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997B1 -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997B1
KR100604997B1 KR1020040037261A KR20040037261A KR100604997B1 KR 100604997 B1 KR100604997 B1 KR 100604997B1 KR 1020040037261 A KR1020040037261 A KR 1020040037261A KR 20040037261 A KR20040037261 A KR 20040037261A KR 100604997 B1 KR100604997 B1 KR 10060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hard
pile
fiber
super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679A (ko
Inventor
홍경작
Original Assignee
홍경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881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049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작 filed Critical 홍경작
Priority to KR102004003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99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용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경질섬유와 1.0데니어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등과 같은 고흡수성섬유를 이용하여 경질섬유가 밀집된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가 밀집된 고흡수성섬유영역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하여 파일편직하되, 상기 섬유들을 강연하여 편직 및 가공후에 파일들이 트위스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후 사의 컷팅이 없이 루우프 파일로 형성됨으로써 청소시에 섬유분진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파일이 강연사임으로 인해 트위스트되어 강하게 직립함으로써, 지지력이 향상되어 세척효율이 좋아지고, 전체적으로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경질섬유, 고흡수성섬유, 걸레, 스핀 본넷, 극세사.

Description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용구{Pile knitting fabrics having stiff fibers area and high-absorbable fibers area and mop thereof}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가 교차 배치된 직편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 편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 편물로 만들어진 스핀 본넷의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파일편물 11, 21 : 경질섬유 영역
12, 22 : 고흡수성섬유 영역 13 : 마감영역
23, 24 : 섬유 파일
본 발명은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사를 이용하여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영역을 파일 편물로 형성하고 파일이 트위스트되도록 함으로써, 청소시에 섬유분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파일이 트위스트되어 강하게 직립함으로써, 지지력이 향상되어 세척효율이 좋아지도록 한,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 이를 이용한 청소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걸레로 청소를 함에 있어서 청소라는 것은 닦는 것이라는 의식을 가져 왔고 주로 걸레용 직물에 있어서의 기능성은 흡수성을 생각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개념에 따른 걸레의 소재는 면소재를 주로 하여 무수히 많았었고 구지 그 예를 언급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무엇인가 청소하면서 청소효율면에서 부족함을 느껴왔는데 그 부족한 것을 인식케 하고 개선하여 종래의 닦는다는 개념에 쓴다는 개념을 부가한 것이 바로 대한 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36386 호이다. 상기 실용신안등록공보에는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영역이 교차 배치되도록 하여, 고흡수성 섬유영역이 종래의 닦는 기능, 즉 세척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경질 섬유영역이 쓰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가 교차 배치된 직편물로 이루어진 걸레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획기적으로 걸레의 개념을 바꾼 고안에 있어서도 청소를 하는 과정에서의 섬유분진의 탈락문제, 그로 인한 사용수명 단축의 문제는 있었다.
이와 같은 섬유분진의 탈락문제를 해결하고 청소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수명을 연장시킨 것이 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분진이 탈락되지 않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청소효율이 증진된,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영역을 가지는 청소용 파일편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파일 편물을 이용함으로써 성능이 개선된 청소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경질섬유와 1.0데니어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극세사로 된 고흡수성섬유로 파일편직하되, 상기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를 300 내지 600 TPM으로 강연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경질섬유 편직영역과 상기 고흡수성섬유 편직 영역을 일정폭으로 연속하여 교대되도록 하여 고압 염색 가공후 파일들이 트위스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편직은 경편과 환편이 모두 가능하나 경편이 생산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일 편물에 있어서, 상기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은 10 내지 50 : 50 내지 90의 면적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일 편물을 이용한 청소용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용구는 스핀본넷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가 교차 배치된 직편물로 만들어진 걸레포의 평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공지된 걸레포에서도 경질섬유 영역(11)과 고흡수성 섬유영역(12)이 존재하여 경질섬유 영역(11)이 쓸기 기능을 수행하고, 고흡수성섬유영역(12)이 닦기 및 먼지흡수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청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고안만해도 그 이전의 걸레포에 비하여서는 대단히 획기적인 기술적 성과를 거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공지의 걸레포에서는 경질섬유 영역(11)과 고흡수성 섬유영역(12)의 섬유들이 단부가 모두 컷팅되어져 있음으로 해서 청소시에 컷팅부에서 섬유분진이 탈락하여 청소효과를 떨어뜨리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 