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153B1 -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 Google Patents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153B1
KR100604153B1 KR1020040117610A KR20040117610A KR100604153B1 KR 100604153 B1 KR100604153 B1 KR 100604153B1 KR 1020040117610 A KR1020040117610 A KR 1020040117610A KR 20040117610 A KR20040117610 A KR 20040117610A KR 100604153 B1 KR100604153 B1 KR 10060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unit
separating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422A (ko
Inventor
김근배
권태희
전성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1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7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which are gear-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는 a)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조작부, b) 조작부와 연동되어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고정/분리부, c) 고정/분리부와 연동되어 고정/분리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며, 한쪽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맞은 편 둘레에 숫톱니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 d)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 e) 조작부를 감싸며 동력전달장치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결합부가 삽입되어 치합되거나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내부에 암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f) 조작부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연동하는 고정/분리부에 의하여 결합부가 하우징의 고정부와 분리될 때 조작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g) 동력전달장치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구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동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Socket Wrench Capable of Selecting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렌치 헤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렌치 헤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 하우징의 고정부와 동력전달부의 결합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축 회전 모드로 동작하는 소켓 렌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직각축 회전 모드로 동작하는 소켓 렌치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작부 105 :조작부의 스플라인
300 : 렌치 헤더 305 : 제1 연결부
310 : 제2 연결부 315 : 고정/분리부
320 : 제3 연결부 325 : 제4 연결부
330 : 제1 멈치 335 : 제2 멈치
340 : 구동 기어 345 : 피동기어
350 : 동력전달부 351 : 동력전달부의 스플라인
353: 결합부 355 : 소켓 연결부
500 : 하우징 501 : 고정부
본 발명은 소켓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 렌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게 사이즈별로 구성된 소켓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인 소켓렌치는 소켓의 회전축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진 조작부를 소켓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손으로 회전시켜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소켓렌치는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좁고 깊숙한 곳에서도 체결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손으로 렌치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즉, 일반적인 소켓 렌치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잡고 적당한 토크로 조작부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조작부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작업자는 수동으로 렌치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부가 회전하 기 위한 공간이 없더라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켓 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는 a)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조작부, b) 조작부와 연동되어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고정/분리부, c) 고정/분리부와 연동되어 고정/분리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며, 한쪽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맞은 편 둘레에 숫톱니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 d)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 e) 조작부를 감싸며 동력전달장치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결합부가 삽입되어 치합되거나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내부에 암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f) 조작부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연동하는 고정/분리부에 의하여 결합부가 하우징의 고정부와 분리될 때 조작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g) 동력전달장치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구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동 기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는 조작부(100), 렌치 헤더(header)(3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조작부(100)는 길이 방향의 움직임(①)에 따라 체결된 소켓의 회전축(axis) 을 중심으로 회전(②)하는 동일축 회전 모드 또는 상기 소켓의 회전축과 수직인 직각축을 중심으로 회전(③)하는 직각축 회전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소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형성한다. 이 때, 조작부(100)의 회전축은 상기 직각축 상에 위치한다.
렌치 헤더(300)는 상기 조작부(100)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 모드에 따라 상기 조작부(10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구동력을 상기 체결된 소켓으로 전달한다.
하우징(500)은 상기 조작부(100)와 상기 렌치 헤더(300)를 감싼다. 이 때, 조작부(100)의 손잡이 부분은 하우징(500)의 아래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00)는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상기 직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렌치 헤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렌치 헤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렌치 헤더(300)는 제1 연결부(305), 제2 연결부(310), 고정/분리부(315), 제3 연결부(320), 제4 연결부(325), 제1 멈치(330), 제2 멈치(335), 구동 기어(340), 피동 기어(345), 동력전달부(350) 및 소켓 연결부(355)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05)는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부(10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105)과 연결되어 조작부(100)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조작부(100)가 직각축을 중심으로 회전 하면 정지한다. 즉, 도 3에 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05)의 축은 조작부(100) 끝단의 스플라인(105) 중앙에 형성된 중 공에 삽입된다. 제1 연결부(305)의 축은 스플라인(105)이 회전할 때 미끄러진다. 이에 따라 조작부(100)가 상하로 움직이면 제1 연결부(305) 또한 상하로 움직이나 조작부(100)가 직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 연결부(305)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2 연결부(310)는 제1 연결부(305)와 연결되며 제1 연결부(305)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한다.
