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93A -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93A
KR20010112793A KR1020000033037A KR20000033037A KR20010112793A KR 20010112793 A KR20010112793 A KR 20010112793A KR 1020000033037 A KR1020000033037 A KR 1020000033037A KR 20000033037 A KR20000033037 A KR 20000033037A KR 20010112793 A KR20010112793 A KR 2001011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map
sufi
error
subfield
su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802B1 (ko
Inventor
장재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3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802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8Flexibility, adaptability, parametrability and configurability of th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있어서, 상기 수퍼-필드(SUFI)의 타입이 비트맵 타입임을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수신된 각 피-유(PU)들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가 가리키는 피-유(PU)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 통보하는 방법{METHOD FOR NOTIFYING FOR ERROR PAYLOAD UNITS USING BITMAP IN UMTS SYSTEM}
본 발명은 UMTS 시스템에서 오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LC 서브 계층에서의 오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은 비동기 방식의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시스템이다. UMTS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와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Air Interface의 제1계층은 3.84 Mcps의 칩 속도에 기반을 둔 W-CDMA(Wide Band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제2계층은 MAC(Midium AccessControl) 서브 계층과 RLC(Radio Link Control) 서브 계층으로 구성된다. RLC 서브 계층은 UE와 UTRAN 사이에서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LC 서브 계층은 PDU(Protocol Data Unit)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 모드별로 PDU 포맷이 서로 다르다. RLC 서브 계층의 전송 모드의 종류에는 Transparent Data Transfer Mode(이하 "TrD 모드"라 한다.), Unacknowledged Data Transfer Mode(이하 "UMD 모드"라 한다.) 및 Acknowledged Data Transfer Mode(이하 "AMD 모드"라 한다.)가 있다. 이 중에서 상기 AMD 모드는 전송 오류등에 민감한 데이터 트래픽 전송에 적합한 모드로서, RLC 서브 계층의 대응되는 각 제어부들은 Selective Repeat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에 근거하여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PDU는 AMD 데이터 PDU와 제어 PDU로 구분될 수가 있다. 또한 제어 PDU는 STATUS PDU와 RESET PDU 및 RESET ACK PDU로 나뉘어 진다. 도 1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PDU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Piggybacked STATUS PDU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PDU 중에서 STATUS PDU의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다.
RLC 서브 계층에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한 PDU에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물리계층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Checksum을 계산하여 알 수가 있음.) 수신측은 오류가 발생한 해당 PU(Payload Unit)의 Sequence Number(이하 "SN"이라 한다.)를 송신측으로 알려주어 재전송을 요구한다. 상기 알려주는 방식으로, 크게 별도의 제어 PDU를 이용하는 방법과 데이터 PDU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데이터 PDU를 이용하는 경우 Piggybacking 방식을 이용한다. 즉, 상기 Piggybacking 방식에서 전송되는 AMD 데이터 PDU는 데이터 필드에 사용자 데이터 즉, Payload Unit(이하 "PU"라 한다.)들을 구비하고 남는 공간에 Piggybacked STATUS PDU를 구비한다.(상기 도 1 참조) 그리고 별도의 제어 PDU를 이용하는 방식은 전송할 사용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주로 이용되며, 수신측은 예를 들어, 상기 도 3의 STATUS PDU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3의 STATUS PDU에는 Super Field(이하 "SUFI"라 한다.)들이 존재하는데, SUFI에는 수신측에서 수신된 PU들의 상태를 송신측으로 송신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후술하도록 한다. SUFI에는 상기 SUFI의 Type, Length 그리고 Value의 필드 등이 구비된다. 하기 <표 1>은 STATUS PDU에 구비되는 SUFI의 Type 내용을 도시한다.
Type 비트 내 용
000 No More Data(NO_MORE)
001 Window Size(WINDOW)
010 Acknowledgement(ACK)
011 List(LIST)
100 Bitmap(BITMAP)
101 Relative list(Rlist)
110 Move Receiving Window(MRW)
111 Reserved for further super-field types
상기 <표 1>에서 No_More는 STATUS PDU 내에 SUFI 필드가 더 이상 없음을 나타내며, WINDOW는 플로우 제어 방법의 한 경우로서 수신측이 송신측으로 전송 윈도우 크기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MRW는 전송 윈도우를 옮기는 것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표 1>에서 열거된 7가지 SUFI의 Type 내용들 중에서 수신된 PU들의 오류 여부 통보에 관련된 것들은 ACK, LIST, BITMAP 그리고 Rlist 이다.
