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318B1 -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318B1
KR100605318B1 KR1020040063734A KR20040063734A KR100605318B1 KR 100605318 B1 KR100605318 B1 KR 100605318B1 KR 1020040063734 A KR1020040063734 A KR 1020040063734A KR 20040063734 A KR20040063734 A KR 20040063734A KR 100605318 B1 KR100605318 B1 KR 10060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report
layer
status
pdu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195A (ko
Inventor
샘샤우-샹 지앙
Original Assignee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04L1/1851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손실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방법은, 라운드트립 타이머의 만료 후에 또한 제 1 상태 보고의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기 전에, 제 2 상태 보고에서 부정 응답되지 않은 AMD PDU, 폴링 비트 세트를 가진 AMD PDU, 또는 최종적으로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될 때,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본 방법은 손실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결정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처리량을 개선시킨다.
프로토콜, 상태 보고, 송신기, 수신기, 손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STATUS REPORT MISSING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3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의 블록도,
도 2는 계층 2 견지에서 본 종래의 전송/수신 프로세스의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AMD PDU의 개략 블록도,
도 4는 종래의 상태 PDU의 개략 블록도,
도 5는 누락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도,
도 6은 누락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은 "STATUS REPORT MISSING DETECTION FOR ACKNOWLEDGED MODE"의 명칭으로 2003년 9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481,374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렇게 인용됨으로써 이 가출원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시스템 에서의 패킷 기반 통신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대중적인 수요의 급증은, 상당히 정교한 통신 표준을 개발하도록 하는 압박을 업계에 가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의 일예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GPTM)이다. 이러한 표준은 통신에 대한 3 계층 접근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의 3개의 계층에 대한 블록도이다. 전형적인 무선 환경에서, 제 1 스테이션(10)은 하나 이상의 제 2 스테이션(20)과 무선 통신 상태에 있다. 제 1 스테이션(10) 상의 애플리케이션(13)은 메시지(11)를 구성하여, 메시지(11)를 계층 3 인터페이스(12)로 보냄으로써 제 2 스테이션(20)으로 전달되었다. 애플리케이션(13)에 대한 전송 및 수신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는 것 이외에, 계층 3 인터페이스(12)는 제 1 스테이션(10)과 제 2 스테이션(20)간의 계층 3 동작을 제어하는 용도로 계층 3 시그널링 메시지(12a)를 또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3 시그널링 메시지의 일 예로는, 제 1 및 제 2 스테이션 모두의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 각각에 의해 생성되는 키 변화(key change)의 암호화 요구(request)가 있다. 계층 3 인터페이스(12)는 메시지(11) 또는 계층 3 시그널링 메시지(12a)를 계층 2 서비스 데이터 단위(SDU)(14)의 형태로 계층 2 인터페이스(16)에 전달한다. 계층 2 SDU(14)의 길이는 임의적일 수 있으며,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에 의해 표시되는 내부 형태(internal format)를 가진다. 계층 2 인터페이스(16)는 SDU(14)를 하나 이상의 계층 2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18)로 구성한다. 각각의 계층 2 PDU(18)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며, 계층 2 인터페이스(16, 26)에 의해 표시되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 그 다음, 계층 2 PDU(18)는 계층 1 인터페이스(19) 상에 전달된다. 계층 1 인터페이스(19)는 데이터를 제 2 스테이션(20)으로 전송하는 물리층이다. 전송된 데이터는 제 2 스테이션(20)의 계층 1 인터페이스(29)에 의해 수신되어, 하나 이상의 PDU(28)로 재구성되며, 이들 PDU(28)는 계층 2 인터페이스(26) 상에 전달된다. 계층 2 인터페이스(26)는 PDU(28)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계층 2 SDU(24)를 축적시킨다. 계층 2 SDU(24)는 계층 3 인터페이스(22) 상에 전달된다. 또한, 계층 3 인터페이스(22)는 계층 2 SDU(24)를, 제 1 스테이션(10) 상의 애플리케이션(13)에 의해 생성된 원 메시지(11)와 동일한 메시지(21)로, 또는 계층 3 인터페이스(12)에 의해 생성된 원 시그널링 메시지(12a)와 동일한 계층 3 인터페이스(22)에 의해 처리되는 계층 3 시그널링 메시지(22a)로 다시 역 변환시킨다. 