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286B1 -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286B1
KR100604286B1 KR1020030047676A KR20030047676A KR100604286B1 KR 100604286 B1 KR100604286 B1 KR 100604286B1 KR 1020030047676 A KR1020030047676 A KR 1020030047676A KR 20030047676 A KR20030047676 A KR 20030047676A KR 100604286 B1 KR100604286 B1 KR 10060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ock
socket
lock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154A (ko
Inventor
구로다게이지
아라모또기요시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로크 아암의 결합이 이탈되어 뜻하지 않게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가 달린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수 한 쌍의 전기 커넥터(1, 21)로 이루어지고, 한 쪽 커넥터의 하우징(2)의 양측면(8, 8)에,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10, 10)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9, 9)를 거쳐서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로크 아암(10, 10)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기부(11, 11)를 갖고 있고,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22)은 한 쪽 커넥터 하우징(2)과 양 로크 아암(10, 10)의 전방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는 빈 공간부(23)를 갖고, 상기 빈 공간부(23)의 내벽면(26, 26)에 계지 돌기부(11, 11)가 결합되는 계지부(27, 27)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계지부, 로크 아암, 하우징, 빈 공간부

Description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WITH AN INTERLOCKING SYSTEM}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한 쪽 커넥터(소켓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쪽 커넥터(베이스 커넥터)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4의 7-7선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양 커넥터를 끼워 맞춤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의 주요부 횡단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커넥터
2 : 소켓 하우징
3 : 콘택트 수용실
8 : 양측면
9 : 지지 부재
10 : 로크 아암
11 : 계지 돌기부
12 : 압박 조작부
13 : 방호 부재
21 : 베이스 커넥터
22 : 베이스 하우징
23 : 빈 공간부
23a : 개구단부
24 : 후방벽
26 : 내측벽
27 : 계지부
28 : 핀 콘택트
40 : 프린트 배선판
41 : 전선
42 : 소켓 콘택트
43 : 랜스
본 발명은,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수 한 쌍의 전기 커넥터,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선을 접속한 소켓 콘택트를 갖는 소켓 커넥터와,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를 삽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 접속하는 베이스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4-14397호 공보, 미국 특허 제4,008,941호 및 미국 특허 제4,376,565호 명세서 및 도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쪽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로크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한 훅을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부에 결합하여 로크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 설치한 압박 조작부를 압박하여 상기 훅을 상기 계지부로부터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는 상기 로크 아암에 어떠한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훅의 결합이 이탈되어 뜻하지 않게 로크가 해제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중, 특히 고전압 대응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통전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로크 아암의 결합이 확실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로크 아암의 결합이 이탈되어 뜻하지 않게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를 구비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수 한 쌍의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한 쪽 커넥터의 하우징 양측면에,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를 거쳐서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계지 돌기부를 갖고 있고,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한 쪽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 로크 아암의 전방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는 빈 공간부를 갖고, 상기 빈 공간부의 내벽면에 상기 계지 돌기부가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쪽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로크 아암을 협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호 부재가 돌출 설치되고, 끼워 맞춤 접속시에 상기 방호 부재가 상기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한 쪽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1)(도8 및 도9 참조)의 커넥터 하우징, 즉 소켓 하우징(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2)은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윤곽 형상이 편평하게 가로로 긴 직육면체로 성형되고, 양단부에 전선(41)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2)(도9 참조)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콘택트 수용실(3, 3)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콘택트 수용실(3, 3)이 크게 이격하고 있는 것은 고전압용 커넥터로서 소켓 콘택트(42, 42)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 강구된 구성이다. 