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915B1 -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915B1
KR100599915B1 KR1020047012194A KR20047012194A KR100599915B1 KR 100599915 B1 KR100599915 B1 KR 100599915B1 KR 1020047012194 A KR1020047012194 A KR 1020047012194A KR 20047012194 A KR20047012194 A KR 20047012194A KR 100599915 B1 KR100599915 B1 KR 10059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tation
resource
subscriber
communication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355A (ko
Inventor
가쯔또시 이노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6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 H04L47/765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riggered by the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1Centralised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31a)에서, 사용자(가입자 단말기)와의 접속 처리 및 실제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가 풀 상태에서도,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31b)에서, 사용자와의 논리적인 접속 유지를 위해서만 필요한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으면, 그 비어 있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를 휴지 상태에서 수용하기 위해, 제어부(32)는 미리 확보해 둔 무선 리소스, 또는 액티브 사용자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으로 만들어낸 비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패킷 통신의 토탈 리소스를 낭비없이 사용하고, 사용자의 패킷 서비스 접속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 PC, 인터넷, 네트워크, 인증 서버

Description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 통신 시스템{STATION APPARATUS,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STATION APR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의 교환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셀룰러 방식이나 WLL(Wireless Local Loop) 방식 등〕으로서, 기지국측에서의 패킷 데이터 통신의 리소스 관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로, 이 도 9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측 설비로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등의 가입자 데이터 통신 단말기(이하, PC라고 표기함)(101a, 101b)와, PC(101a)와 접속되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국측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2a)와, PC(101b)와 접속되어 실외 안테나(102c)를 통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국측과 통신을 행하는 SU(Subscriber Unit)(10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2a)는,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복수 존재하고 있다. 또, 이동 통신 단말기(102a)는,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MS(Mobile Station)라고 칭한다. 또한, WLL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2a)에 상당하는 것은 FWT(Fixed Wireless Terminal)라고 칭한다. 이하에는, 편의 상 이들을 총칭하여 단순히 「MS(102a)」라고 표기한다.
한편, 국측 설비로서는,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mission Subsystem)(103), 기지국 제어 장치(BSC: Base Station Control unit)(104), 인터넷(107)에 접속된 패킷 처리 장치로서의 패킷 데이터 배신 노드(PDSN: Packet data Distribution Serving Node)(105), 전화망(108)에 접속된 일반 음성 통화 처리 장치(106)로서의 일반 가입자 교환기(LE)나 이동 가입자 교환기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BTS(103)는, 각각 MS(102a)(또는 SU(102b))와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이고, BSC(104)는, 복수의 BTS(103)를 제어하여, BTS(103)와 PDSN(105) 또는 음성 통화 처리 장치(LE/MSC)(106) 사이의 IP(Internet Protocol) 패킷 데이터(이하, 단순히 「패킷」이라고 함) 또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호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 이하에는, BTS(103)와 BSC(104)를 총칭하여 단순히 「BS(134)」라고도 한다.
또한, PDSN(105)은, BSC(104)와 인터넷(107) 사이의 패킷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함과 함께, PC(101a)(또는 101b)와의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PP: Point to Point Protocol)을 종단하는 것이다. 또, 본 PDSN(105)은, PPP 링크(PPP 접속이라고도 함)를 MS(102a) 사이에서 확립할 때에 사용자 인증하기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170) 내의 인증 서버(171)와도 인터페이스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회선 교환형이라고 하는, 교환기 및 교환기 간 네트워크로 통신 경로가 교환되는 음성 통신 외에, 패킷 교환형이라고 하는, 패킷 전송 시스템(상기한 PDSN(105)이 이에 해당함)을 경유한 인터넷 통신이 실현된다.
즉, 음성 데이터는, BTS(103), BSC(104) 및 LE/MSC(106)를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PC(101a, 101b)-전화망(108) 사이를 전송하고, 패킷은 이 도 9 내에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BTS(103), BSC(104) 및 PDSN(105)을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PC(101a, 101b)-인터넷(107) 사이를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 통신(이하, 단순히 「패킷 통신」이라고도 함)은, 버스트적인 데이터의 발생(리얼타임성을 요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통신하고 있을 때(국측이 개별 이동 단말기 앞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을 때, 또는 반대로 이동 단말기로부터 국측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을 때)와, 통신하지 않을 때(국측이 개별 이동 단말기 앞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때, 또는 반대로 이동 단말기로부터 국측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때)가 명확하다. 이 때문에, MS(102a)와 BS(134) 사이에서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킷(사용자 데이터)은 전송되지 않는 시간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원래 일반적인 2W(웨이) 전화 시스템과는 달리, BS(134)와 MS(102a)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복수의 MS(102a)에서 공용하여 실현됨으로써, 배하(配下)의 MS(102a)가 동일 시기에 반드시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는 되어 있지 않다(BS(134)와 MS(102a) 사이에 집선되어 있다). 즉, 무선 채널 리소스(MS, BTS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리소스로, 예를 들면 소정의 무선 주파수, 확산 부호, 타임 슬롯, 메모리, BTS의 전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이하, 「무선 리소스」이라고 함)에 한정한다.
그래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통신에서는, 사용자가 패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동작(버스트적인 데이터 발생이라는 패킷 통신의 특징)과, 네트워크측의 리소스의 유효 이용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을 다른 사용자(MS(102a))의 접속에 할당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한다.
이것을 실현하는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통신에서는, 패킷 통신 서비스 특유의 네트워크 내의 호출 상태로서, 액티브(ACTIVE) 상태와 휴지(DORMANT) 상태가 표준 규격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ACTIVE 상태란, 예를 들면 도 10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 통신 서비스를 행하는 데에 필요한 MS(102a)와 BS(134) 사이의 통신 리소스가 모두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션 A(무선 채널)가 확립됨과 함께, MS(102a)에 접속되어 있는 PC(101a)와 PDSN(105) 사이의 논리적인 커넥션 B(PPP 링크)가 확립되어 있고, 이들 커넥션 A, B 상을 패킷의 송수신이 PC(101a, 101b)와 인터넷(107) 사이에서 행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DORMANT 상태란, 「상기한 커넥션 A와 커넥션 B 중, 커넥션 A(무선 채널)는 해제되고, 커넥션 B(PPP 링크)는 유지되어 있다」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DORMANT 상태에서는, MS(102a)는 PC(101a)에 대하여, BS(134)는 PDSN(105)에 대하여, 각각 마치 커넥션 A가 접속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PC(101a)로부터 패킷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여 인터넷(107)에 액세스할 때에, 네트워크 내의 호출 상태인 ACTIVE/DORMANT 상태의 차이를 알 수 없다. 또, ACTIVE/DORMANT 상태의 상태 천이의 일례를 하기에 나타낸다.