수신된 메시지(21)는 제 2 스테이션(20) 상의 애플리케이션(23)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전송하는 제 1 스테이션(10)에서의 각각의 계층은 정보를 부가하여 메시지(11)와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첨부된 데이터를 반송한다. 예를 들어, 계층 3 인터페이스(12)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11)를 하나 이상의 계층 2 SDU(14)내에 팩킹(packing)시킨다. 각각의 계층 2 SDU는 메시지(11)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가 필요로 하는 내부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계층 2 인터페이스(16)는 계층 2 SDU(14)를 계층 2 PDU(18)내에 팩킹하며, 이들 각각은 또한 계층 2 인터페이스(16, 26)가 필요로 하는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제 2 스테이션(20)의 수신단에서, 각각의 계층은 그 계층에 대해 특정된 그 부가된 정보를 제거하고, 남은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계층 2 인터페이스(26)는 수신된 계층 2 PDU 스트림(28)으로부터 계층 2 PDU(24)를 팩킹 해제하고, 단지 계층 2 SDU(24)만을 계층 3 인터페이스(22)로 전달한다. 유사하게, 계층 3 인터페이스(22)는 계층 2 SDU(24)로부터의 메시지(21)를 팩킹 해제하고, 단지 최종 메시지 데이터(21)만을 애플리케이션(23)으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용어에 관한 주석(註釋)으로서, PDU는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계층에 의해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단위이며, SDU는 상위 계층으로 전달 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따라서, 계층 3 PDU는 계층 2 SDU와 정확하게 동일하다. 유사하게, 계층 2 PDU는 계층 1 SDU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을 위해서, 약어 "SDU"는 계층 2 SDU(즉, 계층 3 PDU)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PDU" 용어는 계층 2 PDU(즉, 계층 1 SDU)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12, 23)의 상대적으로 높은 종단 데이터 전송(relatively high-end data transmission) 및 수신 요구와, 계층 1 인터페이스(19, 29)의 낮은 레벨의 물리적인 전송 및 수신 프로세스의 요구간의, 버퍼로서 작용하는 계층 2 및 계층 3 인터페이스(12, 16, 22)가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계층 2의 관점에서 전송/수신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 또는 이동 장치일 수 있는 송신기(30)의 계층 2 인터페이스는 계층 3 인터페이스(33)로부터 계층 2 SDU(34)의 스트링(string)을 수신한다. 계층 2 SDU(34)는 1부터 5까지 연속적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그 길이는 동일하지 않다. 계층 2 인터페이스(32)는 계층 2 PDU(34)의 스트링을 계층 2 PDU(36)의 스트링 내에 팩킹한다. 계층 2 PDU(36)는 1부터 4까지 연속적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그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그 다음, 계층 2 PDU(36) 스트링은 전송을 위해 계층 1 인터페이스(31)로 발송된다. 수신기의 계층 2 인터페이스(42)가 그 수신된 계층 2 PDU(46)의 스트링을 수신된 계층 2 SDU(44)의 스트링으로 팩킹 해제한 상태에서, 또한 기지국 또는 이동 장치일 수 있는 수신기단(40)에서 반대의 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특정의 전송 모드 하에서, 멀티 계층의 프로토콜은, 수신기의 계층 2 인터페이스(42)가 계층 2 SDU를 순서대로 계층 3 인터페이스(43)에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즉, 계층 2 인터페이스(42)는 SDU 1에서 시작하여 SDU 5에서 끝나는 SDU(44)의 순서로 SDU(44)를 계층 3 인터페이스(43)에 제공하여야 한다. SDU(44)의 순서는 스크램블(scramble)되지 않을 것이며, 이전 SDU 모두가 전달될 때까지 후속 SDU도 계층 3에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유선 전송에서, 이러한 조건은 비교적 충족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무선 통신의 노이즈 환경에서, 기지국 또는 이동 장치일 수 있는 수신기(40)는 종종 데이터를 누락시킨다. 따라서, 수신된 PDU(46)의 스트링에서의 몇몇 계층 2 PDU가 누락될 수 있다. 따라서, 계층 2 PDU(44)가 순서대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무선 프로토콜은 이러한 문제점에 역점을 두고 조심스럽게 설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2가지 형태의 PDU, 즉, 제어 PDU와 데이터 PDU가 있다. 제어 PDU는 데이터 전송 및 수신 프로토콜을 제어하기 위해서 계층 2 인터페이스(16, 26)에 의해 사용된다. 이것은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의 시그널링 메시지(12a, 22a)의 교환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 그러나, 계층 2 인터페이스(16, 26)는 계층 3 시그널링 메시지(12a, 22a)를 해석 또는 인식하지 않지만, 계층 2 인터페이스(16, 26)는 계층 2 제어 PDU를 인식하고, 계층 2 제어 PDU를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로 전달하지 않는다. 데이터 PDU는 상위 계층, 즉, 계층 3 인터페이스(12, 22)로부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PDU를 수신하는 즉시, 데이터 PDU에 포함된 데이터는 재조립되어 상위 계층 3 인터페이스(12 또는 22)에 제공된다.
