atm交換網呼受付制御方法とその装置
KR100343772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유엔아이/엔엔아이 정합 모듈 상태관리 방법
KR100603583B1 (ko) 아이피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환시스템 및 그교환시스템에서의 노드간 연결 방법
KR100286749B1 (ko) 비동기식 전달 모드 스위치 망 내 인터페이스 모듈의 셀전송 장치
US20080285456A1 (en) Method for Selective Load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