(1) 사용자(가입자)가 PC(101a)(또는 101b)로 인터넷(107)에 액세스 개시
(2) 사용자는 PC(101a)(또는 101b) 상에서 여러가지 홈페이지(WWW: World Wide Web)를 열람한다〔패킷(트래픽 데이터) 다발: ACTIVE 상태〕.
(3) 사용자가 있는 홈페이지를 PC(101a)(또는 101b) 상에서 숙독 중(트래픽 데이터 없음).
(4) 상기 (3)에 의해 트래픽 데이터가 없어지면, MS(102a)(또는 SU(102b)) 혹은 BS(134) 내에서 타이머 스타트.
(5) 타이머 만료로 BS(134)와 MS(102a)(또는 SU(102b))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취하여 DORMANT 상태로 천이.
(6) 사용자는 홈페이지를 PC(101a, 101b) 상에서 숙독 중.
(7) 사용자가 서로 다른 홈페이지를 열람하려고 PC(101a)(또는 101b)를 조작, 혹은 인터넷(107)측으로부터 PC(101a)(또는 101b) 앞으로의 트래픽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보내져 온 경우, BS(134)와 MS(102a)(또는 102b) 사이에서 커넥션(도 10에서의 커넥션 A)을 확립하고,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ACTIVE 상태)로 한다.
또, ACTIVE 상태, DORMANT 상태의 정의는, 표준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되지만, BS, BTS 사이의 무선 리소스 및 PPP 링크에 필요한 리소스가 확 보되어 있는 상태가 ACTIVE 상태, 무선 리소스는 확보되어 있지 않지만, 무선 리소스 확보에 의해, 확보되어 있는 PPP 링크에 필요한 리소스에 의해 패킷 통신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서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ACTIVE 상태에 있는 사용자를 ACTIVE 사용자라고 하고, DORMANT 상태에 있는 사용자를 DORMANT 사용자라고 한다. 즉, ACTIVE 사용자는, 패킷 통신 서비스를 실제로 행하고 있는 사용자(무선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며, DORMANT 사용자는 「한번, ACTIVE 사용자로서 패킷 통신을 행하고 있고, 그 후에 패킷 전송이 없어져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 MS(102a)(또는 102b)와 BS(134) 사이의 무선 리소스만을 해제한(상위의 PPP 링크에 필요한 리소스는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들 ACTIVE 사용자와 DORMANT 사용자의 수에 의해, 동시 접속수의 상한, 즉 물리적인 리소스의 상한이 정해지고, 이것이 BSC(104)에서 관리된다. 따라서, 새로운 패킷 통신 호출을 확립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ACTIVE 사용자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상의 BSC(104)에서는, ACTIVE 사용자수가 상한인 경우, 신규의 ACTIVE 사용자를 위한 통신 리소스(무선 리소스 등)가 없기 때문에, DORMANT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던 경우에도, 신규 호출(신규 접속 요구)을 거부(REJECT)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TIVE 사용자수 및 DORMANT 사용자수의 상한이 각각 "30"(즉, 최대 "60" 사용자의 수용이 가능)이라고 가정하면, BSC(104)는, ACTIVE 사용자가 상한("30")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규 접 속 요구가 있으면, DORMANT 사용자가 상한에 도달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현재 "2"), 그 요구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것은 DORMANT 사용자가 되기 위해서는 최초로 ACTIVE 사용자로 되어 있는 것(무선 채널이 할당되는 것)이 필요하고, 한번 ACTIVE 상태가 된 DORMANT 사용자만이 무선 리소스의 재확보에 의해 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TIVE 사용자수의 상한이 "1"이고, DORMANT 사용자수가 2 이상인 경우, 단말기(PC) Y는, 가장 빠르고, 시간 T2 이후, 즉 이미 다이얼 업 접속 요구에 의해 ISP(170)의 인증 서버(171)와의 인증이 행해져서 ACTIVE 상태가 된 단말기(PC) X가, 그 후의 패킷 송수신 없음인 상태가 시간 T2 계속됨으로써 DORMANT 상태로 천이한 후에, 접속 요구를 행하지 않는 한, 패킷 통신을 개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초 상정하였던 패킷 통신의 최대 수용수가 감소하여, 가입자로부터의 접속성의 단점에 대한 청구항이 발생하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ACTIVE 사용자수가 상한이더라도, DORMANT 상태로 이행 가능한 MS수(PPP 접속용 리소스 등의 리소스의 제약 상 허용되는 MS수)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신규 사용자를 적어도 무선 리소스의 획득에 의해 확보 완료한 PPP 접속용 리소스 등을 이용하여 즉시 패킷 통신 가능한 상태의 DORMANT 사용자로서 수용하기 위해서, 신규 호출의 접속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여, 패킷 통신의 가입자 수용수의 감소를 억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국측 장치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그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그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음 각 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그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그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
(2)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
(3) 접속 처리를 행한 후에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
(4)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더라도,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에서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 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국측 장치에서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가 없는 상태에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이하, 단순히 「가입자」라고도 함)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도, 휴지 가입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으면,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에서 미리 예비로서 확보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가입자는 국측 장치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실제로 패킷 데이터 통신(이하, 단순히 「패킷 통신」이라고도 함)을 행할 수 있다.