RLC 서브 계층의 AMD 전송 모드에서 오류가 발생한 PU의 SN 정보를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ACK 방식은 SUFI의 Type가 "010"이며 전송 오류 없이 수신한 PU들만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전술한 방식은 No_More 처럼 STATUS PDU의 마지막 SUFI에 표시해서, 더 이상의 후속되는 SUFI는 없으며, ACK SUFI내의 LSN(Last Sequence Number)이 표시하는 SN까지의 PU들에 대해서 STATUS PDU가 응답을 통보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LIST 방식은 SUFI의 Type가 "011"이며 SN과 오류가 발생한 PU들에 대하여 각 첫 번째 오류 PU의 SN과 연속되는 오류 PU들의 개수를 SUFI의 Value 필드에 싣는 방식이다. 또한 Rlist 방식은 SUFI의 Type가 "101"이며 오류가 발생한 PU의 상대적인 SN의 차이 정보를 Value 필드에 싣는 방식이다.
도 4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STATUS PDU에 구비되는 종래의 SUFI의 필드 구조를 도시한다.
BITMAP 방식은 PU의 오류가 군집으로 Burst하게 발생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이용되며, STATUS PDU의 SUFI 구조는 상기 도 4와 같다. 참조부호 410 서브 필드는 SUFI의 Type이 BITMAP임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20의 서브 필드는 비트맵의 LENGTH를 옥텟(Octet) 단위로 나타낸다. 표현될 수 있는 비트맵의 최대 크기는비트가 된다. 참조부호 430 서브 필드는 First Sequence Number(이하 "FSN"이라 한다.)로서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가 가리키는 PU의 SN을 나타낸다.
비트맵(440)의 각 비트들은 수신된 각 PU들의 수신 오류 여부 상태를 나타낸다. 비트맵(440) 내의 즉, [FSN, FSN+LENGTH ×8-1] 사이의 각 비트들은 해당하는 SN의 오류 여부 상태를 나타낸다. 소정 비트의 값이 "1"이면 해당 SN의 PU가 오류없이 잘 수신됨을 의미하며, 소정 비트의 값이 "0"이면 해당 SN의 PU에 오류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도 5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종래의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송되는 각 PDU는 다섯 개의 PU를 구비하며, PDU 1(510)에서부터 SN이 시작된다고 한다. 그리고 송신측은 순차적으로 연속되는 PU 1에서 PU 15까지를 구비하는 세 개의 PDU를 수신측으로 전송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수신측은 처음에 수신한 두 개의 PDU(PDU 1(510), PDU 2(520))는 에러 없이 잘 수신하였지만 세 번째로 수신한 PDU(PDU 3(530))에서 CRC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로인해 수신측은 세 번째로 수신한 PDU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 모른다.
다음으로, 네 번째 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이후에 수신측에서는 세 번째 PDU에 전송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고 오류통보를 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송신측으로 오류를 통보하는 방식 중에서 BITMAP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수신측은 상기 도 5의 STATUS PDU(500)등과 같이 수신 PDU들에 대한 상태정보로 구성되는 비트맵 방식의 제어 PDU를 생성한다. 또는 상기 비트맵 방식의 STATUS PDU(500)는 Piggybacking에 의해 데이터 PDU에 구비될 수가 있다. 이때, 수신 PU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구성하는 SUFI를 생성해야 하는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실제로 PDU 3(530)에 대하여 수신 오류가 발생했지만, 수신측은 아직 세 번째로 수신한 PDU의 수신 오류 발생이 PDU 3(530)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다음 번째(네 번째)의 PDU 즉, PDU 4(535)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을 경우에, 수신측은 PDU 3(530)에 수신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을 인식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수신측은 네 번째 PDU 까지에 대한 응답을 시도하게 되며, 따라서 STATUS PDU(500)의 제3비트맵(590)의 다섯 번째 비트부터 여덟 번째 비트까지는 수신측이 수신 PDU에 대한 수신 성공/실패의 여부를 표시하고 싶지 않은 부분이 된다. 그러나 전송의 특성상 상기 부분은 "0" 또는 "1"의 값으로 채워지게 된다. 송신측에서는 이미 PDU 5(536)를 전송한 상태이기 때문에, 송신측은 수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STATUS PDU(500)내의 상기 부분의 값들("1" 또는 "0")을 PDU 5(536)의 각 PU들의 수신 성공/실패에 대한 정보로 곡해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수신측이 상기 부분을 모두 "1"로 표시를 한다면, 송신측은 PDU 5(536)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단하여 재전송 버퍼에서 PDU 5(536)의 정보를 삭제 시켜 버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후에 수신측에서 PDU 5(536)가 전송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재전송을 요구하는 경우, 송신측은 이를 무시하거나 또는 프로토콜 오류로 처리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측이 상기 부분을 모두 "0"으로 표시를 하는 경우에도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즉, 성공적으로 수신된 PDU를 재전송 요구하게 됨으로써 채널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Selective Repeat ARQ가 순서에 무관하게 재전송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BITMAP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생하여서는 안 되는 문제점이다.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PDU내의 PU의 개수가 8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경우에 거의 항상 발생하게 된다. 한편, 현재 UMTS TS25-322 규격에서 지원하고 있는 ACK SUFI 필드를 BITMAP SUFI와 항상 같이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는 있다.