편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에서 보면 경질섬유 영역(21)과 고흡수성섬유 영역(22)을 일정폭으로 교대로 가지는 면에서는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지만 본 고안에서는 각 영역들(21,22)에 포함된 섬유 파일들(23, 24)이 모두 단부가 컷팅되어 있지 않고 트위스트되어 곧게 서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것은 원료섬유사를 섬유사 제조단계에서 300 내지 600 TPM으로 강연하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편직과정에서는 공정장력으로 인해 펴져 있던 것들이 고압염색가공후에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다시 역트위스트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파일이 컷팅되지 않음으로해서 사용중 섬유분진이 탈락하지 않고 파일이 트위스트되어 서 있게 됨으로써 힘이 있게 되어 청소시 쓸기 기능 과 닦기 기능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걸레포의 수명이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질섬유 영역의 섬유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가볍고 흡수성이 낮으며 굽힘강성이 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 등의 섬유도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히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필라멘트수나 섬도는 공정성에 문제가 없다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색상을 원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섬유의 경우에는 원착사를 이용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의 경우에는 후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섬유 영역의 섬유로는 1.0 데니어이하의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극세사 등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섬유의 섬도가 낮을 수록 흡진 기능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0.01 데니어 이하의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극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 편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파일 편직기를 사용하여 편직할 수 있으며, 경편기를 이용하는 것이 생산성 및 품질면에서 바람직하다.
환편으로 할 경우에는 신축성이 지나쳐서 걸레포에 힘이 없게 되는 단점도 있다.
편직 조직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조밀한 것이 좋으나,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 경질섬유영역(21)과 고흡수성섬유영역(22)이 폭의 비율은 10 내지 50 : 5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질섬유영역(21)은 상기 고흡수성섬유영역(22)에 비해 10 내지 50% 정도의 면적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쓸기작업이 먼지를 한편으로 밀어내는데 불과한 데 비하여 닦기작업은 미세한 먼지들이 직접 고흡수성섬유영역(22)에 달라붙기 때문에 통상의 실내공간의 청소작업에서는 쓸기작업에 비해 닦기작업에 쓰이는 고흡수성섬유영역(22)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경질섬유영역(21)이 전체 직편물(20)의 10% 미만인 경우, 충분한 쓸기작업이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0%를 초과하는 경우, 역으로 닦기작업이 충분치 못하게 되어 걸레포(20)를 다시 세탁하고 난 후, 청소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편물은 그 가장자리에 통상의 오버로크(overlock) 및 천으로 감싼 후 박음질 등과 같은 마감작업에 의한 마감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영역에 의해 편물(걸레)의 가장자리가 풀리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 편물로 만들어진 청소용구인 스핀 본넷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500 D/ 12 F 폴리프로필렌 섬유 원착사를 통상의 연사기에서 450 TPM을 연사하여 경질섬유로 준비하였다. 한편으로 150 D/ 48 F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 극세사를 역시 연사기에서 450 TPM으로 강연하여 고흡수성섬유로 준비하였다.
상기 연사된 경질섬유와 고흡수성 섬유를 파일 경편기에 걸고 각 섬유 영역의 비가 25 : 75로 되도록 루우프 파일 조직으로 파일편직한 후 정련하고 액류 염색기에서 고압염색하여 본 발명의 파일 편물을 완성하고 나아가 재단 봉제하여 스핀 본넷으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핀 본넷으로 카페트를 세척해 본 결과 종래보다 월등히 세척효율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직후 사의 컷팅이 없이 파일로 형성됨으로써 청소시에 섬유분진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파일이 강연사임으로 인해 트위스트되어 강하게 직립함으로써, 지지력이 향상되어 세척효율이 좋아지고, 전체적으로 수명이 향상되는 걸레포로서의 파일 편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효율이 뛰어난 스핀 본넷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섬유영역과 고흡수성섬유영역이 교차 배치되도록 하여 통상의 실내청소에서 한번에 쓸기작업과 닦기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청소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경질섬유와 1.0데니어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극세사로 된 고흡수성섬유로 파일편직하되, 상기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를 300 내지 600 TPM으로 강연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경질섬유 편직영역과 상기 고흡수성섬유 편직 영역을 일정폭으로 연속하여 교대되도록 하여, 고압 염색가공후 파일이 트위스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편직은 경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은 10 내지 50 : 50 내지 90의 면적비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4. 제 1 항의 파일 편물로 제조된 청소용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구가 스핀본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소용구.
KR1020040037261A 2004-05-25 2004-05-25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KR10060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261A KR100604997B1 (ko) 2004-05-25 2004-05-25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261A KR100604997B1 (ko) 2004-05-25 2004-05-25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679A KR20050113679A (ko) 2005-12-05
KR100604997B1 true KR100604997B1 (ko) 2006-07-26

