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541B1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41B1
KR100602541B1 KR1020050001071A KR20050001071A KR100602541B1 KR 100602541 B1 KR100602541 B1 KR 100602541B1 KR 1020050001071 A KR1020050001071 A KR 1020050001071A KR 20050001071 A KR20050001071 A KR 20050001071A KR 100602541 B1 KR100602541 B1 KR 10060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take port
power plant
transfer pip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672A (ko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to KR10200500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5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65D41/047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the cap being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구 상부의 설치공에 인접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 상하단의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각각 관통고정되는 서포터에 체결고정되며, 소정크기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설치고정되며 내측으로 베어링이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상부에 게재되며 상하단이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작동부가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공에서 취수구로 승하강되도록 하고 하강된 작동부가 소정각도로 선회되도록 하는 드라이빙 유니트와;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서 직교되게 설치되는 붐의 선단에 장착된 원통형태의 흡입부가 취수구 내부의 지면에 적층된 갯벌 흙을 흡입할 수 있게 펌핑하도록 된 제1유압펌프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흙이 취수구 밖으로 이송되도록 작동부의 중공부와 붐 상단 및 흡입부에 연결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작동부의 밖으로 노출되는 이송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이송관내부로 흡입되는 흙을 이송관 끝단까지 이송시키는 제2유압펌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취수구 내부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갯벌 흙을 제거하는 번거로움 없이 장비를 취수구로 하강시켜 내부를 관찰하면서 내부의 갯벌 흙을 흡입제거하게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Sandbar removing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갯벌 제거장치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의 하부구조(작동부, 붐, 흡입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갯벌 제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갯벌 제거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갯벌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선회와 붐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갯벌 제거시스템 102 : 취수구
103 : 설치공 104 : 고정공
105 : 고정너트 106 : 서포터
107 : 베이스 108 : 베어링
109 : 지지단 110 : 작동부
111 : 드라이빙 유니트 112 : 붐
113 : 흡입부 114 : 제1유압펌프
115 : 이송관 116 : 하부판
117 : 가이드홈 118 : 회전판
119 : 프레임 120 : 가이드롤러
121 : 연동스프로켓 122 : 구동스프로켓
123 : 제1유압모터 124 : 랙
125 : 피니언 126 : 제2유압모터
본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등의 취수구 내에 유입 적층되는 갯벌을 제거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로 부터 냉각 및 감속에 필요한 경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안 부근에 위치된 원자력 발전소 등의 취수구 내에 실사용시 유입 적층되어 냉각수의 원활한 공급에 차질을 제공하는 갯벌을 발전소의 운전 가동 중에도 청결하고도 신속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관리상의 편의성을 배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취수구 펌프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상업용 원전은 미국에서 개발한 가압경수로형과 비경수로형, 영국에서 개발한 고온가스 냉각로형, 캐나다에서 개발한 가압중수로형, 차세대 원자로인 고속증식로 등이 있다.
참고로 가압경수로형(PWR : Pressurized Water Reactor) 원전은 우라늄 235의 함유율이 2~5%정도되는 저동축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며, 냉각재와 가속재료는 물(경수)을 사용한다.
원자로의 계통은 약 150기압 정도 가압되어 원자로 내에서 물이 끊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고온으로 가열된 물은 증기 발생기 내에서 열교환을 통해 급수를 증기로 만들어 준다.
열교환을 거친 물은 다시 원자로 내로 순환되어 가열된 후 증기 발생기 내의 관(Tube)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우리나라는 월성 원자력발전소를 제외한 모든 원자력발전소가 가압경수로형이며, 가압중수로형(PHWR :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원전은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하고 중수를 감속재와 냉각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 외에는 가압경수로형 원전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우리나라의 월성 원자력발전소가 가압중수로형이며 특히 중수로는 운전 중에도 연료를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속증식로(FBR :Fast Breeder Reactor)는 천연우라늄 중 99.3%를 차지하고 있는 우라늄 238을 원자로 내에서 프루토늄 239로 전환시켜 이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소모되는 연료에 비해 더 많은 새로운 연료가 만들어지는 이상적인 원자로이다.