각 수용실(3)의 내측벽에는 소켓 콘택트(42)의 랜스(43)를 결합하여 소켓 콘택트(42)를 수용실(3) 내에 보유 지지 고정하는 계지 돌기부(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수용실(3)의 전방벽에는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인 베이스 커넥터(21)의 핀 콘택트(28)를 삽입하는 개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수용실(3, 3)에 인접하여 소켓 하우징(2)의 전단부면으로부터 중앙 부위까지 연장되는 2개의 절결부(6, 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6, 6)는 후술하는 상대측 베이스 커넥터(21)의 베이스 하우징(22)에 설치한 격벽(25, 25)과 결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역끼워 맞춤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절반 부분이 폭 넓은 단차부(7)가 달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2)의 양측면(8, 8)에는 상기 하우징(2)의 전단부에 연속 설치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 부재(9, 9)를 거쳐서 하우징(2)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경사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10, 10)이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 아암(10)은 하우징(2)의 높이(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고, 중간 부위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계지 돌기부(11, 1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로크 아암(10)의 후단부에는 로크 아암(10)을 내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압박 조작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소켓 하우징(2)의 양측면(8, 8)에는 각 로크 아암(10)의 후방측 부위, 즉 계지 돌기부(11, 11)가 설치되어 있던 부위보다 후방측 부위에 있어서 로크 아암(10)을 협지하도록 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방호 부재(13, 1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호 부재(13, 13)는 로크 아암(10)에 다른 전선 그 밖의 이물질이 달라 붙거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다른 쪽 커넥터인 베이스 커넥터(21)와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쪽 커넥터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2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커넥터(21)의 커넥터 하우징, 즉 베이스 하우징(22)은 전방면측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과 양 로크 아암(10, 10)의 전방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는 빈 공간부(23)를 갖고 있다. 상기 빈 공간부(23)에는 소켓 하우징(2)의 절결부(6)에 결합하는 2개의 격벽(25, 25)이 후방벽(24)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빈 공간부(23)의 양 내측벽(26, 26)의 전단부 부분에 양 로크 아암(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결합하는 계지부(27, 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격벽(25, 25)의 외측 부위에 핀 콘택트(28, 28)가 후방벽(24)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양 핀 콘택트(28, 28)의 접촉 핀부(29, 29)는 빈 공간부(23) 내에 베이스 하우징(2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전단부 개구부(23a)를 향해 돌출하고, 후방벽(24)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리드부(30, 30)는 서로 외측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되고, 또한 하방으로 L자형으로 절곡하여 후술하는 프린트 배선판 (40)(도8 및 도9 참조)에 대한 납땜부(30a, 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 하우징(22)의 후방벽(24)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벽(31, 32)과 상기 연장벽(31, 32) 사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이격하여 연속 설치된 복수의 격벽(33)에 의해, 양 핀 콘택트(28, 28)의 리드부(30, 30) 사이에 충분한 연면 거 리 및 공간 거리를 확보하여 내전압성이 높아지고,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4는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 양 측벽에 끼움 장착한 보강 금구이다.
도8 및 도9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켓 콘택트와 베이스 커넥터(2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소켓 커넥터(1)는 전선(41)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2)를 소켓 하우징(2)의 콘택트 수용실(3)에 삽입하여 소켓 콘택트(42)의 랜스(43)를 계지 돌기부(4)에 계지시켜 수용실(3) 내에 보유 지지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커넥터(21)는 핀 콘택트(28, 28)의 납땜부(30a, 30a)와 보강 금구(34, 34)를 프린트 배선판(40)에 납땜하여 표면 실장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 및 양 로크 아암(10, 10)의 전방측 부분을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 개구부(23a)를 통해 빈 공간부(23) 내에 끼움 삽입하면, 소켓 하우징(2)의 절결부(6, 6)가 격벽(25, 25)에 결합하여 안내 유도되고, 핀 콘택트(28, 28)의 접촉 핀부(29, 29)가 개구(5, 5)로부터 수용실(3, 3) 내로 진입하여 소켓 콘택트(42, 4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양 로크 아암(10, 10)은 내측, 즉 하우징(2)의 양측면(8, 8)측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22)과 양 로크 아암(10, 10)이 정확한 끼워 맞춤 접속 위치까지 끼움 삽입되면, 양 로크 아암(10, 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전단부 개구부(23a)의 측 모서리 부분을 타고 넘어 빈 공간부(23) 내로 진입하는 동시에, 로크 아암(10, 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계지 돌기부(11, 11)가 베이스 하우징(22)의 계지부(27, 27)에 결합하여 베이스 하우징(22)과 소켓 하우징(2)이 로크된다. 동시에 소켓 하우징(2)의 방호 부재(13, 13)가 베이스 하우징(22)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 21)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가 눈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양 커넥터(1, 21)가 끼워 맞춤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양 로크 아암(10, 10)의 계지 돌기부(11, 11)가 베이스 하우징(22)의 빈 공간부(23) 내에서 계지부(27, 27)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뜻하지 않게 외력이 작용하여 계지 돌기부(11, 11)가 계지부(27, 27)로부터 이탈되어 로크가 해제될 위험성은 매우 적어진다. 또한, 각 로크 아암(10)을 협지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양 방호 부재(13, 13)에 의해, 로크 아암(10)에 뜻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소켓 커넥터(1)를 베이스 커넥터(2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양 로크 아암(10, 10)의 압박 조작부(12, 12)를 손가락으로 집어 양측면(8, 8)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계지 돌기부(11, 11)를 계지부(27, 27)로부터 이탈시켜 로크를 해제한 후, 양 로크 아암(10, 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소켓 하우징(2)을 베이스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한다.