도 3은 3GPPTM TS 25.322 명세서(specification)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응답 모드 데이터(Acknowledged Mode Data: AMD) PDU(5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AMD PDU(50)는 데이터 PDU이며, 계층 2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몇몇 필드로 분할된다. 제 1 필드(51)는, PDU(50)가 데이터 PDU("D") 또는 제어 PDU("C")임을 표시하는 단일 비트이다. 데이터/제어 비트(51)가 설정되면(즉, 1이면), PDU(50)는 데이터 PDU로서 마킹된다. 제 2 필드(52)는 일련 번호 필드이다. 연속적인 PDU(18, 28)는 상위 일련 번호를 연속적으로 가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스테이션(20)은 계층 2 PDU(28)를 적절히 재조립하여 계층 2 SDU(24)를 형성한다. 즉, 제 1 PDU(18)가 536의 일련 번호로 전송되면, 다음 PDU(18)는 537의 일련 번호로 전송되며, 다른 일련 번호도 동일하게 전송된다. 일련 번호 필드(52)가 12 비트의 길이이면, 일련 번호 필드(52)는 4095의 최대값을 보유할 것이다. 이러한 4095의 최대값 다음에, PDU(18, 28)의 일련 번호는 0으로 다시 롤오버(rollover)하고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일련 번호 필드(52) 다음에는 단일 폴링 비트(polling bit)(53)가 이어진다. 폴링 비트(53)가 설정(즉, "1")될 때, 이러한 PDU에 응답하여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 폴링 비트(53) 다음에는, 예약되는 단일 비트(54)가 있으며, 이 단일비트(54)는 0 으로 설정된다. 다음 비트(55a)는 확장 비트이며, 설정될 때, 각각의 확장 비트(55b, 55c)를 가진 하나 이상의 후속 길이 표시자(56a, 56b)의 존재를 표시한다. 전형적으로 7 비트 길이 또는 15 비트 길이인 길이 표시자는 계층 2 PDU(50)내의 계층 2 SDU 데이터의 끝단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길이 표시자 다음에는, SDU 데이터(57a)와 패딩(padding) 또는 피기백(piggybacked) 상태 PDU(57b)가 있다.
길이 표시자, 데이터 및 패딩 또는 피기백 상태 PDU의 양은 예시된 PDU로부터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결정하는 조건은 공지되어 있다.
폴링 비트(53)는, PDU(50)의 수신기(즉, 제 2 스테이션(20))가 하나 이상의 상태 PDU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에 응답하여야 함을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상태 보고는 수신기, 즉, 제 2 스테이션(20)의 수신 상태를 송신기, 즉, 제 1 스테이션(10)으로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상태 보고에 의해, 제 1 스테이션(10)은 어느 PDU(18)가 제 2 스테이션(20)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또한 어느 PDU(18)가 재전송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션(10)은 폴링 비트(53)를 "1"로 설정하고, 제 2 스테이션(20)에게 상태 보고를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도 4는 전형적인 상태 PDU(60)를 도시한다. 상태 PDU는, 상태 PDU가 제어 PDU이기 때문에 설정되지 않은("0") 데이터/제어 비트(61)와, 이 경우에 있어서는 "000"으로 설정될 수 있는 PDU 유형 필드와, 가변 번호로된 복수의 슈퍼 필드(63a-63k)와, 필요하다면, 즉 필요시 패딩(64)을 포함한다. 상태 PDU(60)가 상술한 AMD PDU(50)와 같은 AMD PDU 상에 피기백될 때, 데이터/제어 비트(61)는 예약 비트로 된다. 상태 PDU(60)가 전체 또는 부분적인 상태 보고를 제공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PDU 리스트를 슈퍼 필드(63a-63k)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리스트는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PDU의 일련 번호와 길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응답 모드(AM)에서, (제 1 또는 제 2 스테이션(10, 20)과 같은) 수신기는 (제 1 또는 제 2 스테이션(10, 20)과 같은) 송신기로 역으로 보고한다. 그 다음, 송신기는 부정 응답된 PDU를 재전송하고 긍정 응답된 PDU를 그 버퍼로부터 폐기한다. 임의의 PDU로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상태 보고를 형성하는 상태 PDU는 무선 링크에서 손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손실된 상태 PDU를 검출하기 위해 추정 PDU 카운터(EPC) 메카니즘이 사용된다. EPC 메카니즘은 하나의 EPC 타이머와 하나의 EPC 상태 변수를 사용한다.