현대 프랑스에서 124만KW 급의 슈퍼 피닉스 원전이 운전중에 있으며 일본에서도 원형로를 개발하여 운전 중에 있으나 현재로서는 경제성이 없어 상용화가 지 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성이 좋아져서 고속증식로가 상용화되면 현재의 우라늄 이용률이 60배 이상 증가될 수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자원빈국에서 특히 유리한 원자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경수로형 발전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재와 감속재로 물(경수)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전소는 경수의 취수공급이 원활한 지역, 즉 강 또는 바다가 인접한 지역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원활한 경수의 공급을 받기 위한 발전소의 위치적 특성에 의해 실사용시 경수를 발전소 내에 공급하기 위해 형성한 취수구에 의해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먼저, 주기적으로 발전소의 운행을 장시간 중지한 상태에서 취수구 내부를 청소해 주어야 함에 따라 발전소 운행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는 바, 발전소 1호기당 이에 경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안과 접하게 형성된 취수구는 통상적으로 8구인데 이를 주기적으로 운행 중지 상태를 취한 후 일일이 인부를 동원하여 유입 적층된 갯벌을 제거해야 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항상 취수구 내의 유입 적층된 갯벌의 양을 육안으로 관찰 체크하여야 취수구 내에 위치한 펌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고비용이 드는 인부를 동원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관리유지에 고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갯벌뿐만 아니라 다량의 이물질이 동반 유입되는 취수구 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인부를 투입하여 세척작업을 실시하는 가운데 잦은 안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바다로 부터 냉각 및 감속에 필요한 경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안 부근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 등의 취수구 내에 실사용시 유입 적층되어 냉각수의 원활한 공급에 차질을 제공하는 갯벌을 발전소의 운전 가동중에도 청결하고도 신속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관리상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취수구 펌프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취수구(102) 상부의 설치공(103)에 인접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104) 상하단의 고정너트(105)에 체결되도록 각각 관통고정되는 서포터(106)에 체결고정되며, 소정크기의 제1관통공(107a)이 형성된 베이스(107)와; 상기 제1관통공(107a)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설치고정되며 내측으로 베어링(108)이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단(109)과; 상기 지지단(109)의 상부에 게재되며 상하단이 관통되도록 중공부(110a)가 형성된 작동부(110)가 제1관통공(107a)을 관통하여 설치공(103)에서 취수구(102)로 승하강되도록 하고 하강된 작동부(110)가 소정각도로 선회되도록 하는 드라이빙 유니트(111)와; 상기 작동부(110)의 하단에서 직교되게 설치되는 붐(112)의 선단에 장착된 원통형태의 흡입부(113)가 취수구 (102) 내부의 지면에 적층된 갯벌 흙을 흡입할 수 있게 펌핑하도록 된 제1유압펌프(114)와; 상기 흡입부(113)로 흡입된 흙이 취수구(102) 밖으로 이송되도록 작동부(110)의 중공부(110a)와 붐(112) 상단 및 흡입부(113)에 연결설치되는 이송관(115)과; 상기 작동부(110)의 밖으로 노출되는 이송관(115)의 끝단에 결합되어 이송관(115)내부로 흡입되는 흙을 이송관(115) 끝단까지 이송시키는 제2유압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102)의 갯벌 제거시스템(101)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빙 유니트(111)는, 소정너비를 가지며 소정크기의 제2관통공(116a)이 형성된 하부판(116)과; 상기 하부판(116)의 저면에 설치되며, 지지단(109)의 베어링(108)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홈(117)이 외경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관통공(118a)이 형성된 회전판(118)과; 상기 회전판(118)이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선회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판의 선회수단과; 상기 하부판(116)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19)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9) 사이에 작동부(110)를 결합시켜 작동부(110)가 제2관통공(116a)과 제3관통공(118a)을 관통하여 설치공(103)에서 승하강되게 하는 작동부의 승하강수단과; 상기 작동부(110) 양측면의 코너부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119) 내부 양측에서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되게 설치되어 작동부(110)가 프레임(119)사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게 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의 선회수단은, 상기 회전판(118) 하부에 설치되고 제4 관통공(127)이 형성된 연동스프로켓(121)과; 상기 연동스프로켓(121)에 외감되는 체인과; 상기 베이스(107)에 설치되는 제1유압모터(123)에 의해 구동되며, 연동스프로켓(121)에 외감되는 체인에 외감되는 구동스프로켓(122)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승하강수단은, 상기 작동부(110)의 양측면의 상부와 하부로 연장설치되는 랙(124)과; 상기 작동부(110)의 양측면 랙(124)에 치합되도록 프레임(119)의 내측에 설치되는 어느 한 쌍의 가이드롤러(120) 회전축(120a)에 각각 외감되는 피니언(125)과; 상기 프레임(119)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피니언(125)이 설치된 가이드롤러(120b)를 회전시키도록 된 제2유압모터(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10) 하단과 붐(112) 선단에 초음파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원격에 위치한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서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면 작동부(110)의 승하강과 작동부(110)의 선회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작동부(110) 하단과 붐(112) 선단에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원격에 