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706B1 -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706B1
KR100603706B1 KR1020040086091A KR20040086091A KR100603706B1 KR 100603706 B1 KR100603706 B1 KR 100603706B1 KR 1020040086091 A KR1020040086091 A KR 1020040086091A KR 20040086091 A KR20040086091 A KR 20040086091A KR 100603706 B1 KR100603706 B1 KR 10060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pa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995A (ko
Inventor
주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8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7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결착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되는 록킹수단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록킹수단이 직접 탄지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백 케이스와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록킹에 대한 강력한 체결력이 그대로 발휘되고, 아울러 사용자가 조작에 대한 불편함이 전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개선된 록킹구조에 의하여 설치공간과 동작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확보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의 결착과 분리를 위하여 형성되는 키노브의 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표면으로부터 삭제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과 일체감을 줌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향상과 설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고, 아울러 외관상 깔금한 인상을 주어 미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 케이스와 결합 되는 배터리 팩의 일측 내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부재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팩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는 키 노브를 일측에 구비시킨 연결부재와, 록킹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수평 배치될 수 있도록 해당 고정부재에 각각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와 록킹부재 간에는 연결대가 일측 고정부재만을 통과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일측단은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연결대에 탄지되고, 타측단은 록킹부재로 결합되어 일측 고정부재의 측면에 탄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와 연동하는 록킹부재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록킹부재와의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백 케이스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단말기, 록킹, 개선, 디자인, 공간, 수평, 측면, 노브