고정/분리부(315)는 제2 연결부(310)와 연결되어 제2 연결부(310)의 회전에 따라 고정/분리부(31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한다.
제3 연결부(320)는 제2 연결부(310)와 연결된 고정/분리부(315) 한쪽 단의 맞은 편에 있는 다른쪽 단과 연결되며, 고정/분리부(315)의 좌우 회전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한다.
제4 연결부(325)는 제3 연결부(320) 및 조작부(100)에 의하여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50)와 연결되어 제3 연결부(320)의 움직임에 따라 동력전달부(350)를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이 때, 제4 연결부(325)의 축은 동력전달부(35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351)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된다. 제3 연결부(320)의 축은 동력전달부(350)의 스플라인(351)이 회전할 때 미끄러진다. 이에 따라 제3 연결부(320)가 움직이면 제4 연결부(325)가 동력전달부(350)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지만 동력전달부(350)가 회전하더라도 제4 연결부(325)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 제2 연결부(310)와 고정/분리부(315) 그리고 고정/분리부(315)와 제3 연결부(320)가 완전한 일직선을 이루면, 조작부(100)를 상하로 움직여도 고정/분리 부(315)가 회전을 할 수 없으므로 제1 멈치(330) 및 제2 멈치(335) 각각은 제2 연결부(310)와 동력전달축 고정/분리장치(7) 그리고 고정/분리부(315)와 제3 연결부(320)가 일직선이 안되도록 고정/분리부(315)의 회전 각도를 제한다.
구동 기어(340)는 중앙에 제1 홀이 형성되며 제1 홀 내면에는 조작부(100)의 끝단에 연결된 스플라인(105)과 치합되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조작부(100)가 직각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한다.
피동 기어(345)는 구동 기어(340)와 베벨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고, 중앙에 제2 홀이 형성되고 제2 홀 내면에는 동력전달부(350)의 스플라인(351)과 치합되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구동 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구동력을 동력전달부(350)로 공급한다.
동력전달부(350)는 조작부(100)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부(325) 및 고정/분리부(315)의 동작과 연동하여 좌우로 움직여 하우징(500)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미도시)와 결합 또는 분리되어 피동 기어(345)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동력전달부(350)는 하우징(500)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숫톱니 형태인 결합부(35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에서 하우징의 고정부(501)와 동력전달부(350)의 결합부(353)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은 숫톱니 형태인 결합부(353)와 치합되도록 하우징(500)의 내부를 깎아내어 형성된 암톱니 형태의 고정부(501)를 포함한다.
즉, 조작부(100)의 상하 움직임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부(325)와 고정/ 분리부(315)가 연동되어 동력전달부(350)가 좌우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숫톱니 형태인 결합부(353)가 고정부(501)와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소켓 연결부(355)는 한쪽은 동력전달부(35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소켓(미도시)과 연결되어 소켓을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렌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축 회전 모드로 동작하는 소켓 렌치를 나타낸 것이다.
조작부(100)가 아래로 당겨지면 조작부(10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105) 역시 아래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305)가 아래로 움직이고, 제2 연결부(310)가 소정 각도의 범위 안에서 회전한다. 제2 연결부(310)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분리부(315)는 고정/분리부(31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왼쪽(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분리부(315)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제3 연결부(320)가 일정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하고 제4 연결부(325)가 왼쪽으로 당겨진다. 제4 연결부(325)가 왼쪽으로 당겨지면, 동력전달부(35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351)이 왼쪽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숫톱니 형상의 결합부(353)가 암톱니 형상의 고정부(501)로 삽입되면서 서로 치합된다.
이로서 동력전달부(350)와 하우징(500)은 하나로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작부(100)의 회전축인 직각축을 중심으로 조작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부(100)에 힘을 가하더라도 동력전달부(350) 및 피동 기어(345)가 움직일 수가 없 기 때문에 조작부(100)는 직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소켓의 회전축, 즉 동력전달부(350) 및 피동 기어(34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작부(100)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500) 전체가 회전하여 소켓 연결부(355)가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직각축 회전 모드로 동작하는 소켓 렌치를 나타낸 것이다.