도 6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할 때, PDU내의 PU의 개수가 8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SUFI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 해결 방식은 BITMAP SUFI(630)와 ACK SUFI(640)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즉, 수신측은 수신 PDU들에 대한 상태정보로 구성되는 제어 PDU를 생성하는 경우, BITMAP SUFI(630)와 ACK SUFI(640)를 함께 전송한다. 이때, 수신측은 ACK SUFI(640)의 LSN(Last Sequence Number) 필드(630)에 순서번호 "10100"을 기입한다. 이로 인해, 수신측은 SN의 순서번호"1"부터 "20"까지에 대해서만 응답을 할 수가 있어, 비트맵 3(590)의 필드가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경우에도 송신측은 비트맵 3(590)의 필드값들 중에서 인식하지 않아야할 부분을 PDU에 대한 수신 상태 정보로 오인식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설명에서, BITMAP SUFI는 항상 ACK SUFI와 짝을 이루어야 하여, BITMAP SUFI 자체적으로는 수신상태를 전송하고자 하는 PU의 범위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UMTS TS25-322 규격에 의하면, SUFI 중에서 ACK SUFI는 항상 SUFI 필드 중에서 제일 마지막에 위치해야 한다는 제약사항을 가지고 있다. 이로인해, 상기 ACK SUFI의 위치 제약에 의해, BITMAP SUFI 필드의 자유로운 사용이 제약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트맵의 자유로운 사용의 제약은 LIST SUFI 및 Rlist SUFI가 ACK SUFI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의미하는 바를 나타낼 수 있는 것과 상충된다. 특히, BITMAP SUFI, LIST SUFI 및 Rlist SUFI 들은 각각이 사용될 때 효율성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오류상황(예를 들면 BITMAP과 LIST는 군집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유용하고, RLIST는 띄엄띄엄 발생한 오류에 유용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각 SUFI들이 독자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져야만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이 증가하고 망 자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왜냐하면, BITMAP은 ACK와 같이 항상 마지막 SUFI가 되어야 하는 제약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수신 PU들의 개수가 8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BITMAP SUFI를 독자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여,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 시키고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BITMAP SUFI 자체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PU들의 수신상태 범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BITMAP SUFI 필드에 새로운 POSITION 서브 필드를 추가로 정의하여, 규격의 변화 폭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하는 경우 수신측이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송신측이 상기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비트맵의 유효한 피-유(PU) 상태 정보 범위를 결정하여,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대한 자유롭고 독자적인 사용을 보장하고,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시켜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비트맵 수퍼-필드(SUFI)가, 상기 수퍼-필드(SUFI)의 타입이 비트맵 타입임을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수신된 각 피-유(PU)들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가 가리키는 피-유(PU)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이, 비트맵 타입 정보를 수퍼-필드(SUFI)의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 피-유(PU)들 중에서 첫 번째 피-유(PU)의 시퀀스 번호를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피-유(PU)들 각각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생성하여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어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고 상기 수퍼-필드(SUFI)를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이, 수신측이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와, 송신측이 상기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비트맵의 유효한 피-유(PU) 상태 정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UMTS 시스템에서 RLC(Radio Link Control) 서브 계층의 AMD 모드(Acknowledged data transfer mode)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PDU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Piggybacked STATUS PDU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PDU 중에서 STATUS PDU의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STATUS PDU에 구비되는 종래의 SUFI의 필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종래의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할 때, PDU내의 PU의 개수가 8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SUFI의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UMTS 시스테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TMAP SUFI 필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BITMAP SUFI의 각 서브 필드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전송 모드에서 종래의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BITMAP SUFI 필드에 새로운 POSITION 서브 필드를 추가로 정의한다. 이는 규격의 변화 폭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POSITION 서브 필드가 의미하는 바는 문제가 되고 있는 BITMAP 서브 필드의 마지막 옥텟 내에서 수신측이 그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를 수신 PU들에 대한 오류의 발생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는지를 송신측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이로인해 송신측은 수신측으로부터의 BITMAP SUFI의 POSITION 서브 필드를 검사하여, BITMAP 서브 필드의 마지막 옥텟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경우에도 해당 비트맵의 값들 중에서 인식하지 않아야할 부분을 PU들에 대한 수신 상태 정보로 오인식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BITMAP SUFI에 대한 자유롭고 독자적인 사용이 보장되어,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이 증가하고 망 자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도 7은 UMTS 시스테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TMAP SUFI 필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710 서브 필드는 SUFI의 Type이 BITMAP임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720의 서브 필드는 비트맵의 LENGTH를 옥텟(Octet) 단위로 나타낸다. 표현될 수 있는 비트맵의 최대 크기는비트가 된다. 참조부호 740 서브 필드는 FSN으로서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가 가리키는 PU의 SN을 나타낸다. BITMAP 서브 필드(750)의 각 비트들은 수신된 각 PU들의 수신 오류 여부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730 서브 필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BITMAP 서브 필드(750)의 마지막 옥텟 내에서 수신측이 그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를 수신 PU들에 대한 오류의 발생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는지를 나타낸다.