또, 실수로 소켓 커넥터(1)의 소켓 하우징(2)이 상하 역방향의 자세로 베이스 커넥터(21)의 빈 공간부(23)에 끼워 맞추어지면, 절결부(6, 6)의 단차부(7, 7)가 격벽(25, 25)의 전단부면에 충돌 접촉하여 소켓 하우징(2)의 진입이 저지되어, 역끼워 맞춤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쪽 커넥터 하우징(소켓 하우 징)의 양측면에 설치한 로크 아암의 계지 돌기부가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베이스 하우징)의 빈 공간부의 내벽면에 설치한 계지부에 결합하여 양 커넥터 하우징이 로크되므로, 외력에 의해 상기 계지 돌기부가 상기 계지부로부터 이탈되어 로크가 뜻하지 않게 해제될 우려는 매우 적다.
또한, 로크 아암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방호 부재에 의해 상기 로크 아암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뜻하지 않게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수 한 쌍의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한 쪽 커넥터의 하우징 양측면에, 전단부로부터 후방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를 거쳐서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계지 돌기부를 갖고 있고,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한 쪽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양 로크 아암의 전방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져 수용되는 빈 공간부를 갖고, 상기 빈 공간부의 내벽면에 상기 계지 돌기부가 결합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상기 로크 아암을 협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호 부재가 돌출 설치되고, 끼워 맞춤 접속시에 상기 방호 부재가 상기 다른 쪽 커넥터 하우징의 전단부면에 접촉하여,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20030047676A 2002-07-15 2003-07-14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0604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5343A JP2004047352A (ja) 2002-07-15 2002-07-15 ロック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JP-P-2002-00205343 2002-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154A KR20040010154A (ko) 2004-01-31
KR100604286B1 true KR100604286B1 (ko) 2006-07-25

Family

ID=3043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676A KR100604286B1 (ko) 2002-07-15 2003-07-14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47352A (ko)
KR (1) KR100604286B1 (ko)
CN (1) CN1275357C (ko)
TW (1) TWI2367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270B1 (ko) * 2005-02-16 2006-11-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 에어백용 점화기 전기공급 커넥터
JP4629565B2 (ja) * 2005-12-08 2011-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47463B2 (ja) * 2008-03-05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03348B2 (ja) * 2009-04-28 2013-10-0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N202111263U (zh) * 2011-05-19 2012-01-1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5748692B2 (ja) * 2012-03-08 2015-07-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570168A (zh) * 2012-03-13 2012-07-11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两芯高压快锁连接器
JP2016184459A (ja) * 2015-03-25 2016-10-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ロック付きコネクタ構造
JP7359443B2 (ja) * 2020-03-30 2023-10-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6786B (en) 2005-07-21
TW200402910A (en) 2004-02-16
CN1275357C (zh) 2006-09-13
KR20040010154A (ko) 2004-01-31
CN1472849A (zh) 2004-02-04
JP2004047352A (ja)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4998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2622938B2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JP4009111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KR100231122B1 (ko) 개선된 배치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JP4980342B2 (ja) ターミナル位置保証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KR100811574B1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599325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bination terminal guide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7214090B2 (en) Connector device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US6942504B2 (en) Connector
KR100604286B1 (ko)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0545616B1 (ko) 전기 커넥터
KR100571903B1 (ko) 역끼워 맞춤 방지 커넥터
EP1248322A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use with curcuit board
KR100787357B1 (ko) 수형 콘택트
WO2003056666A1 (fr) Connecteur electrique verrouillable
JP4293887B2 (ja) コネクタ
US6547577B2 (en) Card edge connector
KR101076153B1 (ko)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JP3705407B2 (ja)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JPWO2018225527A1 (ja) コネクタ構造
JPH09289059A (ja) コネクタ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CN116529965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