EPC 타이머는 상태 보고의 전송과 1차 재전송된 AMD PDU의 수신 사이의 라운드트립 시간(roundtrip time)을 고려하여야 한다. 근본적으로, EPC 타이머는, 상태 보고의 제 1 상태 PDU가 전송될 때, 개시된다. EPC 타이머가 만료하는 즉시, EPC 상태 변수 VR(EP)는 감소된다. VR(EP)는, 최종 상태 보고의 전송의 결과로 AMD PDU의 재전송이 여전히 예상되는 경우, AMD PDU의 번호로서 규정된다. 따라서, 전송 시간 간격(TTI)의 종료 시에, VR(EP)는, 대응하는 논리 채널상의 TTI 동안에 수신되어야 하는 AMD PDU의 추정 번호만큼 감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주요 단점 중 하나는, TTI내의 수신된 AMD PDU의 추정 번호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또한,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구(Hybrid Automatic-Repeat-Request: HARQ) 과정에서, PDU가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에서 사실상 재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VR(EP) 카운트다운 프로세스는 부적절하다. 상술한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또한 자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손실된 상태 보고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에 의한 손실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방법은, 제 1 상태 보고를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라운드트립 타이머를 개시시키는 단계와, 라운드트립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기에서 수신되기 전에, 사전 결정된 AMD PDU를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장점은 이 방법이 결정적이며, 통신 시스템의 전송 조건에 적용가능(adaptive)하다는 것이다.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장점은 이 방법이 전송 처리량을 개선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3GPPTM 명세서 TS 25.322, V4.9.0에 기술된 통신 프로토콜이 예시적으로 사용된다. 주목할 점은, 계층 3 데이터를 계층 2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로 팩킹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으로부터 장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셀룰러/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퍼스널 컴퓨터(PC), 기지국, 네트워크, 또는 3 계층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시간은 아래 방향으로 진행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스테이션(10, 20)과 같은 장치일 수 있는 송신기(102)와 수신기(104)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04)는 단일 상태 PDU(106)를 포함하는 제 1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상태 보고가 하나 또는 복수의 상태 PDU를 구비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만이 사용된다. 수신기(104)는, 폴링 비트 세트(도 3 참조, 폴링 비트(53))를 구비한 수신된 응답 모드 데이터(AMD) PDU에 응답하여 상태 PDU(106)를 전송하고, 수신기(104)는 누락된 AMD PDU를 검출하고, 주기적인 상태 타이머("Timer_Status_Periodic"로서 알려짐)의 만료, 또는 다른 유사한 또는 공지의 이벤트를 검출한다. 또한, 상태 보고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발전에 따라서, 상술한 조건과는 다른 조건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상태 보고를 전송한 후에, 수신기(104)는 도 5에서 112로서 개략적으로 예상된 라운드트립 타이머를 초기화 또는 개시시킨다. 라운드트립 타이머(112)의 지속 시간은 적어도 라운드트립 전파 지연, 송신기(102)의 처리 시간 및 수신기(104)의 처리 시간의 합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상위 계층에 의해 결정되는 추정값, 측정값, 또는 사전 결정된 값이다. 송신기(102)와 수신기(104)에서의 처리 시간은 이들 장치가 얼마나 신속하게 PDU를 해석, 조립, 분해 및 처리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라운드트립 타이머(112)는 개시된 후와 만료되기 전에는 활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라운드트립 타이머(112)는 수신기(104)에 위치된다.