이로인해 송신측은 수신측으로부터의 BITMAP SUFI의 POSITION 서브필드(740)를 검사하여, Bitmap 서브 필드(740)의 마지막 옥텟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경우에도 해당 비트맵의 값들 중에서 인식하지 않아야할 부분을 PU들에 대한 수신 상태 정보로 오인식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따라서 BITMAP SUFI에 대한 자유롭고 독자적인 사용이 보장되며,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이 증가하고 망 자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모드에서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BITMAP SUFI의 각 서브 필드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810단계에서 수신측은 TYPE 서브 필드(710)에 해당 값을 셋팅하여 현재 전송하는 STATUS PDU의 해당 SUFI가 BITMAP 타입임을 알린다. 상기 도 8에서 P는 수신측이 송신측으로 오류발생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PU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수신측은 상기 P개의 PU들 중에서 첫 번째의 PU의 SN을 FSN 서브 필드(740)에 세팅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변수 N을 "0"으로 초기화 한다.
x 및 y 변수는 Bitmap 서브 필드(750)의 각 비트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각 변수들은 820단계와 같이 N값으로부터 구한다. 여기서, (N%8)은 Modulo 8연산을 의미하고,은 (N+1)/8과 같거나 또는 (N+1)/8보다 큰 정수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정수를 의미한다. 즉, x 변수는 해당 비트맵이 Bitmap 서브 필드(750)의 몇 번째 옥텟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고, y 변수는 상기 비트맵이 해당옥텟 내에서 몇 번째(예를 들어 왼쪽으로부터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Bitmap(x,y)는 Bitmap 서브 필드(750)의 x번째 옥텟의 y번째의 비트맵을 나타낸다.
그리고 830단계에서 수신측은 (FSN+N)값을 SN으로 가지는 PU가 전송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PU가 전송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840단계에서 수신측은 상기 PU에 해당하는 Bitmap(x,y)를 "1"로 셋팅한다. 상기 PU가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850단계에서 상기 PU에 해당하는 Bitmap(x,y)를 "0"으로 셋팅한다.
860단계에서 수신측은 N의 값을 하나 증가 시키고, 870단계에서 수신측은 N값이 상기 P값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N값이 상기 P값보다 크지 않으면, 수신측은 상기 820단계부터의 제어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N값이 상기 P값보다 크면, 880단계에서 수신측은 LENGTH 서브 필드(720)를 현재의 x값으로 세팅하고, POSITION 서브 필드(730)를 (y-1)의 값으로 세팅하여, BITMAP SUFI의 각 서브 필드를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MTS 시스템에서 RLC 서브 계층의 AMD 전송 모드에서 종래의 BITMAP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BITMAP SUFI 필드에 BITMAP 서브 필드의 마지막 옥텟 내에서 수신측이 그 필드의 어느 비트까지를 수신 PU들에 대한 오류의 발생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는지를 송신측으로 알려주는 새로운 POSITION 서브 필드를 추가로 정의한다. 이로인해 BITMAP SUFI에 대한 자유롭고 독자적인 사용이 보장되어, 오류 통보 방법의 유연성(Flexibility)이 증가하고 망 자원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있어서,
    상기 수퍼-필드(SUFI)의 타입이 비트맵 타입임을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수신된 각 피-유(PU)들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가 가리키는 피-유(PU)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와,
    상기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필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비트맵 수퍼-필드(SUFI).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수퍼-필드(SUFI)가,
    별도의 제어 피-디-유(PDU) 방식 또는 피-기-백킹(Piggyback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경우 비트맵 수퍼-필드(SUFI).