위치한 모니터(도시하지 않음)로 영상정보를 전송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 도 1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의 취수구(102) 상단에 형성된 설치공(103) 주변에는 다수개의 고정공(104)이 취수구(102)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공(104)에는 외경면에 나사가 형성된 서포터(106)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공(104)의 외부로 노출된 서포터(106)에는 고정너트(105)를 체결하 여 서포터(106)가 고정공(104)에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서포터(106)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너비를 가지며, 소정크기의 제1관통공(107a)이 형성된 베이스(107)를 체결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7)의 제1관통공(107a)의 주변(즉, 제1관통공(107a)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단(109)이 고정되도록 볼트로 체결고정시키고, 이 지지단(109)의 내측(즉, 제1관통공(107a)의 중심방향)으로는 베어링(108)이 돌설되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108)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드라이빙 유니트(111)의 회전판(118)의 가이드홈(117)에 삽입되어 회전판(118)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드라이빙 유니트(111)는 상기 베이스(107)의 상부에 게재되어 작동부(110)를 수직승하강시키거나 좌우선회동작하도록 구현하는 유니트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판(116)은 소정너비를 가지며 소정크기의 제2관통공(1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단(109)의 베어링(108) 상부에 배치되고, 이 하부판(116)의 저면에는 외경면에 가이드홈(117)이 형성되고 제3관통공(118a)이 형성된 회전판(118)이 설치되는 바, 이 회전판(118)은 베어링(108)이 가이드홈(117)에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회전판(118)이 회전 또는 선회할 때 베어링(108)이 가이드홈(117)에서 원활한 구름접촉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단(109) 및 베어링(108) 상부에 드라이빙 유니트(111)가 안정되게 결합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118)을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왕복선회되도록 하는 회전판(118)의 선회수단을 설명하면, 하부판(116)의 상부에 한 쌍의 프레임(119)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설치하고, 회전판(118)의 하부에는 연동스프로켓(121)을 설치하되, 일렬 또는 복열로 설치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7)의 소정위치에는 원격의 유압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1유압모터(123)를 설치하되, 제1유압모터(123)의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에는 연동스프로켓(121)과 동일한 열수를 가지는 구동스프로켓(122)을 축설하여 체인으로 하여금 연동스프로켓(121)과 구동스프로켓(122)이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9) 내측에는 프레임(119)내측에 결합되어 제1, 제2, 제3, 제4관통공(107a)(116a)(118a)(121a)으로 관통되는 작동부(110)가 수직방향으로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a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이드롤러(120)를 설치하는 바, 이 가이드롤러(120)는 한 쌍의 'T'자 형태의 원통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H'의 형태)로 성형되어 작동부(110)의 'ㄱ','ㄴ'자의 형태를 갖는 코너부에 밀착됨으로써 수직레벨이 고정하는 것으로 작동부(110)의 승하강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어야 하므로 프레임(119)에 설치되는 작동베어링(119a)이 가이드롤러(120)의 축단을 외감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10)가 드라이빙 유니트(111) 또는 프레임(119)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제2, 제3, 제4관통공(107a)(116a)(118a)(121a) 및 설치공(103)을 관통하여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의 승하강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부(110)의 양측면에는 랙(124)을 소정길이로 연장설치하고, 작동부(110)의 양측면 랙(124)에 치합되도록 프레임(119)의 내측에 설치되는 어느 한 쌍의 가이드롤러(120b) 회전축(120a)에 각각 피니언(125)을 도 1a,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감시켜 랙(124)에 피니언(125)이 치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25)이 설치된 가이드롤러(120b)의 회전축(120a) 일단에는 프레임(119) 일측면에 설치고정되는 제2유압모터(126)의 구동축이 축설되도록 하여 제2유압모터(126)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125)이 설치된 가이드롤러(120)가 회전하면, 피니언(125)의 회전과 동시에 치합된 랙(124)이 피니언(1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하게 되어 작동부(110)가 동반승강 또는 동반하강하게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110)의 하단에는 도 1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작동부(110)와 직교되게 소정길이의 붐(112)을 설치하고, 이 붐(112)의 선단에 원통형태의 흡입부(113)를 장착하되, 이 흡입부(113)에는 흡입부(113)를 통하여 취수구(102) 내부의 지면에 적층된 갯벌 흙을 흡입하도록 펌핑하는 제1유압펌프(114)를 설치하여 제1유압펌프(114)에 의한 펌핑력(흡입력)에 의하여 흙이 흡입부(113)로 용이하게 흡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3)에는 외부에서 작동부(110)의 중공부(110a)를 경유하여 붐(112)의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115)이 연결되도록 하여 흡입부(113)로 흡입된 흙이 취수구(102) 밖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10)의 밖으로 노출되는 이송관(115)의 끝단에는 제2유압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송관(115)내부로 유입 또는 흡입된 흙이 이송 관(115) 끝단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110) 하단과 붐(112) 선단의 소정위치에는 초음파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하여 원격의 콘트롤러에서 작동부(110) 