조작부(100)가 위로 밀리면 조작부(10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105) 역시 위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305)가 위로 움직이고, 제2 연결부(310)가 소정 각도의 범위 안에서 회전한다. 제2 연결부(310)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분리부(315)는 고정/분리부(31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분리부(315)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제3 연결부(320)가 일정 각도 범위 안에서 회전하고 제4 연결부(325)가 오른쪽으로 밀린다. 제4 연결부(325)가 오른쪽으로 밀리면, 동력전달부(350)의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351)이 오른쪽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숫톱니 형상의 결합부(353)가 암톱니 형상의 고정부(501)로부터 빠져나와 서로 분리된다.
이로서 동력전달부(350)와 하우징(500)은 분리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작부(100)의 회전축인 직각축을 중심으로 조작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부(100)에 힘을 가하면, 구동 기어(340)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340)와 치합된 피동 기어(345)가 회전한다. 피동 기어(345)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부(350)가 회전하고 따라서 결합부(353) 및 소켓 연결부(355)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소켓 렌치는 동일축 회전모드와 직각축 회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작업 공간에서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으로 체결작업의 효용성을 높여준다.

Claims (5)

  1.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동되어 상기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고정/분리부:
    상기 고정/분리부와 연동되어 상기 고정/분리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며, 한쪽 끝단에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맞은 편 둘레에 숫톱니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
    상기 조작부를 감싸며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어 치합되거나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내부에 암톱니 형태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조작부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상기 조작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연동하는 상기 고정/분리부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의 고정부와 분리될 때 상기 조작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스플라인에 의하여 관통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동 기어를 포함하는 소켓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분리부가 제1 방향으로 회 전하고,
    상기 고정/분리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결합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고정부와 치합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가 치합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위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분리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고정/분리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결합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가 분리되고,
    상기 조작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렌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스플라인과 상기 고정/분리부는,
    상기 조작부의 스플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한쪽 단이 연결되고 다른쪽 단은 상기 고정/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연동되고,
    상기 고정/분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스플라인은,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된 상기 고정/분리부 한쪽 단의 맞은 편에 있는 다른쪽 단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분리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제3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스플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3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4 연결부에 의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렌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고정/분리부 그리고 상기 고정/분리부와 상기 제3 연결부가 일직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멈치 및 제2 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렌치.
KR1020040117610A 2004-12-31 2004-12-31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KR10060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610A KR100604153B1 (ko) 2004-12-31 2004-12-31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610A KR100604153B1 (ko) 2004-12-31 2004-12-31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22A KR20060079422A (ko) 2006-07-06
KR100604153B1 true KR100604153B1 (ko) 2006-07-25

Family

ID=3717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610A KR100604153B1 (ko) 2004-12-31 2004-12-31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54B1 (ko) * 2007-03-02 2008-08-29 이경동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
CN110039475B (zh) * 2019-06-05 2021-08-13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限制空间专用可视快速扳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22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7698B (zh) 具有分离齿轮体和可互换驱动插件的套筒扳手
US7934440B2 (en) Powered wrench
US7540335B2 (en) Adjustable handle for a power tool
JP3198345U (ja) 電動ソケットラチェットレンチ
TWI571361B (zh) Electric sleeve ratchet wrench
JP6285514B2 (ja) 高速回転レンチの軸心固定装置及びこれを適用した高速回転レンチ
KR19980070308A (ko) 피벗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래치트 렌치
JP6593887B2 (ja) 快速回転電動レンチ
AU2022200790B2 (en) Double reduction gear train
KR100604153B1 (ko) 모드 선택이 가능한 소켓 렌치
EP1080850A1 (en) Charging type multipurpose combination tool
CN101612726A (zh) 具有手动棘轮机构的旋转工具
KR102019293B1 (ko) 양방향 렌치
KR101546797B1 (ko) 해머드릴
US5522286A (en) Mechanism for coupling and selectively positioning a socket drive transfer assembly and a driver
KR100604151B1 (ko) 자체 회전이 가능한 소켓 렌치
US10814461B2 (en) Power-driven direct drive ratchet/wrench tool
KR20200065305A (ko) 전차용 동력전달축 조립지그
US20210162570A1 (en) Tool for tightening or loosening different elements unidirectionally, regardless of the directon of rotation of the input shaft (double-ratchet wrench)
CN101288948B (zh) 棘轮扳手
JP5628377B1 (ja) 回転伝達アダプタおよびネジ部材同時回転道具
KR200190419Y1 (ko) 나사체결을 위한 보조공구
CN103963019A (zh) 手持式动力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