즉,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 그 가입자 단말기가 적어도 한번은 무선 리소스의 해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무선 채널의 비어 있는 부분이 부족하여도, 그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이 허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휴지 가입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어도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규 접속 요구가 거절되게 된다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어, 패킷 통신에 필요한 토탈 리소스를 낭비없이 사용하여, 가입자의 패킷 통신 서비스의 접속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의 국측 장치는,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그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그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 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
(2)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
(3)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켜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리소스를 만들어내고, 그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
즉, 이 경우의 국측 장치는, 미리 무선 리소스를 확보해두는 것은 아니고,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고, 그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은 없지만 휴지 가입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는 상태에서의 신규 가입자의 접속 처리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패킷 통신에 필요한 토탈 리소스를 낭비없이 사용하여, 가입자의 패킷 통신 서비스의 접속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신규로 패킷 통신 서비스에 접속한 가입자는, 그 후,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규 가입자의 접속 처리를 위해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킨 액티브 상태인 가입자에 대해서는, 그 후, 액티브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한층 더 패킷 통신에 필요한 토탈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가입자 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를 결정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조건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가입자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나, 액티브 상태가 된 가입자의 관리 번호, 일정 기간 내의 가입자의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의 상태 천이 횟수, 가입자가 액티브 상태가 되고나서 휴지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액티브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요구에 따라서 필요한 기준(조건) 설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강제적으로 액티브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가 일부 가입자에게 치우치게 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처리(통상 시)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처리(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 처리(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효과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접속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ACTIVE 상태와 DORMANT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 및 도 12는 모두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A) 제1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 이 도 1에서, 도 9에 의해 상술한 것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각각 도 9에 의해 상술한 것과 동일하거나 혹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단, 이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는, 도 9에서의 기지국(BTS)(103) 및 기지국 제어 장치(BSC)(104) 대신에, 국측 설비(장치)로서, BTS(1b) 및 BSC(1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도, BTS(1a)는, 각각 MS(102a)(또는 SU(102b))와 무선 인터페이스(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행하고, 그 무선 채널에 의해 통신을 행함으로써, BSC(1b)는, 이들 BTS(1a)를 제어하고, BTS(1a)와 PDSN(논리 접속 장치)(105) 또는 음성 통화 처리 장치(LE/MSC)(106) 사이의 IP 패킷 데이터(이하, 단순히 「패킷」이라고 함) 또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호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BSC(1b)는, 패킷 통신에서는, MS(102a)(또는 SU(102b))와 BTS(1a) 사이의 상기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그 무선 채널을 전송 경로의 일부(무선 구간)로서 MS(102a)(또는 SU(102b))와 논리적인 접속(후술하는 PPP 링크)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이들 BTS(1a)와 BSC(1b)를 총칭하여 단순히 「BS(1)」라고 표기한다.
이 BS(1)의 주요부의 기능에 주목하면, 본 실시예의 BS(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BS(1)는 수신부(11, 21), 제어 데이터/트래픽 데이터 스위치부(12, 22), 송신부(13, 23), 리소스 관리부(31) 및 제어부(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신부(11)는, PC(101a, 101b)(MS(102a) 또는 SU(102b))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트래픽 데이터(음성 데이터 또는 패킷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제어 데이터/트래픽 데이 터 스위치부(12)(이하, 단순히 「데이터 스위치부(12)」라고 함)는, 이 수신부(11)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예를 들면, 후술하는 패킷 접속 요구나 PPP 접속 요구 등)는 제어부(32)로, 그 이외의 트래픽 데이터는 다음단의 송신부(13)로 스위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송신부(13)는 상기한 데이터 스위치부(12)로부터 보내져 오는 트래픽 데이터를 PDSN(105) 또는 LE/MSC(106)로 송신함으로써, 이 때, 패킷 데이터는 PDSN(105)으로, 음성 데이터는 LE/MSC(106)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수신부(21)는 PDSN(105)(또는 LE/MSC(106))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트래픽 데이터(21)를 수신함으로써, 제어 데이터/트래픽 데이터 스위치부(22)(이하, 단순히 「데이터 스위치부(22)」라고 함)는, 이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예를 들면, 후술하는 트래픽 채널 어사인 지시나 응답 메시지 등)는 제어부(32)로, 트래픽 데이터는 다음 단의 송신부(23)로 스위치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부(23)는, 이 데이터 스위치부(22)로부터 보내져 오는 트래픽 데이터를 MS(102a) 또는 SU(102b)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소스 관리부(31)는, 주로 MS(102a) 또는 SU(102b)와의 패킷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함으로써, 여기서는 ACTIVE/DORMANT 상태의 MS(102a, 101a) 또는 SU(102b, 101b)(이하, 단순히 「사용자(가입자)」라고 총칭함)별로 각각 할당 가능한 통신 리소스(주로, PPP 링크나 무선 커넥션의 확립 등에 필요한 리소스)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PPP 링크(통신 링크)」란, 도 10에 도시한 커넥션 B에 상당하는 접속을 가리키며, 「무선 커넥션」이란, 도 10에 도시한 커넥션 A에 상당하는 접속을 가리킨다.
이 때문에, 상기 리소스 관리부(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와 DORMANT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b)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는, 사용자로부터의 패킷 접속 요구, 다이얼 업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무선 채널 및 PPP 링크(이하, PPP 접속이라고도 함)를 확립하여 실제로 패킷 통신을 ACTIVE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무선 리소스, PPP 접속용 리소스 등: ACTIVE 사용자 리소스)를 관리하는 것이다.
또, 본 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의 일부(무선 리소스)를 미리 「DORMANT 상태로의 즉시 이행용 무선 리소스(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로서 관리하는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31c)로서의 기능도 겸용한다.
이 「DORMANT 상태로의 즉시 이행용 무선 리소스」(이하, 단순히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이라고 함)이란, 한번 ACTIVE 사용자로서 접속한 후에, 즉시 DORMANT 사용자에게 강제적으로 이행시키는 것을 전제(조건)로 하여, MS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로, 그 무선 리소스를 할당된 MS는, ACTIVE 상태로 되어도, 통상의 ACTIVE 상태로부터 DORMANT 상태로의 천이의 계기로 되는 소정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지 않고, DORMANT 상태로 이행되는 대상이 된다. 이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을 이용한 리소스 할당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DORMANT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b)는, 도 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ACTIVE 상태의 사용자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DORMANT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PPP 접속(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무선 리소스를 제외함)를 DORMANT 사용자 리소스으로서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DORMANT 사용자는, 무선 리소스는 확보되지 않고, 재차 무선 리소스를 확보함으로써 ACTIVE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는 주로 제어 데이터로서 MS(102a) 또는 PDSN(10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한 리소스 관리부(31)(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에서 관리되어 있는 각 리소스 중 접속 처리(PPP 접속 및 무선 커넥션의 확립)에 필요한 리소스를 접속 요구원의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그 사용자와의 통신을 ACTIVE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이 제어는, 실제로는, 데이터 스위치부(12, 22)에 대하여 그 곳을 흐르는 패킷의 라우팅 설정을 행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본 제어부(32)에는, 이러한 기본 기능 외에, ACTIVE 상태 및 DORMANT 상태가 아닌 사용자로부터 신규 패킷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리소스 관리부(31)에 대하여 리소스 체크 요구를 행한다. 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도, DORMANT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b)에서 관리되어 있는 DORMANT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그 비어 있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를 DORMANT 상태로서 수용하기 위해, 상술한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 관리부(31c)에서 관리하고 있는 무선 리소스의 사용 허가를 제어부(32)에 통지한다.
