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665B1 -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665B1
KR100602665B1 KR1020040034802A KR20040034802A KR100602665B1 KR 100602665 B1 KR100602665 B1 KR 100602665B1 KR 1020040034802 A KR1020040034802 A KR 1020040034802A KR 20040034802 A KR20040034802 A KR 20040034802A KR 100602665 B1 KR100602665 B1 KR 10060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emperature
cooling water
coolant
circul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787A (ko
Inventor
이명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6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관의 구간 중 엔진과 히터 코어 사이에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 초기 운전 시, 냉각수가 냉각수관을 순환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시간에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이동하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 차량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수관, 엔진, 히터 코어, 온도조절기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Improving structure of engine in car}
도 1은 종래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관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20 : 히터 코어
30 : 라디에이터 50 : 온도조절기
70 : 냉각수관 100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관의 구간 중 엔진과 히터 코어 사이에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형성하여 겨울철 초기 운전 시, 냉각수가 냉각수관을 순환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시간에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이동하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 차량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엔진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냉각수와 오일이 순환할 수 있는 각각의 순환관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냉각수는 엔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내 난방에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관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부에는 엔진(10)이 형성되고, 난방을 위한 히터 코어(20)가 형성되며, 상기 엔진(10)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라디에이터(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10), 히터 코어(20) 및 라디에이터(30)를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냉각수관(7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관(70)은 냉각수가 엔진(10)의 내부를 순환하고, 상기 히터 코어(20)의 내부를 순환한 후, 다시 엔진(10)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난방용 순환과정과 상기 엔진(10)의 내부를 순환한 후, 라디에이터(30)를 순환하고, 다시 엔진(10)으로 유입되는 과열방지용 순환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 코어(20)를 거친 냉각수관(70)이 엔진(10)으로 유입되는 부분은 상기 라디에이터(30)를 거쳐 엔진(1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관(7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라디에이터(30)로 유입되는 냉각수관(70)의 소정위치에는 온도조절기(50)가 형성된다.
상기 온도조절기(50)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온도에 따라 라디에이터(30)에 유입되는 냉각수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엔진(10)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됨으로 엔진(1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 이상일 경우 완전 개방하여 상기 라디에이터(30)에서 열교환 된 저온의 냉각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난방용 순환과정과 과열방지용 순환과정을 거친 냉각수가 합쳐져 상기 엔진(10)에 유입되는 냉각수관(70)에는 엔진(10)에 과도하게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패스관(60)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관(60)은 엔진(1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 중 일부를 리턴박스(40)로 유입시켜 상기 엔진(1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적정량으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겨울철 초기 운전 시, 외부 온도에 의해 엔진(10)의 온도가 쉽게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이 엔진(10)과 열교환되는 냉각수 역시 온도상승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실내 난방을 하게 되면, 차가운 바람이 실내로 토출됨으로 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데, 특히, 디젤차량의 경우 엔진의 온도상승은 더욱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으로 난방효율은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난방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는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는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냉각수관의 구간 중 엔진과 히터 코어 사이에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형성하여 겨울철 초기 운전 시, 냉각수가 냉각수관을 순환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시간에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이동하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 차량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냉각수가 엔진과 히터 코어 및 라디에이터를 거친 후 다시 엔진으로 순환되도록 형성된 냉각수관과; 상기 냉각수관의 구간 중 엔진과 히터 코어 사이에 구비되어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냉각수의 온도 및 엔진의 RPM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겨울철 초기 운전 시, 냉각수가 냉각수관을 순환하는 것을 일정시간 차단하여 단시간에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이동하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 차량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부에는 엔진(10)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10) 내부를 냉각수가 거칠 수 있도록 냉각수관(7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관(70)의 냉각수 순환은 상기 엔진(10)을 거친 후, 히터 코어(20)를 거치게 되고, 다시 상기 엔진(10)으로 순환되도록 형성된 난방용 순환과 상기 엔진(10)을 거친 후, 라디에이터(30)를 거치고, 다시 엔진(10)으로 순환되는 과열방지용 순환으로 나눠진다.