라운드트립 타이머(112)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에,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가 전송되지 않았던 것처럼, 정상적으로 AMD PDU를 수신한다. 라운드트립 타이머(112)가 만료된 후와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기 전에, 수신기(104)는 사전 결정된 유형의 AMD PDU(108)를 대기하거나 검출한다. 사전 결정된 유형은 단순히 다음의, 즉, 제 1 상태 보고에서 부정 응답되지 않은 AMD PDU, 폴링 비트 세트(도 3을 참조, 폴링 비트(53))를 구비한 AMD PDU, 최종적으로 부정 응답된 AMD PDU, 또는 누락된 제 1 상태 보고에서의 순차적으로 초기에 부정 응답된 AMD PDU를 구비한 부정 응답된 AMD PDU 것들 중 하나인 AMD PDU를 의미한다. 즉, 수신기(104)는 이들 유형의 PDU 중 하나, 둘, 셋, 또는 넷에 응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수신기(104)는 사전 결정된 AMD PDU(108)에 대해서 검출하는 동안에, 계속해서 정상적인 동작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104)는 일시 중지 상태로 있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수신기(104)는, 라운드트립 타이머(112)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에, 다른 상태 보고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다. 사전 결정된 유형의 AMD PDU(108)가 라운드트립 타이머(112)의 만료 후에 송신기(102)로부터 도달하면(도 5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수신기(104)는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상술한 사전 결정된 유형의 AMD PDU(108)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 2 상태 보고를 제외하고, 라운드트립 타이머(112)가 주기적인 상태 타이머의 만료와 같은 다른 이유에 의해 만료된 후에 제 3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면,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의 모니터링 프로세스가 종료되거나 제 2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때까지 제 3 상태 보고를 유지 또는 지연시킨다. 물론, 제 2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는 경우에는, 제 3 상태 보고와 제 2 상태 보고는 하나로 결합된다.
수신기(104)가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할 때, 수신기(104)는 상태 PDU(110)에 의해 예시된 하나 이상의 상태 PDU를 포함하는 갱신된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갱신된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기(104)는 이러한 상태 보고가 금지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태 보고가 금지되어 있는 경우에, 수신기(104)는 이러한 금지가 철회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상위 또는 하위 계층에게 통지하는 것과 같은 다른 경로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대신에, 수신기(104)가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를 수신하면,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가 송신기(102)에 의해 수신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고, 라운드트립 타이머(112)를 정지시키거나 불능으로 하고, 트리거되었던 임의의 지연된 제 3 상태 보고를 전송하고, 정상적인 동작으로 복귀한다.
도 6은 수신기(104)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단계(202)에서,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도 4의 PDU(60), 또는 도 5의 PDU(106) 등)를 송신기(102)로 전송한다. 그 다음, 수신기(104)는 단계(204)에서 라운드트립 타이머(112)를 개시시킨다. 수신기(104)는 단계(210)에서 라운드트립 타이머(112)의 만료를 체크한다. 단계(210)는 타이머(112)의 만료 시까지 반복적으로 체크된다. 이어서, 수신기(104)는 단계(206)에서, 제 1 상태 보고에 리스트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모든 AMD PDU가 수신되었다면, 단계(214)가 수행되고,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가 송신기(102)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방법(200)의 흐름을 종료한다.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계(208)는 사전 결정된 AMD PDU(도 5의 PDU(108))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전 결정된 AMD PDU는 상술되어 있다. 사전 결정된 AMD PDU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수신기(104)는 단계(206)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사전 결정된 유형의 AMD PDU가 수신되었다면, 수신기(104)는 단계(212)에서, 제 1 상태 보고가 단계(202)에서 전송된 후에, 제 1 상태 보고에 리스트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었는지와, 폴(Poll)이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가 참(true)이면, 단계(214)가 수행되고, 수신기(104)는 제 1 상태 보고가 송신기(102)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방법(200)의 흐름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고, 단계(202) 이후에, 제 1 상태 보고에 리스트된 적어도 하나의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폴이 수신되었다면, 수신기(104)는 단계(216)에서 제 2 상태 보고(예, 도 5의 상태 PDU(110))를 전송하고, 방법(200)의 흐름을 종료한다. 적어도 하나의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지 않았고 사전 결정된 유형의 PDU가 수신되었을 때는 제 2 상태 보고가 있는 상태로 방법(200)의 흐름을 종료하고,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었을 때는 제 2 상태 보고가 없는 상태로 방법(200)을 종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신기(104)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2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를 제공한다.