및 붐(112)의 하강시 갯벌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승하강을 제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붐(112)의 선단 소정위치(정면, 좌우측)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원격의 콘트롤러에서 붐(112)의 선회시 장애물 근접상황에 따라 선회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10) 하단과 붐(112) 선단에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원격에 위치한 모니터로 영상정보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한 작업자가 취수구(102)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로 관측하면서 작동부(110)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수구(102) 내부와 설치공(103)에 장착된 본 발명에 의한 갯벌 제거시스템(101)의 작동부(110)의 단면은 첨부된 도면에 'ㅁ'자로 도시되었으나, 단지 이송관(115)을 내장하기 위해 필요한 중공부(110a)와 시스템의 특징상 작동봉은 수직으로 직선 왕복동하도록 된 점에서 이 작동부(110)를 작동부(110) 외측에서 가이드롤러(120)로 견고하게 견착시키기 위해서 최대한의 접촉면적이 필요하므로 'ㅁ'자의 형태를 갖춘것으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베이스(107) 상부에 설치되는 드라이빙 유니트(111)의 프레임(119)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부(110)는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일 수도 있으며, 일체형일 수도 있으나, 장비설치 및 운반 등을 고려할 때, 가급적 분리형태로 이루 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작동부(110)의 일체형, 분리형의 형태도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않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레임(119) 내측에 설치되되 상하배열된 가이드롤러(120)의 내측으로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작동부(110)가 프레임(119) 내측의 가이드롤러(120) 사이로 삽입되면 'ㅁ'자 단면을 가지는 작동부(110)의 코너부는 양측 'H'형 가이드롤러(120) 사이에 위치되어 접촉되고, 도 4(도 2의 A-A선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20) 사이에 접촉된 작동부(110)의 랙(124)은 가이드롤러(120b)의 회전축(120a)에 외감된 피니언(125)에 치합된다.
즉, 상기 피니언(125)에 치합된 랙(124)에 의해 작동부(110)는 중량에 의한 하강이 멈춤유지되며, 이는 피니언(125)이 축설된 가이드롤러(120b)의 일단 회전축(120a)이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모터(126)에 의해 회전멈춤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멈춤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압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2유압모터(126)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피니언(125)의 회전에 따라 랙(124)이 승하강하게 되고, 이때, 작동부(110)도 동반적으로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10)의 하단에는 초음파센서나 카메라를 설치하여 하강시 초음파센서에 의한 바닥면과의 거리감지와 모니터로 전송되는 카메라의 영상정보로 바닥면의 상태를 감지하여 하강정도를 콘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부(113)의 제1유압펌프(114)를 가동하여 갯벌 흙을 흡입부(113)로 흡입시킬 때에는 흡입된 흙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제2유압펌프도 동시에 작동되어 이송관(115)내의 흙이 이송관(115)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바, 취수구(102) 바닥내의 넓은 지역에 분포된 갯벌 흙을 흡입시키기 위해서는 붐(11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되면서 부채꼴 모양에 산재된 흙을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제1유압모터(123)를 가동하여 구동스프로켓(122), 체인 및 연동스프로켓(121)에 의해 회전판(118) 및 하부판(116)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프레임(119)과 가이드롤러(120)에 결합된 작동부(110)를 회동시키는 바, 이때,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18)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홈(117)에는 베이스(107)의 지지단(109)에 결합된 베어링(108)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름접촉하고 있으므로 하부판(116)과 회전판(118)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압모터(123)는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동스프로켓(121), 회전판(118), 하부판(116) 및 드라이빙 유니트(111)는 모두 일정각도 내에서 지속적으로 정역회전하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회동작이 반복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붐(112)의 선단 중앙이나 좌우측에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화상정보가 모니터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바닥의 상태 및 장애물의 근접상황을 미연에 감지하여 적당한 조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센서의 장착을 겸비하여 취수구(102) 내부가 카메라로 식별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애물을 초음파센서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취수구 내부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갯벌 흙을 제거하거나, 이러한 갯벌 제거작업을 하기 위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설치된 갯벌 제거시스템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조정하여 취수구 내부의 갯벌 흙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발전소의 운전정지로 발생하는 시간적, 경제적인 에너지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인원의 감소로 유지관리에 소비되는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취수구 상부의 설치공에 인접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공 상하단의 고정너트에 체결되도록 각각 관통고정되는 서포터에 체결고정되며, 소정크기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설치고정되며 내측으로 베어링이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상부에 게재되며 상하단이 관통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작동부가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공에서 취수구로 승하강되도록 하고 하강된 작동부가 소정각도로 선회되도록 하는 드라이빙 유니트와;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서 직교되게 설치되는 붐의 선단에 장착된 원통형태의 흡입부가 취수구 내부의 지면에 적층된 갯벌 흙을 흡입할 수 있게 펌핑하도록 된 제1유압펌프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흙이 취수구 밖으로 이송되도록 작동부의 중공부와 붐 상단 및 흡입부에 연결설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작동부의 밖으로 노출되는 이송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이송관내부로 흡입되는 흙을 이송관 끝단까지 이송시키는 제2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유니트는,