제어부(32)는 이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MS와의 무선 채널을 확립(송신부(23), 수신부(11)에 상기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확립)하여, 후속하는 PPP 접속 요구에 대하여 리소스 관리부(31)에 PPP 접속용 리소스 취득 요구를 더 행하고, 그 응답을 받아, PPP 접속을 확립한다. 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는, ACTIVE 상태로 된다.
이하,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BS(1)에 의한 리소스 할당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다.
(1) 통상 시(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PC(101a, 101b)로부터 다이얼 업 접속 요구가 발행되면(단계 A1), 이 다이얼 업 접속 요구는 MS(102a, 102b)에서 접수되고, 패킷 접속 요구(Origination 메시지)로서, BS(1) 사이의 액세스 채널(Access CH)을 사용하여 BS(1)로 송신된다(단계 A2).
이 패킷 접속 요구는, BS(1)의 수신부(11)로 수신되어, 데이터 스위치부(12)에서 제어 데이터의 일종으로서 판단되어 제어부(32)로 건네받는다. 그렇게 하면, 제어부(32)는 상기 패킷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BS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패킷 접속 요구원의 MS(102a, 102b)로,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사용하여 송신하고(단계 A3), 리소스 관리부(31)에서 관리되어 있는 리소스의 현재의 사용 상황을 확인(리소스 체크)한다(단계 A4).
이 리소스 체크의 결과, 액티브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제어부(32)는 접속 요구원의 사용자를 ACTIVE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 스의 할당을 행함과 함께, MS(102a)(SU(102b))와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기용 아이들 데이터(Null Traffic channel data)를 생성하고, 그 동기용 아이들 데이터를, 트래픽 채널(Traffic CH)을 사용하여 MS(102a)(SU(102b))로 송신하고(단계 A5), 또한 MS(102a)(SU(102b))가 사용하여야 할 트래픽 채널의 할당(어사인) 지시(Extended Channel Assignment)를,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통하여 MS(102a)(SU(102b))로 송신한다(단계 A6).
MS(102a)(SU(102b))는, 이 트래픽 채널 어사인 지시를 수신하면, MS1로부터의 트래픽 채널 어사인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MS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지시된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MS(102a)(SU(102b))로 송신한다(단계 A7). 이후, MS(102a)(SU(102b))는, MS1로의 데이터 송신에 MS1로부터 지정된 트래픽 채널(이하, 지정 트래픽 채널이라고 함)을 사용하게 된다.
그 후, MS(102a)(SU(102b))는, MS1과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기용 아이들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정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BS(1)로 송신하고(단계 A8), BS(1)에서는, 제어부(32)에 의해, 그 동기용 아이들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BS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MS(102a)(SU(102b))로 송신한다(단계 A9).
또한, MS1의 제어부(32)는, MS(102a)(SU102b)로 서비스 접속 요구(Service Connect 메시지)를, 지정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MS(102a)(SU(102b))로 송신하고(단계 A10), MS(102a)(SU(102b))는 이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서비스 접속 완료 통지(Service Connect Completion 메시지)를, 지정 트래픽 채널에 의해 BS(1)로 송신한다(단계 A11).
이 서비스 접속 완료 통지를 받은 BS(1)(제어부(32))는, PDSN(105)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발행하고(단계 A12), PDSN(105)은 이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접속 응답을 BS(1)에 회신한다(단계 A13). 그 후, PC(101a, 101b)로부터 PDSN(105)에 대하여 PPP 접속 요구가 발행되고(단계 A14), 그 PPP 접속 요구가 PDSN(105)에서 수신되면, PDSN(105)은 ISP(170)(인증 서버(171))에 대하여 인증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A15).
인증 서버(171)는, 상기 인증 요구를 수신함으로써,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접속 요구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그 인증 결과(OK/NG)를 인증 응답으로서 PDSN(105)으로 회신한다(단계 A16). PDSN(105)은 인증 서버(171)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가 OK이면, PPP 접속 완료 통지를 접속 요구원의 PC(101a, 101b)에 대하여 발행한다(단계 A17).
이에 의해, ISP(170)에 의한 사용자 인증과 PC(101a, 101b)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부여가 행해져, PC(101a, 101b)와 인터넷(107)(ISP(170)) 사이의 PPP 링크가 확립하고, 이후 PC(101a, 101b)는, 인터넷(107)(ISP(170))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ACTIVE 상태)해진다(단계 A18).
(2)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
다음으로, 상기한 리소스 체크(단계 A4)의 결과, 액티브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다.
즉,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TIVE 사용자 리소스의 상한이 30 개로 현재 30개가 메워져 있고, DORMANT 사용자 리소스의 상한이 30개로 현재 2개밖에 메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ACTIVE 상태나 DORMANT 상태 모두 아님) 사용자(PC(101a, 101b)가 다이얼 업 접속을 실시(신규 접속 요구가 발행)하였다고 한다(단계 A2).
이 경우, 제어부(32)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은 없지만 DORMANT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즉, MS(102a)/SU(102b)와 BS(1) 사이의 무선 리소스(단,「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은 제외함)에 비어 있는 부분은 없지만 PPP 링크를 위한 리소스에는 비어 있는 부분이 있는 상태),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는지를 체크하여(단계 A4'), 비어 있는 부분이 있으면,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에 필요한 리소스으로서「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을 할당한다.