상기 냉각수 난방용 순환은 엔진(10)의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상기 히터 코어(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자동차 실내에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 난방을 하고, 냉각수의 온도는 저하된다.
이때, 냉각수가 상기 엔진(10)에서 히터 코어(20)를 거칠 수 있도록 형성된 냉각수관에 제어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냉각수의 온도 및 상기 엔진(10)의 rpm에 따라 그 개폐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가 엔진(10)과 히터 코어(20) 및 라디에 이터(30)를 거친 후, 다시 엔진(10)으로 순환하도록 냉각수관(70)이 구비되고, 이 냉각수관(70) 중 상기 엔진(10)과 히터 코어(20) 사이에 제어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개폐정도가 다르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냉각수가 일정온도 이상일 경우 개방되기 시작하여 점점 그 개방정도가 증가되다가 완전 개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엔진(10)으로 이동된 냉각수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엔진(10)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 엔진(10)과 열교환된 냉각수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유량이 조절됨으로 히터 코어(20)로 이동되는 냉각수는 고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 고온의 냉각수가 공기와 열교환됨으로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엔진(10)의 rpm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어 그 개폐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속도가 느리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저온일 경우, 상기 제어부(100)를 차단하여 열원을 확보하고, 자동차의 속도가 빠르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고온일 경우, 그 온도 및 엔진(10)의 rpm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를 개방하여 냉각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에 의하면, 겨울철 초기 운전 시, 냉각수가 냉각수관을 순환하는 것을 일정시간 차단하여 단시간 에 엔진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할 수 있고, 이 엔진과 열교환된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이동하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 차량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냉각수가 엔진과 히터코어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난방용 순환유로, 냉각수가 엔진과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과열방지용 순환유로를 구비하는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순환유로와 과열방지용 순환유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난방용 순환유로의 입구부에 난방용 순환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과열방지용 순환유로의 입구부에 과열방지용 순환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를 구비하여,
    차량의 시동 초기에 냉각수의 온도가 낮으면, 상기 제어부와 온도조절기가 모두 폐쇄되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다가, 엔진이 가열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제어부가 개방되어 난방용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순환하다가, 온도가 더욱 상승하면 상기 온도조절기도 개방되어 난방용 순환유로와 과열방지용 순환유로 모두를 통해서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각수의 온도 및 엔진의 rpm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KR1020040034802A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KR10060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802A KR100602665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802A KR100602665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87A KR20050109787A (ko) 2005-11-22
KR100602665B1 true KR100602665B1 (ko) 2006-07-20

Family

ID=3728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802A KR100602665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87A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9222B2 (ja) 車両用熱交換器の通風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173543A (ja) 電池冷却/加温装置
KR100602665B1 (ko) 자동차 엔진성능 향상구조
KR102478089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KR20120050845A (ko)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 순환회로
KR101240727B1 (ko) 자동차의 가변 공기유입 에어셔터
JP2007120381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5083225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油温制御装置
JP2008082225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WO2011089705A1 (ja) 車両の冷却装置
KR102019321B1 (ko) 유량제어밸브의 제어방법
US2018014791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2016211482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KR20050082301A (ko) 자동차 바이패스관 제어장치
JP2013060854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13072350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KR101409483B1 (ko) 차량 엔진 냉각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3286845A (ja) 水冷式エンジン冷却装置
KR102614149B1 (ko) 터보차저용 냉각수 순환구조
KR100380682B1 (ko) 가압식 리저버탱크 구조
KR100633123B1 (ko) 자동차 난방성능 향상구조
WO2021193487A1 (ja) 車両用冷却装置
JPH0726955A (ja) 車両用油温制御装置
JP2002349790A (ja) 油温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4285830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