    소정너비를 가지며 소정크기의 제2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지지단의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홈이 외경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관통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선회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판의 선회수단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작동부를 결합시켜 작동부가 제2관통공과 제3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공에서 승하강되게 하는 작동부의 승하강수단과;
    상기 작동부 양측면의 코너부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 내부 양측에서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되게 설치되어 작동부가 프레임사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하게 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선회수단은,
    상기 회전판 하부에 설치되며 된 제4관통공이 형성된 연동스프로켓과;
    상기 연동스프로켓에 외감되는 체인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1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연동스프로켓에 외감 되는 체인이 외감되는 구동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승하강수단은,
    상기 작동부의 양측면의 상부와 하부로 연장설치되는 랙과;
    상기 작동부의 양측면 랙에 치합되도록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어느 한 쌍의 가이드롤러 회전축에 각각 외감되는 피니언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피니언이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회전시키도록 된 제2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하단과 붐 선단에 초음파센서를 장착하여 원격에 위치한 콘트롤러에서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면 작동부의 승하강과 작동부의 선회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하단과 붐 선단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원격에 위치한 모니터로 영상정보를 전송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쉬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KR1020050001071A 2005-01-06 2005-01-06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KR10060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71A KR100602541B1 (ko) 2005-01-06 2005-01-06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71A KR100602541B1 (ko) 2005-01-06 2005-01-06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69U Division KR200380919Y1 (ko) 2005-01-06 2005-01-06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72A KR20060080672A (ko) 2006-07-11
KR100602541B1 true KR100602541B1 (ko) 2006-07-24

Family

ID=3717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071A KR100602541B1 (ko) 2005-01-06 2005-01-06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76B1 (ko) 2022-05-23 2022-11-09 한국동서발전(주) 수중 퇴적물 흡입펌프
KR102496028B1 (ko) 2022-10-31 2023-02-07 한국동서발전(주)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72A (ko)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84097B (zh) 一种漂浮物自动化打捞系统
KR101265771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CN201540040U (zh) 水力风机冷却塔
KR100602541B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
CN211898257U (zh) 一种坝口垃圾清理装置
KR20130121284A (ko) 에너지 자립 및 원격제어에 의한 수질개선 자동화 장치
KR200380919Y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장치
CN103171870B (zh) 一种石墨化电极的冷却和输送装置
CN109750646A (zh) 自动式拦污清污装置及拦污清污方法
CN201095542Y (zh) T型排自动上料装置中翻转机构
CN213061952U (zh) 一种水上漂浮物柔性拦截打捞机构
KR101689162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JP3193868U (ja) 水路の除塵装置
CN207313191U (zh) 一种水面浮油清理装置
KR200380916Y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용 흡입구선회장치
KR200380915Y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용 샤프트고정장치
KR101784775B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장치
CN108677900B (zh) 一种能自动随水位升降的拦污清污装置
CN110736100A (zh) 一种水冷式气化炉排渣机
JP6207907B2 (ja) ボルトの清掃装置
CN201952791U (zh) 清污机配套导栅
CN206800442U (zh) 一种土坑围蔽围挡
KR101358125B1 (ko) 풍력터빈용 유지관리장치
KR200380918Y1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갯벌 제거시스템용 샤프트견착기구
CN206203269U (zh) 升降输送传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