  3.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트맵 타입 정보를 수퍼-필드(SUFI)의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 피-유(PU)들 중에서 첫 번째 피-유(PU)의 시퀀스 번호를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피-유(PU)들 각각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생성하여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맵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어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서브 필드에 셋팅하고 상기 수퍼-필드(SUFI)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퍼-필드(SUFI)를 전송하는 과정이,
    별도의 제어 피-디-유(PDU) 방식 또는 피-기-백킹(Piggybacking) 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
  5.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이 비트맵의 마지막 옥텟의 어느 비트까지가 수신 피-유(PU)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맵 수퍼-필드(SUFI)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와,
    송신측이 상기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비트맵의 유효한 피-유(PU) 상태 정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수퍼-필드(SUFI)를 전송하는 단계가,
    별도의 제어 피-디-유(PDU) 방식 또는 피-기-백킹(Piggybacking) 방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엠-티-에스(UMTS) 시스템에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00033037A 2000-06-15 2000-06-15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KR10033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037A KR100334802B1 (ko) 2000-06-15 2000-06-15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037A KR100334802B1 (ko) 2000-06-15 2000-06-15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93A true KR20010112793A (ko) 2001-12-22
KR100334802B1 KR100334802B1 (ko) 2002-05-03

Family

ID=1967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037A KR100334802B1 (ko) 2000-06-15 2000-06-15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8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58B1 (ko) * 2002-01-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 생성 방법
KR100580842B1 (ko) * 2003-12-22 2006-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류 상태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605318B1 (ko) * 2003-09-14 2006-07-28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KR100744350B1 (ko) * 2006-02-28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토콜 데이터단위 정보 전송방법
KR100792989B1 (ko) * 2001-05-21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데이터 단위 폐기정보 전송방법
KR101084135B1 (ko) * 2005-05-0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897B2 (ja) * 1993-07-22 1999-10-25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自動再送要求データ伝送方法
BR9405702A (pt) * 1993-11-01 1995-11-28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s para obter um relatório sobre o estado de quadros compreendendo uma mensagem transmitida para determinar a propriedade de quadros para comunicação em um sistema de radiocomunicação e para identificar para qual estaçao móvel uma pluralidade de quadros encadeados está sendo emitida estação base e estação móvel
US6317430B1 (en) * 1998-02-19 2001-11-13 Lucent Technologies Inc. ARQ protocol support for variable size transmission data unit sizes using a hierarchically structured sequence number approach
KR20000033037A (ko) * 1998-11-19 2000-06-15 윤종용 잉크젯프린터의 모드별 인쇄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89B1 (ko) * 2001-05-21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데이터 단위 폐기정보 전송방법
KR100438558B1 (ko) * 2002-01-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 생성 방법
KR100605318B1 (ko) * 2003-09-14 2006-07-28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상태 보고 누락 검출
KR100580842B1 (ko) * 2003-12-22 2006-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류 상태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084135B1 (ko) * 2005-05-0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KR100744350B1 (ko) * 2006-02-28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토콜 데이터단위 정보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802B1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363B2 (en) Method for reporting reception result of packet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579421B2 (ja) Arqプロトコルにおけるフィードバック応答を最小化する方法
EP1695462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protocol data unit having processing time information
US6601207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transmitting data transfer packets
KR10063501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을 위한 피드백메시지 생성 방법
JP453741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再送要求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メッセージ生成方法
JP5449470B2 (ja) 改善された状態報告のための方法とデバイス
US7801142B2 (en) Method to avoid potential deadlocks in a SDU discard function
EP1691526A1 (e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congestion control using multiple TCP acknowledgements (ACKs)
EP1548989A2 (en) Packet sub-frame structure for selective acknowledgment
EP1111832A2 (en) Adaptive bandwidth allocation for ARQ feedback messages
US20220103302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Link Budget of a Wireless System
EP1626518B1 (en) Method for reporting reception result of packet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34133B2 (en) Method of retransmitting data frame and network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334802B1 (ko)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오류를통보하는 방법
KR20020039188A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에서 미디어 억세스 콘트롤계층의 데이터 전송 처리 방법
KR100662250B1 (ko) 서비스데이터유닛의 가변적 분할 송신 방법 및 그를이용한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