방법(200)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순서로 있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단계(206)와 단계(208)는 용이하게 뒤바뀔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몇몇 또는 모든 단계들은 수신기(104)가 아닌 다른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214)와 같은 몇몇 단계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도록 생략될 수 있다. 방법(200)이 시작 및 종료를 가지고 있지만, 방법(200)을 실행하는 동안에 수신기(104)가 다른 동작을 착수하는 것이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단계(216)가 수행되어 제 2 상태 보고를 전송하면, 방법(200)은 반복될 수 있다. 환언하면, 단계(216) 이후에, 수신기(104)는 단계(204)를 수행하고 제 2 상태 보고를 다음에 반복될 제 1 상태 보고로 간주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컴퓨터, 디지털 카운터, 또는 논리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명령어, 실행가능 코드, 또는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라운드트립 타이머의 만료 후에, 또한,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되기 전에, 제 1 상태 보고에서 부정 응답되지 않은 AMD PDU, 폴링 비트 세트를 구비한 AMD PDU, 최종적으로 부정 응답된 AMD PDU, 또는 누락된 제 1 상태 보고에서의 순차적으로 초기에 부정 응답된 AMD PDU를 가진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수신될 때, 갱신된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실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결정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이 가지는 다수의 장점 중의 하나는 전송 처리량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에 대해 다수의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한계 및 경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데이터가 응답 모드 데이터(AMD)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로 통신되며,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 의해, 손실된 상태 보고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 1 상태 보고를 상기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라운드트립 타이머를 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라운드트립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되기 전에, 사전 결정된 AMD PDU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상태 보고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태 보고가 금지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상태 보고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태 보고가 금지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태 보고 금지 타이머를 체크함으로써 수행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트립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시간과 전파 지연의 합으로 적어도 설정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트립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적어도 라운드트립 전파 지연, 상기 송신기의 처리 시간 및 상기 수신기의 처리 시간의 합으로 설정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AMD PDU는 상기 제 1 상태 보고에서 부정 응답되지 않은 AMD PDU인,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AMD PDU는 폴링 비트 세트를 갖는 AMD PDU인,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AMD PDU는 상기 제 1 상태 보고의 최종 부정 응답된 AMD PDU인,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리거는 주기적인 타이머의 만료를 검출하고 있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리거는 폴링 비트 세트를 가진 AMD PDU를 수신하고 있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리거는 적어도 하나의 누락된 AMD PDU를 검출하고 있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보고는 현재의 상태 보고이며, 상기 제 2 상태 보고는 후속의 상태 보고이며, 상기 방법은 모든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후속 상태 보고를 상기 제 1 상태 보고로서 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 보고는 상기 수신기의 갱신된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에 제 1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제 2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에 제 3 상태 보고의 전송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리거는 주기적인 타이머의 만료인,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고 결정한 후에,
    상기 제 1 상태 보고에서 식별된 모든 부정 응답된 AMD PDU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상태 보고가 상기 송신기에 의해 수신된다고 결정하고,
    상기 지연된 제 2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손실된 상태 보고 검출 방법.