이에 의해, MS(102a)(SU(102b))-BS(1) 간 및 BS(1)-PDSN(105) 간에서 각각 필요한 무선 접속 처리가 도 3에 의해 상술한 수순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지고, MS(102a)(SU(102b))-PDSN(105) 간에서 PPP 링크가 확립하여, 신규 사용자는 ACTIVE 상태가 된다.
그 후, BS(1)(제어부(32))는, 신규에 ACTIVE 상태가 된 사용자를 DORMANT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MS(102a)(SU(102b))에 대하여 무선 커넥션의 해제 지시를 발행하고(단계 B1), MS(102a)(SU(102b))는, 이 해제 지시를 받음으로써, BS(1) 사이의 무선 커넥션을 해제하고, 해제 지시의 응답을 BS(1)에 회신한다(단계 B2). 이에 의해, 신규로 ACTIVE 상태로 된 사용자는 DORMANT 상태로 된다(단계 B3). 이 때,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 관리부(31c)는, 이 MS(102a)에 대하여 할당한 DORMANT 상태로의 즉시 이행용 무선 채널을 해제한다.
또, 이 때, BS(1)(리소스 관리부(31))는, 이 사용자를 DORMANT 사용자로서 관리한다. 따라서, 리소스 관리부(31)에서의 ACTIVE 사용자 리소스는 상한이고(30개), DORMANT 사용자 리소스는 1개 증가하여 3개가 된다. MS(102a)(SU(102b))측에서도 마찬가지의 관리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BS(1)에서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 중, 일정량의 무선 리소스를 항상 확보해두고, ACTIVE 사용자가 상한에 도달하고 있고,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상태에서 신규 발호(신규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도, DORMANT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이 일정량 확보하고 있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일단 신규 사용자를 ACTIVE 상태로 하고나서 상기 소정 시간의 타임아웃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DORMANT 상태로 이행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DORMANT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규 호출이 거절되는 것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BS(1)에서 관리하는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유효하게 활용하여, BS(1)를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수(ACTIVE 사용자수+DORMANT 사용자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용자측에서 보면, ACTIVE 사용자수가 풀 상태라도 DORMANT 사용자수에 여유가 있으면 접속이 가능해지므로, 접속 비지 횟수가 대폭 감소하여 조기 접속이 가능해지고, 청구항 감소로도 이어진다.
(B) 제2 실시예의 설명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리소스의 일부를 미리 확보해둠으로써,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상태에서의 신규 사용자의 접속 처리를 실현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ACTIVE 상태의 사용자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DORMANT 상태로 이행시켜서 비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BS(1)의 리소스 관리부(31)에서, ACTIVE 사용자 리소스 관리부(31a)는, 상술한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 관리부로서의 기능은 실장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32)에는, 주로 ACTIVE 사용자 리소스(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 DORMANT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강제적으로 DORMANT 상태로 이행시켜야 하는 사용자를 결정하는 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도 2 참조)로서의 기능이나, 결정한 ACTIVE 사용자를 DORMANT 상태로 이행(무선 커넥션을 해제)시켜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는 기능, 만들어낸 비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신규 사용자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등이 실장된다.
이하, 이 경우의 접속 처리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다. 또, 본 제2 실시예에서, 통상 시의 접속 시퀀스는, 도 3에 의해 상술한 시퀀스와 마찬가지이다.
우선, 이 경우에도, ACTIVE 사용자 리소스의 상한이 30개로 현재 30개가 메워져 있고, DORMANT 사용자 리소스의 상한이 30개로 현재 2개밖에 메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ACTIVE 상태나 DORMANT 상태 모두 아님) 사용자(MS-A)에서 다이얼 업 접속이 실시(신규 접속 요구가 발행)되었다고 한다(단계 A2).
이 경우, BS(1)의 제어부(32)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은 없지만 DORMANT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즉, MS(102a)/SU(102b)와 BS(1) 사이의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은 없지만 PPP 링크를 위한 리소스에는 비어 있는 부분이 있는 상태), 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에 의해, 현재 ACTIVE 상태의 사용자 중에서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시키는 사용자(MS-B)를 하나 선택(결정)한다(단계 C1). 또, 이 때의 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에서의 결정 기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선택 사용자(MS-B)에 대하여 무선 커넥션의 해제 지시를 발행하고(단계 C2), 선택 사용자(MS-B)는, 이 해제 지시를 받음으로써, BS(1)와의 사이의 무선 커넥션을 해제하고, 해제 지시에 대한 응답을 BS(1)로 회신한다(단계 C3). 이에 의해, 선택 사용자(MS-B)는, PDSN(105)과 PPP 링크만이 유지된 DORMANT 상태로 되어(단계 C4), BS(1)에서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만들어지게 된다(단계 C5).
즉, 이 때의 BS(1)의 ACTIVE 사용자 리소스는 하나 감소하여 29개(비어 있는 부분이 하나), DORMANT 사용자 리소스는 1개 증가하여 3개가 되게 된다. 또, 상기한 해제 지시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페이징 채널이 사용되어, 응답의 회신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채널이 사용된다.
그 후, BS(1)(제어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ACTIVE 사용자(MS-B)를 DORMANT 사용자에게 이행시킴으로써 얻어진 ACTIVE 리소스의 비어 있는 리소스를 신규 사용자(MS-A)로부터의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위해 할당하여, 신규 사용자(MS-A)-PDSN(105) 사이의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PPP 링크를 확립한다(단계 C6∼C8). 또, 이 접속 처리는, 도 3에 의해 설명한 단계 A5∼A13, A17의 수순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인증 서버(105)와의 접속 시퀀스에 대해서는 생략).
이와 같이 하여, 신규 사용자(MS-A)-PDSN(105) 사이의 PPP 링크가 확립하면, 다음으로, BS(1)(제어부(32))는, 신규 사용자(MS-A)를 DORMANT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그 신규 사용자(MS-A)에 대하여 무선 커넥션의 해제 지시를 발행하고(단계 C9), 신규 사용자(MS-A)는, 이 해제 지시를 받음으로써, BS(1) 사이의 무선 커넥션을 해제하여, 해제 지시에 대한 응답을 BS(1)로 회신한다(단계 C10). 그 결과, 신규 사용자(MS-A)는, PDSN(105)과 PPP 링크만이 유지된 DORMANT 상태가 된다(단계 C11). 또, 이 때의 해제 지시 및 응답의 송신에도, 각각 예를 들면, 페이징 채널 및 액세스 채널이 사용된다.