Description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Locking Function Side Operation Typ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배터리 팩이 백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과 백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백 케이스
14,30 : 배터리 팩 16 : 록킹수단
18,48 : 키노브 20 : 걸림돌기
22,60 : 탄성부재 24 : 홈부
32 : 공간부 34,36 : 고정부재
38,40,42 : 가이드홈 44 : 통공
46 : 록킹수단 50 : 연결부재
52 : 스톱퍼 54 : 밀대
56 : 록킹부재 58 : 걸림부
62 : 연결대 64,66 : 삽입홈
68 : 가이드부재 70 : 걸림부재
72 : 경사면 74 : 걸림후크
본 발명은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결착을 도모하기 위한 록킹구조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갖추어지면서 아울러, 배터리 팩의 결착을 위한 록킹수단이 직접 탄지되는 탄성력을 이용하게 되어, 록킹에 대한 강력한 체결력을 그대로 발휘하면서도 사용자가 배터리 팩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을 더욱 쉽게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개선된 록킹구조에 의하여 설치공간과 동작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확보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키노브의 이동거리에 대한 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표면으로부터 삭제되어 외관 디자인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고, 그에 따라 외관상 깔금한 인상을 주어 미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동통신단말기(10)는, 백 케이스(12)의 일면에 배터리 팩(14)이 결합되며, 이러한 배터리 팩(14)을 분리 또는 결착할 수 있도록 백 케이스(12)의 중앙부분에는 록킹수단(16)이 설치된다.
상기 록킹수단(16)의 구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이동통신단말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키노브(18)와, 이 키노브(18)와 백 케이스(12)의 걸림돌기(20) 사이에 탄성스프링(22)이 설치됨으로써, 직접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강력한 체결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키노브(18)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길이(d1)와, 배터리 팩(14)과의 결착을 위하여 키노브(18)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거리(d2)를 감안할 때, 최종적으로 록킹수단(16)이 설치되는 설치길이(D)만큼 확보하여야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가 더 길어지게 되고, 특히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2)이 이동통신단말기(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설치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노브(18)의 이동거리(d2)에 대한 홈부(24)가 이동통신단말기(10)의 표면으로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백 케이스(12)와의 일체감 및 깔금함을 주 지 못하여 미관이 저하되며, 이러한 홈부(24)의 노출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설계상 제약과 한계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키노브(18)가 백 케이스(12)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배터리 팩(14)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예를들어 한손은 이동통신말기(10)를 감싸면서 양 측면을 파지하게 되고, 다른 손은 배터리 팩(14)의 분리를 위하여 키노브(18)를 이동거리(d2)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배터리 팩(14)을 완전히 분리시킬 때까지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만 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다 사용하고도 배터리 팩(14)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배터리 팩의 결착을 도모하기 위한 록킹구조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갖추어지면서 직접 탄지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록킹에 대한 강력한 체결력을 발휘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배터리 팩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을 더욱 쉽게 하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또한, 개선된 록킹구조에 의하여 설치공간과 동작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확보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키노브의 이동거리에 대한 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표면으로부 터 삭제되어 외관 디자인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고, 그에 따라 외관상 깔금한 인상을 주어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 케이스와 결합 되는 배터리 팩의 일측 내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부재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팩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는 키 노브를 일측에 구비시킨 연결부재와, 록킹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수평 배치될 수 있도록 해당 고정부재에 각각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와 록킹부재 간에는 연결대가 일측 고정부재만을 통과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일측단은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연결대에 탄지되고, 타측단은 록킹부재로 결합되어 일측 고정부재의 측면에 탄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와 연동하는 록킹부재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록킹부재와의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백 케이스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배터리 팩이 백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 팩(30)에 형성되는 공간부(32)의 일측 내면에 한쌍의 고정부재(34,36)가 수평으로 거리를 가지고 고정되어 있다.
그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34)에는 내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가이드홈(38)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고정부재(36)에는 내측면과 상부로 개방되는 각각의 가이드홈(40,4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38,40)과 수평으로 일치하는 배터리 팩(30)의 일 측면에는 통공(44)이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4,36)와 통공(44)에는 록킹수단(46)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수단(46)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록킹수단(46)의 일측에 키노브(48)가 구비되어 상기 통공(44)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키노브(48)와 연결되는 연결부재(50)는 배터리 팩(30)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배치되어 고정부재(34)의 가이드홈(38)에 결합되는 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50)에는 고정부재(34)를 기준으로 양편에 스톱퍼(52)와 밀대(54)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와 간격을 가지며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록킹부재(56)는 다른 고정부재(36)의 가이드홈(40)에 결합 되는 상태로 통과하게 되며, 이 록킹부재(56)의 소정위치에는 한쌍의 걸림부(58)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는 고정부재(34)와 고정부재(36) 사이에서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분리된 상기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 간에는 연결대(62)가 일측 고정부재(36)의 가이드홈(42)만을 통과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4)와 고정부재(36)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단은 연결부재(50)로 결합되면서 연결대(62)에 탄지되고, 타측단은 록킹부재(56)로 결합되면서 일측 고정부재(36)의 측면에 탄지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백 케이스(12)에는 상기 록킹부재(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64,66)을 각각 형성한 가이드부재(68) 및 걸림부재(70)가 서로 번갈아 설치.고정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재(70)의 상단부에는 일 측면을 경사면(72)으로 형성시킨 걸림후크(74)가 구비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록킹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손으로 배터리 팩(30)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백케이스(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터리 팩(30)의 걸림부(58)를 백 케이스(12)의 걸림후크(74)에 밀착시킨 후, 배터리 팩(30)을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위와 같이 배터리 팩(30)을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배터리 팩(30)의 걸림부(58)가 걸림후크(74)의 경사면(72)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서 록킹수단(46)이 배터리 팩(30)의 내측방향으로 전체가 이동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0)는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8)가 걸림후크(74)의 하단을 벗어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60)가 탄발하면서 연결부재(50)를 외측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가 연결대(62)에 의하여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걸림부(58)의 상부에 걸림후크(74)가 위치하게 되어 백 케이스(12)와 배터리 팩(30)간에 결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백케이스(12)에 결착된 배터리 팩(30)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수단(46)의 키노브(48)가 이동통신단말기(1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백케이스(12)를 감싸면서 쥐고, 파지한 손으로 키노브(48)를 바로 누르게 되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와 연동하는 연결대(62)가 내측방향으로 연동하여 탄성부재(60)를 압축시키게 되면서 동시에 록킹부재(56)를 배터리 팩(3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부(58)가 걸림후크(74)를 벗어나면서 걸림이 해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배터리 팩(30)을 정확히 파지 후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력한 체결력을 그대로 발휘하면서 사용자가 배터리 팩(30)의 결합과 분리에 따른 조작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고, 설치공간과 동작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확보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키노브(18)의 이동에 따른 홈부(24)가 이동통신단말기(10)의 표면으로부터 삭제되어 외관 디자인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키노브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갖추어지고, 또한 키노브의 동작이 배터리 팩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록킹에 대한 강력한 체결력을 그대로 발휘하면서도 사용자가 배터리 팩의 결합과 분리에 대한 조작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록킹수단이 배터리 팩의 폭을 따라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설치공간이 최소화됨으로써, 확보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팩과의 결착을 위한 키노브의 홈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표면으로부터 삭제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과 일체감을 주면서 외관 디자인의 설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하고, 아울러 외관상 깔금한 인상을 주어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백 케이스(12)와 결합 되는 배터리 팩(30)의 일측 내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4,36)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팩(30)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는 키 노브(48)를 일측에 구비시킨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가 상기 고정부재(34,36) 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수평 배치될 수 있도록 해당 고정부재(34,36)에 각각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50)와 록킹부재(56) 간에는 연결대(62)가 일측 고정부재(36)만을 통과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재(34)와 고정부재(36)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60)의 일측단은 연결부재(50)로 결합되어 연결대(62)에 탄지되고, 타측단은 록킹부재(56)로 결합되어 일측 고정부재(36)의 측면에 탄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50)와 연동하는 록킹부재(56)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록킹부재(56)와의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백 케이스(12)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부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70)에는 록킹부재(56)에 구비되는 걸림부(58)와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후크(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86091A 2004-10-27 2004-10-27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91A KR100603706B1 (ko) 2004-10-27 2004-10-27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91A KR100603706B1 (ko) 2004-10-27 2004-10-27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95A KR20060036995A (ko) 2006-05-03
KR100603706B1 true KR100603706B1 (ko) 2006-07-20

Family

ID=3714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91A KR100603706B1 (ko) 2004-10-27 2004-10-27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785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44190A (ko) *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힌지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42268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785A (ko) * 2001-10-25 2003-05-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44190A (ko) * 2001-11-29 2003-06-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힌지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42268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33785
1020030044190
10200400422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95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8303B2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US5730342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EP0587319B1 (en) Buckle for watch bands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EP1585290A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658457B2 (en) Inner sliding rail mounting structure for sliding track assembly for drawer
JPH05315027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20060186148A1 (en) Combination method of a modularized clamp structure
JP3138146U (ja) スライドレール
KR100603706B1 (ko) 측면 조작방식의 록킹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US7218731B2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cover part of a subscriber terminal device
CN211319972U (zh) 一种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210581343U (zh) 具有双扳钮式锁具之箱体
JPH09204909A (ja) バッテリケース脱着機構
KR100782057B1 (ko) 푸시락 스위치
KR100629882B1 (ko)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408899Y1 (ko) 푸시락 스위치
JP2002120483A (ja) バインダーの綴じ具
JPS583417Y2 (ja) ケ−ス
KR200500828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200327772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체결구조
KR940000259Y1 (ko) 캠 코더의 핸들 착탈 장치
KR1006365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