KR1020040063734A 2003-09-14 2004-08-13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KR100605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137403P 2003-09-14 2003-09-14
US60/481,374 2003-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95A KR20050027195A (ko) 2005-03-18
KR100605318B1 true KR100605318B1 (ko) 2006-07-28

Family

ID=3419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34A KR100605318B1 (ko) 2003-09-14 2004-08-13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66255A1 (ko)
EP (1) EP1517468A3 (ko)
JP (1) JP3968097B2 (ko)
KR (1) KR100605318B1 (ko)
CN (1) CN100353701C (ko)
TW (1) TWI246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8721B2 (ja) * 2006-06-23 2012-08-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資源を効率的に用いる方法
KR101211758B1 (ko) * 2007-01-10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데이터 생성 방법
US20080225792A1 (en) * 2007-03-12 2008-09-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feedback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1041B2 (en) * 2007-07-03 2012-06-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control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8422480B2 (en) * 2007-10-01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 mode polling with immediate status report timing
JP5064573B2 (ja) * 2008-02-08 2012-10-3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8526440B2 (en) * 2008-04-2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
CN101778455B (zh) * 2009-01-09 2012-01-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终端接收下行数据的控制方法和移动通信终端
US9275644B2 (en) 2012-01-20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redundant frame coding and decoding
US9137814B2 (en) * 2012-02-24 2015-09-15 Marvell World Trade Ltd. Cross-layer scheduling based on lower layer feedback
CN108292978B (zh) 2015-12-01 2022-04-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预测性确认反馈机制
WO2017192072A1 (en) 2016-05-03 2017-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transport format parameters for fast acknowledgment feedback mechanism
US11025396B2 (en) 2016-07-18 2021-06-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KR20190097963A (ko) * 2018-02-13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766279B1 (en) * 2018-07-10 2022-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feedback mechanism in data link lay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793A (ko) * 2000-06-15 2001-12-22 윤종용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KR20020028096A (ko) * 2000-10-07 2002-04-16 구자홍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의 인식 모드(am)에서데이터 송수신 처리방법
KR20020095181A (ko) * 2000-01-21 2002-12-20 노키아 코포레이션 선택적인 확인 기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30039770A (ko) * 2001-11-14 200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태 정보 코딩방법
KR20040015672A (ko) * 2002-08-13 2004-02-19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제어 리셋 또는재설정 후에 타이머들을 취급하는 방법
US20040252719A1 (en) 2003-06-10 2004-12-16 Iqbal Jami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station, and a method of sending packets of dat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796B1 (en) * 1999-03-22 2003-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card mechanism for selective repeat automatic repeat request
US6519223B1 (en) * 1999-04-06 2003-0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emi reliable retransmission protocol
US6947394B1 (en) * 1999-04-09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link control protocol
US6611688B1 (en) * 2000-02-22 2003-08-26 Ericsson Inc. Position report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288202B1 (en) * 2000-10-07 2015-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RLC layer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922393B2 (en) * 2001-01-10 2005-07-26 Asustek Computer Inc. Data discarding request acknowled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EP1263159A1 (en) * 2001-06-01 200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receiver for improved data packet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KR100541015B1 (ko) * 2002-02-04 2006-01-10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폐기 신호 절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181A (ko) * 2000-01-21 2002-12-20 노키아 코포레이션 선택적인 확인 기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112793A (ko) * 2000-06-15 2001-12-22 윤종용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KR20020028096A (ko) * 2000-10-07 2002-04-16 구자홍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의 인식 모드(am)에서데이터 송수신 처리방법
KR20030039770A (ko) * 2001-11-14 200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태 정보 코딩방법
KR20040015672A (ko) * 2002-08-13 2004-02-19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제어 리셋 또는재설정 후에 타이머들을 취급하는 방법
US20040252719A1 (en) 2003-06-10 2004-12-16 Iqbal Jami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station, and a method of sending packets of data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95181 *
카달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94751A (ja) 2005-04-07
EP1517468A2 (en) 2005-03-23
CN1595839A (zh) 2005-03-16
EP1517468A3 (en) 2008-03-12
JP3968097B2 (ja) 2007-08-29
US20050066255A1 (en) 2005-03-24
CN100353701C (zh) 2007-12-05
KR20050027195A (ko) 2005-03-18
TWI246284B (en) 2005-12-21
TW200511779A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318B1 (ko)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EP1389886B1 (en) Method for handling timers after an RLC reset or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2229745B2 (en) Status reporting for retransmission protocol
US2008005614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retransmission
USRE40077E1 (en) Window-based polling schem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RU2462821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запроса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95770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セット手続き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332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의 전송 지연을 개선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532639A5 (ko)
KR200601135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332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측 재확립시 제어 pdu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07325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送信ウィンドウサイズ変更手順を処理するために受信機と送信機とを制御する方法
US6996063B2 (en) Applicable PDU range test and calculation for window-based polling
KR100370077B1 (ko)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US20090181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6471624B2 (ja) 無線通信装置
EP199331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ling transmission st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19056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태보고 시점 최적화 장치및 그 방법
KR100529931B1 (ko)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
KR100486033B1 (ko) 윈도우에 기초한 폴링을 위한 응용가능한 피디유 레인지테스트 및 계산
Zhang et al. Methods for preventing protocol stalling in UMTS radio link control
JP2004179916A (ja) ウィンドウベースポーリングに適用される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範囲の試験および計算の方法
KR20100060853A (ko)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상태 보고 방법 및 시스템
WO2004112408A1 (fr) Procede de commande de la fenetre d'emission d'une couche de liaison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