그 후, BS(1)(제어부(32))는,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한 선택 사용자(MS-A)를(강제 이행한 MS-A의 식별 정보를 제어부(32)는 기억해두고, 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MS-A를 특정함) 재차 ACTIVE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 선택 사용자(MS-A)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발행하여(단계 C12), 선택 사용자(MS-A) 사이에서 접속 처리(무선 커넥션 확립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C13). 또, 이 때의 접속 요구 의 송신에는 예를 들면 페이징 채널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ACTIVE 사용자가 상한인 상태에서 신규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기존의 ACTIVE 사용자의 하나를 일시적으로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시키고, 그것에 따라 비어 있는 ACTIVE 사용자 리소스를 사용하여 신규 사용자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신규 사용자를, 일단 ACTIVE 상태로 하고나서 비어 있는 리소스가 있는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시키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BS(1)에서 관리하는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유효 활용하여, BS(1)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수(ACTIVE 사용자수+DORMANT 사용자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접속 비지 횟수가 대폭 감소한다.
즉,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에 의해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ACTIVE 사용자수의 상한이 "1"로, DORMANT 사용자수가 2 이상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신규 발호한 단말기(PC) Y는, 단말기 X가 ACTIVE 상태로부터 DORMANT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행된 시점 T1 이후,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ACTIVE 사용자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시키는 것은, 도 6에서 단말기 X에 대한 인증 처리가 종료한 시점 T0 이후에 상관없기 때문에, 단말기 Y는 최단으로 그 시점 T0 이후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규 사용자를 DORMANT 상태로 하면, 그 신규 사용자를 위해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된 사용자를 다시 ACTIVE 사용자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ACTIVE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DORMANT 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은 신규 사용 자에 대한 접속 처리가 완료하기까지의 단시간에 해결되고, 기존의 ACTIVE 사용자의 통신에 대한 영향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B1)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설명
또,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ACTIVE 상태로부터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한 사용자를 반드시 ACTIVE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통상의 「ACTIVE 사용자로부터 DORMANT 사용자에게 천이하는 조건」(실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일정 기간 계속한 경우 등),「DORMANT 사용자로부터 ACTIVE 사용자에게 천이하는 조건」(사용자에 의한 다른 URL 지정이 있었던 경우나 사용자앞의 패킷 데이터가 BS(1)에 도달한 경우 등)에 따라서 되돌아가지 않은 경우가 있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의 단계 A4, C1∼C8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시되어, 신규 사용자(MS-A)가 ACTIVE 상태가 된 후,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된 선택 사용자(MS-B)가 DORMANT 상태 그대로 되면, 신규 사용자(MS-A)는 ACTIVE 상태 그대로 해두면(단계 C9'),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된 사용자(MS-B)는, 통상의 천이 조건에 따라서 ACTIVE 상태로 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다른 URL 지정이 있었던 경우나 사용자(MS-B) 앞의 패킷 데이터가 BS(1)에 도달한 경우에 ACTIVE 사용자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으면, ACTIVE 상태로 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경우에도,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킷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여, 신규 사용자(MS-A)의 조기의 접속이 가능해지 고, 패킷 통신의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2)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설명
다음으로,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ACTIVE 상태로부터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한 사용자(MS-B)를 무조건 ACTIVE 상태로 되돌리는(신규 사용자(MS-A)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함)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행은 그 시점에서 DORMANT 상태로부터 ACTIVE 상태로의 이행을 희망하는 사용자(다른 URL 지정이 있었던 사용자나 PDSN(105)으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BS(1)에 도달한 사용자 등: 이하,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라고 함)의 유무에 따라 실행하거나 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의 단계 A4, C1∼C8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시되어, 신규 사용자(MS-A)가 ACTIVE 상태로 된 후, BS(1)는, 제어부(32)에 의해,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리소스 이행 판정: 단계 D1), 그 결과,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가 존재하면, 신규 사용자(MS-A)를 DORMANT 상태로 이행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신규 사용자(MS-A) 사이의 무선 커넥션을 해제하기 위해, 신규 사용자(MS-A)에 대하여 해제 지시를 발행한다(단계 D2).
신규 사용자(MS-A)는, 이 해제 지시를 받음으로써, MS1 사이의 무선 커넥션을 해제하여, 상기 해제 지시에 대한 응답을 MS1로 회신한다(단계 D3). 이에 의해, 신규 사용자(MS-A)는 PDSN(105)과 PPP 링크만이 유지된 DORMANT 상태로 된다(단계 D4). 또, 이 때의 해제 지시 및 응답의 송신에도, 각각 예를 들면 페이징 채널 및 액세스 채널이 사용된다.
또,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BS(1)(제어부(32))는, 신규 사용자(MS-A)를 ACTIVE 상태 그대로 해둔다.
즉,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신규 사용자의 ACTIVE 상태가 유지되어, 신규 사용자(MS-A) 이외에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사용자(MS-B)를 포함함〕가 있는 경우에는, 그 ACTIVE 상태 이행 희망 사용자의 희망이 우선되어, 신규 사용자는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킷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의 유효 이용 및 접속성을 향상시키면서, 신규 사용자와 기존 ACTIVE 사용자의 쌍방의 요구에 적당한 접속 처리가 가능해지고, 패킷 통신의 서비스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C) ACTIVE 상태→DORMANT 상태 강제 이행 사용자의 결정 방식 설명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2 실시예 및 각 변형예 1, 2에서, 신규 사용자(MS-A)로부터의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해야 할 ACTIVE 사용자의 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에서의 선택(결정) 방법(기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ACTIVE 사용자의 결정 방법에는, 예를 들면 (1) 신규 ACTIVE 사용자로서 등록된 시간에 의한 경우, (2) BS(1) 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관리 번호에 의한(관리 번호 No.1의 사용자나 관리 번호 최후의 사용자) 경우, (3) ACTIVE 상태와 DORMANT 상태를 반복하고 있는 카운트 수에 의한 경우, (4) ACTIVE 사용자로서 접속되어 있는 시간에 대한 송수신 데이터량에 의한 경우, (5) ACTIVE로부터 DORMANT 로 천이하는 타이머 만료까지의 시간에 의한 경우 등이 생각된다.