Family

ID=3728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261A KR100604997B1 (ko) 2004-05-25 2004-05-25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136A1 (en) * 2007-12-21 2009-07-02 Woongjin Chemical Co., Ltd.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KR101036249B1 (ko) 2008-09-05 2011-05-20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패드
KR101398555B1 (ko) * 2013-08-27 2014-05-27 (주)대고 청소용 주름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50864A1 (en) * 2015-11-30 2017-06-01 Dan Lennart Blom Cleaning 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13B1 (ko) * 2013-04-19 2013-08-20 부남해 크리너용 원단
KR102028454B1 (ko) * 2018-06-20 2019-10-04 (주)대고 스크럽 및 고흡수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고기능성 청소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136A1 (en) * 2007-12-21 2009-07-02 Woongjin Chemical Co., Ltd.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CN101903578B (zh) * 2007-12-21 2013-03-27 熊津可蜜珂耳 具有微细纤维的针织布
KR101036249B1 (ko) 2008-09-05 2011-05-20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패드
KR101398555B1 (ko) * 2013-08-27 2014-05-27 (주)대고 청소용 주름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50864A1 (en) * 2015-11-30 2017-06-01 Dan Lennart Blom Cleaning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679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212B2 (ja) 清掃用立毛布帛およびモップ
KR100716623B1 (ko)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894453A (zh) 由所含刚性纤维和高吸收性纤维交替排列而形成的织物以及使用该织物的拖把
KR100604997B1 (ko) 경질섬유 영역과 고흡수성섬유 영역을 가지는 파일편물 및이를 이용한 청소용구
KR200399304Y1 (ko) 메탈릭사가 혼합된 극세사 클리너
US7013679B2 (en) Cleaning cloth having rubber yarn rib elements knitted therein
JPH10286216A (ja) マット
US20140041141A1 (en) Textile with Ribs on One Side, Smooth on the Other
US20070261189A1 (en) Cleaning Cloth Comprising Staple Fiber Loops
JPH0327149A (ja) タオル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7863B1 (ko) 마이크로파이버를 이용한 파일지
JP2011062377A (ja) 拭き取り用布
KR100530787B1 (ko)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가 교차 배치된 직편물 및 이를이용한 걸레
JP3145652U (ja) メッシュ状ワイピングクロス
KR101281718B1 (ko) 청소용시트의 제조방법
KR101609328B1 (ko)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609326B1 (ko) 원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및 제품
JP2004346432A (ja) 両面パイル調のワイピングクロス
JP7316560B2 (ja) 洗浄用編布
CN213830724U (zh) 一种超细纤维布
CN107938147B (zh) 一种洁净用经编织物
CN213798418U (zh) 一种易清洗的无纺布
KR200336386Y1 (ko) 경질섬유와 고흡수성섬유가 교차 배치된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걸레
KR200255795Y1 (ko) 고흡착성 매트
JP2018193043A (ja) 車両用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825

Effective date: 20141223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223

Effective date: 201602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122

Effective date: 201604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197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322

Effective date: 201607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10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812

Effective date: 2016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