이하, 각각의 경우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신규 ACTIVE 사용자로서 등록된 시간에 의한 경우
예를 들면, ACTIVE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있어, 신규로 ACTIVE 사용자가 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이 각각 T=g, T=h(h<g), T=i(i<h)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32)(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는, 접속 시간이 가장 긴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를, 반대로 접속 시간이 가장 짧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C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하는 사용자로서 선택하게 된다.
(2) BS(1)(구체적으로는, BSC(1b)) 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관리 번호에 의한(관리 번호 No.1의 사용자나 관리 번호최후의 사용자) 경우
예를 들면, ACTIVE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있어, 각 ACTIVE 사용자의 BS(1) 내에서 관리되어 있는 관리 번호가 각각, "1", "2", "3"이었다고 한다. 이 경우, 제어부(32)(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는, 관리 번호가 가장 작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를, 관리 번호가 가장 큰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C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하는 사용자로서 선택하게 된다.
(3) ACTIVE 사용자와 DORMANT 사용자를 반복하고 있는 카운트 수에 의한 경우
예를 들면, ACTIVE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있어, 각 ACTIVE 사용자의 신규 ACTIVE 사용자가 되었을 때로부터 DORMANT 상태→ACTIVE 상태→DORMANT 상태 등 과 같이 천이한 횟수가 각각 A(ACTIVE 횟수)=5/D(DORMANT 횟수)=4, A=3/D=2, A1/D=0였다고 한다. 이 경우, 제어부(32)(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는, ACTIVE/DORMANT 상태를 반복하고 있는 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를, 반대로 가장 적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C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하는 사용자로서 선택하게 된다.
(4) ACTIVE 사용자로서 접속되어 있는 시간에 대한 송수신 데이터량(평균 전송 속도)에 의한 경우
예를 들면, ACTIVE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있어, 각 ACTIVE 사용자의 접속 시간에 대한 송수신 데이터량이 2000kbit/200sec=10kbps, 40000kbit/10000sec=4kbps, 3000kbit/30sec=100kbps였다고 한다. 이 경우, 제어부(32)(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는, 평균 전송 속도가 가장 나쁜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B를, 가장 좋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C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하는 사용자로서 선택하게 된다.
(5) ACTIVE로부터 DORMANT로 천이하는 타이머 만료까지의 시간에 의한 경우
예를 들면, ACTIVE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있어, 각 ACTIVE 사용자가 DORMANT 사용자에게 천이하기까지의 시간이 T=p, T=q(q>p), T=r(r>q)였다고 한다. 이 경우, 제어부(32)(DORMANT 이행 단말기 결정부(321))는, DORMANT 사용자에게 천이하기까지의 시간이 가장 짧은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A를, 반대로 가장 긴 사용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C를, DORMANT 상태로 강제 이행하는 사용자로서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 요구에 따라서 필요한 기준(조건) 설정을 행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액티브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가 일부 가입자에게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1)∼(5)에 나타낸 각종 조건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설정해도 된다.
(D) 기타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즉, DORMANT 상태로의 즉시 이행용 무선 리소스를 미리 준비해두고, 이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ACTIVE 사용자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DORMANT 상태로 이행시켜서 비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만들도록 해도 된다.
(부기 1)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접속 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상기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도, 상기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에서의 상기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2)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리소스를 만들어내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3)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한 후,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4)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한 후,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킨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되돌리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5)
부기 2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킬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6)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액티브 상태로 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7)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액티브 상태로 된 가입자 단말기의 관리 번호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8)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일정 기간 내의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의 상태 천이 횟수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9)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의 패킷 데이터 통신량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10)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단말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 나서 휴지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에 의해,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부기 11)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으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접속 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해두고,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상기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상기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도,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2)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으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해두고,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3)
부기 11에 있어서,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한 후,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4)
부기 12에 있어서,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한 후,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킨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5)
부기 12 내지 부기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킬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6)
부기 15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액티브 상태로 되고나서의 경과 시간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7)
부기 15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액티브 상태로 된 가입자 단말기의 관리 번호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8)
부기 15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일정 기간 내의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의 상태 천이 횟수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19)
부기 15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의 패킷 데이터 통신량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20)
부기 15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나서 휴지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에 의해서, 상기한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부기 21)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논리적인 접속을 행하는 논리 접속 장치를 갖고,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의 상기 논리적인 접속을 이용한 통신의 상황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논리적인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의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적어도 한번은 상기 해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무선 채널의 비어 있는 부분이 부족하여도 상기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허용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부기 22)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서 논리적인 접속을 행하는 논리 접속 장치를 갖고,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의 상기 논리적인 접속을 이용한 통신의 상황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논리적인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의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다른 가입자 단말기를 상기 해제의 대상으로 하여,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가 적어도 한번은 상기 해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다른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해제에 의해 비어 있는 부분으로 된 무선 채널을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해제 후,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채널을 상기 다른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와의 접속 처리에 필요한 ACTIVE 사용자 리소스가 풀 상태에서 DORMANT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있으면, 미리 확보해 둔 「DORMANT 즉시 이행 리소스」 혹은 ACTIVE 사용자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DORMANT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으로 만들어낸 비어 있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신규 사용자와의 패킷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 통신의 토탈 리소스(ACTIVE/DORMANT 리소스)를 낭비없이 사용하여, 사용자의 패킷 서비스 접속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그 유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22)

  1.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접속 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가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상기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도, 상기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상기 휴지 상태 이행 리소스 관리부에서의 상기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2.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와,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 중 어느 것도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리소스를 만들어내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으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접속 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가입자 단말기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해두고,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 중 어느 것도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휴지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면, 액티브 가입자 리소스 관리부에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이 없어도, 상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12.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신 리소스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으로서,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와, 상기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가 실제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적어도 무선 구간을 제외한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통신 리소스를 관리해두고,
    상기한 액티브 상태 및 휴지 상태 중 어느 것도 아닌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신규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가입자 단말기의 일부를 강제적으로 휴지 상태로 이행시켜 무선 리소스에 비어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에 대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요구를 발행한 가입자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논리적인 접속을 행하는 논리 접속 장치를 갖고,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의 상기 논리적인 접속을 이용한 통신의 상황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논리적인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의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적어도 한번은 상기 해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무선 채널의 비어 있는 부분이 부족하여도 상기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허용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2.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채널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논리적인 접속을 행하는 논리 접속 장치를 갖고, 임의의 가입자 단말기의 상기 논리적인 접속을 이용한 통신의 상황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논리적인 접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의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다른 가입자 단말기를 상기 해제의 대상으로 하여,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가 적어도 한번은 상기 해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다른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해제에 의해 비어 있는 부분으로 된 무선 채널을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해제 후, 비어 있는 부분의 무선 채널을 상기 다른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47012194A 2002-02-08 2002-02-08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KR10059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1084 WO2003067912A1 (en) 2002-02-08 2002-02-08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355A KR20040086355A (ko) 2004-10-08
KR100599915B1 true KR100599915B1 (ko) 2006-07-19

Family

ID=2767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194A KR100599915B1 (ko) 2002-02-08 2002-02-08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3461B2 (ko)
EP (2) EP1919144B1 (ko)
JP (1) JP4032028B2 (ko)
KR (1) KR100599915B1 (ko)
CN (1) CN100382630C (ko)
WO (1) WO2003067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0462B2 (en) * 2003-03-26 2008-02-12 Lucent Technologies Inc. Managing wireless packet service resources
US7127655B2 (en) * 2004-01-20 2006-10-24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optimize delivery of multicast content using probabilistic feedback
KR100657523B1 (ko) * 2005-02-04 2006-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피어 대 피어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서버의 자원을할당하는 방법
JP4083771B2 (ja) * 2005-02-09 2008-04-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無線回線制御局及び無線基地局
WO2007000732A2 (en) * 2005-06-28 2007-01-04 Utstarcom, Inc. Method of servicing a pcf by rate limiting
EP1922891B1 (en) * 2005-08-19 2014-07-16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simultaneous radio resource and service requests
US7778269B2 (en) * 2005-10-07 2010-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ed multi-application channel control
KR101207467B1 (ko) * 2005-12-16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그장치
EP1997344B1 (en) 2006-03-20 2019-07-10 QUALCOMM Incorporated Extended capability transfer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network
US8213394B2 (en) 2006-10-16 2012-07-0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inactive connections for service continuity in an agnostic acces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communication
US8254941B2 (en) 2006-11-01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newal-based resource alloc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23621A1 (en) * 2006-11-29 2008-05-29 Alexander Bachmutsky High speed access broadcast system solution
JP5384797B2 (ja) * 2007-03-26 2014-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通信システム、呼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40082B2 (ja) * 2007-09-28 2012-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lanシステム
KR101048449B1 (ko) * 2007-12-18 2011-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을고려한 수락 제어 장치 및 방법
US8693408B2 (en) * 2008-02-0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bscriber station-based admission control
JP5178284B2 (ja) * 2008-04-07 2013-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基地局制御装置及びアクセス規制方法
US20100034124A1 (en) * 2008-08-05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Tethered data call with continuous application
US8189465B1 (en) * 2009-02-04 2012-05-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ep packet inspection policy enforcement
US8811961B2 (en) * 2010-03-11 2014-08-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T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83297B (zh) * 2011-01-06 2018-04-24 日本电气株式会社 策略确定系统、策略确定方法和非临时性计算机可读介质
WO2012093434A1 (ja) * 2011-01-06 2012-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ポリシ供給システム、状態遷移の制御方法、及びポリシ供給方法
CN107580376B (zh) 2011-04-01 2021-08-2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移动性管理实体及用于提供连接性信息的方法
EP2822235B1 (en) 2012-03-28 2017-09-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direct tunnel
US10949239B2 (en) * 2018-12-14 2021-03-1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pplication deployment in a container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6277B1 (en) * 1997-10-14 2001-05-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dmitting new connections based on usage priorities in a multiple access system for communications networks
FI106512B (fi) * 1998-06-26 2001-02-15 Nokia Networks Oy Pakettikytkentäisten yhteyksien hallinta matkaviestinverkossa
FI108203B (fi) * 1998-11-27 2001-11-3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don siirtämiseksi pakettiradiopalvelussa
US6411601B1 (en) * 1998-12-15 2002-06-2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vailable communications network resources
US7085579B2 (en) * 2000-04-17 2006-08-01 Hitachi,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mobile stations, base station controllers and packet data service nodes
US6944452B2 (en) * 2000-12-26 2005-09-13 Nortel Network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ard handoff of data packet trans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5981B1 (en) 2012-11-14
EP1919144B1 (en) 2013-05-29
JP4032028B2 (ja) 2008-01-16
CN1618248A (zh) 2005-05-18
US20050009515A1 (en) 2005-01-13
US7613461B2 (en) 2009-11-03
WO2003067912A1 (en) 2003-08-14
JPWO2003067912A1 (ja) 2005-06-02
KR20040086355A (ko) 2004-10-08
CN100382630C (zh) 2008-04-16
EP1475981A1 (en) 2004-11-10
EP1919144A3 (en) 2008-05-21
EP1919144A2 (en) 2008-05-07
EP1475981A4 (en)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915B1 (ko)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JP437651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7330448B2 (en) Technique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s levels when interwork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th a wireless telephony network
US7269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admiss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76918B2 (en) Dynamic upgrade of quality of service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JP2002539680A (ja) パケット無線サービスおける資源割当てに関する方法及び構成
JP2004040824A (ja) ワイヤレス可変帯域幅エアリンク装置と通信する移動通信用加入者装置及び方法
KR2003004824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JP2000174820A (ja) パケット無線サ―ビスのデ―タ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70015572A (ko) 구성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에 있어서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서비스 품질의 제어
CN113873478A (zh) 通信方法及装置
KR100556164B1 (ko) Cdma형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EP140870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node used for the system
US6625137B1 (en) Method for operating supplemental code channel for high speed data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0579070C (zh) 一种实现网络接入的方法及系统
JP5242792B2 (ja) ハンドオーバプロセスの期間中またはハンドオーバプロセスの準備中にサービス品質メカニズムをサポートする方法
KR100547877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속한 호 설정 방법
JP200212525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交換局、基地局制御局
JP44723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コアネットワーク
JP502192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JP200920718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1201602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